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43A -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543A
KR20130025543A KR1020110088912A KR20110088912A KR20130025543A KR 20130025543 A KR20130025543 A KR 20130025543A KR 1020110088912 A KR1020110088912 A KR 1020110088912A KR 20110088912 A KR20110088912 A KR 20110088912A KR 20130025543 A KR20130025543 A KR 2013002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groove
pipe
drain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2011008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543A/ko
Publication of KR2013002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보울트와 너트로 조여진 양변기 배수구(1)의 하부에는 요홈테(4)를 가진 연결접속판(3)이 끼워져 있고, 상기 연결접속판(3)의 상면에 요홈테(4)와 상향돌출턱(5)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접속관(7)이 일체로 형성하며 이의 요홈테(4)에는 저면에 요철면(8')과 상단에 절곡단부(9)를 갖는 패킹(8)을 삽입 부착하여서 요철면(8')은 요홈테(4)의 전체면을, 절곡단부(9)는 배수구(1)와 지지판(1')의 직각단부(10)에 각각 압접되게 하고 전단부(11)는 돌출턱(5) 위에 받쳐진 상태로 배수구(1) 단부에 압입 접속되어 있는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7)의 양측벽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절개된 수직홈(7a)과, 상기 수직홈(7a)의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수평홈(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7)의 외주면에는 접속관(7)의 상기 수직홈(7a) 및 수평홈(7b)을 통해 접속관(7)의 하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원통형의 배수관 연결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양변기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연결접속판의 접속관의 하부에 접속되는 배수관 연결부재를 매개로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배수관이 어떠한 사이즈이든지 호환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OF DRAIN PIPE FOR TOILET STOOL}
본 발명은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접속판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관의 하부에 접속되는 배수관 연결부재를 매개로 어떠한 사이즈의 내경을 가진 배수관이라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배수관(2)에 연결 접속판(3)을 끼우고 그 위에 양변기 배수구(1)를 위치시켜 보울트와 너트로 조여 일체가 되게 체결한다.
상기 연결접속판(3)의 상면에 요홈테(4)와 상향돌출턱(5)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삽지홈(6)을 가진 접속관(7)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의 요홈테(4)에는 저면에 요철면(8')과 상단에 절곡단부(9)를 갖는 패킹(8)을 삽입 부착하여서 요철면(8')은 요홈테(4)의 전체면을, 절곡단부(9)는 배수구(1)와 지지판(1')의 직각단부(10)에 각각 압접되게 하고 전단부(11)는 돌출턱(5) 위에 받쳐진 상태로 배수구(1)단부에 압접되게 한다.
또한, 삽지홈(6)에는 하부로 요홈이 형성된 원주형 패킹(12)을 삽입 부착하여 원주형 패킹(12)의 평면부와 내측 절곡부는 접속관(7)과 접속되는 배수관(2)의 상단을, 수직부는 배수관(2)의 외주연을 각각 압접되게 하여서 이들 접속부위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고정보울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양변기 배수구 연결장치는, 양변기 배수구(1)의 하단부에 연결접속판(3)을 사이에 두고 지면에 매설된 배수관(2)과 연결하게 되는바, 상기 연결접속판(3)의 하부 접속관(7)의 사이즈, 즉 내경은 규격화되어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 접속관(7)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관(2)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배수관(2)의 내경이 접속관(7)의 외경보다 월등히 큰 경우, 이들 접속관(7)과 배수관(2) 사이에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속관(7)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배수관(2)이 접속관(7)의 외경보다 월등히 큰 경우 배수관(2)의 내경에 맞는 접속관(7)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제작에 따른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다양한 크기의 배수관(2)에 맞도록 접속관(7)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제작하는 것은 번거롭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접속판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관의 하부에 접속되는 배수관 연결부재를 매개로 어떠한 사이즈의 내경을 가진 배수관이라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는, 지면에 보울트와 너트로 조여진 양변기 배수구의 하부에는 요홈테를 가진 연결접속판이 끼워져 있고, 상기 연결접속판의 상면에 요홈테와 상향돌출턱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접속관이 일체로 형성하며 이의 요홈테에는 저면에 요철면과 상단에 절곡단부를 갖는 패킹을 삽입 부착하여서 요철면은 요홈테의 전체면을, 절곡단부는 배수구와 지지판의 직각단부에 각각 압접되게 하고 전단부는 돌출턱 위에 받쳐진 상태로 배수구 단부에 압입 접속되어 있는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양측벽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절개된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수평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직홈 및 수평홈을 통해 접속관의 하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원통형의 배수관 연결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 연결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배수관이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연결접속판의 요홈테 하면과 밀착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며, 그 내측벽 양측에 수평방향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접속관의 수직홈을 통해 삽입되어 수평홈에 삽입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양변기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연결접속판의 접속관의 하부에 접속되는 배수관 연결부재를 매개로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배수관이 어떠한 사이즈이든지 호환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배수구에 연결장치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양변기의 배수구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구 연결장치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는, 지면에 보울트와 너트로 조여진 양변기 배수구(1)의 하부에는 요홈테(4)를 가진 연결접속판(3)이 끼워져 있고, 상기 연결접속판(3)의 상면에 요홈테(4)와 상향돌출턱(5)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접속관(7)이 일체로 형성하며 이의 요홈테(4)에는 저면에 요철면(8')과 상단에 절곡단부(9)를 갖는 패킹(8)을 삽입 부착하여서 요철면(8')은 요홈테(4)의 전체면을, 절곡단부(9)는 배수구(1)와 지지판(1')의 직각단부(10)에 각각 압접되게 하고 전단부(11)는 돌출턱(5) 위에 받쳐진 상태로 배수구(1)단부에 압접되게 한다.
상기 접속관(7)의 양측벽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절개된 수직홈(7a)과, 상기 수직홈(7a)의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수평홈(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관(7)의 외주면에는 접속관(7)의 하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원통형의 배수관 연결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 연결부재(50)는 외주면에 상기 배수관(2)이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연결접속판(3)의 요홈테(4) 하면과 밀착되는 플렌지부(51)가 형성되고, 그 내측벽 양측에 수평방향의 돌기(52)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7)의 수직홈(7a)을 통해 삽입되어 수평홈(7b)에 삽입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는, 상기 접속관(7)의 외경과 배수관(2)의 내경이 삽입 가능하게 동일하지 않아, 즉 배수관(2)의 내경이 접속관(7)의 외경보다 훨씬 커서 서로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접속관(7)의 외경에 수직홈(7a)과 수평홈(7b)을 통해 배수관 연결부재(50)를 결합하고, 이 배수관 연결부재(50)의 외주면, 즉 외경에 맞는 배수관(2)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접속관(7)의 사이즈는 규격화되어 있으나 상기 배수관(2)의 내경 사이즈는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즉 접속관(7)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게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접속관(7)과 배수관(2)의 사이에 배수관 연결부재(50)를 설치하여 접속관(7)에 배수관(2)을 연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2 : 배수관 3 : 연결접속판
4 : 요홈테 8 : 패킹
7 : 접속관 7a : 수직홈
7b : 수평홈 50 : 배수관 연결부재
51 : 플렌지부 52 : 돌기

Claims (2)

  1. 지면에 보울트와 너트로 조여진 양변기 배수구(1)의 하부에는 요홈테(4)를 가진 연결접속판(3)이 끼워져 있고, 상기 연결접속판(3)의 상면에 요홈테(4)와 상향돌출턱(5)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접속관(7)이 일체로 형성하며 이의 요홈테(4)에는 저면에 요철면(8')과 상단에 절곡단부(9)를 갖는 패킹(8)을 삽입 부착하여서 요철면(8')은 요홈테(4)의 전체면을, 절곡단부(9)는 배수구(1)와 지지판(1')의 직각단부(10)에 각각 압접되게 하고 전단부(11)는 돌출턱(5) 위에 받쳐진 상태로 배수구(1) 단부에 압입 접속되어 있는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7)의 양측벽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절개된 수직홈(7a)과, 상기 수직홈(7a)의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개된 수평홈(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7)의 외주면에는 접속관(7)의 상기 수직홈(7a) 및 수평홈(7b)을 통해 접속관(7)의 하부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원통형의 배수관 연결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연결부재(50)는 외주면에 상기 배수관(2)이 결합되고;
    그 상단은 상기 연결접속판(3)의 요홈테(4) 하면과 밀착되는 플렌지부(51)가 형성되며, 그 내측벽 양측에 수평방향의 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52)는 상기 접속관(7)의 수직홈(7a)을 통해 삽입되어 수평홈(7b)에 삽입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KR1020110088912A 2011-09-02 2011-09-02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KR20130025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12A KR20130025543A (ko) 2011-09-02 2011-09-02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12A KR20130025543A (ko) 2011-09-02 2011-09-02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43A true KR20130025543A (ko) 2013-03-12

Family

ID=4817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912A KR20130025543A (ko) 2011-09-02 2011-09-02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5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066B1 (ko) * 2015-01-27 2016-06-02 명 균 이 양변기 본체와 배관을 연결하는 스쿼드
KR20230159956A (ko) * 2022-05-16 2023-11-2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배수통로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066B1 (ko) * 2015-01-27 2016-06-02 명 균 이 양변기 본체와 배관을 연결하는 스쿼드
KR20230159956A (ko) * 2022-05-16 2023-11-2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배수통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8480B2 (ja) 洋式便器用フランジ構造
KR20130025543A (ko) 양변기의 배수관 연결장치
KR101081380B1 (ko) 가로등 기초 구조물
JP5394312B2 (ja) 貯湯装置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971165B1 (ko)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1676014B1 (ko) 천장 매립등
CN202215875U (zh) 快易推进式接头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200484398Y1 (ko)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스텐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JP4404254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JP6086209B2 (ja) 排水管接続部材
KR101423572B1 (ko) 태양광모듈의 단자박스 터미널 구조
KR100985990B1 (ko)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JP2014189996A (ja) 水栓装置
KR200482061Y1 (ko) Pb 파이프 연결 소켓
KR20100073424A (ko) 파이프 연결구용 이탈방지링
KR100623390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0572064B1 (ko) 배수관 연결구조
KR200336025Y1 (ko) 관 연결구
JP6252736B2 (ja) 給水用コンセント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5485318B2 (ja) 車両用灯体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