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188A -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188A
KR20130028188A KR1020110091527A KR20110091527A KR20130028188A KR 20130028188 A KR20130028188 A KR 20130028188A KR 1020110091527 A KR1020110091527 A KR 1020110091527A KR 20110091527 A KR20110091527 A KR 20110091527A KR 20130028188 A KR20130028188 A KR 2013002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electromagnet
assembly
latch assembl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2693B1 (en
Inventor
황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693B1/en
Publication of KR2013002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PURPOSE: An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absorb impacts applying to pedestrians by ascending the front end of a hood with the rear end of the hood in order to push up the pedestrians when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s collide. CONSTITUTION: An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 main frame(10), a hood latch assembly(20), and a latch actuator(30). The main frame is fixed on the vehicle body. The hood latch assembly is mounted on the main frame to be lifted. The hood latch assembly locks and unlocks the front end of the hood. The latch actuator ascends the latch assembly depending on the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which receives impact detecting signals from an impact detecting sensor. The latch actuator is mounted in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hood latch assembly. The latch actuator comprises an electromagnet assembly(60) to assist the operation of the latch actuator.

Description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의 전단부를 후드의 후단부와 함께 상승시켜 보행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hood device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hood device for automobiles that can reduce the injuries of pedestrians by raising the front end of the hood together with the rear end of the hood during a pedestrian collis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 부분에는 엔진룸이 마련되어 있고, 이 엔진룸은 후드(hood)에 의해 개폐된다. In general, an engine compartment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engine compartment is opened and closed by a hood.

차량에서 후드는 엔진룸을 개폐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을 차폐하여 엔진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후단부의 좌우 양측이 후드 힌지 어셈블리를 매개로 엔진룸 상부에 결합되어 후드 힌지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엔진룸을 개폐하게 된다.In the vehicle, the hood not only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engine room but also shields the engine room to block engine nois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end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engine room via the hood hinge assembly to center the hood hinge assembly.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engine room.

하지만 후드는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입히는 부분으로 알려져 있고, 이에 충돌 발생시 후드와 엔진룸 사이에 보행자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시켜주는 액티브 후드 장치(active hood system)가 적용되고 있다.However, the hood is known to cause serious injury to pedestrians when a pedestrian collides, and an active hood system is used to secure a space for absorbing the impact energy of a pedestrian between the hood and the engine room when a collision occurs. It is becoming.

액티브 후드 장치는 충돌 발생시 보행자 보호를 위해 후드의 후단부(또는 후드 힌지 어셈블리)를 상승시켜주는 장치로, 보행자 충격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상해치를 저감하는 보행자 보호용 안전장치이며, 프론트 범퍼에 보행자가 충돌할 때 프론트 범퍼의 센서가 보행자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기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후드의 후단부를 상승시킴으로써 후드와 엔진룸 사이에 완충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The active hood device raises the rear end (or hood hinge assembly) of the hood to protect the pedestrian in the event of a collision.It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that cushions pedestrian shocks and reduces injuries. When the sensor of the front bumper detects a pedestrian collisio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o raise the rear end of the hood to secure a buffer space between the hood and the engine room.

액티브 후드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범퍼쪽에 장착되는 보행자 충돌을 감지하는 보행자 충돌감지센서(40)와, 충돌감지센서(40)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힌지 액츄에이터(5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2)와, 후드(44) 후단 좌우 양측으로 엔진룸 내 차체 부분에 장착되어 후드 힌지 어셈블리(미도시됨)를 지지하면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ctive hood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shown in Figure 1,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and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for detecting a pedestrian collision mounted on the vehicle bumper side And a controller 42 for driving the hinge actuator 50 to be mounted to the vehicle body part in the engine room a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44 so as to lift while supporting the hood hinge assembly (not shown). It comprises a hinge actuator 50.

이때, 제어기(42)에서 충돌감지센서(40)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힌지 액츄에이터(50)를 구동시키게 되면, 힌지 액츄에이터(50)의 구동에 의해 후드 힌지 어셈블리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드 힌지 어셈블리가 결합된 후드(44)의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보행자를 밀어 올려 완충시키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ler 42 receives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to drive the hinge actuator 50, the hood hinge assembly is raised by the driving of the hinge actuator 50, and at the same time the hood The rear end of the hood 44 to which the hinge assembly is coupled is pushed up to cushion the pedestrian.

그러나, 기존의 액티브 후드 장치는 후드의 후단부만이 상승하여 보행자의 신체 일부만을 밀어 올려 주기 때문에 보행자 완충 기능 및 상해치 감소 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ctive hood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edestrian buffering function and the injury reduction function are somewhat deteriorated because only the rear end of the hood is raised to push up only a part of the body of the pedestria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의 전단부를 후드의 후단부와 함께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후드의 전 영역이 상승하면서 보행자를 밀어 올려 완충시킬 수 있고, 이에 보행자 상해치를 저감시켜 보행자 보호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configured to rais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ood together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ood during a pedestrian collision, thereby pushing up and buffering the pedestrian while the entire area of the hood is raised.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hood device for automobiles that can further improve pedestrian protection by reducing pedestrian injury.

또한 충돌 사고 후 후드의 전단부를 원래 상태로 쉽게 하강 복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tive hood device for an automobile that can easily restore the front end of the hood after the crash accident to its original st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aise the front end of the hood during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A main frame fix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드의 전단부를 록 및 해제하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충돌감지센서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장착되는 래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 있어서,The main frame and hood latch assembly is mounted to the main frame so as to raise the hood latch assembly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front end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hat has received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I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latch actuator mounted between,

상기 래치 액츄에이터는, The latch actuator,

상기 메인프레임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석 간 발생하는 척력으로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래치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을 보조하는 전자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를 제공한다.It is provided between the mainframe and the hood latch assembly, and provides an active hood device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n electromagnet assembly for assis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latch actuator for raising the hood latch assembly with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magnet.

여기서,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는, 상기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고정되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자석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전자석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제2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은 제어기의 제어하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 하부가 N극, S극의 극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lectromagnet assembly, the first electromagnet is fixed to the hood latch assembly and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integrally with the hood latch assembly; And a second electromagnet fixed to the main frame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electromagnet, wherein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are N poles and S poles, respectively, by the current applie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have a polarity of.

또한 상기 제어기는 보행자 충돌 사고시 충돌감지센서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의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류 인가를 제어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generates a repulsive force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urrent so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disposed up and down when receiving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in the case of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have the same polarity. It features.

또한 상기 제어기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 및 후드 전단부의 하강 복원시에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의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전류 인가를 제어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raction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urrent so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disposed up and down when the hood latch assembly and the front end of the hood of the hood is restored downward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장치에서는 보행자 충돌시 후드의 후단부와 더불어 후드의 전단부까지 함께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후드 전 영역이 상승하면서 보행자를 밀어 올려 완충시킬 수 있고. 이로써 후드 전 영역의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되어 보행자 상해치를 종래에 비해 크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ctive hoo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aise together the rear end of the hood and the front end of the hood during the pedestrian collision, thereby pushing up and buffering the pedestrian while the entire hood area is raised. This improves the pedestrian protec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hood, thereby reducing the pedestrian injur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충돌 사고 후 후드의 전단부를 전자석의 힘으로 손쉽게 하강 복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hood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stored by the force of the electromagnet after the crash.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의 래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의 래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서 평상시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후드 록 및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서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래치 액츄에이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서 충돌 사고 후 후드의 전단부를 하강 복원시키기 위한 래치 액츄에이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ctive hood device for automobiles.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latch actuator of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latch actuator of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showing the hood lock and release operation of the normal hood latch assembly i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atch actuator for rais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ood in the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i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atch actuator for restoring the front end of the hood after the crash i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힌지 액츄에이터에 래치 액츄에이터를 추가하여 보행자 충돌 사고시 기존의 힌지 액츄에이터에 의해 후드의 후단부가 상승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래치 액츄에이터에 의해 후드의 전단부가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자 충격 완충 효과와 보행자 상해치 저감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hood device for an automobile, wherein a latch actuator is added to an existing hinge actuator so that the rear end of the hood is raised by the existing hinge actuator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and the front end of the hood is also provided by the latch actuator. The configuration is to increase, the main focus is to increase the pedestrian shock buffering effect and pedestrian injury reduction effec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는,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44)의 후단부를 상승시기기 위해, 차량 범퍼쪽에 장착되어 보행자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40)와, 충돌감지센서(40)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후드(44)의 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2)와, 후드(44) 후단 좌우 양측으로 엔진룸 내 차체쪽에 장착되어 후드 힌지 어셈블리(미도시됨)를 지지하면서 제어기(4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후드 힌지 어셈블리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moun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bumper to detect the pedestrian collision, in order to raise the rear end of the hood 44 during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collision detection A controller 42 for receiving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40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raising the rear end of the hood 44, and a hood hinge assembly mounted to the vehicle body in the engine room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hood 44. It includes a hinge actuator (50) provided to support (not shown) to raise the hood hing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42.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는,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44)의 전단부를 후드의 후단부와 함께 상승시키기 위해, 후드(44)의 전단부를 록(lock) 및 해제(unlock)하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래치 액츄에이터(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ks and unlocks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in order to raise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together with the rear end of the hood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It further comprises a latch actuator 30 provided to raise the hood latch assembly 20.

또한 상기 제어기(42)는 충돌감지센서(40)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하게 될 경우 후드(44)의 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와 더불어 후드(44)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42 receives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the controller 42 simultaneously raises the control signal for raising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together with the control signal for raising the rear end of the hood 44. It is provided to output.

즉, 제어기(42)가 보행자 충돌 사고시 힌지 액츄에이터(50)와 래치 액츄에이터(30)를 함께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후드(44)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함께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42 operates the hinge actuator 50 and the latch actuator 30 together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thereby allow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od 44 to rise together.

본 발명에서는 후드(44)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차체쪽에 승강(乘降) 가능하게 장착하고,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래치 액츄에이터(30)를 이용하여 상승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aise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able to lift and lower, and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used by the latch actuator 30. Raise.

상기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는 차체에 고정된 메인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래치 액츄에이터(30)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사이에 설치된다.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mounted to the main frame 10 fixed to the vehicle body in a liftable manner, and the latch actuator 30 has the main frame 10 and the hood so as to lift the hood latch assembly 20. It is installed between the latch assembly 20.

상기 메인프레임(10)은 그 중앙부가 ㄷ 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데, 중앙부 및 양 측면부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제1슬롯(11)과 제2슬롯(1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차체쪽(후드 전단쪽의 엔진룸 내 차체 부분)에 조립 고정된다.The main frame 10 has a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bent into a c-shape, and a first slot 11 and a second slot 12 cut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thereof are formed therethrough. Both ends are assembled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side (body portion in the engine compartment at the front end of the hood).

상기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는 메인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보행자 충돌 사고시 래치 액츄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해 메인프레임(10)에서 승강될 수 있게 장착된다.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disposed inside the mainframe 10 and is mounted to be lifted from the mainframe 10 by the operation of the latch actuator 30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여기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에 대한 구성을 도 3 내지 도 6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구성 중 골격 역할을 하는 몸체판(22)이 구비되는바, 이 몸체판(22)은 직사각 판체로서, 상부에는 후드(44)와 일체로 된 스트라이커(46)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21)가 형성되고, 전면 및 양 측면에는 제1안내핀(13) 및 제2안내핀(1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A body plate 22 serving as a skeleton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provided, and the body plate 22 is a rectangular plate body, and a striker 46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d 44 i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body plate 22.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 and the front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inserting pin 21 and the second guide pin 14 are integrally formed.

몸체판(22)의 제1안내핀(13)은 메인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슬롯(11)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동시에 제2안내핀(14)은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2슬롯(12)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first guide pin 13 of the body plate 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11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0 to be lif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guide pin 14 is the main frame 10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ftable.

이때, 몸체판(22)의 배면에는 보다 작은 면적의 보조판(24)이 이격 장착되며, 이 보조판(24)의 상부에는 제1삽입부(21)와 일치되는 제2삽입부(23)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ubplate 24 having a smaller area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late 22,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plate 24. do.

또한 몸체판(22)의 상단 일측에는 후드 릴리스 케이블(48)이 장착되는데, 이 후드 릴리스 케이블(48)은 운전석에 장착된 레버(미도시됨)의 조작에 의해 당겨질 수 있도록 장착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late 22 is equipped with a hood release cable 48, the hood release cable 48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not shown) mounted to the driver's seat.

또한 몸체판(22)과 보조판(24) 사이의 공간 중 한쪽에는 잠금레버(2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이 잠금레버(26)의 상단은 후드 릴리스 케이블(25)과 연결되고, 잠금레버(26)의 하단은 보조판(24)의 일측에 힌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lever 26 is rotatably mounted in one of the spaces between the body plate 22 and the auxiliary plate 24.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lever 26 is connected to the hood release cable 25, and is locked. The lower end of the lever 26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plate 24.

이러한 잠금레버(26)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잠금레버(26)의 하단 힌지체결점에는 후드 릴리스 케이블(48)에 의해 당겨져 회전된 잠금레버(26)를 탄력적으로 복원 회전시키기 위한 제1스프링(27)이 구비된다.As a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ock lever 26, the lower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lock lever 26 is elastically restored to rotate the lock lever 26 pulled by the hood release cable 48 and rotated. The first spring 27 is provided.

상기 제1스프링(27)의 일단부는 몸체판(22)의 측단부에 고정되고, 제2스프링(27)의 타단부는 잠금레버(26)의 상단에 고정되며, 이렇게 연결된 제1스프링(27)은 후드 릴리스 케이블(25)에 의해 잠금레버(26)가 당겨져 회전될 때 탄성복원 가능하게 압축된 상태가 되고, 후드 릴리스 케이블(25)의 당김이 해제될 때 그 탄성복원력으로 잠금레버(26)를 복원 회전시킨다. One end of the first spring 27 is fixed to the side end of the body plate 2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7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lever 26, the first spring 27 connected in this way ) Is elastically restorable when the locking lever 26 is pulled and rotated by the hood release cable 25, and becomes the elastic lever when the pull of the hood release cable 25 is released. Rotate to restore.

또한 몸체판(22)과 보조판(24) 사이 공간 중 다른 한쪽에는 래치 플레이트(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이 래치 플레이트(25)의 일단부에는 제1삽입부(21) 및 제2삽입부(23)를 통해 삽입되는 스트라이커(46)가 록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삽입부(28)가 형성되고, 래치 플레이트(25)의 타단부는 보조판(24)의 타측에 힌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latch plate 2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body plate 22 and the auxiliary plate 24.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latch plate 25. A third insertion portion 28 into which the striker 46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23 is lockably inserted is formed, and the other end of the latch plate 25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plate 24.

이러한 래치 플레이트(25)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장스프링 형태의 제2스프링(29)이 구비되며, 제2스프링(29)의 일단부는 몸체판(22)의 측단부에 고정되고, 제2스프링(29)의 타단부는 래치 플레이트(25)의 타단부에 고정된다.As a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atch plate 25, a second spring 29 in the form of a tension spring is provided, and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29 is fixed to the side end of the body plate 2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9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plate 25.

이렇게 연결된 제2스프링(29)은 래치 플레이트(25)가 스트라이커 록 위치로 회전될 때 인장되고, 래치 플레이트(25)가 스트라이커 록 해제 위치로 회전될 때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The second springs 29 thus connected are tensioned when the latch plate 25 is rotated to the striker lock position and provide elastic resilience when the latch plate 25 is rotated to the striker lock release position.

한편, 잠금레버(26)의 상단부에는 잠금후크(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래치 플레이트(25)의 상단부에는 잠금후크(16)가 걸어주도록 된 걸림턱(15)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래치 플레이트(25)가 스트라이커(46)를 록킹한 위치에 놓일 때 잠금레버(26)의 잠금후크(16)가 래치 플레이트(25)의 걸림턱(15)에 걸리어 래치 플레이트(25)를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lock lever 26, the locking hook 16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and the upper end of the latch plate 25, the locking jaw 15 to which the locking hook 16 is hooked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When the latch plate 25 is in the locked position of the striker 46, the locking hook 16 of the lock lever 26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15 of the latch plate 25, thereby causing the latch plate 25 to be closed. It locks to prevent rot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래치 액츄에이터에 대한 구성을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configuration of the latch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먼저, 상승레버(33)가 메인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승레버(33)의 일단부에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몸체판(22)에 형성된 제1안내핀(13)이 록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잠금홈(31)이 형성된다.First, the lifting lever 33 is hinged to the main frame 10 to be rotatably mounted, and the first guide pin formed on the body plate 22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t one end of the lifting lever 33. A locking groove 31 into which the 13 is lockably inserted is formed.

또한 상승레버(33)에서 잠금홈(31) 바로 아래쪽에는 제1안내핀(13)을 위쪽으로 밀어주는 밀어올림단(32)이 돌출 형성되며, 상승레버(33)의 회전중심인 힌지체결점에는 제1안내핀(13)을 통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승시키도록 상승레버(33)를 탄력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3스프링(34)이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lifting lever (33) is pushed to the upper end of the pushing groove (32) for upwardly pushing the first guide pin (13) upwardly, and the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ifting lever (33) The third spring 34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elastically rotating the lift lever 33 to raise the hood latch assembly 20 through the first guide pin 13.

또한 메인프레임(10)에는 상승레버(33)를 평상시 구속하고 보행자 충돌시 구속 해제하는 스톱레버(36)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바, 이 스톱레버(36)의 일단부는 메인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되고, 스톱레버(36)의 힌지체결점에는 스톱레버(36)의 구속 해제를 위한 회전시에 탄성복원 가능하게 압축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4스프링(38)이 장착된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10 is mounted so that the stop lever 36 which normally restrains the rising lever 33 and releases the restraint in the case of a pedestrian collision is rotatable. One end of the stop lever 36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 The hinge is fastened to the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stop lever 36, and a fourth spring 38 having a coil spring shape that is elastically restorable upon rotation for release of the stop lever 36 is mounted.

이때, 스톱레버(36)의 타단부에는 상승레버(33)의 끝단이 끼워져 구속되는 걸림홈(35)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top lever 36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35 to which the end of the lifting lever 33 is fitted.

또한 상승레버(33)의 걸림 해제, 즉 구속 해제를 위해 메인프레임(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톱레버(36)의 걸림홈(35) 부분을 밀어줄 수 있게 장착되는 구동장치(37)가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톱레버(36)의 걸림홈(35) 바로 아래쪽에 구동장치(37)의 피스톤과 밀착되어 용이하게 밀릴 수 있도록 수직단(39)이 일체로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37 is mounted to push the locking groove 35 of the stop lever 36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frame 10 to release the locking lever, that is, to release the restraint. Preferably, the vertical end 39 is further integrally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of the driving device 37 directly below the locking groove 35 of the stop lever 36 so as to be easily pushed.

상기 구동장치(37)는 피스톤이 전진하여 스톱레버(36)의 수직단(39)을 눌러줌으로써 스톱레버(36)를 록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피스톤 작동 방식이 될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37 may be a piston operating method for rotating the stop lever 36 in the lock release direction by pressing the vertical end 39 of the stop lever 36 as the piston moves forward.

피스톤 작동 방식의 구동장치(37)는 내장된 화약의 폭발력으로 피스톤이 전진하는 화약식, 또는 솔레노이드(전자석)에 의해 피스톤이 전진하는 솔레노이드식이 될 수 있다.Piston actuated drive device 37 may be a gunpowder that the piston is advanced by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or a solenoid type that the piston is advanced by the solenoid (electromagnet).

한편,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장치에서 래치 액츄에이터(30)는, 메인프레임(10)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사이에 장착되어, 보행자 충돌 사고시 충돌감지센서(40)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기(42)의 제어신호에 의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및 후드(44) 전단부의 상승을 보조하도록 동작하는 전자석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active hoo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actuator 30 is mounted between the main frame 10 and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receives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during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42,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operative to assist in raising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60)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주는 래치 액츄에이터(30)의 작동력을 보조하는 구성부로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주기 위한 보조적인 힘(추가적인 힘)을 제공하게 된다.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is a component that assists the operation force of the latch actuator 30 for pushing up the hood latch assembly 20 upwards, and an auxiliary force for pushing up the hood latch assembly 20 upwards ( Additional force).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주는 힘, 즉 래치 액츄에이터(30)의 작동력은 제3스프링(34)의 탄성으로부터 발생하는데, 래치 액츄에이터(30)에서 제3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은 상승레버(33)를 탄력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제3스프링(34)에 의한 상승레버(33)의 탄력 회전시 밀어올림단(32)이 제1안내핀(13)을 위로 밀어주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승시키는바, 이러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상승으로 스트라이커(46) 및 후드(44)의 전단부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force that pushes up the hood latch assembly 20 upward, that is, the actuation force of the latch actuator 30, arises from the elasticity of the third spring 34.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34 acts as a force for elastically rotating the lifting lever 33, and the pushing end 32 is the first guide pin 13 when the lifting lever 33 is elastically rotated by the third spring 34. ) And 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pushed upward to raise the hood latch assembly 20,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triker 46 and the hood 44 are raised together.

이에 제3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와 후드(44)의 전단부를 상승시켜주는 힘, 즉 래치 액츄에이터(30)의 작동력이 되며, 이때 전자석 어셈블리(60)는 제3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을 보조하여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및 후드(44)의 전단부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상승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hird spring 34 becomes a force that raises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hood 44, that is, the actuation force of the latch actuator 30, wherein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has a third for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4 is assisted to raise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hood 44 quickly and reliably.

또한 전자석 어셈블리(60)는 보행자 충돌 사고 후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및 후드(44)의 전단부를 원래 상태, 즉 사고 전 상태로 하강 복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원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may serve to restore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hood 44 to the original state, that is, the state before the accident, after the pedestrian collis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Let's do it.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60)는 메인프레임(10) 내측에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데, 좌우 양측의 두 전자석 어셈블리는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전자석(61,62), 즉 상측의 제1전자석(61)과 하측의 제2전자석(62)으로 구성된다.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is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inside the main frame 10, and the two electromagnet assemblie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spectively arranged up and down, namely, the two electromagnets 61 and 62. It consists of the 1st electromagnet 61 of the and the 2nd electromagnet 62 of the lower side.

전자석 어셈블리(60)가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제1전자석(61)은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총 2개가 되고, 제2전자석(62) 역시 각 제1전자석(61)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총 2개가 된다.Since the electromagnet assemblies 60 are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the first electromagnets 61 are arrang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so that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electromagnets 61 is two.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each 1st electromagnet 61, it becomes two in total.

상기 2개의 제1전자석(61)은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양 측면부, 보다 명확히는 몸체판(22)의 양 측면부에 일체로 고정되는바, 제1전자석(61)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는 일체로 승강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two first electromagnets 61 are integrally fix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more specifically,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body plate 22,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hood latch assembly 20. ) Is moved up and down integrally.

또한 상기 2개의 제2전자석(62)은 각각의 제1전자석(61) 하측으로 배치되어 메인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two second electromagnets 62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electromagnets 61 and fixed to the main frame 10.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화(磁化)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으로, 전류의 공급과 상관없이 항상 자화 상태를 유지하는 영구자석과 구분되는데,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동심원 모양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영구자석으로는 얻을 수 없는 매우 강력한 자기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 electromagnet is a magnet that becomes magnetized when current flow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non-magnetized state when disconnected. It is distinguished from a permanent magnet that always maintains its magnetization regardless of the supply of current. By using the principle that a concentric magnetic field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ery strong magnetic field cannot be obtained with a permanent magnet.

가장 간단한 형태의 전자석은 원통 모양의 철심(鐵心)에 코일을 감아서 만든 솔레노이드이며, 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 영구자석과 마찬가지로 N극과 S극의 극성을 갖게 되는데, 상기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은 이러한 일반적인 전자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implest form of electromagnet is a solenoid made by winding a coil around a cylindrical iron core, and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the electromagnet has polarities of the north pole and the south pole, similar to the permanent magnet. Since the second electromagnet 62 is the same as the general electromagne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각 전자석 어셈블리(60)에서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은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때 상, 하부가 N극, S극의 극성을 갖도록 구비된다.In each electromagnet assembly 60,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are vertically arranged to be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have the polarity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따라서, 상기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단부가 같은 극일 경우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다른 극일 경우 서로 당기는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facing each other are the same pole, the repulsive force pushing each other acts to pull each other.

래치 액츄에이터(30)에서 좌우 양측의 두 전자석 어셈블리(60)는 제어기(4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코일에 자화를 위한 전류 인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코일은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및 외부 도선을 통해 제어기(42)에 연결된다.The two electromagnet assemblies 60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tch actuator 30 are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2, and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s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for magnetization. Coils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2 through connectors and external conductors (not shown).

이에 제어기(42)가 제1전자석(61) 및 제2전자석(6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경우 두 전자석 어셈블리(60)의 작동(척력과 인력 발생)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기(42)는 제1전자석(61) 및 제2전자석(62)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troller 42 controls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the operation (repulsion and attraction) of the two electromagnet assemblies 60 can be controlled. 42 includes a current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따라서, 제어기(42)가 보행자 충돌 사고시 충돌감지센서(40)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기(42)의 전류제어부가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에 각각 전류를 인가하여 두 전자석을 자화시키며, 이에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승시키는 전자석 어셈블리(6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troller 42 receives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in the case of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the current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42 applies current to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respectively. By magnetizing the two electromagnets, thereby driving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to raise the hood latch assembly 20.

즉, 보행자 충돌 사고시 제어기(42)의 전류제어부가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마주보는 단부가 같은 극성을 갖도록 각 전자석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고, 이때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제1전자석(61)이 제2전자석(62)을 밀어 올려줄 수 있도록 하는바, 이에 제1전자석(61)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20)가 일체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the current control unit of the controller 42 applies a current to each electromagnet coil so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have the same polarity, and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magnet 61 allows the second electromagnet 62 to be pushed up so that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hood latch assembly 20 are integrally lifted.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석 어셈블리(60)는 제어기(42)에 의해 구동하여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를 상승시키는 보조적인 힘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manner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is driven by the controller 42 to provide an auxiliary force to lift the hood latch assembly 2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석 어셈블리(60)는 사고 발생 후 상승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및 후드(44)의 전단부를 원래 위치로 하강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may be controlled to serve to restore and lower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hood 44 which are raised after an accident occurs.

이를 위해 제어기(42)는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사고 발생시와는 반대 극성으로 변환하는데, 이때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전자석 코일로의 전류 인가를 제어하게 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42 converts the polarity of any one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to a polarity opposite to that in case of an accident, wherein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It is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coil so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have opposite polarities.

이러한 복원 작동시에는 제어기(42)의 전류제어부가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에 전류를 인가하되, 두 전자석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상승 작동시와는 전류 흐름 방향을 반대로 인가하여 반대 극성으로 변환시켜주며, 이 경우 두 전자석(61,62)의 마주보는 단부가 반대 극성을 갖게 되어 전자석 간 당기는 힘, 즉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restoration operation, the current control unit of the controller 42 applies a current to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but applies either of the two electromagne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 direction as in the ascend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opposite ends of the two electromagnets 61 and 62 have opposite polarities, so that a pulling force, that is,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electromagnets is generated.

이때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복원 작동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에 고정된 제1전자석(61)이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 제2전자석쪽으로 당겨져 아래로 내려오게 되며, 이로써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와 후드(44)의 전단부가 원래 위치로 하강 복원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magnet 61 fixed to the hood latch assembly 20 is pulled down toward the second electromagnet fixed to the main frame 10 during the restoration operation by the manpower generated, thereby lowering the hood latch assembly 20. ) And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에서 상기한 복원 작동은 스위치 조작으로 수행되거나 충돌 사고 발생 후 설정시간 경과시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차량에 설치된 복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운전자나 다른 작업자가 조작할 경우 제어기(42)가 복원스위치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자석 어셈블리(60)를 복원 동작시키거나, 충돌 사고 발생 후(래치 액츄에이터의 상승 작동 후)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자동으로 전자석 어셈블리(60)를 복원 동작시키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restoration operation may be set to be performed by a switch operation or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a crash accident, for example, when a driver or another operator operates a restoration switch (not shown) installed in a vehicle. The controller 42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estoration switch and restores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or at the time when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collision accident occurs (after raising the latch actuator),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is automatically operated. Restore operation.

제어기에서 특정 시점에 두 전자석으로 전류를 인가하고 필요한 경우 전자석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변환시켜주는 전류제어부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전자석 극성 변환이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기술 사항이므로 당업자 기술수준으로 충분히 구현 가능한바,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electromagnet polarity conversion is industrially used and technical matters for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urrent controller that applies current to two electromagnets at a specific time in the controller and converts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if necessary, so that it is fully implemented in the technical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here possibl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평상시 후드 Usual hood 래치Latch 어셈블리의 해제 작동 Release behavior of the assembl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는 평상시 후드 록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7, the hood latch assembly 20 normally performs a hood lock and release operation.

후드를 열기 위하여 운전석에 장착된 레버를 조작하면, 후드 릴리스 케이블(48)이 당겨지는 동시에 후드 릴리스 케이블(48)이 잠금레버(26)의 상단을 당기게 됨으로써 잠금레버(26)가 회전되고, 이때 제1스프링(27)을 탄성복원 가능하게 압축시키면서 하단의 힌지체결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When the lever mounted on the driver's seat is operated to open the hood, the hood release cable 48 is pulled at the same time as the hood release cable 48 pulls the upper end of the lock lever 26 so that the lock lever 26 is rotated. The first spring 27 is rotated about the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lower end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ally restorable.

이렇게 잠금레버(26)가 회전됨에 따라 상단부에 형성된 잠금후크(16)가 래치 플레이트(25)의 걸림턱(15)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As the lock lever 26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lock hook 16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is separated from the latching jaw 15 of the latch plate 25.

이와 동시에 제2스프링(2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래치 플레이트(25)가 후드의 스트라이커(46)를 록 시킨 위치에서 록 해제 위치로 회전되고, 래치 플레이트(25)가 회전되면서 제3삽입부(28) 내에 삽입되어 있던 스트라이커(46)를 위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스트라이커(46)가 장착된 후드(44)의 열림이 이루어진다.At the same time, the latch plate 25 is rotated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striker 46 of the hood is locked to the lock release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29, and the latch plate 25 is rotated to form the third inserting portion ( The hood 44 on which the striker 46 is mounted is opened by pushing the striker 46 inserted into the cylinder 28 upward.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 Hood during pedestrian crash 래치Latch 어셈블리 및 후드의 상승 작동 Upward operation of the assembly and hood

충돌감지센서(40)가 보행자 충돌을 감지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42)에서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에 제어기(42)가 힌지 액츄에이터(50)를 구동시키게 된다(도 1 참조). When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40 detects a pedestrian collision,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42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ler 42 drives the hinge actuator 50 (see FIG. 1). ).

또한 이때의 힌지 액츄에이터(50) 구동에 의해 후드 힌지 어셈블리(미도시됨)가 상승하게 되어 후드 힌지 어셈블리에 결합된 후드(44)의 후단부가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ood hinge assembly (not shown) is raised by the hinge actuator 50 at this tim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hood 44 coupled to the hood hinge assembly is raised.

이와 더불어 후드(44)의 후단부뿐만 아니라 후드(44)의 전단부도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제어기(4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37)의 피스톤이 전진 구동하게 되면, 피스톤이 스톱레버(36)의 수직단(39)을 밀어주게 되어, 스톱레버(36)가 회전하게 된다(도 8 및 도 9 참조).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as well as the rear end of the hood 44 is raised together. When the piston of the driving device 37 is driven forwar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2, the piston is a stop lever ( Pushing the vertical end 39 of 36, the stop lever 36 is rotated (see Figs. 8 and 9).

이와 동시에 스톱레버(36)의 걸림홈(35)에 구속되어 있던 상승레버(33)의 구속 해제가 이루어지며, 이에 상승레버(33)가 제3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restraint of the lifting lever 33 that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groove 35 of the stop lever 36 is released, and the lifting lever 33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hird spring 34. It turns.

이때, 상승레버(33)의 잠금홈(31) 내에 삽입되어 있던 몸체판(22)의 제1안내핀(13)이 빠지면서 상승레버(33)의 밀어올림단(32)이 제1안내핀(13)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first guide pin 13 of the body plate 22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1 of the lift lever 33 is pulled out, the pushing up end 32 of the lift lever 33 is the first guide pin ( 13) will be pushed upwards.

따라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몸체판(22) 전면에 형성된 제1안내핀(13)이 메인프레임(10)의 제1슬롯(11)을 따라 상승하고, 동시에 몸체판(22)의 제2안내핀(14)이 메인프레임(10)의 제2슬롯(12)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결국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guide pin 1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late 22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rises along the first slot 11 of the main fram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guide pins 14 are raised along the second slot 12 of the main frame 10, so that the entire hood latch assembly 20 is raised.

이러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의 상승과 함께 스트라이커(46)가 함께 밀려 올라가고,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46)가 설치된 후드(44)의 전단부가 상승하게 되어 보행자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the hood latch assembly 20 rises, the striker 46 is pushed up together, and as a result, the front end of the hood 44 in which the striker 46 is installed is raised to serve to cushion the pedestrian.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승레버(33)가 회전되어 제1안내핀(13)을 밀어올리는 동안, 전자석 어셈블리(60)의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에는 제어기(42)의 제어하에 전류가 인가되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및 후드(44)의 전단부 상승 작동을 보조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lifting lever 33 is rotated to push up the first guide pin 13, the controller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of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Under control, a current is applied to assist in the forward lift operation of hood latch assembly 20 and hood 44.

이때, 제어기(42)의 전류제어부가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류를 인가하는데, 두 전자석(61,62) 간 척력 발생으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에 고정된 제1전자석(61)이 제2전자석(62)으로부터 상승하는바, 제1전자석(61)의 상승력이 후드 래치 어셈블리(20) 및 후드(44)의 상승력을 보조하게 되어 신속한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current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42 applies a current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facing each other have the same polarity, and the hood is generated by the repulsion between the two electromagnets 61 and 62. The first electromagnet 61 fixed to the latch assembly 20 rises from the second electromagnet 62, and the lifting force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ssists the lifting force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hood 44. This results in a rapid ascent operation.

보행자 충돌 사고 후 후드 Hood after pedestrian crash accident 래치Latch 어셈블리 및 후드의 복원 작동 Restoration operation of assembly and hood

사용자가 복원스위치를 조작한 경우 또는 충돌 사고 발생 후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기(42)의 제어하에 전자석 어셈블리(60)의 복원 작동이 수행되는데, 이때 제어기(42)의 전류제어부가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에 전류를 인가하되, 제2전자석(62)(또는 제1전자석)에 대해서는 충돌 사고시 인가되었던 전류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restoration switch or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collision has occurred, the restoration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assembly 60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 wherein the current control unit of the controller 42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operation. An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or the first electromagnet) is applied with a curr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during the collision accident.

이에 따라 제1전자석(61)과 제2전자석(6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반대 극성을 갖게 되면서 인력이 발생하게 되며, 두 전자석(61,62) 간 인력 발생으로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에 고정된 제1전자석(61)이 제2전자석(62)쪽으로 당겨져 하강하게 된다.Accordingly, end portions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have opposite polarities to each other, thereby generating attraction, and causing the hood latch assembly 20 to generate attraction between the two electromagnets 61 and 62. The first electromagnet 61 fixed thereto is pulled toward the second electromagnet 62 and lowered.

결국, 제1전자석(61)의 하강으로 사고시 상승하였던 후드 래치 어셈블리(20)와 후드(44)의 전단부가 함께 하강하게 되면서 원래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As a result, the front end of the hood latch assembly 20 and the hood 44, which were raised during the accident by the lowering of the first electromagnet 61, are lowered together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provided.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프레임 11 : 제1슬롯
12 : 제2슬롯 13 : 제1안내핀
14 : 제2안내핀 15 : 걸림턱
16 : 잠금후크 20 : 후드 래치 어셈블리
21 : 제1삽입부 22 : 몸체판
23 : 제2삽입부 24 : 보조판
25 : 래치 플레이트 26 : 잠금레버
27 : 제1스프링 28 : 제3삽입부
29 : 제2스프링 30 : 래치 액츄에이터
31 : 잠금홈 32 : 밀어올림단
33 : 후드 승강용 레버 34 : 제3스프링
35 : 걸림홈 36 : 스톱레버
37 : 액츄에이터 38 : 제4스프링
39 : 수직단 40 : 충돌감지센서
42 : 제어기 44 : 후드
46 : 스트라이커 48 : 후드 릴리스 케이블
50 : 힌지 액츄에이터 60 : 전자석 어셈블리
61 : 제1전자석 62 : 제2전자석
10: mainframe 11: the first slot
12: second slot 13: the first guide pin
14: second guide pin 15: locking jaw
16 locking hook 20 hood latch assembly
21: first insertion part 22: body plate
23: second insertion portion 24: auxiliary plate
25 latch plate 26 locking lever
27: first spring 28: third insertion portion
29: second spring 30: latch actuator
31: locking groove 32: pushing up
33: hood lifting lever 34: third spring
35: locking groove 36: stop lever
37: actuator 38: fourth spring
39: vertical stage 40: collision detection sensor
42: controller 44: hood
46: Striker 48: Hood Release Cable
50: hinge actuator 60: electromagnet assembly
61: first electromagnet 62: second electromagnet

Claims (6)

보행자 충돌 사고시 후드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드의 전단부를 록 및 해제하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충돌감지센서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장착되는 래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후드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석 간 발생하는 척력으로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래치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을 보조하는 전자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In order to raise the front end of the hood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A main fram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main frame and hood latch assembly is mounted to the main frame so as to raise the hood latch assembly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front end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hat has received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In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latch actuator mounted between,
The latch actuator,
And an electromagnet assembly installed between the mainframe and the hood latch assembly to assist the actuation force of the latch actuator for raising the hood latch assembly with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magne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는,
상기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고정되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와 일체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자석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전자석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제2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은 제어기의 제어하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 하부가 N극, S극의 극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magnet assembly,
A first electromagnet fixed to the hood latch assembly, the first electromagnet being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the hood latch assembly;
And a second electromagnet fixed to the mainframe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electromagnet.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are the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provided with a polarity of the N pole, S pole by the current a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보행자 충돌 사고시 충돌감지센서의 충돌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의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류 인가를 제어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llision sensor in the case of a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the controller generates a repulsive force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urrent so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disposed up and down have the same polarity. Active hood device for car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 및 후드 전단부의 하강 복원시에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의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전류 인가를 제어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ler generates an attractive force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urrent so that opposite ends of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disposed up and down when the hood latch assembly and the front end of the hood are restored have opposite polarities. Active hood device f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제1전자석과 제2전자석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보행자 충돌 사고시와 반대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to be opposite to that of the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어셈블리는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omagnet assembly is an active hoo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latch assembly.
KR1020110091527A 2011-09-09 2011-09-09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KR101282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27A KR101282693B1 (en) 2011-09-09 2011-09-09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27A KR101282693B1 (en) 2011-09-09 2011-09-09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88A true KR20130028188A (en) 2013-03-19
KR101282693B1 KR101282693B1 (en) 2013-07-05

Family

ID=4817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27A KR101282693B1 (en) 2011-09-09 2011-09-09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6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5490B2 (en) 2013-08-20 2018-07-31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25B1 (en) * 2013-08-26 2014-12-10 평화정공(주)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5579B4 (en) * 2004-03-31 2006-09-14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Device for erecting the front hood of a motor vehicle, at least in the front hood lock area in the event of an impending collision with a device for reversing the raised front hood
KR20070051492A (en) * 2005-11-15 2007-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ood lif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5490B2 (en) 2013-08-20 2018-07-31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693B1 (en)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518B1 (en) Actuator of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KR101272517B1 (en) 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KR101293974B1 (en)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KR101272519B1 (en)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CN201998904U (en) Object storage component of vehicle
JP2005530356A (en) Actuator
KR20200125898A (en) Child safety seat
KR101282693B1 (en)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CN111075334A (en) Bolt device, turnover door assembly and fire engine thereof
KR101282792B1 (en) Hood latch assembly
KR101219349B1 (en)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CN105863388A (en) Electronic lock for roller shutter door
US7095303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N210467720U (en) Novel electromagnetic switch for automobile
JP2010221843A (en) Box elevating device
KR20080004979A (en) Apparatus for opening the door of automobile and the method of the same
JP5816724B2 (en) Vehicle hood moving device
CN220364213U (en) Rebound prevention device for protective door of construction elevator
CN219034185U (en) ATM protection cabin
CN204738620U (en) Rolling slats door electronic lock
KR101230908B1 (en) Damping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CN112177455B (en) Electronic handle for a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JP2005271861A (en) Seat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0969450B1 (en)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JP5616370B2 (en) Vehicle hood mo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