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247A -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 Google Patents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247A
KR20130026247A KR1020110089744A KR20110089744A KR20130026247A KR 20130026247 A KR20130026247 A KR 20130026247A KR 1020110089744 A KR1020110089744 A KR 1020110089744A KR 20110089744 A KR20110089744 A KR 20110089744A KR 20130026247 A KR20130026247 A KR 2013002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ratchet
backrest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한
Original Assignee
전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한 filed Critical 전진한
Priority to KR102011008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247A/ko
Publication of KR2013002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4Joining seats, chairs, or couches to form be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1Foot or l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의자의 등받이를 수평이 되게 완전히 펼치고 누웠을 때에도 뒤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등받이는 등받이의 형체를 형성하고 등받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가로질러 그것들과 결합하는 수평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가 둔부받이에 대하여 수평위치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라체트식 회전기구,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과회전방지수단,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를 수평위치로 펼쳤을 때 지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Chair Having Camp Bed Function}
본 발명은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를 수평이 되게 완전히 펼치고 누웠을 때에도 뒤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등받이가 있는 형태와 등받이가 없는 형태로 크게 구분된다. 등받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의자는 상황에 따라 기대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그러한 의자는 등받이를 최대한 젖혀서 거의 눕는 상태를 취함으로써 간이침대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등받이를 뒤로 젖힐수록 기댄 상체의 하중을 등받이가 견디지 못하고 뒤로 넘어지거나 넘어지지는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기 때문에 통상의 의자는 등받이를 뒤로 젖히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등받이를 완전히 수평이 되게 젖혀 말 그대로 간이침대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간이침대는 사람이 눕는 영역에 걸쳐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거나, 사람이 눕는 영역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더라도 그 영역이 크지 않아 그 영역에서의 하중으로 인하여 간이침대가 뒤집어지거나 기울어지는 일은 없다. 그러한 간이침대의 예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552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간이침대는 간이침대로서만 사용될 뿐이고 의자로서의 기능을 하지는 못한다.
한편, 기본적으로 의자로 사용되면서 간이침대의 기능도 같이 가지는 제품이 다수 제안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1-0076952호는 의자 겸용 침대를 개시한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8513호는 침대겸용 안락의자를 개시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2422호는 절첩식 휴대용 의자 겸용 간이침대를 개시한다. 이러한 간이침대 겸용 의자 또는 의자 겸용 간이침대는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완전히 수평하게 젖혀서 사용하지는 않거나 매트리스 형태와 같이 눕는 영역을 바닥에 완전히 밀착시킨 형태로 사용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4008호는 간이침대 겸용 자동차 시트를 개시하는데, 자동차의 운전석 및 보조석의 의자 등받이를 두 부분으로 형성하고, 간이침해를 형성할 때에는 등받이 중 한 부분은 앞으로 펼치고 등받이 중 나머지 부분은 뒤로 펼쳐 전체적으로 평평한 매트리스 형태를 형성하여 그것을 뒷좌석과 연결되게 한다. 뒤로 펼쳐진 등받이 부분은 지지대에 의하여 뒷좌석 앞에 있는 자동차 바닥면에 지지된다. 사람은 그 매트리스 영역 및 뒷좌석 영역 전체에 걸쳐 눕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침대 겸용 자동차 시트는 자동차 시트에 특화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간이침대 겸용 의자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적용상의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를 수평이 되게 완전히 펼치고 누웠을 때에도 뒤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는 등받이와 둔부받이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가 상기 둔부받이에 대하여 최소한 수직한 위치에서 펼쳐진 수평위치까지 회동하는 의자이다. 이러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의 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을 가로질러 그것들과 결합하는 수평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가 상기 둔부받이에 대하여 수평위치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한쌍의 라체트식 회전기구,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쌍의 과회전방지수단,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를 수평위치로 펼쳤을 때 지면에 접촉하는 한쌍의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는 라체트수납부재가 일직선으로 일체로 연결된 제1 프레임부재,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라체트수납부재 내에 수용되는 라체트, 상기 라체트와 결합하는 톱니부재가 90~120도의 각도로 일체로 연결된 제2 프레임부재, 상기 라체트와 상기 톱니부재의 톱니 간의 결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굴절상태를 풀 수 있게 하는 라체트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의 상기 제1 프레임부재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수직하게 상기 등받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상기 라체트수납부재의 돌출부분은 상기 등받이의 아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과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에 연이은 상기 라체트수납부재의 직선부분에 결합하고 그 직선부분과 그것의 말단부분을 둘러싸는 'ㄱ'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등받이지지수단은 상기 한쌍의 다리에 대하여 수직하게 그것들에 결합하는 다리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지지수단은 상기 다리를 각각 끼우는 한쌍의 고리 및 상기 고리들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의자를 주 의자로 사용하고 이것과 다른 보조 의자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주 의자는 상기 둔부지지대 말단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의자의 둔부지지대 말단에는 상기 주 의자의 벨크로와 결합하는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어, 그러한 벨크로에 의하여 상기 주 의자와 상기 보조 의자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는 등받이를 수평이 되게 완전히 펼칠 수 있고, 또한 그 상태에서 사람이 안정되게 누울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그러한 기능을 간단한 추가적 구성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조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주 의자로 하고 이것과 다른 보조 의자로 구성되는 의자 복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 의자와 보조 의자가 벨크로에 의하여 결합되어 간이침대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자 복합체를 허리 스트레칭 도구로 사용할 때 주 의자와 보조 의자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에 적용하는 등받이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등받이지지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을 간이침대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로서 등받이지지수단에 의하여 등받이가 안전하게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의자 복합체는 주 의자(100)와 보조 의자(200)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주 의자(100)만으로도 간이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더욱 안락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 의자(100)와 보조 의자(200)가 결합된 의자 복합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의자(100)는 등받이를 가지는 통상의 의자와 같이, 등받이(110), 둔부받이(120), 팔걸이(130), 다리(140) 및 바퀴(150)를 가진다. 주 의자(100)가 통상의 의자와 다른 점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지지수단을 가진다는 점과, 보조 의자(200)와 결합하기 위하여 둔부받이(120)의 말단에 벨크로(160)를 가진다는 점이다.
한편, 보조 의자(200)는 등받이를 가지는 의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간이침대로 사용하는데 편리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의자 복합체를 허리 스트레칭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등받이가 없는 의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의자(200)는 둔부받이(210), 팔걸이(220), 다리(230)를 포함하며, 또한 주 의자(100)의 벨크로(160)와 결합하는 벨크로(미도시)가 보조 의자(200)의 둔부받이(210) 말단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에 의하여 주 의자(100)와 보조 의자(200)는 서로 연결된 후 주 의자(100)의 등받이(110)를 완전히 수평으로 펼쳐서 간이침대로 사용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주 의자(100)의 바닥부(170)와 보조 의자(200)의 바닥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 연결하는 유동적 연결수단(4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유동적 연결수단(400)은 주 의자(100) 및 보조 의자(200) 각각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리(410), 이 고리들(410)과 결합하는 개폐부를 가지는 한 쌍의 고리(420), 이러한 개폐부 보유 고리들(420)와 결합하는 말단에 한 쌍의 고리(431)가 형성된 와이어(430)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개폐부를 개방하여 개폐부 보유 고리들(420)을 와이어(430)의 말단에 있는 고리들(431)에 각각 걸은 후, 개폐부를 개방하여 개폐부 보유 고리들(420)을 주 의자(100) 및 보조 의자(200)에 설치된 고리들(410)에 각각 걺으로써 주 의자(100)와 보조 의자(200) 간의 연결을 완성한다. 이러한 연결된 와이어(430)의 움직임에 의하여 주 의자(100)와 보조 의자(200)는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 의자(200)의 둔부받이(210) 상에 상체를 올려놓고 주 의자(100)의 둔부받이(120) 상에 엉덩이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등받이(110) 옆으로 자연스럽게 다리를 내려 지면에 닿게 한 후 허리를 좌우로 움직여 허리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유동적 연결수단(400)이 없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그러한 상태에서 허리 스트레칭 운동을 하면 의자들(100 및 200)이 사용자로부터 이탈할려고 하지만, 유동적 연결수단(400)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그러한 상태에서 허리 스트리칭 운동을 하더라도 의자들(100 및 200)이 사용자로부터 이탈하려는 경향을 유동적 연결수단(400)이 방지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허리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주 의자(100)의 등받이(11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111)은 등받이(110)의 형체를 형성하고 등받이(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프레임(111)은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한 쌍의 수평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한 프레임들(111 및 112)은 등받이 커버에 씌워져서 주 의자(10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은 그것들을 가로지르는 수평지지프레임(113)과 결합한다. 이러한 수평지지프레임(113)은 등받이를 형성하는 프레임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것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등받이지지수단(300)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의 의미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수평지지프레임(113)에는 등받이지지수단(300)이 결합된다. 등받이지지수단(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0)가 둔부받이(120)에 대하여 수평위치로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프레임(113)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등받이(110)를 지지하는 것이다.
등받이지지수단(300)은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라체트식 회전기구(310)를 포함한다. 라체트식 회전기구(310)는 접이식 간이침대에 주로 적용되는 부품으로서, 보통 한쪽 방향으로는 정해진 각도만큼씩 회전이 되지만 다른 쪽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도구이다. 그래서 간이침대는 원하는 각도로 설정한 후에 사람이 그것 위에 누워 하중을 실더라도 설정된 각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라체트식 회전기구를 이용하는 접이식 간이침대에서 초기상태(보통 펼쳐진 수평상태)에서 라체트식 회전기구 내의 톱니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그것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정해진 각도에서 톱니 간의 결합이 다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각도보다 낮은 각도로 다시 설정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라체트식 회전기구를 한쪽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켜, 즉 접혀진 수평상태로 접는다. 그러면 라체트식 회전기구 내에 있는 톱니간의 결합은 해제되고 사용자는 다른쪽 방향으로 초기상태까지 걸림없이 라체트식 회전기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라체트식 회전기구가 초기상태에 이르러면 다시 톱니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라체트식 회전기구(310)는 라체트수납부재(311)가 일직선으로 일체로 연결된 제1 프레임부재(312), 제1 프레임부재(312)의 라체트수납부재(311) 내에 수용되는 라체트(313), 라체트(313)와 결합하는 톱니부재(314)가 90~120도의 각도로 일체로 연결된 제2 프레임부재(315), 라체트(313)와 톱니부재(314)의 톱니 간의 결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굴절상태를 풀 수 있게 하는 라체트고정부재(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의 구성품, 구조 및 작동방식은 잘 알려져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공개특허공보 제2006-0128702호(발명의 명칭: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위 특허문헌을 참조로서 여기에 병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체트식 회전기구(310)가 다른 통상적인 라체트식 회전기구와 다른 점은 톱니부재(314)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부재(315)의 각도에 있고 또한 그것을 적용하는 방식에 있다. 통상적인 라체트식 회전기구에서 톱니부재와 제2 프레임부재의 연결각도는 수평인 반면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체트식 회전기구에서 톱니부재(314)와 제2 프레임부재(315)의 연결각도는 90~120도이다.
본 발명의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에서 라체트식 회전기구가 적용되는 방식은 초기에 접혀진 상태로서 라체트식 회전기구 내에 있는 톱니 간의 결합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라체트식 회전기구를 펼치면 톱니 간의 결합이 비로소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톱니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과회전방지수단(320)을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라체트식 회전기구는 톱니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등받이지지수단(300)은 또한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에 각각 결합되어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과회전방지수단(320),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에 각각 결합되어 등받이(110)를 수평위치로 펼쳤을 때 지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다리(330)를 포함한다.
라체트식 회전기구(310)가 수평지지프레임(113)에 결합되는 방식은 도 5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의 제1 프레임부재(312)가 수평지지프레임(113)에 수직하게 등받이(11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지지프레임(113)에 결합하고, 제1 프레임부재(3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라체트수납부재(311)의 돌출부분은 등받이(110)의 아래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이다. 과회전방지수단(320)은 제1 프레임부재(312)에 연이은 라체트수납부재(311)의 직선부분에 결합하고 그 직선부분과 그것의 말단부분을 둘러싸는 'ㄱ'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과회전방지수단(320)은 라체트수납부재(311)와 결합하는 결합부(321)와 걸림부(322)가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의 것이다. 그리하여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에서 제2 프레임부재(315)를 회전시켰을 때, 그것이 제1 프레임부재(312)에 대략적으로 90~120도의 각도 상태가 되면 제2 프레임부재(315)의 말단 부분은 과회전방지수단(320)의 걸림부(322)와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라체트식 회전기구(310)를 한 쌍의 다리(330)와 결합하여 지면에 접촉시키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라체트식 회전기구(310)의 제2 프레임부재(31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지지수단(300)의 다리(330)와 결합한다. 또한 한 쌍의 다리(330)는 그것에 대하여 수직하게 다리지지수단(340)과 결합한다. 다리지지수단(340)은 다리들(330) 각각을 끼우는 한 쌍의 고리(341)와 그 고리들을 연결하는 지지대(34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고리(341)와 지지대(342) 간의 연결은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고리(341)와 다리(330) 간의 결합은 고리(341)에 다리(330)를 끼운 후 납땜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납땜을 하여야 한다는 점과 납땜을 한 후에 도장을 하여야 한다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고리(341)와 다리(330) 간의 결합은 정밀한 치수 맞춤에 의한 억지끼워맞춤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330)에 고리(340)를 끼운 후에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정밀한 치수 맞춤이면 족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를 간이침대로 사용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품이 의자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등받이지지수단(300)에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재(315) 및 그것에 연결된 한 쌍의 다리(330)는 접어진 상태로서 등받이(110)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그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품을 간이침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2 프레임부재(315) 및 다리(330)를 회전시킨다. 그러한 회전은 제2 프레임부재(315)의 말단이 과회전방지수단(320)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그런 다음 주 의자(100)에 마련된 레바(도시되지 않음)를 당기거나 다른 방법에 의하여 등받이(110)를 수평이 되게 완전히 펼친다. 그러면 등받이지지수단(300)의 다리들(330)은 지면에 닿게 되어 등받이(110)를 안정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때 등받이(110)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등받이지지수단(300)이 지면에 접촉하면서 밀려 고정되지 않을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등받이지지수단(300)의 다리(330)를 뒤로 살짝 당겨주어 지면과의 접촉을 안정되게 한다. 다리와 지면 간의 각도가 90도인 경우에는 상하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안정적이지만 수평적인 힘에 대해서는 불안정하므로, 100도 내지 110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100: 주 의자 110: 등받이 111: 등받이 수직프레임 113: 수평지지프레임 120: 둔부받이 130: 팔걸이 140: 다리 150: 바퀴 160: 벨크로 200: 보조 의자 210: 둔부받이 220: 팔걸이 230: 다리 300: 등받이지지수단 310: 라체트식 회전기구 311: 라체트수납부재 312: 제1 프레임부재 313: 라체트 314: 톱니부재 315: 제2 프레임부재 316: 라체트고정부재 320: 과회전방지수단 321: 결합부 322: 걸림부 330: 다리 340: 다리지지수단 341: 고리 342: 고리 연결지지대

Claims (6)

  1. 등받이와 둔부받이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가 상기 둔부받이에 대하여 최소한 수직한 위치에서 펼쳐진 수평위치까지 회동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의 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을 가로질러 그것들과 결합하는 수평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가 상기 둔부받이에 대하여 수평위치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라체트식 회전기구,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과회전방지수단,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를 수평위치로 펼쳤을 때 지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는 라체트수납부재가 일직선으로 일체로 연결된 제1 프레임부재,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라체트수납부재 내에 수용되는 라체트, 상기 라체트와 결합하는 톱니부재가 90~120도의 각도로 일체로 연결된 제2 프레임부재, 상기 라체트와 상기 톱니부재의 톱니 간의 결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굴절상태를 풀 수 있게 하는 라체트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체트식 회전기구의 상기 제1 프레임부재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수직하게 상기 등받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상기 라체트수납부재의 돌출부분은 상기 등받이의 아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과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에 연이은 상기 라체트수납부재의 직선부분에 결합하고 그 직선부분과 그것의 말단부분을 둘러싸는 '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지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다리에 대하여 수직하게 그것들에 결합하는 다리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수단은 상기 다리를 각각 끼우는 한 쌍의 고리 및 상기 고리들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5.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 의자와 상기 주 의자에 연결되는 다른 보조 의자를 포함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의자는 상기 둔부지지대 말단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의자의 둔부지지대 말단에는 상기 주 의자의 벨크로와 결합하는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어, 그러한 벨크로에 의하여 상기 주 의자와 상기 보조 의자가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복합체.
KR1020110089744A 2011-09-05 2011-09-05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KR20130026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744A KR20130026247A (ko) 2011-09-05 2011-09-05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744A KR20130026247A (ko) 2011-09-05 2011-09-05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247A true KR20130026247A (ko) 2013-03-13

Family

ID=4817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744A KR20130026247A (ko) 2011-09-05 2011-09-05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6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429B2 (en) Stroller
JP4776736B1 (ja) 介護用車椅子
CN108323976B (zh) 一种便携式椅垫及一种椅子
KR102140343B1 (ko) 좌판 익스텐드 기능을 가진 소파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EP2740388A1 (en) Outdoor reclining chair
US6644732B1 (en) Structure of a foldable chair with a locking mechanism
KR20130026247A (ko) 간이침대기능을 가지는 의자
US20210212471A1 (en) Chair with footrest mechanism
CN210055322U (zh) 一种靠背可调的沙发
JP3994061B2 (ja) 車椅子
KR100700114B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KR20110008591U (ko) 벤치
CN201683428U (zh) 一种坐躺椅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KR101132525B1 (ko) 매트리스 겸용 사무용 의자
TWI569755B (zh) 乘坐支撐裝置
GB2428966A (en) Seat with pivoting backrest and coupled locking means therefor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CN212325974U (zh) 可折叠支架和儿童椅
CN216961982U (zh) 儿童椅和支架
JP329728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オットマン装置
KR101327507B1 (ko) 좌우 가변폭 조절 이동식 의자
JP3101444U (ja) 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