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137A -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137A
KR20130028137A KR1020137001834A KR20137001834A KR20130028137A KR 20130028137 A KR20130028137 A KR 20130028137A KR 1020137001834 A KR1020137001834 A KR 1020137001834A KR 20137001834 A KR20137001834 A KR 20137001834A KR 20130028137 A KR20130028137 A KR 20130028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component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087B1 (ko
Inventor
김지해
김종욱
은유숙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은,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고,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하며,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하여, 프리뷰 영상 중 동작 상태와 관련된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가령,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카메라폰, 스마트폰 등)나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촬영장치는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영상 촬영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리뷰 영상을 제공하는데, 프리뷰 기능이란 사용자가 셔터를 눌러 소정의 화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렌즈에 비춰진 상을 실시간으로 일련의 연속된 이미지처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다.
상기한 프리뷰 영상에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객체 또는 일정 거리내에 있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증강 현실 기술이라고 한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환경에 실제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삽입되어 실세계 영상과 정보가 혼합된 현실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증강 현실로 인해 사용자는 실세계와 관련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증강 현실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은,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동작 상태와 관련된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매칭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하여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동작 상태와 관련된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부품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겹합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참조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그리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장치는, 공기 조화기, 세탁기, TV, 오븐 등의 생활 가전 등 동작시 각 부품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각 부품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독립적으로 제공가능한 장치이다.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 공기 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다.
본체(1)는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 공조부(10)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공조부(10)에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조부(1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조를 위한 열교환기 등이 설치되는 일종의 케이싱으로서, 베이스(30)와, 캐비닛(40)과, 상부 패널(50)과, 하부 패널(70)(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0)는 전면 패널(20)을 공조부(10)의 전면부에 나란하게 배치시켜 닫았을 때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S)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되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전면상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부 패널(50)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5)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구 베인(5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5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우측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구 베인(5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52)을 회전시키는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 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측 공기 토출구(7)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측 토출구 베인(53)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53)을 회전시키는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 모터가 설치된다.
하부 패널(70)(80)은 상부 패널(50)의 좌측부과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70)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부와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70)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 모터가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72)가 장착된다.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4)를 개폐하는 우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82)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 부호 27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로서, 전면패널(20)의 여러 위치 중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2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면 패널(20)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설치된 일종의 도어로서, 베이스(30)의 전방 상부에서부터 상부 패널(50)의 전면부 상단까지를 개폐하는 높이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21)와, 글래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패널(22)과,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을 조립하는 커버(23)를 포함한다.
커버(23)는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 둘러싸고 글래스 패널(22)에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커버(23)는 단면이 대략 '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좌,우,상,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씌워지는 좌,우,상,하측의 네 개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글래스(21)와 글래스 패널(22)의 모서리부를따라 전체적으로 대략 'ㅁ'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전면 패널(20)은 글래스(21)의 배면에 소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불투명부(24)가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는것도 가능하고 불투명 시트가 글래스(21)의 배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불투명부(24)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도록 그 상부와 하부 각각이 공조부(10)의 전방부측에 힌지 연결된다.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의 대략 중앙부가 공조부(10) 특히, 상부 패널(50)에연결 기구로 연결되되, 연결기구는 전면 패널(50)이 급격하게 여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 기구는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25)로 이루어지고,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 중 일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54)가 형성되며, 전면 패널(20)과 상부 패널(50)중 타측에는 슬라이드 부재(25)가 안내되는 슬라이드 안내부(26)가 형성된다.
전면 패널(20)은 그 회전시 슬라이드부재(25)가 힌지 연결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부(26)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드부재(25)에는 슬라이드시 마찰력이 작용되며, 전면 패널(20)은 슬라이드 부재(25)의 마찰력에 의해 그 급격한 여닫힘이 제한된다. 즉, 전면 패널(20)은 좌,우 중 일측의 상부,중앙부,하부가 공조부(1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된다.
전면 패널(20)에는 제1 표시부(27)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제1 표시부(27)에 직접 연결되어 제1 표시부(27)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1 표시부 무빙 기구(28)가 구비된다.
제1 표시부 무빙 기구(28)는 수동 방식의 무빙 기구가 제1 표시부(27)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하고, 모터와 기어 등이 포함된 자동 방식의 무빙 기구가 제1 표시부(27)를 자동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면 패널(20)에는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제어기(R)가 수납되는 원격 제어기 박스(29)가 설치된다. 원격 제어기 박스(29)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배면측에 구비된다. 원격 제어기 박스(29)는 제1 표시부(27)와 제1 표시부 무빙 기구(28)와 전면 패널(20)과 함께 전면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한편, 베이스(30)에는 전면 패널(20)의 좌,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이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하부 힌지 브래킷(34)의 일부 특히, 베이스(30)에 체결되는 부분을 덮는 하부 브래킷 커버(35)가 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후술하는 청소 기구(90)의 더스트 박스(95)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착탈되는 박스 착탈부(36)가 형성된다.
캐비닛(40)은 베이스(30)의 후방부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좌,우 측면부(41)(42)가 배면부(43)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캐비닛(40)의 상측에는 상면 패널(44)이 배치된다.
상부 패널(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및 배면이 개방되고, 좌, 우 측면부(55)(56)가 전면부(57)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부(58)가 전면부(57)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의 좌, 우 중 일측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힌지 브래킷(59)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부 힌지 브래킷(58)의 일부를 덮는 상부 브래킷 커버(60)가 구비된다.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좌측 필터(72)와 우측 필터(82)가 각각 고정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73)이 설치된다. 한편, 공조부(10)에는 좌,우 필터(72)(82)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청소 유닛(90)이 설치된다.
청소 유닛(90)은 좌,우 필터(72)(82)를 따라 이동되도록 좌측 하부 패널(70)과 우측하부 패널(80)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좌,우 필터(72)(82)의 먼지를 수집하는 필터 키트(91)와, 상기 필터 키트(91)와 더스트 호스(9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92)의 먼지 등 필터 이물질이 흡입되게 하는 키트 송풍기(93)와, 상기 흡입된 필터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94)과, 상기 사이클론(94)에서 분리된 필터 이물질을 집진하는 더스트 박스(95)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제어하는 키트 컨트롤 박스(96), 더스트 박스(95)의 더스트 저장률을 감지하는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조부(10)에는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100)와, 공조부(10)의 외부 공기를 공조부(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00)를 통하도록 한 후 다시 공조부(10)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1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00)는 캐비닛(40)의 상부와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캐비닛(50)과 송풍기(110)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열교환기(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캐비닛(40)에 장착된다. 송풍기(110)는 캐비닛(40)의 하부에 장착된 송풍모터(111)와, 송풍모터(111)의 연결된 송풍팬(112)과, 전면부에개구부(113)가 형성되고 상면부에 토출부(114)가 형성되며 캐비닛(40)에 장착된 팬 하우징(115)과, 팬 하우징(115)의 전면에 배치된 오리피스(116)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115)의 상부에는 열교환기(10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열교환기(100)가 올려져 지지되는 드레인 팬(117)이 형성된다. 오리피스(116)는 중앙에 팬 하우징(115)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하는 공기 흡입부(116A)가 형성된다.
한편, 공조부(10)에는 베이스(30)와 상부 패널(50)과 좌,우 하부 패널(70)(80) 사이에 개구부(160)가 형성되는 바, 개구부(160)를 통해 후술하는 정화 유닛(191)(192)(193)를 출입시켜 정화 유닛(191)(192)(193)의 청소나 교체를 할 수 있고, 아울러 공조부(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키트 송풍기(93)나 키트 컨트롤 박스(96) 등의 각종 구성품의 서비스를 한다. 공조부(10)에는 개구부(160)를 막아 전면 패널(20)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 미관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성을 높이도록 개구부(160)를 막는 내측 커버(162)가 구비된다.
내측 커버(162)는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부 패널(50)의 하부 등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커버(162)에는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원격 제어기 박스(29)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원격 제어기 박스(29)를 회피하는 박스 회피홈부(164)가 후방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한편, 공조부(1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제1 제어부(170)는 키트 컨트롤 박스(96)나 송풍모터(111)나 제1 표시부(27) 등과 전선 등의 케이블로 연결되고, 전면패널(20)을 전방으로 열고 내측 커버(160)를 공조부(10)에서 분리하였을 때 개구부(1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예를 들면 송풍기(1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 특히, 공조부(10)의 내부에는 송풍팬(112)의 회전시 오리피스(116)로 흡인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기구(180)가 설치된다.
정화 기구(180)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과,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191)(192)(193)이 착탈되는 정화 유닛 홀더(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화 유닛(191)(192)(193)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정화물이 공기를 단계적으로 정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나, 공기중의 큰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 필터와, 미세 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헤파 필터와, 탈취나 항균 성능이 우수한 나노 필터와,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필터와, 부직포와 조밀도가 다른 복수개의 폴리 우레탄 등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필터와,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플라즈마 집진필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 정화 유닛(191)(192)(193)은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 필터(191)와, 미세먼지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192)와, 공기 중의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필터(193)가전후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정화 유닛(191)(192)(193) 중에서 전기 집진필터(193)는 도 하면부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전압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인가 단자(193')가 구비된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전면과 좌,우 측면과 상면과 하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배면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할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동작시 송풍기(110)의 전면이나 드레인 팬(117)과 접촉될 수 있어 정화 유닛(191)(192)(193)가 손상되기 쉬울 뿐 아니라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할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동작을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에, 정화 유닛(191)(192)(193)의 삽입/인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경우, 정화 유닛(191)(192)(193)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그 삽입/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바, 정화 유닛(191)(192)(193)를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화 유닛 홀더(194)는 고정체(200)와, 상기 고정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 유닛(191)(192)(193)이 착탈되는 회동체(300)로 이루어지고, 회동체(300)의 하부가 고정체(20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된다.
고정체(200)는 본체(1) 특히, 공조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공조부(10)의 개구부(160)와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즉, 고정체(200)는 송풍기(110)의 공기 흡입부(116A) 전방에 위치되도록 송풍기(110)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회동체(300)에는 전기 집진필터(193)의 집진필터 단자(193')와 접촉되어 고전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단자(343)가 설치된다.
전원 공급 단자(343)는 회동체(300)의 하부에 후크 등에 의해 착탈되는 단자 홀더(344)에 올려져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은 그 기능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거나 다른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품(예를 들어, 공조부(10), 전면 패널(20) 베이스(30)와, 캐비닛(40)과, 상부 패널(50)과, 하부 패널(70)(80) 등)과 공기 조화기의 동작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부품(토출구 베인(51)(52)(53), 공기 토출구 베인 모터, 청소 유닛(90), 제1 제어부(170), 정화 기구(18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부품도 다른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품(예를 들어, 제1 제어부(170), 청소 유닛(90) 중 키트 컨트롤 박스(96) 등), 제어 부품의 동작하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서 고유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부품(예를 들어, 청소 유닛(90) 중 더스트 박스(95), 정화 기구(180) 중 정화 유닛(191)(192)(193) 등) 및 동작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부품(예를 들어, 센싱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기능을 도 4의 구성 블록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기 외관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제1 표시부(27)에 통합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 본체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고, 제1 통신부(171)를 통해 원격제어기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등,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부(171)는 적외선 통신을 기반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외에도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모뎀이 적용될 수 있다.
동작 모듈(410)은 공기 조화기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는 기능 블록으로서, 청소 유닛(90) 및 정화 기구(180)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제1 센싱부(420)는 동작 모듈의 동작 상태에 정보를 감지한다. 제1 센싱부(420)에서 감지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1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제1 통신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er) 등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가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2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3), 무선 인터넷 모듈(515), 근거리 통신 모듈(517), 및 GPS 모듈(5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5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3)은,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휴대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5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2 표시부(5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5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5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5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5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5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제2 표시부(5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540)는 휴대 단말기(5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5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5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5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압력센서(543), 및 모션 센서(5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541)는 휴대 단말기(5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5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5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5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543)는 휴대 단말기(5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5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5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543)가 제2 표시부(5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5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2 표시부(5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5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제2 표시부(5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5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5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550)에는 제2 표시부(551), 음향출력 모듈(553), 알람부(555), 및 햅틱 모듈(5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표시부(551)는 휴대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5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5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2 표시부(5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제2 표시부(5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5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 제어부(580)로 전송하여, 제2 제어부(5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제2 표시부(5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5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표시부(5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제2 표시부(5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00)에 외부 제2 표시부(미도시)와 내부 제2 표시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5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553)은 휴대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5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5)는 휴대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5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5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5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5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5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5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제2 표시부(551)나 음향출력 모듈(5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5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5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7)은 휴대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560)는 제2 제어부(5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5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휴대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휴대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2 제어부(5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2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2 제어부(5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제어부(5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590)는 제2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5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설정하면, 휴대 단말기의 제2 표시부에는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다(S6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메뉴얼 등을 통해 동작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선택하면, 제2 표시부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미리 보여주는 프리뷰 영상(이하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또는 '프리뷰 영상'이라 한다)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증강 현실 모드는 실세계 영상에 실세계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연계시켜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의미한다.
제2 제어부(580)는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외부 장치 특히, 외부 장치의 제품명 및 외관을 식별한다(S620). 외부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제2 제어부(580)는 형상 인식,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카메라의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형상 인식을 수행하고, 형상 인식 결과를 메모리의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전자기기들의 외형 정보와 비교한다. 메모리에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2 제어부(58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외부 서버의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비교 결과로서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한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자기기의 제품명, 외관 정보, 내부에 마련된 부품 정보, 부품의 위치 정보 및 부품의 이미지 정보 등이 전자기기별로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한 부품의 이미지 정보는 가상 이미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품 정보는 공기 조화기의 부품 정보 중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갖는 부품 정보에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 장치들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장치에는 예컨대 바코드와 같은 식별자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부(580)는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 중 외부 장치에 부착된 식별자를 형상 인식함으로써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제어부(5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이하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라고 한다.)와 외부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정도가 상호 비교에 참작될 수 있다.
위치 정보로서 GPS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내의 경우 GPS 정보를 획득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으므로, 제2 제어부(580)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WPS(Wifi Position Service) 방법,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RFID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제어부(5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 카메라의 방향 정보 및 형상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의 제품명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의 외관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외부 장치의 외관과 대응하는 부품 정보를 획득한다(S630).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외부 장치의 외관 정보와 그 내부에 마련된 부품 정보가 매칭되어 있으므로, 제2 제어부(580)는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외관 정보로부터 부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의 부품은 그 기능에 따라 외부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거나 다른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품과 외부 장치의 동작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부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부품도 다른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품, 제어 부품의 동작하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서 고유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부품 및 동작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부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외관 정보와 동작 부품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으며, 제2 제어부(580)는 외관에 대응하는 동작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제어부(580)는 식별된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외부 장치에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S640). 외부 장치는 각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으면, 요청된 동작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제어부(1700)는 해당 센싱부에서 감지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1 통신부(171)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로 구성된 특정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580)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식별된 부품의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한다(S650).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는 부품의 이미지와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결합시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설명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포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에 포함되도록 부품의 처리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라 함은 동작 상태가 동작하기에 양호한 상태를 의미하고, 기준 범위를 벗어났다 함은 부품의 비정상이거나 정상이라고 하더라도 부품에 소정 처리가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나서, 제2 제어부(580)는 인디케이터를 프리뷰 영상 중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시켜 표시한다(S660).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580)는 인디케이터의 이미지는 프리뷰 영상 중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 또는 텍스트는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 또는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참조도면이다.
증강 현실 모드가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580)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장치의 목록(710)을 제2 표시부(55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를 선택한다. 도 7에서 사용자는 외부 장치로서 공기 조화기 즉, 에어컨을 선택하였다.
그러면, 제2 제어부(580)는 카메라를 온시키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720)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한다.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720)에 선택된 외부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720)에 공기 조화기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580)는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기 조화기의 외관 정보와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형상을 비교하면서 프리뷰 영상(720)에 공기 조화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720)에 공기 조화기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720)에 포함된 공기 조화기의 외관과 대응하는 부품 정보가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720)에 포함된 공기 조화기의 외관이 공기 조화기의 전면 패널인지, 측면 패널인지, 후면 패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패널 중 어느 부분 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공기 조화기의 외관과 대응하는 부품 정보가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부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한 부품은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이기 때문에, 제2 제어부(580)는 프리뷰 영상(720) 중 상기한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이 있음을 알리는 아이콘(730)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도 9에서는 복수 개의 아이콘(730)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복수 개의 아이콘(730) 중 제1 아이콘(732)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였다.
사용자는 제1 아이콘(732)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제2 제어부(580)는 제1 아이콘(732)에 대응하는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기에 요청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로부터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제어부(580)는 공기 조화기로부터 수신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수신된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750)를 생성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도 10에서 사용자는 풍향을 조절하는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제2 제어부(580)는 풍향을 조절하는 부품인 토출부 베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토출구 베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이미지를 기초로 토출구 베인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750)를 생성하여 토출구 베인이 위치하는 영역에 표시한다. 인디케이터(750)로서, 도 10에서는 토출구 베인의 동작 상태로 발생된 풍향을 나타내는 이미지, 풍속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 및 실외 온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리뷰 영상 중 제2 아이콘(726)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제어부(580)는 제2 아이콘(726)이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 필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필터의 오염도)를 공기 조화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810)를 생성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필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810)는 필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필터의 이미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필터의 오염도를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정화를 수행하는 필터가 복수 개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810)에 포함된 필터의 이미지도 복수 개 있다. 한편, 사용자는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는 필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다 자세히 확인하고자 한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 후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명령(820)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제어부(580)는 필터의 우측면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830)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연속하여 필터 중 후면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한 후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리뷰 영상 중 제3 아이콘(728)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제어부(580)는 제3 아이콘(728)이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 더스트 박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더시트 박스의 더스트 저장률)를 공기 조화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910)를 생성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더스트 박스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910)는 더스트 박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더스트 박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이미지 및 텍스트의 결합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사용자가 카메라(521)의 렌즈를 공기 조화기의 측면을 비춘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551)에는 공기 조화기의 측면 패널을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1010)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2 제어부(580)는 측면 패널에 대응하는 부품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측면 패널에 대응하는 부품 정보가 있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580)는 동작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이 있음을 알리는 제4 아이콘(1020)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4 아이콘(1020)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면, 제2 제어부(580)는 제4 아이콘(1020)에 대응하는 부품(예를 들어, 가스 배관)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부품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040)를 생성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 및 그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한다. 인디케이터(1040)로서, 도 19에서는 가스 배관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가스 배관의 가스 충전 상태는 상기한 이미지에 색상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기준 범위를 벗어났음을 안내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상기한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가 되도록 부품의 처리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더스트 박스의 인디케이터(1110)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에 기준 범위를 벗어났음을 안내하는 텍스트도 포함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110)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기준 범위가 되도록 부품의 처리 방법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전면 패널을 여는 제1 안내 인디케이터(1120)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안내 인디케이터(1120)가 표시되 영역을 터치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를 본체로 분리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제2 안내 인디케이터(1130)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부품의 처리 방법이 복수 개의 안내 인디케이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2 제어부(580)는 안내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면, 그 다음 안내 인디케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품의 처리 방법을 상세히 제공한다.
안내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내 인디케이터에 따라 동작하여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이 변경되면, 제2 제어부(580)는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기초로 그 다음 안내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는 외부 장치와 관련된 다른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에 마련된 전화기, 휴대 단말기)의 연락처를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통신 이벤트를 생성하여 상기한 연락처를 갖는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이벤트라 함은 상기한 연락처를 갖는 외부 장치와 통화 연결을 위한 호신호이거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났음을 포함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통신 이벤트의 전송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현재 사용 이력 정보(1210)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한다. 그러면 제2 제어부(580)는 소정 기간내의 사용 이력 정보(1220)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사용 이력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해 멀티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580)는 드래그한 방향에 대응하여 소정 기간을 조절하고, 조절된 소정 기간내의 사용 이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터 터치한 후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580)는 소정 기간의 범위를 줄여서 사용 이력 정보를 표시한다. 반면, 멀티 터치한 후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580)는 소정 기간의 범위를 넓혀서 사용 이력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동작 상태와 관련된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매칭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외부 장치의 외관에 기표시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외부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프리뷰 영상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은,
    상기 외부 장치의 제품명을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부품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상태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부품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결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부품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 또는 상기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다른 외부 장치로 통신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전화번호로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시 출력되는 풍향 상태, 필터의 오염도, 더스트 박스의 더스트 저장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14.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리뷰 영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생성하여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동작 상태와 관련된 부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휴대 단말기.
KR1020137001834A 2010-06-28 2010-07-23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43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19110P 2010-06-28 2010-06-28
US61/359,191 2010-06-28
PCT/KR2010/004864 WO2012002603A1 (ko) 2010-06-28 2010-07-23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37A true KR20130028137A (ko) 2013-03-18
KR101435087B1 KR101435087B1 (ko) 2014-08-27

Family

ID=454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834A KR101435087B1 (ko) 2010-06-28 2010-07-23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47142B2 (ko)
EP (1) EP2587792B1 (ko)
KR (1) KR101435087B1 (ko)
WO (1) WO201200260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93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24264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24654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24265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39497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40977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44553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식기 세척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6334B2 (ja) * 2010-10-13 2013-01-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3031215A4 (en) 2013-08-07 2017-03-29 Communication Structures and Solutions Inc. Shroud assembly for communication site
KR102105463B1 (ko) * 2013-09-02 2020-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5160345A1 (en) 2014-04-16 2015-10-2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omputer-based safety control
KR102163738B1 (ko) * 2014-07-24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입자 측정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측정 방법
KR102265086B1 (ko) 2014-11-07 2021-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가상 환경
JP6271083B2 (ja) * 2015-04-07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メンテナンスサポートシステム
US20170188741A1 (en) * 2015-12-31 2017-07-06 C. Douglass Thomas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Cooking Information
DE112016006863T5 (de) * 2016-05-16 2019-02-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waltungsvorrichtung und Klimaanlage
US11156375B2 (en) 2016-07-22 2021-10-26 Ademco Inc. Migration of settings from a non-connected building controller to another building controller
WO2018093816A1 (en) 2016-11-15 2018-05-2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EP3605300A4 (en) * 2017-03-22 2020-02-26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JP7175589B2 (ja) * 2017-05-15 2022-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知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
DE202019100290U1 (de) 2018-01-19 2019-06-24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DE202019100292U1 (de) 2018-01-19 2019-05-09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CN108548300B (zh) * 2018-03-02 2020-01-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送风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8901080A (zh) * 2018-07-02 2018-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连接建立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47841T1 (de) * 1999-03-25 2003-09-15 Siemens Ag System und verfahren zur dokumentationsverarbeitung mit mehrschichtiger strukturierung von informationen, insbesondere für technische und industrielle anwendungen
US6697761B2 (en) * 2000-09-19 2004-02-24 Olympus Optical Co., Ltd. Three-dimensional position/orientation sensing apparatus, information presenting system, and model error detecting system
JP4149178B2 (ja) * 2001-03-09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6978627B2 (en) * 2002-01-31 2005-12-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central remote controller, and facility controller
KR100593399B1 (ko) 2003-12-08 2006-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품 정비시스템 및 방법
JP2005269605A (ja) * 2004-02-20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図鑑システム、図鑑検索方法、図鑑検索プログラム
KR20060021001A (ko) * 2004-09-02 2006-03-07 (주)제니텀 엔터테인먼트 컴퓨팅 개체인지를 이용한 Marker-less 증강현실과 복합현실 응용시스템 및 그 방법
US9451219B2 (en) * 2004-12-31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Provision of target specific information
JP2007053424A (ja) 2005-08-15 2007-03-01 Nec Saitama Ltd 近距離無線通信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携帯型情報処理端末並びに近距離無線通信方法
US7558950B2 (en) * 2005-10-27 2009-07-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be operable with an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automatic identification thereof and related devices
US8280405B2 (en) 2005-12-29 2012-10-02 Aechelon Technology, Inc. Location based wireless collaborative environment with a visual user interface
US20070226321A1 (en) * 2006-03-23 2007-09-27 R R Donnelley & Sons Company Image based document access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100159434A1 (en) 2007-10-11 2010-06-24 Samsun Lampotang Mixed Simulator and Uses Thereof
DE112008003763T5 (de) * 2008-03-07 2010-12-23 Code-X Ag Kommunikationssystem zur Verwendung mit einem Fahrzeug
US20090237546A1 (en) * 2008-03-24 2009-09-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Device with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Capability
KR100983912B1 (ko) * 2008-04-04 2010-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검색방법
KR101626477B1 (ko) * 2009-05-28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14685B2 (en) * 2009-06-12 2015-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operating mode
KR101622087B1 (ko) * 2009-09-29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400548B2 (en) * 2010-01-05 2013-03-19 Apple Inc. Synchronized,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displays for multifunction devices
KR101239284B1 (ko) * 2011-05-31 2013-03-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컨텐츠를 통해 타겟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단말기 및 서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93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24264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24265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4654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39497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40977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44553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식기 세척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2672A1 (en) 2013-08-29
KR101435087B1 (ko) 2014-08-27
EP2587792A1 (en) 2013-05-01
WO2012002603A1 (ko) 2012-01-05
US9247142B2 (en) 2016-01-26
EP2587792B1 (en) 2017-08-30
EP2587792A4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087B1 (ko)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38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785051B2 (en)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5704204B (zh) 电子设备和控制群组操作的方法
KR102269035B1 (ko) 서버 및 서버의 그룹 액션 제어방법
KR1016220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647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1309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owing work state of a device
CN106371589A (zh) 一种移动设备操作方法、装置及移动设备
CN111134571B (zh) 一种吸尘器及其系统
CN110381203A (zh) 一种终端的操作控制方法及终端
CN110531908A (zh) 一种快捷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12041803A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CN108804894A (zh) 屏幕解锁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867853B1 (ko) 휴대 단말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09388471A (zh) 一种导航方法及装置
KR10191642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CN110213439A (zh) 一种消息处理方法和终端
KR101859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95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069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7861683A (zh) 无人机无按钮操作方法及装置
KR1016438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68373B1 (ko) 휴대 단말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