KR20130028954A - Lens module - Google Patents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954A
KR20130028954A KR1020130013720A KR20130013720A KR20130028954A KR 20130028954 A KR20130028954 A KR 20130028954A KR 1020130013720 A KR1020130013720 A KR 1020130013720A KR 20130013720 A KR20130013720 A KR 20130013720A KR 20130028954 A KR20130028954 A KR 2013002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module
light
light block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8954A/en
Publication of KR2013002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9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Abstract

PURPOSE: A lens module is provided to implement the performance of the stable lens module. CONSTITUTION: A lens module(100) comprises a first optic member(110), a second lens element(120), and a shading film(130). A plurality of lens member is laminated and welded to a light axial. The shading film is installed between the lens members and forms a hole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which incidents to the lens member. The shading film comprises an air flow path extending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axis from the hole. The air flow path is expanded as it goes from the hole to an edge of the shading film.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A lens module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적층 공정 시 발생하는 팽압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modul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lens stacking process.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진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초기의 카메라 모듈은 단순히 휴대용 전자기기의 부가적인 기능(예를 들어 화상 통화)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머무는 정도였으므로, 그 구조가 단순하고 성능이 매우 미약했다.In general,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for taking a picture. Early camera modules simply stayed to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eg, video call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o the structure was simple and the performance was very weak.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고해상도를 가지면서도 크기가 작은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이 필요해지게 되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consumers' desire for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a high performance and small size camera module having a high resolution.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대량 생산 및 저가 생산이 가능해야 하므로, 웨이퍼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웨이퍼 기반의 렌즈 모듈은 일반 사출성형에 의한 렌즈 모듈과 달리 개별적인 조립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할 수 있으므로, 렌즈 모듈의 생산성이 뛰어나고 생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camera modules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to be mass-produced and inexpensive, so they are manufactured on a wafer basis. Wafer-based lens module can be manufactured without a separate assembly process, unlike the lens module by the general injection mol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ns module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and low production cost.

웨이퍼 기반의 렌즈 모듈은 렌즈가 형성된 복수의 웨이퍼, 스페이서 부재, 차광막 등을 상하 접합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얇으면서도 상당히 넓은 박막 형태이므로, 적층 공정 시 접합부분에 팽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wafer-based lens module is manufactured by vertically bonding a plurality of wafers, a spacer member, a light shielding film, etc., on which a lens is formed. Here, since these components are thin and fairly wide thin film forms, it is possible to generate swelling in the joint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그런데 이러한 팽압은 웨이퍼와 같은 얇은 부재에 상당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제작될 렌즈 형상의 변형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적층되는 구성요소들(웨이퍼, 스페이서, 차광막 등) 간의 접합정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However, this squeezing pressure can put a considerable pressure on a thin member such as a wafer, and thus not only cause deformation of the lens shape to be manufactured, but also reduce the bonding precision between the stacked components (wafer, spacer, light shielding film, etc.).

JPJP 2010-1859402010-185940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모듈의 적층 공정 시 발생하는 팽압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modul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of the lens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 및 접합되는 복수의 렌즈 부재; 및 상기 렌즈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부재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된 차광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구멍으로부터 광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로를 구비할 수 있다.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lens members are laminated and bond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light shielding film disposed between the lens members and having a hole for adjust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member, wherein the light shielding film may include an air passage extending from the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상기 통기로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차광막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vent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hole toward the edge of the light blocking film.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렌즈(또는 렌즈형상을 갖는 웨이퍼)를 적층할 때 발생하는 팽압을 효과적으로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렌즈 모듈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or reduce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lenses (or a wafer having a lens shap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able lens module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차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module illustrated in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module illustrated in FIG. 6;
8A, 8B and 8C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lan views illustrating other shapes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8.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hat refer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am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shown in FIG. 1.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1렌즈 부재(110), 제2렌즈 부재(120), 차광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ens member 110, a second lens member 120, and a light shielding film 130.

제1렌즈 부재(110)는 제1광학부(112)와 제1접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학부(112)는 제1렌즈 부재(110)에서 렌즈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광학부(112)는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광학부(112)의 형상은 제조될 렌즈 모듈(100)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제1광학부(112)의 형상은 렌즈 모듈(100)에서의 제1렌즈 부재(110)가 설치될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부재(110)가 렌즈 모듈(100)에서 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 부재일 경우, 제1광학부(112)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렌즈 부재(110)가 렌즈 모듈(100)에서 이미지 센서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일 경우, 제1광학부(112)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제1렌즈 부재(110)의 형상은 렌즈 모듈(1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에 따라 전술된 예와 상반된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제1광학부(112)는 필요에 따라 구면, 비 구면, 또는 평면일 수 있다. 제1접합부(114)는 다른 렌즈 부재 또는 다른 렌즈 모듈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차광막이나 스페이서)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 및 접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접합부(114)는 이들 타 부재들과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lens member 110 may include a first optical part 112 and a first junction part 114. The first optical unit 112 may form a lens surface in the first lens member 110. The first optical part 112 may be convex or concave.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optical unit 112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lens module 100 to be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optical unit 112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lens member 110 is installed in the lens module 100. For example, when the first lens member 110 is the lens member closest to the object side in the lens module 100, the first optical part 112 may have a convex shape. In contrast, when the first lens member 110 is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ensor side in the lens module 100, the first optical part 112 may have a concave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lens member 110 may be contrary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lenses constituting the lens module 100. In addition, the first optical unit 112 may be spherical, aspherical, or planar as necessary. The first junction part 114 may be a portion that directly or indirectly contacts and bonds with another lens member or a component (eg, a light shielding film or a spacer) of another lens module. Therefore, the first junction part 114 may have a planar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se other members.

제2렌즈 부재(120)는 제2광학부(122)와 제2접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광학부(122)는 제2렌즈 부재(120)에서 렌즈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광학부(122)는 제1광학부(112)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2광학부(112)의 형상은 제조될 렌즈 모듈(100)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제2광학부(122)의 형상은 렌즈 모듈(100)에서의 제2렌즈 부재(120)가 설치될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부재(120)가 렌즈 모듈(100)에서 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 부재일 경우, 제2광학부(122)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렌즈 부재(120)가 렌즈 모듈(100)에서 이미지 센서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일 경우, 제2광학부(122)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2광학부(122)는 필요에 따라 구면, 비 구면, 또는 평면일 수 있다. 제2접합부(124)는 다른 렌즈 부재 또는 다른 렌즈 모듈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차광막이나 스페이서)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 및 접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접합부(124)는 제1접합부(114)와 마찬가지로 평면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lens member 120 may include a second optical part 122 and a second junction part 124. The second optical unit 122 may form a lens surface in the second lens member 120. The second optical unit 122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shape as the first optical unit 112. However, the shape of the second optical unit 112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lens module 100 to be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econd optical unit 122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lens member 120 is installed in the lens module 10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lens member 120 is the lens member closest to the object side in the lens module 100, the second optical unit 122 may have a convex shape. In contrast, when the second lens member 120 is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ensor side in the lens module 100, the second optical unit 122 may have a concave shape. In addition, the second optical unit 122 may be spherical, aspherical, or planar as necessary. The second junction part 124 may be a portion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contacts and bonds with another lens member or a component of another lens module (eg, a light shielding film or a spacer). Accordingly, the second junction part 124 may have a planar shape like the first junction part 114.

참고로, 제1렌즈 부재(110)와 제2렌즈 부재(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100)이 설치될 휴대 단말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유리 또는 기타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 형태가 아닌 개별적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lens member 110 and the second lens member 12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lens array. However, the lens module 100 may be manufactured from glass or other materials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installed, and may be manufactured in an individual form instead of a lens array form.

차광막(130)은 렌즈 부재들(110, 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렌즈 부재들(110, 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막(130)은 필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광막(130)은 빛이 투과되지 않은 불투명한 필름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잉크로 프린트된 필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차광막(130)은 빛이 반사되지 않는 무반사 특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같은 차광막(130)은 유효광(예를 들어, 피사체의 현상에 필요한 반사광)에 포함된 잡광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잡광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film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For example, the light blocking film 130 may be made of a film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light blocking film 130 may be made of an opaque film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not transmitted or a film material printed with opaque ink. In addition, the light shielding film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ti-reflective properties in which light is not reflected. Such a light shielding film 130 may not only block the incident light included in the effective light (eg, the reflected light required for developing the subject) to the image sensor but also suppress the flare phenomenon caused by the light.

한편, 차광막(130)은 구멍(132)과 통기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132)은 광학부(112, 122)를 통해 입사되는 반사광의 통로 구실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멍(132)은 광학부(112, 122)로 입사된 반사광에서 필요한 유효광만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도록 잡광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멍(132)의 반지름(R3)은 제1광학부(112)의 반지름(R1) 또는 제1광학부(122)의 반지름(R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부재(110)가 제2렌즈 부재(120)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위치된 경우, 구멍(132)의 반지름(R3)은 제1광학부(112)의 반지름(R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렌즈 부재(120)가 제1렌즈 부재(110)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위치된 경우, 구멍(132)의 반지름(R3)은 제2광학부(122)의 반지름(R2)보다 작을 수 있다. 통기로(134)는 구멍(132)에서 차광막(130)의 가장자리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이 형성된 통기로(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 부재(110)와 제2렌즈 부재(120) 사이에 공기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 시 발생하는 팽압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통기로(134)가 차광막(130)의 일부분을 완전히 절개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film 130 may include a hole 132 and an air passage 134. Here, the hole 132 may serve as a path for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units 112 and 122. Specifically, the hole 132 may block the light so that only the effective light necessary for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on the optical units 112 and 122 is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Therefore, the radius R3 of the hole 132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R1 of the first optical part 112 or the radius R2 of the first optical part 122. For example, when the first lens member 110 is located closer to the object side than the second lens member 120, the radius R3 of the hole 132 is the radius R1 of the first optical part 112. Can be less than In contrast, when the second lens member 120 is located closer to the object side than the first lens member 110, the radius R3 of the hole 132 is larger than the radius R2 of the second optical part 122. Can be small. The ventilation passage 134 may be formed to be long from the hole 132 to the edg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The ventilation passage 134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communicate between the first lens member 110 and the second lens member 120, as shown in FIG.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when the joints 110 and 120 are joined can be reduced. Meanwhile, in FIG. 1, although the ventilation passage 134 is shown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is completely cut out, it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s needed.

다음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module shown in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module illustrated in FIG. 6.

*제2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통기로(134)의 형상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air passage 134.

제2실시 예에서 차광막(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32)으로부터 차광막(13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확대 또는 넓어지는 통기로(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의 통기로(134)는 제1실시 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기 유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 시 발생하는 팽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In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the light blocking film 130 may include an air passage 134 that gradually expands or widens from the hole 132 to the edg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as shown in FIG. 3. Since the vent 134 having such a shape can provide a relatively wider air passage tha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when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are bonded.

제3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차광막(130)에 홈(136)이 형성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groove 136 is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film 130.

일반적으로 팽압은 상호 마주보는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부(114, 124) 전 영역에 걸쳐 발생하므로, 통기로(134)만으로는 불충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광막(130)의 표면에 다수의 홈(136)을 형성할 수 있다.In general, the swelling pressure is genera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junction portions 114 and 124 of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facing each other, and thus the air passage 134 alone may be insufficient.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grooves 136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홈(13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130)의 표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홈(136)은 필름 형태의 차광막(130)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표면 가공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groove 136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he groove 136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light shielding film 130 in the form of a film, or may be formed by a separate surface processing method.

이러한 차광막(130)을 포함한 렌즈 모듈(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 부재(110)와 제2렌즈 부재(120)의 접합면 사이에 다수의 공기 통로를 구비하므로,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 시 발생하는 팽압을 주변으로 효과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Since the lens module 100 including the light blocking film 130 has a plurality of air passages between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lens member 110 and the second lens member 120 as illustrated in FIG. 5, the lens memb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sipate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bonding of the fields (110, 120) to the surroundings.

참고로, 제3실시 예는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면적이 큰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hird embodiment may be usefully used when the bonding areas of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are large.

제4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차광막(130)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처리한 점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The lens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at the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is roughly processed.

제4실시 예에서는 차광막(130)과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부(114, 124) 사이에 미세한 틈새를 형성될 수 있도록, 차광막(130)의 적어도 일측 표면을 연마하거나 부식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막(130)은 연삭기에 의해 일측 표면이 연마될 수 있으며, 또는 소정의 화학용액에 침지되어 부식처리될 수 있다.In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may be polished or corroded to form a fine gap between the light blocking film 130 and the junction portions 114 and 124 of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have.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130 may be polished by a grinding machine, or may be immersed in a predetermined chemical solution to be corroded.

이 같이 차광막(130)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부식처리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130)의 표면에 미세한 돌기(13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돌기(138)는 차광막(130)의 표면과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부(114, 124)가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막(130)과 렌즈 부재들(110, 120) 사이에 미세한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130 is polished or corroded as described above, fine protrusions 138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130 as illustrated in FIG. 7. Here, the protrusion 138 may not only completely prevent the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film 130 and the junction portions 114 and 124 of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from being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light blocking film 130 and the lens members ( Fine air passages may be formed between the 110 and 120.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전술된 제3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렌즈 부재들(110, 120)의 접합 시 발생하는 팽압을 소멸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queezing force generated when the lens members 110 and 120 are bonded may be eliminated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xemplary embodiment.

다음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차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8A, 8B, and 8C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S. 9 and 10 are plan views illustrating other forms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8.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은 제1렌즈 웨이퍼(210)의 준비단계, 차광 필름(230)의 부착 단계, 제2렌즈 웨이퍼(220)의 부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차광 필름(230)에 통기로(232)를 형성하는 단계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으며, 완성된 렌즈 모듈 어레이(200)를 렌즈 모듈 단위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preparing a first lens wafer 210, attaching a light blocking film 230, and attaching a second lens wafer 220. In addition, as necessary, the step of forming the air passages 232 in the light blocking film 230 may be separately performed, and the step of cutting the completed lens module array 200 in units of lens modules may be further performed.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형 렌즈 모듈(100)은 대량 생산을 위해 웨이퍼를 기반으로 어레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때문에 다수의 웨이퍼를 적층 또는 접합하는 과정에서 팽압이 발생하기 쉽다.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small lens module 100 may be manufactured in an array form based on a wafer for mass production. Therefore, swelling pressure tends to occur in the process of stacking or bonding a plurality of wafers.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렌즈 웨이퍼(210)와 제2렌즈 웨이퍼(220)를 적층 또는 접합하기 전 단계에서, 제1렌즈 웨이퍼(210)에 통기로(234, 236)가 형성된 차광 필름(230)을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is, before the stacking or bonding of the first lens wafer 210 and the second lens wafer 220, the aeration paths 234 and 236 are connected to the first lens wafer 210. Attaching the formed light blocking film 230 may be performed.

차광 필름(230)은 다수의 구멍(232)과 통기로(234, 236)를 구비할 수 있다. 구멍(232)은 렌즈 웨이퍼(210, 220)의 광학부(212, 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광학부(212, 222)를 통해 입사되는 반사광에서 피사체의 현상에 필요한 유효광만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통기로(234, 236)는 복수의 서로 다른 구멍(232)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로(234, 236) 중 일부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필름(230)의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렌즈 웨이퍼(210, 220)의 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압을 소멸시킬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film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232 and vents 234 and 236. The hole 2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parts 212 and 222 of the lens wafers 210 and 220, and selects only the effective light necessary for developing a subject from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parts 212 and 222. Can be passed through. Vents 234 and 236 may connect a plurality of different holes 232. Here, some of the air passages 234 and 236 may extend to the edge of the light blocking film 230 as shown in FIGS. 8 and 9 to dissipate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lens wafers 210 and 220. have.

한편, 통기로(234, 23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구멍(232)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passages 234 and 236 may be formed in a shape connecting the holes 23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s shown in FIG. 9.

아울러, 차광 필름(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차광 부재(231)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차광 부재(231)는 연결부(238)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차광 필름(23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film 23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members 231 as shown in FIG. 10. Here,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members 231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238 to form one light blocking film 230.

도 10에 도시된 차광 필름(230)은 차광 부재(231)의 통기로(236)가 각기 외부로 소통되므로, 렌즈 웨이퍼(210, 220)의 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In the light blocking film 230 illustrated in FIG. 10, since the air passages 236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3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well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lens wafers 210 and 220 may be more effectively alleviated. .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렌즈 모듈
110 제1렌즈 112 제1광학부
114 제1접합부
120 제2렌즈 122 제2광학부
124 제2접합부
130 차광막 132 구멍
134 통기로 136 홈
200 렌즈 모듈 어레이
210 제1렌즈 웨이퍼 220 제2렌즈 웨이퍼
230 차광 부재 234 통기로
100 lens module
110 First Lens 112 First Optics
114 first junction
120 Second lens 122 Second optics
124 2nd junction
130 light shield 132 holes
134 home with 134 aeration
200 lens module array
210 First Lens Wafer 220 Second Lens Wafer
230 light blocking member 234 aeration

Claims (2)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 및 접합되는 복수의 렌즈 부재; 및
상기 렌즈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부재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된 차광막;
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구멍으로부터 광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로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A plurality of lens members stacked and bond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light shielding film disposed between the lens members and having a hole for adjust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lens member;
/ RTI >
And the light shielding film has a ventilation path extending from the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차광막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인 렌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vent of the lens module extending in the shape toward the edg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KR1020130013720A 2013-02-07 2013-02-07 Lens module KR201300289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20A KR20130028954A (en) 2013-02-07 2013-02-07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20A KR20130028954A (en) 2013-02-07 2013-02-07 Lens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959A Division KR101288281B1 (en) 2011-09-09 2011-09-09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954A true KR20130028954A (en) 2013-03-20

Family

ID=4817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20A KR20130028954A (en) 2013-02-07 2013-02-07 Len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895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428A1 (en) * 2019-03-05 2020-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428A1 (en) * 2019-03-05 2020-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CN111665604A (en) * 2019-03-05 2020-09-15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Lens system and imaging device
US20210389546A1 (en) * 2019-03-05 2021-1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CN111665604B (en) * 2019-03-05 2022-09-06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Lens system and imag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19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US7826153B2 (en) Lens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488269B2 (en) Lens drive module
US11212450B2 (en) Camera module for both normal photography and infrared photography
WO2011102056A1 (en) Image-capturing lens unit
AU2019302963A1 (en) Electronic apparatus
US11609361B2 (en)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493391B1 (en) Camera module
US11099347B2 (en) Lens module for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ens module
US9429688B2 (en)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lens with low lens sag
KR20200019547A (en) Lens assembly
KR101288281B1 (en)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736738B2 (en) Optical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ame
KR101298454B1 (en) Camera module
KR20130028954A (en) Lens module
KR20230006430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7041141A (en) Lens retainer mechanism, lens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camera module
KR101316287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tacked camera
CN102478695A (en) Lens module array, manufacture method and lens
KR100992271B1 (en) Camera Module
JP2015178197A (en) Hold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unit, and optical unit
CN115657254A (en) Camera lens and camera module
US20230217093A1 (en)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08227105B (en) Lens module
CN110475049B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