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995A -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995A
KR20130026995A KR1020120098266A KR20120098266A KR20130026995A KR 20130026995 A KR20130026995 A KR 20130026995A KR 1020120098266 A KR1020120098266 A KR 1020120098266A KR 20120098266 A KR20120098266 A KR 20120098266A KR 20130026995 A KR20130026995 A KR 2013002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ing
touch panel
electrically connecte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781B1 (ko
Inventor
천-쉐 추
주이-정 치우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2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 터치 패널로부터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모듈, 및 감지 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서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는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제어 시스템은 능동 및 수동 터치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및 전술한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A CONTROLLING SYSTEM AND A CONTROLLING METHOD OF A TOUCH PANEL, AND A STYLUS PEN FOR APPLYING TO THE TOUCH PANEL}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고, 특히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자동 판매기 등과 같은 많은 전자 장치들은 각종 유형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서로 다른 감지 방법으로 사용자 행동을 획득한다. 예를 들면, 종래의 키보드는 기계적 동작에 의존하여 스위칭을 실현하고, 사용자는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많은 유형의 장치들은 사용될 때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모니터를 또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데이터, 명령 또는 어떤 다른 정보를 입력하자마자 업그레이드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키보드를 통하여 보내진 정보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입력 장치는 통합 모니터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장비라고 알려져 있다. 현재, 터치 스크린의 터치 모드는 수동 터치 모드에 속한다. 투영 정전식 터치 스크린(projected capacitive touch screen) 기술이 관계되는 한, 터치 스크린의 제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거나 수동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전성 물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직접 접촉할 때 터치 스크린의 전극 배열 내의 전하들이 변화한다. 터치 스크린의 제어 시스템은 전극 배열의 감지 신호들의 차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포인트의 실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터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정밀하게 동작될 수 없다. 비록 수동 스타일러스 펜이 손가락 터치 동작의 비효율성을 보상할 수 있지만, 펜에 대한 제어 시스템은 수동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면적이 가끔은 손가락의 접촉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터치 감지의 감도면에서 더 나쁠 수 있다.
따라서, 고감도 및 정밀 입력과 같은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수동 터치 방법(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서 나타나는 결함들을 개선하는 적당한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술한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은 사인파 신호를 능동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및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능동 터치 모드 및 수동 터치 모드를 지원하도록 운영체제를 구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고감도 및 정밀 입력을 달성한다.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 터치 패널로부터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모듈, 및 감지 모듈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선택적으로 작동(enable) 및 작동중지(disable)시키는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의 신호 처리 모듈은 감지 모듈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 및 작동중지할 수 있고, 그 다음에 대응하는 터치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어 시스템은 능동 및 수동 터치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감지 모듈은 터치 패널의 복수의 제1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감지 유닛과, 터치 패널의 제1 축방향 도전선 및 복수의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감지 유닛을 또한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은 상호간에 절연되고 교차된다.
또한 신호 처리 모듈은 제1 감지 유닛과 제2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유닛과, 스위칭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한다. 스위칭 유닛은 제1 감지 유닛 및 제2 감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스위칭 유닛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 모듈은 또한 제1 감지 유닛 및 제2 감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정 모듈과,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결정 모듈의 결정 결과에 따라서 구동 신호 발생 회로 동작의 작동 및 작동중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제1 감지 유닛 또는 제2 감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제1 감지 유닛은 터치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멀티플렉서, 제1 멀티플렉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분기, 및 적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샘플 및 홀드 회로를 포함한다. 제1 멀티플렉서는 제1 축방향 도전선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분기는 파형 신호를 제1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레벨을 샘플링 및 홀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제2 감지 유닛은 터치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 제2 멀티플렉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증폭기, 및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파수 혼합기를 포함한다. 제2 멀티플렉서는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 중에서 임의의 도전선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는 파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 혼합기는 증폭된 파형 신호를 제2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결정 모듈은 제1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레벨 검출기와, 제2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파수 검출기를 포함한다. 레벨 검출기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주파수 검출기는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레벨 검출기가 제1 시간 기간 내에서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이 규정된 레벨 이상으로 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 유닛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시키고 스위칭 유닛을 제어하여 제1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한다. 또한, 주파수 검출기가 제2 시간 기간 내에서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가 주파수 카운트 이상으로 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 유닛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중지시키고 스위칭 유닛을 제어하여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한다.
제2 감지 유닛은 터치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 제2 멀티플렉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증폭기, 및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피크 검출기를 포함한다. 제2 멀티플렉서는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 중에서 임의의 도전선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는 파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 혼합기는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증폭된 파형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결정 모듈은 제1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레벨 검출기와, 제2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레벨 검출기를 포함한다. 제1 레벨 검출기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레벨 검출기는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제1 레벨 검출기가 제1 시간 기간 내에서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이 제1 레벨 이상으로 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 유닛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시키고, 제1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스위칭 유닛을 제어한다. 제2 레벨 검출기가 제2 시간 기간 내에서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이 제2 레벨 이상으로 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 유닛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중지시키고,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스위칭 유닛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제2 레벨은 제1 레벨보다 더 높다.
제어 유닛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미리 설정하고 스위칭 유닛을 제어하여 제1 감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한다.
결정 모듈은 시분할 다중화 동작을 채용함으로써 설계된다.
제어 유닛은 또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외부 신호의 우선순위 가중치는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결정 결과보다 더 높다.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방법은 감지 경로를 통하여 터치 패널로부터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터치 패널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을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작동 및 작동중지시킬 수 있고, 그 다음에 대응하는 터치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어 방법은 능동 터치 모드 및 수동 터치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터치 패널상에 있는 복수의 제1 축방향 도전선의 파형 신호를 제1 감지 경로를 통하여 차례로 감지하는 단계와; 터치 패널상에 있는 상기 제1 축방향 도전선 및 복수의 제2 축방향 도전선의 파형 신호를 제2 감지 경로를 통하여 차례로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상기 제2 축방향 도전선은 상호간에 절연되고 교차된다.
제어 방법은 또한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키도록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방법은 또한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감지 경로 또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방법은 또한 제1 감지 경로 또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상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1의 시간 기간 내에서 규정 레벨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킨다. 그 경우에,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출력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주어진다. 반면에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가 제2의 시간 기간 내에서 주파수 카운트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중지시키고,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출력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주어진다.
또한,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1의 시간 기간 내에서 제1 레벨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킨다. 그 경우에,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출력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주어진다. 반면에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2의 시간 기간 내에서 제2 레벨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중지시키고,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출력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주어지며, 이때 제2 레벨은 제1 레벨보다 더 높다.
스타일러스 펜은 주몸체와 주몸체의 일단부에 배치된 펜촉부를 포함한다. 펜촉부는 도전성 물질로 설계된다. 주몸체는 사인파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사인파 신호 발생기는 전압에 따라 사인파 신호를 발생하며,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에 적용된 때 펜촉부를 통하여 터치 패널에 사인파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스타일러스 펜은 능동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사인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부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스타일러스 펜이 사인파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때 수동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 패널에서 능동적으로 및 수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인파 신호 발생기는 전압 제어형 발진기이다.
스타일러스 펜의 주몸체는 사인파 신호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회로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전원 회로는 전압원 및 전압 변환기를 포함하고, 전압 변환기는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압 변환기는 전압원에 의해 공급된 전압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타일러스 펜은 또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전원 스위치는 전원 회로 및 사인파 신호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 스위치는 전원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을 턴온 및 턴오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 구조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양호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어 시스템의 다른 양호한 실시형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이 실시형태의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 패널에 적용되고, 주몸체(110)와 펜촉부(120)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터치 패널은 투영 정전식 터치 패널로서 설계된 것으로 한다. 주몸체(110)는 중공 실린더로서 표시된다. 펜촉부(120)는 원뿔모양으로서 표시되고 주몸체(11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실제의 설계에 있어서, 펜촉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전성 고무, 금속, 금속 산화물, 및 합금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00)을 동작시킬 때, 펜촉부(120)의 도전성 물질은 터치 패널에 접촉하여 터치된 조건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펜촉부(120)의 첨두부는 도전성 물질로 설계된다.
또한, 주몸체(110)는 전원 회로(111) 및 사인파 신호 발생기(112)를 포함한다. 전원 회로(111)는 또한 전압원(1111), 및 전압원(1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압 변환기(1112)를 포함한다. 전압원(1111)은 리튬 배터리, 알칼리 배터리 등과 같은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압 변환기(1112)는 전압원(1111)에 의해 공급된 전압의 레벨을 실제 설계 필요조건에 따라서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인파 신호 발생기(112)는 전원 회로(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펜촉부(120) 내의 도전성 물질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사인파 신호 발생기(112)는 전원 회로(111)에 의해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사인파 신호를 발생하고, 사인파 신호를 펜촉부(120)를 통하여 터치 패널(도시 생략됨)에 전송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인파 신호 발생기(112)는, 예시적으로, 전압 제어형 발진기로서 설계되고, 1MHz, 5V 사인파 신호를 발생하도록 사용된다.
더욱이, 주몸체(110)는 전원 회로(111)와 사인파 신호 발생기(112)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회로(111)에서 출력된 전압을 턴온 및 턴오프시키도록 사용되는 전원 스위치(113)를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113)를 턴온한 때,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 패널에 대하여 사인파 신호를 능동적으로 발생하는 능동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113)를 턴오프시키면, 스타일러스 펜(100)은 터치 펜에 터치하는 사용자 손가락을 시뮬레이트하는 수동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이 실시형태의 제어 시스템(300)은 터치 패널(200)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터치 패널(200)에 터치하였을 때 정확한 터치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터치 패널(200)은 복수의 제1 축방향 도전선과 복수의 제2 축방향 도전선을 포함하고,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은 상호간에 절연되고 교차되어 감지 전극 배열을 구성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은 직교하게 표시되고, 제1 및 제2 축방향 도전선은 각각 X축과 Y축에 위치된다. 제어 시스템(300)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 감지 모듈(320) 및 신호 처리 모듈(330)을 포함한다.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는 신호 처리 모듈(330), 및 터치 패널(200)의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신호 처리 모듈(330)에 의해 제어되어 각각의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차례로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특정 설계에 있어서,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는 250KHz, 3V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고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스위칭 동작을 통해 각각의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차례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감지 모듈(320)은 터치 패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터치 패널(200)로부터의 파형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호 처리 모듈(330)은 감지 모듈(3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감지 모듈(320)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작동시킬 것인지 또는 작동중지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더욱이, 신호 처리 모듈(330)은 감지 모듈(320)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전극 배열에서 용량이 변화하는 위치들을 계산하여 터치 포인트의 실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형태에 따른 개략적 블록도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감지 모듈(320)은 이중 채널 설계를 형성하도록 제1 감지 유닛(321)과 제2 감지 유닛(322)을 포함한다. 제1 감지 유닛(321)은 터치 패널(200)의 제1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감지 유닛(322)은 터치 패널(200)의 제1 및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시스템(300)이 2개의 축 X와 Y의 좌표 신호에 의해 터치 패널(200) 상의 터치 포인트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 실시형태의 제어 시스템(300)은 감지 모듈(320)의 이중 채널 경로 설계를 통하여 수동 터치 모드뿐만 아니라 능동 터치 모드까지도 지원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동 터치 모드에서, 제어 시스템(300)은 제2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발생된 구동 신호 및 제1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감지된 파형 신호를 2개의 축의 좌표 신호로서 취하고; 한편 능동 터치 모드에 있어서, 구동 신호는 능동 스타일러스 펜(도시 생략됨)에 의해 발생된 사인파 신호로부터 만들어지고 제어 시스템(300)은 제1 및 제2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감지된 파형 신호를 2개의 축의 좌표 신호로서 취한다. 더욱이,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와 능동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 및 전압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300)은 신호들을 구별하고 다른 터치 모드를 형성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감지 유닛(321)은 또한 터치 패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멀티플렉서(3211)와, 제1 멀티플렉서(32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분기(3212) 및 적분기(3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샘플 및 홀드 회로(3213)를 포함한다. 제1 멀티플렉서(3211)는 제1 축방향 도전선들을 차례로 스위칭 및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분기(3212)는 제1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감지된 파형 신호를 제1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3213)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레벨을 샘플링 및 홀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제의 설계에 있어서는 결정 레벨의 필요조건에 부합하도록 전압 레벨을 상승시키는 증폭기와 같이 적분기(3212)의 후단에 접속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유닛(322)은 터치 패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3221)와, 제2 멀티플렉서(32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증폭기(3222) 및 증폭기(32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파수 혼합기(3223)를 포함한다. 제2 멀티플렉서(3221)는 제1 및 제2 축방향 도전선들 중의 임의의 것을 차례로 스위칭 및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3222)는 제1 축방향 도전선 또는 제2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감지된 파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 혼합기(3223)는 증폭된 파형 신호를 제2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 혼합기(3223)가 기준 주파수에 의해 파형 신호의 주파수 변환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제2 직류 전압 신호는 여전히 파형 신호에 속한다. 더욱이, 실제 설계에 있어서, 주파수 혼합기(3223)에 의해 출력된 제2 직류 전압 신호는 필요한 신호 품질을 얻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도시 생략됨)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330)은 제1 감지 유닛(321) 및 제2 감지 유닛(3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유닛(331), 스위칭 유닛(3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2), 제1 감지 유닛(321) 및 제2 감지 유닛(3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결정 모듈(333), 및 스위칭 유닛(331)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2) 및 결정 모듈(3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 유닛(334)을 포함한다. 스위칭 유닛(331)은 제1 감지 유닛(321) 및 제2 감지 유닛(322)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2)는 스위칭 유닛(331)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결정 모듈(333)은 제1 감지 유닛(321) 및 제2 감지 유닛(322)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특성은 직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 또는 전압 강도일 수 있고, 이것은 사실상 제1 감지 유닛(321) 및 제2 감지 유닛(322)의 설계에 의존한다. 이 실시형태의 제1 감지 유닛(321)이 주로 적분기(3212) 및 샘플 및 홀드 회로(3213)로 설계되기 때문에,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판독가능한 특성은 전압 강도이다. 유사하게, 제2 감지 유닛(322)이 주로 주파수 혼합기(3223)로 설계되기 때문에,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판독가능한 특성은 주파수 또는 전압 강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 모듈(333)은 레벨 검출기(3331) 및 주파수 검출기(3332)를 또한 포함한다. 레벨 검출기(3331)는 제1 감지 유닛(3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샘플 및 홀드 회로(3213)에 의해 출력된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 검출기(3332)는 제2 감지 유닛(3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주파수 혼합기(3223)에 의해 출력된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판독가능한 특성이 주파수 또는 전압 강도일 수 있기 때문에, 결정 모듈(333)은 주파수 검출기(3332)를 교체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레벨 검출기(도시 생략됨)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레벨 검출기는 주파수 혼합기(3223)에서 출력된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다음에, 제어 유닛(334)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에 속하고, 결정 모듈(333)의 결정 결과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유닛(331)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고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 시스템(300)의 동작 설계에 따라서, 제어 유닛(334)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작동시키고, 제1 감지 유닛(321)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끔 스위칭 유닛(331)을 제어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디폴트에 의해, 제어 시스템(300)은 수동 터치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능동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200)에 접촉한 때, 제어 시스템(300)은 능동 터치 모드로 설정이 변경된다. 또한, 능동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200)에서 떨어진 후 소정의 카운팅 시간에 도달하면, 제어 시스템(300)은 미리 설정된 수동 터치 모드로 바뀐다.
추가의 설명을 위해, 결정 모듈(333)은 결정 결과를 제어 유닛(334)에게 출력하는 시분할 다중화(TDM) 동작을 채용하여 설계된다. 예시적으로, 레벨 검출기(3331)가 제1 시간 기간 내에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이 규정된 레벨 이상인 것으로 검출한 때, 결정 모듈(333)은 수동 터치 모드에 관한 결정 결과, 예를 들면 논리 신호 "0"을 출력하고, 따라서 제어 유닛(334)은 디폴트 상태로 설정되어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계속적으로 작동시키고 제1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스위칭 유닛(331)을 제어한다. 주파수 검출기(3332)가 제2 시간 기간 내에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가 주파수 카운트 이상인 것으로 검출한 때, 결정 모듈(333)은 능동 터치 모드에 관한 결정 결과, 예를 들면 논리 신호 "1"을 출력하고, 따라서 제어 유닛(334)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작동중지시키고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스위칭 유닛(331)을 제어한다. 또한, 만일 주파수 검출기(3332)의 시간이 제2 직류 전압 신호가 카운팅 시간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할 수 없으면, 주파수 검출기(3332)는 능동 터치 모드에 관한 결정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중지하고, 그 결과로서, 제어 유닛(334)은 미리 설정된 수동 터치 모드로 바꿀 것이다. 전술한 제1 시간 기간, 제2 시간 기간 및 카운팅 시간에 관한 긴 시간과 짧은 시간은 실제 설계 요구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고, 이것은 이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의 작동 및 작동중지와, 스위칭 유닛(331)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의 발생 외에, 제어 유닛(334)은 제1 감지 유닛(321) 또는 제2 감지 유닛(322)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00)에서 터치 포인트의 실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300)의 제어 유닛(334)은, 터치 모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유형을 형성하기 위해 결정 모듈(333)의 결정 결과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것 외에, 외부 신호(S)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외부 신호(S)는 결정 모듈(222)의 결정 결과에 비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 가중치를 갖는다. 또한, 외부 신호(S)는 버튼(예를 들면, 하드웨어 스위치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어 시스템(300)은 터치 모드의 수동 스위칭을 또한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의 다른 양호한 실시형태에 따른 개략적 블록도를 보인 것이다. 제어 시스템(300')의 구조는 도 3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감지 모듈(320')에서의 제2 감지 유닛(322')과 신호 처리 모듈(330')에서의 결정 모듈(333')의 회로 구조에 있다. 제2 감지 유닛(322')은 터치 패널(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3221), 제2 멀티플렉서(32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증폭기(3222), 및 증폭기(32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피크 검출기(3224)를 포함한다. 제2 멀티플렉서(3221)는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 중의 임의의 도전선을 차례로 스위칭 및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3222)는 제1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또는 제2 축방향 도전선으로부터 감지된 터치 패널(200)의 파형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크 검출기(3224)는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형성하도록 증폭기(3222)에 의해 증폭된 증폭 파형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1 감지 유닛(321)에 의해 출력된 제1 직류 전압 신호 및 제2 감지 유닛(322')에 의해 출력된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판독가능한 특성은 모두 전압 강도이다.
대응하는 결정 모듈(333')은 제1 레벨 검출기(3333)와 제2 레벨 검출기(3334)를 포함한다. 제1 레벨 검출기(3333)는 제1 감지 유닛(3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샘플 및 홀드 회로(3213)에 의해 출력된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레벨 검출기(3334)는 제2 감지 유닛(3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피크 검출기(3224)에 의해 출력된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제1 레벨 검출기(3333)가 제1 시간 기간 내에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이 제1 레벨 이상인 것으로 검출한 때, 결정 모듈(333')은 수동 터치 모드에 관한 결정 결과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334)은 디폴트 상태로 설정되어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계속적으로 작동시키고 제1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스위칭 유닛(331)을 제어한다. 그러나, 제2 레벨 검출기(3334)가 제2 시간 기간 내에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이 제2 레벨 이상인 것으로 검출한 때, 결정 모듈(333')은 능동 터치 모드에 관한 결정 결과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334)은 구동 신호 발생 회로(310)를 작동중지시키고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스위칭 유닛(331)을 제어하며, 여기에서 제2 레벨은 제1 레벨보다 더 높게 되도록 설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제어 방법은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감지하는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고, 여기에서 제1 감지 경로는 터치 패널의 복수의 제1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감지 경로는 터치 패널의 전술한 제1 축방향 도전선 및 복수의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제어 방법은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방법은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를 통하여 터치 패널의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S501을 포함한다. 제1 감지 경로는 터치 패널 상에서 제1 축방향 도전선의 파형 신호를 차례로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감지 경로는 터치 패널 상에서 제1 축방향 및 제2 축방향 도전선의 파형 신호를 차례로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에, 실행 단계 S503에서는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1 시간 기간 내에 규정 레벨 이상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이 실시형태의 디폴트가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키고 제1 감지 경로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것이기 때문에, 단계 S503에서의 초기 결정 결과는 일반적으로 "예(Y)"이고, 이것에 의해 수동 터치 모드로 된다. 단계 S505에서는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단계 S507에서는 터치 패널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단계 S507이 실행된 후에, 단계 S501로부터의 후속 절차가 다시 반복된다.
만일 단계 S503에서의 결정 결과가 "아니오(N)"이면, 사용자는 능동 터치 모드하에서 동작시킬 수 있고 터치 패널을 터치하기 위해 능동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한다. 이때, 능동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발생된 사인파 신호의 주파수 및 전압 강도가 구동 신호의 그것과 다르기 때문에, 단계 S509가 실행된다. S509에서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가 제2 시간 기간 내에서 주파수 카운트보다 더 높은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만일 단계 S509에서의 결정 결과가 "예"이면, 이것은 능동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발생된 사인파 신호가 식별되었음을 의미하고, 그 결과로서 단계 S511이 실행되어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중지시키고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513에서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단계 S515에서는 능동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어서, 구동 신호의 발생이 능동 터치 모드하에서 작동중지되었기 때문에, 단계 S517에서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사라진 이후 카운팅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단계 S517에서의 결정 결과가 "예"이면, 이것은 사용자가 능동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 패널의 터치를 중지한 이후 카운팅 시간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 S519가 실행되고, 여기에서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되어 수동 터치 모드로 될 것이다.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키고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상태로 다시 되기 위하여, 단계 S501 및 후속 절차가 다시 실행될 것이다. 만일 단계 S517에서의 결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사용자는 능동 터치 모드하에서 동작하도록 능동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계속하여 터치하고, 따라서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를 통하여 터치 패널에 의해 발생된 파형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단계 S501로 되돌아가고, 후속 절차를 실행한다.
이 실시형태는 단계 S503에서의 결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도 설계에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채용하기 때문에, 단계 S509의 결정 단계는 단계 S505와 함께 동시에 실행될 것이다. 만일 수동 터치 모드하에서의 발생된 구동 신호가 단계 S509에서의 결정 결과를 "아니오"로 만들면, 단계 S519가 실행되어 제어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고, 여기에서 제어 시스템은 원래의 수동 터치 모드하에 있고 구동 신호의 발생을 계속하여 작동시키며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상태로 설정된다. 유사하게, 능동 터치 모드에 영향을 주거나 능동 터치 모드를 변경시키는 다른 요인이 없으면, 단계 S511에서는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중지시키고, 만일 단계 S517의 결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단계 S501 및 후속 단계들이 실행된다. 여기에서, 능동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발생된 사인파 신호는 단계 S503의 결정 결과를 "아니오"로, 단계 S509의 결정 결과를 "예"로 만들 것이고, 이것에 의해 시스템을 능동 터치 모드하에서 제어하게 된다.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결정하는 설계(도 5의 단계 S509에 대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정은 제2 감지 경로의 전압 값이 제2 시간 기간 내에서 규정 레벨보다 더 높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고, 이것은 제어 시스템의 설정이 능동 터치 모드인지 아닌지를 또한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이 실시형태의 제어 방법은 제1 감지 경로와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을 결정함으로써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고,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또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1 시간 기간 내에서 제1 레벨보다 더 높으면, 구동 신호의 발생이 작동되고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며, 한편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2 시간 기간 내에서 제2 레벨보다 더 높으면, 구동 신호의 발생이 작동중지되고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에서 설계된 제2 레벨은 제1 레벨보다 더 높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사인파 신호를 능동적으로 발생하는 능동 스타일러스 펜일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능동 터치 모드와 수동 터치 모드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감도를 갖고, 정밀 입력이 가능하며 수기 상황을 제공하는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특정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각종의 수정 및 치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예로서 설명된 것이고 제한하는 의도가 없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7)

  1.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신호 발생 회로와;
    터치 패널로부터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모듈과;
    상기 감지 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신호 발생 회로를 작동(enable) 및 작동중지(disable)시키는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터치 패널 상의 복수의 제1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감지 유닛과;
    터치 패널 상의 제1 축방향 도전선 및 복수의 제2 축방향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은 상호간에 절연되고 교차된(intersect) 것인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제1 감지 유닛과 제2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유닛과;
    상기 스위칭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감지 유닛 및 제2 감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스위칭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제1 감지 유닛 및 제2 감지 유닛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과;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결정 모듈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발생 회로 동작의 작동 및 작동중지를 제어하며, 제1 감지 유닛 또는 제2 감지 유닛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 상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 것인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유닛은,
    터치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분기와;
    상기 적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샘플 및 홀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멀티플렉서는 제1 축방향 도전선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적분기는 파형 신호를 제1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레벨을 샘플링 및 홀딩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유닛은,
    터치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파수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멀티플렉서는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 중에서 임의의 도전선을 선택하고, 상기 증폭기는 파형 신호를 증폭하며, 상기 주파수 혼합기는 증폭된 파형 신호를 제2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레벨 검출기와;
    상기 제2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파수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 검출기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 검출기는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유닛은,
    터치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피크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멀티플렉서는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제2 축방향 도전선 중에서 임의의 도전선을 선택하고, 상기 증폭기는 파형 신호를 증폭하며, 상기 피크 검출기는 제2 직류 전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증폭된 파형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레벨 검출기와;
    상기 제2 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레벨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벨 검출기는 제1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고, 상기 제2 레벨 검출기는 제2 직류 전압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10.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감지 경로를 통하여 터치 패널로부터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터치 패널 상의 복수의 제1 축방향 도전선의 파형 신호를 제1 감지 경로를 통하여 차례로 감지하는 단계와;
    터치 패널 상의 제1 축방향 도전선 및 복수의 제2 축방향 도전선의 파형 신호를 제2 감지 경로를 통하여 차례로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방향 도전선과 상기 제2 축방향 도전선은 상호간에 절연되고 교차된 것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키도록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 및 작동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제1 감지 경로 및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1 감지 경로 또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감지 경로 또는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 상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1의 기간 내에서 규정 레벨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키고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가 제2의 기간 내에서 주파수 카운트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중지시키고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1의 기간 내에서 제1 레벨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시키고 제1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전압 값이 제2의 기간 내에서 제2 레벨보다 더 높을 때, 구동 신호의 발생을 작동중지시키고 제2 감지 경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더 높은 것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
  17.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사인파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일단부에 배치된 펜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펜촉부는 도전성 물질로 설계되고, 상기 사인파 신호 발생기는 전압에 기초하여 사인파 신호를 발생하고 이 사인파 신호를 펜촉부를 통하여 터치 패널에 전송하는 것인 스타일러스 펜.
KR1020120098266A 2011-09-06 2012-09-05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1513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62622.8A CN102981659B (zh) 2011-09-06 2011-09-06 触控面板的控制系统与控制方法及其使用的触控笔
CN201110262622.8 2011-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995A true KR20130026995A (ko) 2013-03-14
KR101513781B1 KR101513781B1 (ko) 2015-04-20

Family

ID=4679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266A KR101513781B1 (ko) 2011-09-06 2012-09-05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4893B2 (ko)
EP (1) EP2568359B1 (ko)
JP (1) JP5781041B2 (ko)
KR (1) KR101513781B1 (ko)
CN (1) CN102981659B (ko)
TW (2) TWM44522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7621A (ja) * 2013-07-03 2016-09-08 ザ ハ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磁気誘導方式の位置感知と静電容量方式の位置感知とを行うタブレット
WO2018026202A1 (ko) * 2016-08-04 2018-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과 관련된 정보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9109B2 (en) 2012-07-18 2015-11-17 Sentons Inc. Detection of type of object used to provide a touch contact input
US9639213B2 (en) 2011-04-26 2017-05-02 Sentons Inc. Using multiple signals to detect touch input
US10198097B2 (en) 2011-04-26 2019-02-05 Sentons Inc. Detecting touch input force
US9477350B2 (en) 2011-04-26 2016-10-25 Sent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ultrasonic touch devices
US11327599B2 (en) 2011-04-26 2022-05-10 Sentons Inc. Identifying a contact type
US10235004B1 (en) 2011-11-18 2019-03-19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or with an integrated antenna
CN107562281B (zh) 2011-11-18 2020-12-22 森顿斯公司 检测触摸输入力
EP2780782B1 (en) 2011-11-18 2020-05-13 Sentons Inc. Localized haptic feedback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EP2847662B1 (en) 2012-05-09 2020-02-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EP2847658B1 (en) 2012-05-09 2017-06-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CN107728906B (zh) 2012-05-09 2020-07-31 苹果公司 用于移动和放置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EP2847660B1 (en) 2012-05-09 2018-11-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JP6273263B2 (ja) 2012-05-09 2018-01-3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接触に応答して追加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US9348468B2 (en) 2013-06-07 2016-05-24 Sentons Inc. Detecting multi-touch inputs
TWI485606B (zh) * 2012-10-02 2015-05-21 Au Optronics Corp 觸控裝置及其觸控方法
CN105264479B (zh) 2012-12-29 2018-12-25 苹果公司 用于对用户界面分级结构进行导航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093877B2 (ja) 2012-12-29 2017-03-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接触ジェスチャのために触知出力の生成を見合わせ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6158947B2 (ja) 2012-12-29 2017-07-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入力からディスプレイ出力への関係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20140267184A1 (en) * 2013-03-14 2014-09-18 Elwha Llc Multimode Stylus
US9035919B2 (en) * 2013-03-15 2015-05-1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Electrostatics stylus
TWI488102B (zh) * 2013-06-20 2015-06-11 Focaltech Systems Ltd 電容式觸控螢幕
KR102081817B1 (ko) * 2013-07-01 202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TWM467942U (zh) * 2013-09-02 2013-12-11 Te-Hsiang Fang 主動式觸控筆(二)
US9665206B1 (en) 2013-09-18 2017-05-30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adaptable to multiple input tools
US9459715B1 (en) 2013-09-20 2016-10-04 Sentons Inc. Using spectral control in detecting touch input
US9329708B2 (en) * 2014-01-08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with electrostatic and radio links
TWI526917B (zh) * 2014-03-24 2016-03-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電容式觸控裝置以及於電容式觸控面板上同時偵測主動筆與物體的方法
US9569016B2 (en) * 2014-08-18 2017-02-14 Atmel Corporation Low-power and low-frequency data transmission for stylus
US9798396B2 (en) * 2014-08-18 2017-10-24 Atmel Corporation Low-power and low-frequency data transmission for stylus and associated signal processing
US11079862B2 (en) * 2014-08-18 2021-08-03 Wacom Co., Ltd. Low-power and low-frequency data transmission for stylus and associated signal processing
JP6324301B2 (ja) 2014-11-19 2018-05-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並びに指示装置
US10019079B2 (en) * 2014-12-07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ylus for operating a digitizer system
KR102389701B1 (ko) 2015-01-19 2022-04-22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위치 지시기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048811B2 (en) * 2015-09-18 2018-08-14 Sentons Inc. Detecting touch input provided by signal transmitting stylus
CN113076018A (zh) * 2015-12-17 2021-07-06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有线主动触控笔
TWI584170B (zh) * 2016-01-08 2017-05-21 Egalax_Empia Tech Inc Applies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CN107092368B (zh) * 2016-02-17 2020-04-1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笔
TWI614642B (zh) * 2016-10-27 2018-02-11 翰碩電子股份有限公司 同步時間差發射訊號的方法及應用此方法之電容筆與觸控輸入裝置
US10908741B2 (en) 2016-11-10 2021-02-02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ion along device sidewall
US10296144B2 (en) 2016-12-12 2019-05-21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ion with shared receivers
TWI621972B (zh) 2017-01-12 2018-04-2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及用於觸控顯示面板之方法
US10126877B1 (en) 2017-02-01 2018-11-13 Sentons Inc. Update of reference data for touch input detection
US10585522B2 (en) 2017-02-27 2020-03-10 Sentons Inc. Detection of non-touch inputs using a signature
US11009411B2 (en) 2017-08-14 2021-05-18 Sentons Inc. Increasing sensitivity of a sensor using an encoded signal
US11580829B2 (en) 2017-08-14 2023-02-14 Sentons Inc. Dynamic feedback for haptics
CN110727356B (zh) * 2018-06-28 2021-08-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主动笔、触控输入系统及驱动方法
TWI736823B (zh) * 2019-01-08 2021-08-21 幸芯科技有限公司 多功能觸控系統及控制方法
TWI766437B (zh) * 2020-11-16 2022-06-0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觸控模組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2819A (en) * 1982-12-30 1985-01-08 Kurta Corporation Graphic tablet and method
JPH0786802B2 (ja) * 1986-12-29 1995-09-20 株式会社東芝 座標検出装置
US5251123A (en) * 1987-10-19 1993-10-05 I C Operating, Inc. High resolution system for sensing spatial coordinates
JPH04107723A (ja) * 1990-08-29 1992-04-09 Pentel Kk 静電結合方式入力装置
US5528002A (en) * 1993-07-15 1996-06-18 Pentel Kabushiki Kaisha Noiseproof digitizing apparatus with low power cordless pen
JPH0895701A (ja) * 1994-08-24 1996-04-12 Pentel Kk タッチパネル兼用透明デジタイザ
JPH08137607A (ja) * 1994-11-15 1996-05-3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TW274598B (en) * 1994-11-15 1996-04-21 Alps Electric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for pen of finger tip
JPH0934627A (ja) * 1995-07-21 1997-02-07 Seiko Epson Corp タブレット装置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JP3710730B2 (ja) * 2000-07-25 2005-10-26 ローム株式会社 タッチ検出信号発生回路、座標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検出信号発生方法
GB0213237D0 (en) 2002-06-07 2002-07-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put system
US20060158440A1 (en) 2005-01-19 2006-07-20 Motion Computing Inc. Active dynamic tactile feedback stylus
US7612767B1 (en) * 2005-08-24 2009-11-03 Griffin Technology, Inc. Trackpad pen for use with computer touchpad
CN101498967A (zh) 2008-01-31 2009-08-05 英华达股份有限公司 适用于电容式触控面板的触控笔
US8482545B2 (en) * 2008-10-02 2013-07-09 Wacom Co., Ltd. Combination touch and transducer input system and method
US8278571B2 (en) * 2009-04-03 2012-10-02 Pixart Imaging Inc. Capacitive touchscreen or touchpad for finger and active stylus
TWI447625B (zh) * 2009-09-14 2014-08-01 Au Optronics Corp 電容式觸控偵測系統及其偵測訊號接收及波形整形模組
TW201113770A (en) * 2009-10-05 2011-04-16 Raydium Semiconductor Corp Touch device
US8411066B2 (en) * 2010-01-05 2013-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speed noise tolerant multi-touch touch device and controller therefor
US20110181519A1 (en) * 2010-01-26 2011-07-28 Himax Technolog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a touch screen
KR20130128380A (ko) * 2010-09-22 2013-11-26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터치 스크린을 위한 용량성 스타일러스
US8493360B2 (en) * 2011-07-19 2013-07-2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Quadrature signal receiver using synchronized oscill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7621A (ja) * 2013-07-03 2016-09-08 ザ ハ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磁気誘導方式の位置感知と静電容量方式の位置感知とを行うタブレット
WO2018026202A1 (ko) * 2016-08-04 2018-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과 관련된 정보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펜
US10761650B2 (en) 2016-08-04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ensing device for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ed to pe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781B1 (ko) 2015-04-20
CN102981659A (zh) 2013-03-20
CN102981659B (zh) 2016-01-27
TWI467444B (zh) 2015-01-01
EP2568359A3 (en) 2014-08-06
JP2013058198A (ja) 2013-03-28
EP2568359A2 (en) 2013-03-13
EP2568359B1 (en) 2018-05-23
JP5781041B2 (ja) 2015-09-16
US9024893B2 (en) 2015-05-05
US20130057491A1 (en) 2013-03-07
TW201312427A (zh) 2013-03-16
TWM445221U (zh)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781B1 (ko) 터치 패널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2313098B1 (ko) 포스 터치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전력 모드의 동적 스위칭
US11036956B2 (en) Mobile terminal and radio frequency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09142345A1 (en) Touch sensor device and the method of switching operation mode thereof
JP6253497B2 (ja) データ入力システム、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の制御方法
US201100128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US10754477B2 (en) Capacitive proxim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6062205A (ja) センサ信号処理回路及びセンサ信号処理方法
KR20140146597A (ko) 용량형 터치 컨트롤러 및 제스처 검출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극들을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59221A1 (en) Styl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TW201537442A (zh) 電容式觸控裝置以及於電容式觸控面板上同時偵測主動筆與物體的方法
KR20130049700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15791A1 (en) Touch panel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5457274A (zh) 一种游戏手柄的控制装置及其实现方法
KR101830981B1 (ko)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초하여 터치 오브젝트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06578A1 (ja) 超音波画像生成システム
WO2016106886A1 (zh) 一种触摸屏驱动电路、触摸屏和电子终端
TWI493418B (zh) 電容式觸控系統及其驅動裝置
CN202205180U (zh) 触控面板的控制系统及其使用的触控笔
US10045426B2 (en) Switch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magnetic sensing and touch sens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06127190A (ja) 入力装置
US11977702B2 (en) Uplink channel compensation for touchscreen devices
KR102155127B1 (ko) 하이브리드 스타일러스 및 이와 통신하는 터치입력장치
KR100291909B1 (ko) 좌표입력장치
EP2905684B1 (en) Positio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position of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