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006A -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006A
KR20130026006A KR1020110089322A KR20110089322A KR20130026006A KR 20130026006 A KR20130026006 A KR 20130026006A KR 1020110089322 A KR1020110089322 A KR 1020110089322A KR 20110089322 A KR20110089322 A KR 20110089322A KR 20130026006 A KR20130026006 A KR 2013002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d
storage box
central server
battery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석
이성호
박대호
이희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메디아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메디아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메디아나
Priority to KR102011008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006A/ko
Publication of KR2013002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로 이루어져, AED를 정기적으로 점검, 관리하며, 원격지의 관리자가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이를 점검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AED를 관리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ED 보관함의 AED 구동장치 점검부에서 AED 구동부를 점검하며, AED 보관함의 AED 배터리 점검부에서 배터리 잔량을 점검하는 AED 및 배터리 점검단계; 상기 AED 및 배터리 점검단계의 점검결과를 중앙서버에 보고하며, 중앙서버는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저장하는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상기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후,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관리자 단말기는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이하 AED 이라 함), AED 보관함, 중앙서버로 이루어져, AED를 정기적으로 점검, 관리하며, 원격지의 관리자가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이를 점검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 AED)는 음성 안내를 받으면서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AED는 환자의 심장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 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돼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CPR)은 심장마비(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으로, 환자에게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급성심정지가 발생하면 응급처치법으로 심폐소생술을 행하여한다. 일반적인 심폐소생술은 정상혈류량을 20% 정도 회복하는 반면, AED를 이용하면 100% 회복이 가능하며, 따라서 AED는 심장 박동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최대 70%까지 높일 수 있다.
인간의 심장은 혈액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심근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작용시키는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다.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 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한다. 만약,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심장은 효율적으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하여,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게 하는 AED를 이용한 심페소생술은 사고 후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사고가 나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고 우왕좌왕하기 마련인데, 이 경우 AED에서 음성으로 무엇을 해야할 것인지 차례대로 지시하여 주면 생존율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AED를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AED는 자주 사용되는 물건이 아니므로, 사고 후 사용하려고 하면, 고장인 경우가 있어, 구비된 AED가 무용지물인 경우가 있다.
따라서 AED는 주기적인 점검이 필수이며, 이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로 이루어져, AED를 정기적으로 점검, 관리하는 AED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원격지의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다수의 AED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점검 장치가 AED에 구비되어, 장비의 자체 점검 결과와 배터리 레벨을 AED 보관함으로 전송하고, AED 보관함은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AED 보관함은 AED에 구비된 배터리와 패드의 교체주기를 체크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중앙서버는 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AED 보관함은 AED 보관함의 문열림, AED 보관함에서 AED의 착탈여부를 체크하며, AED 보관함에서 AED다 꺼내어졌을 경우 이 상황을 중앙서버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 또는 응급구조대로 전송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AED 보관함에서 AED다 꺼내어졌을 경우 AED 보관함은 경고등 점멸 및 부저 알람 울리며 AED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AED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생체신호는 AED에 장착된 SD 카드에 저장되며, 상기 SD 카드를 AED 보관함의 소정 슬롯에 장착함에 의해 AED 보관함은 상기 SD 카드에 저장된 생체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중앙서버는 AED 설치 날자, 설치자, 관리자, 관리시기를 저장, 관리하며, AED 보관함을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 및 이벤트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며, AED 자체점검 결과 및 AED 사용 이력을 저장, 관리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AED 보관함은 AED가 AED 보관함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완료를 중앙서버에게 알리며, 도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은, AED 패드와 상기 AED 패드에 미세 전류를 흘리기 위한 AED패드구동부를 포함하는 AED 구동부를 구비하여, 심폐소생술을 위해 전기충격을 가하도록 이루어진 AED; AED 거치부를 구비하여 AED를 보관 및 관리하며, 상기 AED 거치부는 AED의 구동부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진 AED 보관함; 상기 AED 보관함으로 부터 AED 구동부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으로 부터 AED 구동부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ED는 심전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AED는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SD 메모리카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AED 보관함에 SD 메모리카드가 장착되기 위한 SD카드 포트를 구비한다.
AED보관함은 AED 보관함의 문이 열렸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문열림 검사부를 더 포함하며, 문열림 검사부에서 문이 열렸다고 검사되면, AED보관함은 문 열림 신호를 중앙서버로 송신하며, 중앙서버는 상기 문 열림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AED는 AED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는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됨을 감지하는 AED 사용개시 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AED는 AED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는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됨을 감지되면, AED 사용개시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중앙서버는 AED 사용개시신호를 수신하면, 응급상황발생으로 인식하고, 응급상황발생신호를 응급구조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AED 보관함은,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의 여부를 검사하는 AED 거치여부 검사부를 더 포함며,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졌을 경우, 알람이 울리거나 경고등이 조명되도록 이루어진다.
AED 보관함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지점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AED 보관함과 중앙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지며, AED 보관함이 인터넷 사용이 안되는 지역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AED 보관함에 무선송신기를 장착하고, 인터넷이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에 무선수신기를 장착하여, AED 보관함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공중전화일 수 있다.
AED 보관함은, AED 패드가 기 지정된 교체시기가 다다랐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AED패드 구동부가 검사 프로토콜에 따라 구동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또한, AED 배터리 점검은 배터리가 기 지정된 교체시기가 다다랐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배터리가 방전 또는 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또한, 본 발명은,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AED를 관리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ED 보관함의 AED 구동장치 점검부에서 AED 구동부를 점검하며, AED 보관함의 AED 배터리 점검부에서 배터리 잔량을 점검하는 AED 및 배터리 점검단계; 상기 AED 및 배터리 점검단계의 점검결과를 중앙서버에 보고하며, 중앙서버는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저장하는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상기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후,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관리자 단말기는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은, AED 보관함은 AED보관함 저장부로부터 AED 배터리 교체이력와 AED패드 교체이력 읽어들여, AED 배터리 교체시기와 AED 패드 교체시기를 점검하는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점검단계; 상기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점검단계의 점검결과를 AED 보관함은 중앙서버에 보고하며, 중앙서버는 수신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교체시기 점검결과를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점검 보고단계; 중앙서버에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관리자 단말기는 수신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교체시기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점검 보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AED를 관리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ED 보관함의 문열림 검사부에서 AED 보관함의 문이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문열림이 인지되면, AED 보관함은 문이 열려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중앙서버는 AED 보관함의 문이 열려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열림감시단계; AED 보관함의 AED 거치여부 검사부에서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이 인지되었을 경우, AED 보관함은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거나 알람을 울리며, 중앙서버는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AED 거치여부점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은, AED의 AED 사용개시 감지부로부터 AED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한 AED(100)의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되는 것을 감지하면, AED 구동 개시 신호를 AED 보관함로 전송하며, AED 보관함은 수신된 AED 구동 개시 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AED 구동개시감지단계; 중앙서버는 AED 구동 개시 신호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서버(300)는 응급상황발생으로 인식하며, 응급상황 알림신호를 응급구조 서버로 전송하는 응급상황 알림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AED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로 이루어져, AED를 정기적으로 점검, 관리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든지 사용가능한 상태로 AED가 구비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AED 관리 시스템은 원격지의 관리자가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다수의 AED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원격지에 있는 전문가가 항시 AED를 관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항시 사용가능한 AED가 구비됨은 물론, 다수의 관리요원이 필요없어 인건비 절감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 장치가 AED에 구비되어, 장비의 자체 점검 결과와 배터리 레벨을 AED 보관함으로 전송하고, AED 보관함은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으로 AED를 관리하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AED 보관함은 AED에 구비된 배터리와 패드의 교체주기를 체크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중앙서버는 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항상 동작되는 AED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ED 보관함은 AED 보관함의 문열림, AED 보관함에서 AED의 착탈여부를 체크하며, AED 보관함에서 AED다 꺼내어졌을 경우, 이 상황은 AED를 사용해야 하는 위급상황이던가, AED의 도난 상황이므로, 이 상황을 중앙서버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 또는 응급구조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AED 보관함에서 AED다 꺼내어졌을 경우 AED 보관함은 경고등 점멸 및 부저 알람 울리며 AED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도난을 방지하며, 위급상황을 신속히 대처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AED 보관함은 AED가 AED 보관함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완료를 중앙서버에게 알리도록 이루어져, 관리자, 원격지 의료전문가에게 상황종료 등을 알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ED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생체신호는 AED에 장착된 SD 카드에 저장되며, 상기 SD 카드를 AED 보관함의 소정 슬롯에 장착함에 의해 AED 보관함은 상기 SD 카드에 저장된 생체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원거리 의료전문가가 환자의 상태를 파악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앙서버는 AED 설치 날자, 설치자, 관리자, 관리시기를 저장, 관리하며, AED 보관함을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 및 이벤트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며, AED 자체점검 결과 및 AED 사용 이력을 저장, 관리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AED관리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AED가 위급상황에서 항시 쓸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고발생 즉시 제세동이 가능하도록 관리(액세서리 유무, 배터리 레벨, AED 고장 등)를 할 수 있으며, 다수 AED를 한 관리자가 관리가능하도록 하여 인건비의 절감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터넷 불통지역에서의 AED 보관함과 중앙서버의 통신방법의 일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서 AED의 구동장치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서 AED 보관함 문열림과 AED가 꺼내짐 여부 검사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설명도로, 자동제세동기(AED)(100), AED 보관함(200), 중앙서버(300), 관리자 단말기(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ED(100)는 음성 안내를 받으면서 심폐소생술을 행하게 하는 장치로, 환자의 심장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AED는 AED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보관되며, 사용시는 AED 보관함(200)으로 꺼내져서 사용된다. AED(100)는 심전도, 산소포화도, 맥파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SD 카드에 저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AED(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는 실시간적으로 AED 보관함(200)을 통해 중앙서버(300)로 전송된다. 상기 SD 카드는 환자 이송시, 환자와 함께 전송된다. 또한 AED(100)의 커버의 열림감지 또는 AED 구동 시작버튼 ON 감지시 이를 AED 보관함(200)으로 알리며, AED 보관함(200)은 이를 중앙서버에 알린다. AED(100)와 AED 보관함(2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AED(100)가 AED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유선통신하며 그외의 경우는 무선통신할 수 있다.
AED 보관함(200)은 AED(100)를 관리하고 보관하기 위한 함으로, AED(100)의 구동장치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이상 발생시 중앙서버(300)로 알린다. 또한, AED 보관함(200)의 도어락 개폐여부, AED(100)의 AED 거치부(210)으로부터 탈착여부를 감지하여 중앙서버(300)로 알리며, 경고등(280)을 조명하거나 알람(275)을 울려 주위에 알리고, 이를 통해 AED(100)의 사용 및 도난 여부를 감시한다. 또한, AED 보관함(200)은 SD 카드 포트를 구비하여, SD 카드가 장착되어 환자의 측정 데이터를 중앙서버(300)으로 전송한다.
중앙서버(300)는 각 지점의 AED 보관함(200)으로 부터 정기적으로 AED(100)의 구동장치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보고를 수신하고, 이의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며, 동시에 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알린다. AED 보관함(200)의 도어락이 개폐여부, AED(100)의 AED 거치부(210)으로부터 탈착여부를 AED 보관함(200)으로부터 보고받고 이의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며, 동시에 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알린다. AED 보관함(200)로부터 AED(100)의 커버의 열림감지 또는 AED 구동 시작버튼 ON 감지의 알림을 수신하면,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응급구조 서버(500)으로 응급상황발생을 알린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중앙서버(300)로부터 AED(100)의 구동장치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보고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해 AED(100)의 상태를 언제든 사용가능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400)는 중앙서버(300)로부터 AED 보관함(200)의 도어락이 개폐여부, AED(100)의 AED 거치부(210)으로부터 탈착여부의 보고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해 AED(100)의 도난여부, AED(100)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터넷 불통지역에서의 AED 보관함과 중앙서버의 통신방법의 일예이다.
AED 보관함(200)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지점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AED 보관함(200)과 중앙서버(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한다.
그러나 AED 보관함(200)이 인터넷 사용이 힘든 지역에 설치시는, 도 2에서와 같이, AED 보관함(200)에 무선송신기(205)를 장착하고, 상기 무선송신기(205)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인터넷이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207)에서 수신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억세스 포인트(207)는 무선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억세스 포인트(207)는 공중전화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구성도이다.
AED(100)는 사용자가 음성안내에 따라 AED패드 및 생체신호검출 전극을 환자에게 장착하면, AED(100)는 심전도 등 환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면서 전기충격을 가하여 심장을 다시 뛰게 한다. AED 구동부(110), 생체신호 검출부(130), AED 저장부(150), AED 사용개시 감지부(160), AED 연산처리부(170), 무선송수신부(180),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한다.
AED 구동부(110)는 심장부위에 미세전류를 흘려 자극을 가하기 위한 AED 패드(미도시)와, AED 패드에 미세 전류를 흘리기 위한 AED패드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여, AED 연산처리부(170)로부터의 AED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생체신호 검출부(130)는 생체신호 검출 전극들(미도시)과, 생체신호 전처리부(미도시)을 구비하여, 심전도, 산소포화도, 맥파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잡음제거 및 증폭하는 생체신호의 전처리를 하여, AED 연산처리부(170)로 전송한다. 이렇게 검출된 생체신호는 AED 연산처리부(170)에 의해 AED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AED 저장부(150)는 AED 연산처리부(17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등을 저장한다. AED 저장부(150)는 AED 구동프로그램을 내장한 롬(미도시), 검출된 생체신호 등을 저장하기 위한 SD메모리 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AED 사용개시 감지부(160)는 AED(100)의 커버와 몸체 접촉부분에 센서(미도시)가 장착되어 AED(100)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여 AED 연산처리부(170)로 전송하며, 이를 AED 연산처리부(170)는 무선송수신부(180)를 거쳐 AED 보관함(200)로 전송한다. 또한 AED(100)의 AED 구동시작 버튼(미도시)이 ON되면 이를 감지하여, AED 연산처리부(170)로 전송하며, 이를 AED 연산처리부(170)는 무선송수신부(180)를 거쳐 AED 보관함(200)로 전송한다.
AED 연산처리부(170)는 AED(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 AED(100)의 커버가 열림에 의해 AED 저장부(150)의 AED 구동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AED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AED 구동부(110)로 전송한다. 또한, 생체신호 검출부(1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장착된 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시간으로 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AED 보관함(200)로 전송한다. 또한, AED 사용개시 감지부(160)로부터 AED커버 열림 감지신호 및 AED 구동시작 ON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AED 보관함(200)로 전송한다.
AED 보관함(200)은 AED(100)를 관리하고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AED 거치부(210),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 SD카드 포트(265), 문열림 검사부(260), AED보관함 저장부(270), 알람(275), 경고등(280), 무선 송수신부(285)를 포함한다.
AED 거치부(210)는 AED(100)를 AED 보관함(200) 내에 거치대위에 놓아서 보관하며, AED 구동장치 및 AED 배터리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언제든 AED(1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관리하기위한 수단으로, AED 구동장치 점검부(220), AED 배터리 점검부(230), AED 거치여부 검사부(240)를 포함한다.
AED 구동장치 점검부(220)는 AED 구동부(110)가 제대로 구동하고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AED 구동장치 점검부(220)는 점검 지그(미도시)를 다수개 구비하여, 상기 점검 지그와 AED 구동부(110)의 소정 위치가 접촉되어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검 지그는 점검시에만 AED 구동부(110)와 연결되어 검사하거나, 아니면 AED 거치부(210)에 AED(100)가 장착되어 상기 점검 지그는 항시 AED 구동부(110)와 연결되어 모니터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점검 지그는 막대형으로, AED 거치부(210)의 상방 또는 하방에 부착되어 있어, AED 거치부(210)에 AED(100)를 장착시, AED(100)의 외관에 위치된 소정 홀을 통해 AED(100)에 삽입되어, 점검 지그와 AED 구동부(110)의 소정위치가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며, AED패드 구동부의 검사는 AED패드 구동부가 점검 지그와 AED 구동부(110)의 소정 연결부에서 소정의 전류가 출력되는지, 그리고 AED패드로 소정 전류가 인입되는지를 체크한다.
AED 구동장치 점검은 AED 패드(미도시)가 기 지정된 교체시기가 다다랐는지 여부와, AED패드 구동부(미도시)가 소정 검사 프로토콜에 따라 제대로 구동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AED패드 구동부의 검사는 AED 구동장치 점검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AED 패드 교체시기에 관한 검사는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에서 AED보관함 저장부(270)로부터 교체 이력데이터를 읽어들여 검사한다.
AED 배터리 점검부(230)는 배터리 잔량 체크회로를 구비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적으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함으로써, 이를 중앙서버(300)으로 알린다.
AED 배터리 점검은 배터리(미도시)가 기 지정된 교체시기가 다다랐는지 여부와, 배터리(미도시)가 방전 또는 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배터리의 방전 또는 노화의 검사는 AED 배터리 점검부(230)를 통해 이루어지며, 배터리 교체시기에 관한 검사는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에서 AED보관함 저장부(270)로부터 교체 이력데이터를 읽어들여 검사한다.
AED 거치여부 검사부(240)는 AED(100) 저면와, AED 거치부(210)에서 AED(100) 저면과의 접촉면에 센서를 장착하여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짐의 여부를 감지하여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로 알리며,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이를 중앙서버(300)로 알린다.
문열림 검사부(260)는 AED 보관함(200)의 문과 문틀사이에 센서가 장착되어, AED 보관함(200)의 문의 도어락이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로 포토센서 또는 저항센서를 사용가능하다.
SD카드 포트(265)는 AED(100)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저장한 SD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기위한 포트로,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상기 생체신호를 읽어들여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AED보관함 저장부(270)는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로 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AED 교체이력, AED 배터리 교체이력, AED패드 교체이력, AED 사용년월일 등을 저장한다.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SD카드 포트(265)를 통해 SD메모리 카드에서 입력된 생체신호 또는 AED(100)로부터 무선송수신부(285)를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AED보관함 저장부(270)로부터 AED 배터리 교체이력와 AED패드 교체이력 읽어들여, AED 배터리 교체시기와 AED 패드 교체시기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AED 구동장치 점검부(220) 로부터 AED 구동부(110)의 점검결과를 수신하고, AED 배터리 점검부(230)로 부터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수신하고, 이들 결과를 AED보관함 저장부(270)에 저장하며, 동시에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문열림 검사부(260)로부터 AED 보관함(200)의 문의 도어락이 개폐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이 이력을 AED보관함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또한, 알람(275) 또는 경고등(280)을 구동시킨다. AED 거치여부 검사부(240)로부터 AED(100)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이 이력을 AED보관함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또한, 알람(275)을 울리며 경고등(280)을 조명한다.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AED(100)로부터 AED(100)의 커버 열림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AED(100)로부터 AED 구동시작 ON신호를 수신하면, 이들을 중앙서버(300)에 알리며, 중앙서버(300)는 응급상황발생으로 이를 인식하여, 응급상황발생신호를 응급서버(500)로 알린다.
중앙서버(300)는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로 부터 수신된 AED 배터리 교체시기와 AED 패드 교체시기의 점검 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중앙서버(300)는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로부터 AED 보관함(200)의 문의 도어락이 개폐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와 AED(100)가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이 이력을 저장하고, 또한, 응급구조 서버(500)로 전송하여 응급상황임을 알린다. 또한 중앙서버(300)는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응급구조 서버(500)로도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중앙서버(300)로 부터 수신된 AED 배터리 교체시기와 AED 패드 교체시기의 점검 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중앙서버(300)로 부터 수신된 AED 보관함(200)의 문의 도어락이 개폐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와 AED(100)가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이력을 저장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각 지점의 AED(100)과 AED 보관함(200)의 상태를 점검하고 교체, 수리 등의 관리를 행한다.
도 4는 도 3의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서 AED의 구동장치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흐름도이다.
AED 점검 단계로, AED 보관함(200)의 AED 구동장치 점검부(220)에서 AED 구동부(110)를 점검한다(S110).
배터리 점검단계로, AED 보관함(200)의 AED 배터리 점검부(230)에서 배터리 잔량을 점검한다(S115).
중앙서버(300)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로, AED 점검 단계(S110) 및 배터리 점검단계(S115)의 점검결과를 중앙서버(300)에 보고한다(S120).
중앙서버(300)에 AED 및 배터리 점검이력 저장단계로, 중앙서버(300)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S120)에서 수신된 AED 구동부(110)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의 이력을 중앙서버(300)에 저장한다(S125).
관리자 단말기(400)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로, 중앙서버(300)에서 AED 구동부(110)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130).
관리자 단말기(400)에 AED 및 배터리 점검이력 저장단계로, 관리자 단말기(400)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S130)에서 수신된 AED 구동부(110)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의 이력을 관리자 단말기(400)에 저장한다(S135).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점검단계로, AED 보관함(200)의 AED보관함 연산처리부(250)는 AED보관함 저장부(270)로부터 AED 배터리 교체이력와 AED패드 교체이력 읽어들여, AED 배터리 교체시기와 AED 패드 교체시기를 점검한다(S140).
중앙서버(300)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점검 보고단계로,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점검단계의 점검결과를 중앙서버(300)에 보고한다(S145).
중앙서버(300)에 AED 및 배터리 교체시기이력 저장단계로,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알림단계(S145)에서 수신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교체시기 점검결과의 이력을 중앙서버(300)에 저장한다(S150).
관리자 단말기(400)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 알림단계로, 중앙서버(300)에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155).
관리자 단말기(400)에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 이력 저장단계로, 관리자 단말기(400)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 알림단계(S150)에서 수신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의 이력을 관리자 단말기(400)에 저장한다(S160).
도 5는 도 3의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에서 AED 보관함 문열림과 AED가 꺼내짐 여부 검사에 따른 흐름도이다.
문열림감시단계로, AED 보관함(200)의 문열림 검사부(260)에서 AED 보관함(200)의 문이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10).
중앙서버로의 문열림 알림단계로, 문열림감시단계(S210)의 결과로 문열림이 인지되면, 문이 열려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한다(S215).
관리자단말기로의 문열림 알림단계로, 중앙서버(300)에서 AED 보관함(200)의 문이 열려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자단말기(400)로 전송하고(S220), 관리자단말기(400)에 AED 보관함(200)의 문 열림의 이력을 저장한다(S225).
AED 거치여부점검단계로, AED 거치여부 검사부(240)에서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짐의 여부를 검사한다(S230).
중앙서버로 AED 꺼내짐알림단계로, AED 거치여부점검단계에서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짐이 인지되었을 경우, AED 보관함(200)은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며(S235), 경광등을 점멸하고 및 알람을 울린다(S240).
관리자 단말기로 AED 꺼내짐알림단계로, 중앙서버(300)는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며(S245), 중앙서버(300)에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져 사용됨에 따른 이력을 저장한다(S250).
관리자 단말기에의 AED 사용이력 저장단계로, 관리자 단말기(400)는 AED(100)가 AED 거치부(210)로부터 꺼내져 사용됨에 따른 이력을 저장한다(S255).
AED구동 개시단계로, AED(100)의 AED 사용개시 감지부(160)로부터 AED(100)의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며 또한 AED(100)의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되는 것을 감지하며(S260), AED(100)의 커버 열림신호를 포함하는 AED구동개시 신호를 AED 보관함(200)로 전송한다(S265).
응급상황 알림단계로, AED 보관함(200)은 AED(100)의 커버 열림신호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하며(S270), 중앙서버(300)는 이를 응급상황으로 추정하며, 응급상황 알림신호를 응급구조 서버로 전송한다(S275).
생체신호검출 및 AED 구동단계로, AED(100)의 생체신호 검출부(130)로부터 생체신호를 검출하며, AED 구동부(110)를 구동시켜 AED를 행하며(S280), 검출된 생체신호를 SD카드에 저장한다(S285).
생체신호 전송단계로, AED(100)에서 검출된 생체신호가 AED 보관함(200)으로 무선전송되거나, AED(100)에 장착되어 검출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SD카드를 SD카드포트(265)에 장착하여 생체신호를 읽어들이게 하며(S287), AED 보관함(200)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중앙서버(300)으로 전송하며(S290), 중앙서버(300)는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S295), 응급구조 서버로 전송한다(S297).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자동제세동기(AED) 110:AED 구동부 130:생체신호 검출부
150:AED 저장부 160:AED 사용개시 감지부 170:AED 연산처리부
180:무선송수신부 200:AED 보관함 205:무선송신기
207:억세스 포인트 210:AED 거치부 250:AED보관함 연산처리부
260:문열림 검사부 265:SD카드 포트 270:AED보관함 저장부
275:알람 280:경고등 285:무선 송수신부
300:중앙서버 400:관리자 단말기

Claims (21)

  1. AED 패드와 상기 AED 패드에 미세 전류를 흘리기 위한 AED패드구동부를 포함하는 AED 구동부를 구비하여, 심폐소생술을 위해 전기충격을 가하도록 이루어진 AED;
    AED 거치부를 구비하여 AED를 보관 및 관리하며, 상기 AED 거치부는 AED의 구동부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진 AED 보관함;
    상기 AED 보관함으로 부터 AED 구동부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으로 부터 AED 구동부의 이상여부 점검 및 배터리 점검의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ED는 심전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검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ED는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SD 메모리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ED 보관함에 SD 메모리카드가 장착되기 위한 SD카드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AED보관함은 AED 보관함의 문이 열렸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문열림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문열림 검사부에서 문이 열렸다고 검사되면, AED보관함은 문 열림 신호를 중앙서버로 송신하며,
    중앙서버는 상기 문 열림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AED는 AED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는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됨을 감지하는 AED 사용개시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AED는 AED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는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됨을 감지되면, AED 사용개시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중앙서버는 AED 사용개시신호를 수신하면, 응급상황발생으로 인식하고, 응급상황발생신호를 응급구조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은,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의 여부를 검사하는 AED 거치여부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은,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졌을 경우, 알람이 울리거나 경고등이 조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지점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AED 보관함과 중앙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이 인터넷 사용이 안되는 지역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AED 보관함에 무선송신기를 장착하고,
    인터넷이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에 무선수신기를 장착하여,
    AED 보관함의 무선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공중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은,
    AED 패드가 기 지정된 교체시기가 다다랐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AED패드 구동부가 검사 프로토콜에 따라 구동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은,
    AED 배터리 점검은 배터리가 기 지정된 교체시기가 다다랐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배터리가 방전 또는 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17.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AED를 관리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ED 보관함의 AED 구동장치 점검부에서 AED 구동부를 점검하며, AED 보관함의 AED 배터리 점검부에서 배터리 잔량을 점검하는 AED 및 배터리 점검단계;
    상기 AED 및 배터리 점검단계의 점검결과를 중앙서버에 보고하며, 중앙서버는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저장하는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상기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후,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관리자 단말기는 AED 구동부 점검결과 및 배터리잔량 점검결과를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로의 AED 및 배터리 점검 보고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AED 보관함은 AED보관함 저장부로부터 AED 배터리 교체이력와 AED패드 교체이력 읽어들여, AED 배터리 교체시기와 AED 패드 교체시기를 점검하는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점검단계;
    상기 패드 및 배터리 교체주기 점검단계의 점검결과를 AED 보관함은 중앙서버에 보고하며, 중앙서버는 수신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교체시기 점검결과를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중앙서버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점검 보고단계;
    중앙서버에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잔량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관리자 단말기는 수신된 AED 패드 교체시기 점검결과, 배터리 교체시기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하는 관리자 단말기로의 AED 및 배터리 교체주기점검 보고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
  19. AED, AED 보관함, 중앙서버,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AED를 관리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ED 보관함의 문열림 검사부에서 AED 보관함의 문이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문열림이 인지되면, AED 보관함은 문이 열려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중앙서버는 AED 보관함의 문이 열려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열림감시단계;
    AED 보관함의 AED 거치여부 검사부에서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이 인지되었을 경우, AED 보관함은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거나 알람을 울리며, 중앙서버는 AED가 AED 거치부로부터 꺼내짐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AED 거치여부점검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AED의 AED 사용개시 감지부로부터 AED의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한 AED(100)의 AED 구동시작 버튼이 ON되는 것을 감지하면, AED 구동 개시 신호를 AED 보관함로 전송하며, AED 보관함은 수신된 AED 구동 개시 신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AED 구동개시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중앙서버는 AED 구동 개시 신호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서버(300)는 응급상황발생으로 인식하며, 응급상황 알림신호를 응급구조 서버로 전송하는 응급상황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 관리 방법.


KR1020110089322A 2011-09-04 2011-09-04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KR20130026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22A KR20130026006A (ko) 2011-09-04 2011-09-04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22A KR20130026006A (ko) 2011-09-04 2011-09-04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06A true KR20130026006A (ko) 2013-03-13

Family

ID=4817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22A KR20130026006A (ko) 2011-09-04 2011-09-04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60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90B1 (ko) * 2013-04-05 2015-02-12 (주)에이이디스토어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
CN104635542A (zh) * 2015-01-09 2015-05-20 久心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远程监测和定位功能的除颤器监测系统
WO2018074737A1 (ko) * 2016-10-19 2018-04-26 루씨엠(주)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원격 통합 관리 플랫폼
CN108777170A (zh) * 2018-07-14 2018-11-09 深圳市安择救援科技有限公司 一种长效智能化aed设备资源管理系统
CN110361989A (zh) * 2018-04-11 2019-10-22 上海救要救信息科技有限公司 自动体外除颤器管理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90B1 (ko) * 2013-04-05 2015-02-12 (주)에이이디스토어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
CN104635542A (zh) * 2015-01-09 2015-05-20 久心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远程监测和定位功能的除颤器监测系统
WO2018074737A1 (ko) * 2016-10-19 2018-04-26 루씨엠(주)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원격 통합 관리 플랫폼
CN110361989A (zh) * 2018-04-11 2019-10-22 上海救要救信息科技有限公司 自动体外除颤器管理系统
CN108777170A (zh) * 2018-07-14 2018-11-09 深圳市安择救援科技有限公司 一种长效智能化aed设备资源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2307B2 (ja) 分離可能モニタリングデバイス
US7510526B2 (en) Medical device information system
US6658290B1 (en) Public access defibrillator
JP6795210B2 (ja) 不整脈発現の緊急調査を行うためにフラグを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26006A (ko)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US20080250166A1 (en) Medical Device Status Information System
US20060149321A1 (en) Medical device information system
US20040162586A1 (en) Defibrillator electrodes with identification tags
CN108883288B (zh) 用于自动体外除颤器(aed)的外部就绪监测器中的故障识别逻辑
US20020103508A1 (en) Remotely operated defibrillator
WO2009034506A1 (en) Remote status indicator for a defibrillator
WO2006073849A1 (en) Medical device tracking system
JP2007520273A (ja) 適合型生理学的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使用する方法
JP6532859B2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における意図しない電池切れの防止
US5955956A (en) Audible alarm system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P2019502426A5 (ko)
KR20160012239A (ko)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171686A (zh) 一种智能可穿戴医疗设备及家庭便携式实时监测系统
EP3525878B1 (en) Failed diagnostic test alert override in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KR101594750B1 (ko) 응급상황시 전문의료인과 자동연결되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EP1727594A1 (en) A defibrillator device with a remote region on its casing
CN109843375B (zh) 用于自动体外除颤器(aed)的一次性检测器
KR100989070B1 (ko)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EP2939707B1 (en) Medical apparatus
GB2581221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18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8

Effective date: 2018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