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249A -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249A
KR20130025249A KR1020110088655A KR20110088655A KR20130025249A KR 20130025249 A KR20130025249 A KR 20130025249A KR 1020110088655 A KR1020110088655 A KR 1020110088655A KR 20110088655 A KR20110088655 A KR 20110088655A KR 20130025249 A KR20130025249 A KR 20130025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loor
floor
electric vehicle
cross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현수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08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249A/en
Publication of KR2013002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2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to reduce an assembling process by using a structural adhesive in a rear floor panel and a rear floor flame. CONSTITUTION: A rear floor(310) forms the rear bottom of an electric vehicle and is made of aluminum. A rear floor frame is combin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rear floor using a structural adhesive. The rear floor frame includes a rear floor bottom frame(320b) and a rear floor top frame(320a).

Description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경량화를 위한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for the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body.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A car is a means of transporting passengers or cargo on the road by producing power from its engine and transmitting it to the wheels. Automobiles can be divided into a chassis (body) and the various device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form a large appearance. The chassis includes the main engines such as power transmission, steering, suspension and braking, as well as the automobile engine that drives driving.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The engine is the driving force for running the automobile. Most automotive engines are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the most common example of a reciprocating engin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ding one cycle by four strokes of suction, compression, explosion, and exhaust.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mainly uses volatile fuel, obtains the kinetic energy by directly using the heat energy generated when the fuel is mixed with the oxygen in the air to be completely burned and then burned.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대두되었다. 전기자동차는 배기 가스나 소음이 없는 무공해 자동차이다. 그러나 높은 생산비용, 낮은 운행속도 그리고 짧은 운행거리로 인해 그동안 실용화되지 못해왔다.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ing these volatile fuels have cause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haustion of petroleum resources due to exhaust gas, and as an alternative, electric vehicles powered by electricity have emerged. Electric vehicles are pollution-free cars with no emissions or noise. However, high production costs, low running speeds and short running distances have not been practical.

이러한 전기자동차에도 종래의 차량의 차체를 사용한다. 종래의 차체는 리어 플로어 프레임의 상부에 일반강 재질로 형성된 리어 플로어가 결합된다. 이 경우 일반 강으로 형성된 리어 플로어에 의하여 차량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연비가 낮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Such an electric vehicle also uses a vehicle body of a conventional vehicle. Conventional vehicle body is coupled to the rear floor formed of a general steel material on top of the rear floor frame.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due to the rear floor formed of ordinary steel, such that fuel economy is lowe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체의 중량을 절감시킨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that reduced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차량의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리어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의 하부와 결합하는 리어 플로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 프레임은 구조용 접착제로 결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loor and the rear floor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A rear floor frame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rear floor, wherein the rear floor and the rear floor frame are joined with a structural adhesiv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리어 플로어 패널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차량의 경량화에 따른 연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rear floor panel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fuel econom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improved.

둘째, 리어 플로어 패널과 리어 플로어 프레임의 구조를 독립시킴으로써 견고한 리어 플로어 프레임을 형성하여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by forming a rigid rear floor frame by separat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rear floor frame.

셋째, 리어 플로어 패널과 리어 플로어 프레임을 구조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바 결합공정이 단축되는 장점도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nding process is shortened by combining the rear floor panel and the rear floor frame using a structural adhesi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차체의 일부를 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프레임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후방차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om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floor fram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rear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om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모터 및 동력전달 계통의 부품을 탑재하는 전방 차체(100)와, 탑승자가 승차하여 착석할 수 있는 중앙 차체(200),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후방 차체(300)를 포함한다.1 to 3,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body 100 in which a part of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mounted, and a central body 200 in which a passenger may ride and sit. ), The rear body 300 that can store spare tires and other things.

차체는 닫힌 공간을 만들어 그 내부에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탑승자나 화물을 수용한다. 일부를 개폐시켜 탑승자나 화물의 출입, 각종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도 있다. 외부의 비나 바람, 먼지 등에서 탑승자나 화물,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작용이다. 또한, 차체는 외관으로서 차체의 형상은 그대로 전기자동차의 형상으로 된다.The hull creates a closed space to place various devices inside and to accommodate occupants or cargo.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a part to facilitate occupants, cargo access, and maintenance of various devices. It is also important to protect occupants, cargo, and various devices from rain, wind, and dus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vehicle body is an appearance, and the shape of the vehicle body is in the shape of an electric vehicle as it is.

전방 차체(100)는 우물 정(井)자를 형성하며 모터 및 변속기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에는, 전기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110)와,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120)가 구비된다.The front vehicle body 100 forms well wells and is provided with a motor and a transmission. The front vehicl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teering device 110 that adjust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ront wheel in order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front wheel suspension device 120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vehicle body.

전방 차체(100)는 모터나 변속기, 각종 보조 기구류 등의 중량물이 집중되어 탑재되는 것을 비롯하여 전륜 현가 장치(120)의 앞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륜 구동 전기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전방 차체(100)가 담당한다.The front vehicle body 100 needs to support the front wheel of the front wheel suspension apparatus 120, including the heavy weight of a motor, a transmission, and various auxiliary apparatuses, and is mounted. In addition, in the front wheel drive electric vehicle, the driving force is also in charge of the front vehicle body 100.

전방 차체(100)는 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강아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차실에 강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전방 차체(100)의 각 부품은 전방 차체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거나 용접되어 있으며, 프론트 펜더, 후드등 외판 부품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front vehicle body 100 is broken when the dog is impacted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to absorb the shock so that a strong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abin. Each part of the front vehicle body 100 is fixed or welded to the front vehicle body with bolts or nuts, and is capable of separating only the outer plate parts such as the front fender and the hood.

조향 장치(110)는 전기자동차를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The steering device 110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ront wheel to drive the electric vehicle in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driver.

전륜 현가 장치(120)는 차체에 대하여 앞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The front wheel suspension apparatus 120 supports the front wheel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by appropriate rigidity in directions other than up and down, and supports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a spring and a damping mechanism.

중앙 차체(200)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210)와, 프론트 플로어(210) 가운데 구비되며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부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 패널(229)을 포함한다.The central vehicle body 200 includes a front floor 210 forming a front bottom, a tunnel 230 provided in the front floor 210, on which a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and both edges of the front floor 210. It includes a side seal panel 229 provided in the to form a lower side.

중앙 차체(200)는 대부분 차실, 즉 탑승자 등이 탑승하는 장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은 될수록 크게 한다.Since the central body 200 is mostly a cabin, i.e., a place for occupants, the interior space is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프론트 플로어(2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좌우에는 각 필러의 베이스가 되는 사이드 실 패널(229)이 앞에서 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가운데에는 터널(230)이 구비된다.The front floor 210 is a floor in the vehicle interior and is a panel having high strength and a large area. Side seal panels 229 serving as bases of the pillars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floor 210 from front to back. The tunnel 23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floor 210.

터널(230)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도록 상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터널(230)의 양측은 프론트 플로어(210)와 결합된다.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는 배터리 모듈(410)을 지지하는 배터리 캐리어(420)가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볼트 또는 너트로 터널(230)에 결합된다.The tunnel 230 is led upwardly so that 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Both sides of the tunnel 230 are coupled with the front floor 210. The tunnel 230 and the front floor 210 are preferably joined by welding. The battery carrier 420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41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dge of the tunnel 230. The battery carrier 420 is coupled to the tunnel 230 with a bolt or nut.

사이드 실 패널(229)은 사각 단면 구조로서 프론트 필러(미도시), 센터 필러(미도시) 또는 리어 휠 하우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The side seal panel 229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may include a front pillar (not shown), a center pillar (not shown), or a rear wheel house (not shown). The side seal panel 229 is coupled to both edges of the front floor 210.

후방 차체(300)는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를 포함한다. 후방 차체(300)에는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후륜 현가 장치(330)가 구비된다.The rear body 300 includes a rear floor 310 that forms a rear bottom. The rear vehicle 300 is provided with a rear wheel suspension 330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directly touching the vehicle body.

후방 차체(300)는 후륜 현가 장치(330)의 뒷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륜 구동 전기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후방 차체(300)가 담당한다.The rear body 300 needs to support the rear wheel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330. In addition, the rear vehicle 300 is responsible for the driving force in the rear wheel drive electric vehicle.

후륜 현가 장치(330)는 차체에 대하여 뒷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The rear suspension unit 330 supports the rear wheel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an appropriate rigidity,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upported by a spring and a damping mechanism.

배터리 모듈(410)은 전류를 공급한다. 배터리 모듈(410)은 리튬/이온 셀이 복수로 연결된 것이다. 배터리 모듈(4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 차체(200)의 터널(230) 및 후방 차체(300)의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ttery module 410 supplies a current. The battery module 410 is a plurality of lithium / ion cells are connected. The battery module 410 is formed in a T-shape, and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tunnel 230 of the central vehicle 200 and the rear floor 310 of the rear vehicle 300.

배터리 캐리어(420)는 배터리 모듈(410)을 지지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중앙 차체(200) 및 후방 차체(30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ttery carrier 420 supports the battery module 410. The battery carrier 42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entral body 200 and the rear body 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차체의 일부를 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후방 차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프레임을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floor fram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고, 차량의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리어 플로어(310)와 리어 플로어(310)의 하부와 결합되는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리어 플로어(310)와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은 구조용 접착제로 결합되며, 구조용 접착제는 페놀 수지계 또는 에폭시 수지계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용 접착제는 에폭시-페놀 수지계, 페놀-니트릴 고무계, 우레탄 수지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조용 접착제는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장시간 동안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자연환경에 노출되어도 자신의 접착력을 잃지 않는다.4 to 7,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loor 310 and a rear in which a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forms a rear side bottom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of aluminum. And a rear floor frame 320 coupled with the bottom of the floor 310. The rear floor 310 and the rear floor frame 320 are bonded with a structural adhesive, and the structural adhesive is made of phenol resin or epoxy resin.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al adhesive may be made of epoxy-phenol resin, phenol-nitrile rubber, urethane resin, or the like. Structural adhesives exhibit high strength even at high temperatures, can withstand large loads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and do not lose their adhesion even when exposed to natural environments.

리어 플로어(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측 바닥으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중량이 가벼운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r floor 310 is a rear surface of the vehicle, which is formed of aluminum, and is a panel having high strength and light area with light weight.

리어 플로어(310)는 보강 크로스 멤버(325)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패널(310a)과 보강 크로스 멤버(325)의 후방에 배치되고 스페어 타이어가 구비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310c)가 형성되는 후방패널(310b)을 포함한다.The rear floor 310 is a front panel 310a disposed in front of the reinforcement cross member 325 and a rear pane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inforcement cross member 325 and having a spare tire mounting portion 310c having a spare tire formed thereon. 310b.

전방패널(310a)의 상측에는 탑승자가 앉는 후방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방패널(310b)은 백 패널(327)과 함께 트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후방패널(310b)은 물건을 보관하는 트렁크의 바닥을 형성한다.An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310a may be provided with a rear seat (not shown) in which the occupant sits, and the rear panel 310b may form a trunk together with the back panel 327. That is, the rear panel 310b forms the bottom of the trunk for storing the goods.

전방패널(310a)에는 배터리 모듈(410)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홀(310d)이 형성되며, 상술한 홀(310d)의 상측에는 후술할 응급처리 커버(311)가 배치된다. 후방패널(310b)에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310c)의 전방에 홀(310e)이 형성되며, 상술한 홀(310e)의 상측에는 후술할 충전 커버(313)가 배치된다. 전방패널(310a)과 후방패널(310b)은 용접 또는 구조용 접착제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A hole 310d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310a to allow the battery module 410 to be accessible, and an emergency treatment cover 311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bove the hole 310d. A hole 310e is formed in the rear panel 310b in front of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310c, and a charging cover 313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bove the hole 310e. The front panel 310a and the rear panel 310b may be combined with a welding or structural adhesive.

리어 플로어(310) 하부에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배터리 모듈(410)의 전방 부분은 터널(230)에 장착되고, 후방 부분은 리어 플로어(310)에 장착된다.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below the rear floor 310.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to the tunnel 230 and the rear portion is mounted to the rear floor 310.

리어 플로어(310)에서 스페어타이어 장착부(310c) 전방에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리어 플로어(310)에서 리어 크로스 멤버(324) 전방에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in front of the spare tire mounting unit 310c on the rear floor 310. The battery module 410 may be mounted in front of the rear cross member 324 on the rear floor 310.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은 리어 플로어(3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324)를 구비하는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과;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의 상부에 결합되고, 리어 플로어(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리어 크로스 멤버(324)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보강 크로스 멤버(325)를 구비하는 리어 플로어 상부 프레임(320a)을 포함한다.The rear floor frame 3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floor 310 and includes a rear floor lower frame 320b having a rear cross member 324 that absorbs a lateral impact; A rear floor upper frame 320a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floor lower frame 320b and having a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disposed above the rear floor 310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cross member 324. It includes.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은 리어 플로어(3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강성이 큰 스틸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리어 플로어 상부 프레임(320a)과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은 용접 또는 구조용 접착제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floor frame 320 is formed independently of the rear floor 310 and is made of a steel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is increased. The rear floor upper frame 320a and the rear floor lower frame 320b may be joined with a welding or structural adhesive.

리어 플로어 상부 프레임(320a)과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이 결합된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은 리어 사이드 멤버(323),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 리어 크로스 멤버(324), 보강 크로스 멤버(325), 보강판(328)과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을 구비한다.The rear floor frame 320, in which the rear floor upper frame 320a and the rear floor lower frame 320b are combined, includes a rear side member 323, a rear floor extension 321, a rear cross member 324, and a reinforcement cross member ( 325, reinforcement plate 328, and rear side seal panel 329.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의 양측에 구비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리어 플로어(310)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전후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며,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 사이에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된다. The rear side member 32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frame 320. The rear side member 323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3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ear side member 323 absorbs shock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prevents warping and bending. 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between the rear side members 323.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브라켓 등의 추가 부품 없이 배터리 캐리어(420)와 직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사이드 멤버(323)는 하단이 배터리 캐리어와 용접, 볼트 및 너트, 구조용 접착제 등으로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420)는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과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할 수 있다.The rear side member 323 is preferably coupled directly to the battery carrier 420 without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brackets. The rear side member 323 has a lower end coupled with the battery carrier by welding, bolts and nuts, structural adhesives, and the like. The battery carrier 420 may be coupled to a lower side of both edges of the tunnel 230 by bolts and nuts.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보강 크로스 멤버(325)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에 구비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리어 플로어(3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사이에 결합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의 충격을 분산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리어 크로스 멤버(324)는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대한 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cross member 324 is disposed behind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and is provided in the rear floor lower frame 320b. The rear cross member 324 is disposed below the rear floor 310. The rear cross member 324 is coupled between the rear side member 323. The rear cross member 324 distributes the impact of the rear side member 323 and prevents warping and bending. The rear cross member 324 is preferably disposed to the rear as much as possib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 크로스 멤버(324)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리어 플로어 상부 프레임(320a)에 구비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플로어(31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reinforcement cross member 32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cross member 324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in the rear floor upper frame 320a.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is disposed above the rear floor 310.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사이드 멤버(323) 사이에 결합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크로스 멤버(324)와 함께 리어 사이드 멤버(323)의 충격을 분산하고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방지한다.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is coupled between the rear side member 323.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distributes the impact of the rear side member 323 with the rear cross member 324 and prevents warping and bending.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은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다.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은 사이드 실 패널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보강 크로스 멤버(325) 및 사이드 실 패널과 연결된다. 리어 사이드 실 패널(329)은 각종 필러가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side seal panel 329 is provid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rear floor lower frame 320b. The rear side seal panel 329 is formed by extending the side seal panel or provided separately, and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and the side seal panel. The rear side seal panel 329 may be combined with various fillers.

백 패널(327)은 리어 플로어(310)의 후방에 결합된다. 즉, 백 패널(327)은 리어 플로어(310)의 후방패널(310b)과 결합된다. 백 패널(327)은 트렁크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차체의 비틀림을 방지한다.The back panel 327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ar floor 310. That is, the back panel 327 is coupled to the rear panel 310b of the rear floor 310. The back panel 327 forms part of the trunk and prevents torsion of the vehicle body.

보강판(328)은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결합되며 후륜 현가 장치가 결합된다. 보강판(328)은 후륜 현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리어 사이드 멤버(323)와 단단히 결합된다. 보강판(328)은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320b)의 후방 양측에 구비된다.The reinforcement plate 328 is coupled to the rear side member 323 and the rear suspension is coupled. The reinforcement plate 328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secure the rear suspension and is firmly coupled to the rear side member 323. The reinforcement plate 328 is provided at both rear sides of the rear floor lower frame 320b.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은 리어 플로어 프레임(320)의 전방에 구비된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은 높이가 다른 리어 플로어(310)와 프론트 플로어(210)를 연결하는 것이다.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의 가운데 부분은 배터리 모듈(410)이 장착되도록 만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r floor extension 32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ear floor frame 320. The rear floor extension 321 connects the rear floor 310 and the front floor 210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center portion of the rear floor extension 3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dented so that the battery module 410 is moun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후방차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rear vehicle bod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보강 크로스 멤버(325)는 리어 플로어(310)의 상부에, 리어 플로어(310)의 후방시트(미도시)가 장착되는 부분보다 후방에 배치되므로 후방시트(미도시) 및 안전장치와 관련된 부품들이 장착된다.Referring to FIG. 8, since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is disposed above the rear floor 310, a rear seat (not shown) is disposed behind the portion where the rear seat 310 of the rear floor 310 is mounted. Parts related to the safety device are mounted.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는 유아용 시트 고정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 고정 부품은 유아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국제 규격인 ISOFIX에 따라 장착된다.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는 유아용 고정 부품이 장착되어 유아용 시트 고정 부품의 강성이 확보된다.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may be equipped with a baby seat fixing component. The infant seat fixing part is mounted according to ISOFIX,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fixing infant seats.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is equipped with an infant fixing part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infant seat fixing part.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는 등받이 고정 브라켓이 장착될 수 있다. 후방시트 등받이를 고정하는 등받이 고정 브라켓이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 장착되어 등받이 고정 브라켓의 강성이 확보된다.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may be equipped with a back fixing bracket. Backrest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back seat backrest is mounted on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to ensure the rigidity of the backrest fixing bracket.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는 등받이 힌지 브라켓이 장착될 수 있다. 후방시트 등받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등받이 힌지 브라켓이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 장착되어 등받이 힌지 브라켓의 강성이 확보된다.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may be equipped with a back hinge bracket. The backrest hinge bracket to which the rear seat backrest is rotatably coupled is mounted to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backrest hinge bracket.

보강 크로스 멤버(325)에는 상술한 부품들 외에 후방시트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parts related to the rear se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arts.

리어 플로어(310)에는 응급 처리 커버(311) 및 충전 커버(313)가 구비될 수 있다. 응급처리 커버(311)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개방시 리어 플로어(310) 상측에서 배터리 모듈(410)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응급처리 커버(311) 개방시 배터리 모듈(410)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또는 교체하거나, 퓨즈를 교환하거나 점검을 하는 등 기타 응급 작업을 할 수 있다. 응급 처리 커버(311)는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321)과 보강 크로스 멤버(325)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floor 310 may be provided with an emergency treatment cover 311 and a charging cover 313. The emergency treatment cover 311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nd allows the battery module 410 to be accessible from an upper side of the rear floor 310 when opened. When the emergency treatment cover 311 is opened, other emergency tasks may be performed, such as upgrading or replacing software of the battery module 410, replacing a fuse, or performing an inspection. The emergency treatment cover 3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floor extension 321 and the reinforcement cross member 325.

충전 커버(313)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리어 플로어(310) 상측에서 배터리 모듈(410)의 충전 단자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충전 커버(313) 개방시 배터리 모듈(410)을 일반적으로 충전하거나 응급 충전을 할 수 있다. 충전 커버(313)는 보강 크로스 멤버(325)와 리어 크로스 멤버(32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charging cover 313 is provided to be openable and close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410 on the rear floor 310. When the charging cover 313 is opened, the battery module 410 may be generally charged or emergency charged. The charging cover 3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325 and the rear cross member 324.

상술한 응급 처리 커버(311)와 충전 커버(313)는 어느 하나가 다른 커버의 역할을 수행하여 둘 중 하나만 구비될 수 있거나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ergency treatment cover 311 and the charging cover 313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of the two to perform the role of the other cover or may play a different ro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방차체 110: 조향장치
120: 전륜 현가장치 200: 중앙차체
210: 프론트 플로어 229: 사이드 실 패널
230: 터널 300: 후방차체
310: 리어 플로어 310a: 전방패널
310b: 후방패널 310c: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
320: 리어 플로어 프레임 320a: 리어 플로어 상부 프레임
320b: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 321: 리어 플로어 익스텐션
323: 리어 사이드 멤버 324: 리어 크로스 멤버
325: 보강 크로스 멤버 327: 백 패널
328: 보강판 329: 리어 사이드 실 패널
330: 후륜 현가장치 410: 배터리 모듈
420: 배터리 캐리어
100: front body 110: steering device
120: front wheel suspension 200: central body
210: front floor 229: side seal panel
230: tunnel 300: rear body
310: rear floor 310a: front panel
310b: rear panel 310c: spare tire mounting portion
320: rear floor frame 320a: rear floor upper frame
320b: rear floor lower frame 321: rear floor extension
323: rear side member 324: rear cross member
325 reinforcement cross member 327 back panel
328: reinforcement plate 329: rear side seal panel
330: rear suspension 410: battery module
420: battery carrier

Claims (5)

차량의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리어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의 하부와 결합하는 리어 플로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플로어와 상기 리어 플로어 프레임은 구조용 접착제로 결합되는 전기자동차.
A rear floor form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formed of aluminum;
A rear floor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ar floor,
The rear floor and the rear floor frame is coupled to the electric vehicle structural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플로어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를 구비하는 리어 플로어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보강 크로스 멤버를 구비하는 리어 플로어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floor frame,
A rear floor lower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ar floor and having a rear cross member for absorbing a lateral impact;
And a rear floor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a reinforcing cross member disposed above the rear floor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cross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는,
상기 보강 크로스 멤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과;
상기 보강 크로스 멤버의 후방에 배치되고, 스페어 타이어가 구비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floor,
A front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An electric vehicl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inforcing cross member and including a rear panel on which a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spare tir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프레임은 강성이 큰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floor frame is an electric vehicle made of a large rigid stee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접착제는 폐놀 수지계 또는 에폭시 수지계로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uctural adhesive is an electric vehicle consisting of waste resin or epoxy resin.
KR1020110088655A 2011-09-01 2011-09-01 Electric vehicle KR201300252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655A KR20130025249A (en) 2011-09-01 2011-09-01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655A KR20130025249A (en) 2011-09-01 2011-09-01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249A true KR20130025249A (en) 2013-03-11

Family

ID=4817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655A KR20130025249A (en) 2011-09-01 2011-09-01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2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5936A2 (en) Motor vehicle
KR20120012655A (en) Electric vehicle
KR20110059354A (en) An automobile
KR20120057674A (en) Electric vehicle
KR20130025239A (en) Electric vehicle
KR20130068985A (en) Electronic vehicle
KR20130025249A (en) Electric vehicle
KR20110059351A (en) An automobile
KR20130040558A (en) Electric vehicle
KR20130068961A (en) Electronic vehicle
KR20110115425A (en) Automobile
KR20130068976A (en) Automobile
KR20120012656A (en) Electric vehicle
KR20110115422A (en) Automobile
KR20110081619A (en) Automobile
KR20110115424A (en) Automobile
KR20110048852A (en) Electric vehicle
KR20120005721A (en) Automobile
KR20130072639A (en) Electric vehicle
KR20110115420A (en) Automobile
KR20140020652A (en) Automobile
KR20110048855A (en) Automobile
KR20120012657A (en) Electric vehicle
KR101901299B1 (en) Electric vehicle
KR20110048854A (en)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