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938A -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 Google Patents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938A
KR20130024938A KR1020130008560A KR20130008560A KR20130024938A KR 20130024938 A KR20130024938 A KR 20130024938A KR 1020130008560 A KR1020130008560 A KR 1020130008560A KR 20130008560 A KR20130008560 A KR 20130008560A KR 20130024938 A KR20130024938 A KR 2013002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edy
vaporization
bottle
absorbe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균
Original Assignee
이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균 filed Critical 이봉균
Priority to KR102013000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938A/ko
Publication of KR2013002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통속으로 부터 구제제를 기화기내 흡수제의 넓은 면적에 다량 분산 흡수되어 일시 다량 분산 기화 목적이다. 상기 목적 달성키 위하여 병상측에 흡입구는 미세통구가 형성되어 병마개로 부터 흡수제까지 PVC호스속에 내장된 흡수선이 병마개로 부터 흡수제상면까지 연결된 흡수선 끝이 다수개 분산연결되었다. 또한 상기 병속 흡입구가 크면 공기를 다량 흡입되고 흡입구가 적으면 공기를 적개 흡입되는 병속 구제제 축소만큼 공기 흡입되므로 공기흡입구 조정과 PVC호스속 흡수선의 넓이와 좁음이 넓이에 따라 형성되나 모세관으로 병속에서 흡수제까지 구제제 보급조정된다. 상기 2개의 조정으로 현재까지 구제제 기화순위교체는 없고 약으로 기화억제는 장기기화 목적으로 구제제를 강하게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종래 사용 구제제의 1/3 이하로 사용과 다량기화 순위교체로 초기소량기화시 해충이 봉개방내 하측다습지 은폐는 모든 구제제로 구제할 수 없으나 교체된 초기기화시 은폐된 해충은 못견디어서 이동노출시 후기 차차 기화력 상승되는 다량 기화시 결국은 폐사되는 것과 소문축소로 봉풍저속 상승을 소광위 설치된 봉풍고속순환속도로 온도습도 기화된 구제제 혼합봉풍을 흡입하여 3배이상 고속순환시 다량기화와 고속봉풍으로 밀어서 봉개방내 다량 침투로 좁은 다습지사이 수분제거로 봉풍구제제 통과와 단시간 기화구제로 연속 투약된다.

Description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omitted}
본 발명은 꿀벌유충이 9일째부터 유충방 뚜껑을 덮어서 봉개방이 형성되어 24일만에 부화되어 꿀벌로 출방하게 된다. 상기봉개방 속에서 바로아 진드기등의 기생충과 병원체등이 봉충을 섭식하면서 번식된다.
그러므로 휘발성용제의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과 정유나 유기산을 혼합하여 투약시간 단축으로 봉군 1군당 30-60분내 투약시 잔류구제제가 남지 않아야 다음 투약 봉군에 추가된 구제제가 없을시 봉군의 유충피해가 없게된다. 그 피해 방지로 휘발성용제의 에탄올류나 휘발성있는 정유나 유기산을 혼합한 구제제를 투약즉시 봉군들은 봉풍을 발산하여 구제제를 투약지에서 소문으로 직행 배출로 구제제 분산 되지 않도록 하여 꿀벌 유충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므로 구제제중 유기산의 개미산은 종래 60% 이상을 사용하여도 봉구내 봉개전 9일내 어린 유충 피해가 적을뿐아니라 봉구내 해충구제율이 낮았었다.
그러나 구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중인 소문을 1/4로 약 30분간 투약시 축소하고 투약후 소문 개방한다. 상기소문 축소로 남게된 구제제와 습도 온도 혼합된 봉풍은 3/4은 소문위벽을 타고 저속상승되는 봉풍을 소광대 위 설치된 봉풍 고속순환기(DC12V용) 자동차와 밧대리에 연결(순환기) 소광대 위 설치로 흡입되는 봉풍은 순환기 통과로 3배이상 온도 습도 구제제를 가진 봉풍 고속순환되는 봉풍은 일부는 기화기내 흡입과 일부는 소광대 사이 봉구내 순환 축적되는 구제제 봉개방 뚜껑에 부딪히는 봉풍력으로 3배이상 구제제를 밀어서 봉개방내 다량 투입순환으로 봉개방내하면 꿀벌 육아습도 90-95% 다습지 좁은 사이내 은폐된 충균은 구제되지 않는다. 그것은 봉방뚜껑과 다습지 구제제 수분에 흡수부착으로 구제불가된다.
일반구제제 초기다량 기화시 충균 초기은폐중 못견디고 봉개방상측으로 나올려다가 구제제 독성에 다시 은폐하여 구제제 후기 소량 기화시 봉개방내 상측은 충균 생존할 수 있을시 다시 번식되나 본 발명의 구제제 초기 소량기화와 후기 다량 기화순위 교체로 충균소량 기화시 은폐하다가 다량 기화시 은폐를 못견디어 방개방상측 노출시 완전 구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봉풍 고속순환시 대류현상보다 3배이상 속도로 습도 온도 구제제를 가진 봉풍력은 봉개방내 다습지 수분제거하면서 구제제 수분에 흡수 부착없이 통과로 완전구제된다.
진드기 감염원예들이 아카리파스 우리(기관지 진드기) 밑으로 필라맬랩스클라리에인시류 감염 원예를 들어 그레이터 및 레써악스 나방 갈레리아 맬로낼라 및 크로리아그리셀라 각각 쌍시류 감염원예를 들어 부라울과 진균류감염원 예를 들어 초크부르드 아스코스파에라 및 박테리아 감염원 예를 들어 미국 및 유럽의 파울부르드 바릴러스리매 및 맬리소코쿠스 풀루튼 각각이 꿀벌의 건강에 상당한 위해를 가할 수 있다.
바로아 진드기는 유충 및 성충꿀벌의 해모림프를 섭식하며 이로써 꿀벌의 발육부진 꿀벌봉군의 감염 및 치사를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바로아 감염원은 오늘날 전세게 양봉농가에 있어서 심각한 위협요소이다. 이러한 질병의 억제를 위한 각종 처리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남부유럽과 같은 특정지역의 바로아 진드기는 이러한 각종 처리를 위한 일부활성 성분 특히 피레트로이드 플루매트린 플루발리내에트 및 아크리나트린계 제품뿐만 아니라 쿠마포스 아미트라즈 말라티온 시미아 졸하이드로라이드 클로로펜빈포스브로모프로필레이트 및 관련 분자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고 있다. 벌통속의 각종 질병는 벌통에 유효량의 정유를 서방성 제형으로 적용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의 밝혀진 일반제형은 정유나 유기산을 꿀벌의 집 꿀저장 소방 또는 육아실내로 조절된 일정한 방출량이 4-6주 동안에 50g-100g로 해충구제될 수 있는 독성을 연속장기 분산을 1군마다 피해뿐아니라 경제적 손실로 장기간 구제가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정유나 유기산의 일방적 제형은 봉개방내 상측과 하측 좁은 사이 다습지 잔류구제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방적 제 형과 달리 정류 유기산의 희석 30% 이하와 메탄올 70% 이하로 봉풍 고속순환과 혼합되어 단시간 30-60분내 초기소량 기화시 은폐되고 후기다량 기화시 은폐를 못견디고 봉개방 상측 노출시와 봉풍을 밀어서 구제제 충만되어 단시간 기생충과 병원체 완전구제로 낭비와 꿀벌 장기고통없이 안정을 위하여 단시간 구제가 필요할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정유와 유기산을 혼합한 구제제 1예로 미세통구 통과력이 우수한 포름산은 미세통과력 때문에 염색용으로 다량 사용과 비닐포대내 저장시 비닐의 미세통구를 통과하는 포름산은 휘발성으로 단시간 기화용이다.
꿀벌 유충 봉개방 밀봉뚜껑을 다량 통과력을 가진 구제제와 휘발성 용제로 투약 30-60분내 잔류 구제 단시간 기화로 병원체 사멸 뿐아니라 바로아진드기를 기절과 넉따운 시킬 수 있는 에탄올과 정유와 유기산의 희석농도를 낮추어서 희석하여도 에탄올 때문에 구제율을 높일수 있음의 효과와 봉풍고속순환에 부딪힌 압력에 봉개방내 온도 습도 구제제 혼합 봉풍 다량 침투로 효과적인 구제제이다.
그러므로 각종 구제제 30%이하와 에탄올 70%이하 희석된 봉풍력과 구제제 다량 기화력에 의해 고속순환속도로 높은 압력이 발생되어 꿀벌봉개방내 하측 좁은 습지 수분제거하면서 구제제 통과력과 구제력이 상승된다.
상기 구제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종래 구제기화순위는 각종 구제제등은 초기 다량기화되고 후기소량기화되는 것을 본 발명의 기화된 구제제 봉개방내 투입순위를 교체하여 초기소량 기화시에 소량의 악취로 다수개의 봉개방내 해충들이 봉충하면 좁은 습지사이 습도 90%-95% 습지에 기화된 구제제 흡수부착되어 은폐된 해충 1개 봉 개방내 1-2마리 잔류되어 다시 번식된다.
상기 그 해충 잔류를 구제하기 위한 본 발명은 PVC병과 또는 구제제 통속에 흡수선(심지)를 넣어서 흡수되도록한 상측(마개)에서 연결된 PVC호스내 흡수선 연결된 모세관을 통하여 액체구제제 보급하게 될시 구제제 저장된 병과 통속에 공기가 흡입되어야 PVC호스내 흡수선의 모세관으로 액체구제가 보급된다.
상기와 같이 병과 통속에 공기흡입구가 클수록 액체구제제 다량 유입되고 호스속 흡수선이 넓을수록 모세관이 많아져서 액체구제제 다량 유입된다. 따라서 적은 공기흡입과 적은 모세관은 액체구제제 소량 유입되도록 본 발명의 공기 고정 유입구와 흡수제 모세관 넓이로 고정 유입되는 액체구제제 초기 소량 유입으로 기화력 순위 교체되어 바로아진드기등 병원체 잔류는 초기소량 기화시 봉개방내 하측 좁은 습지 은폐로 모든 구제제통과 할 수 없어서 해충 잔류 1개봉방내 1-2마리 다시 번식되나 본 발명의 액체구제제 상기 흡입공기조정과 PVC호스내 흡수선 넓이 조정으로 후기 다량기화력상승된 휘발성구제제를 1군당 30-60분내 투약으로 잔류 구제제 없을시 다음 봉군투약에 피해없이 연속투약되도록 휘발성 용제와 봉풍고속순환에 의해 꿀벌 봉개방내 해충구제제를 다량 밀어서 하측 좁은 사이 다습제거하는 봉풍순환과 구제제 초기 다량 기화를 후기다량 기화로 봉개방내 투입순위교체로 해결함은 바람직한 해결수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키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약시 봉충을 보호하는 봉풍발생하여 기화된 구제제를 투약지에서 소문을 향해 직행 배출로 꿀벌의 봉개방내 구제가 불가능하였었다 그 소문 배출되는 봉풍과 기화된 구제제 육아 온도 습도를 가진 봉풍을 1/4만 소문 배출하고 3/4은 소문 위벽을 타고 상승되어 저속 순환된다.
꿀벌 봉개방내 구제제 투입 순위 교체 출원(10-2012-0015212호) 등록 제0449792호와 등록 제0179676호 기화기와 개미산 등록된 기화기내 흡수제내로 연결된 호스내 흡수선 넓이에 따라 모세관 형성이 많고 적고에 따라 액체구제제는 기화기내 흡수발산되는 흡수제 둘레가 약 90cm 넓이 PVC호스 속에 흡수선 내장된 끝이 다수개의 흡수제 연결로 동시 다량 분산 흡수된다.
본 발명의 PVC 호스속 흡수선 내장된 모세관에서 기화기내 흡수제로 액체구제 다량 보급시기화기내 흡수제에 8방향 PVC호스끝의 흡수선의 모세관에서 기화기내 흡수제에 보급되어 기화되는 량이 적게 보급될시 기화기내 1겹만이 흡수제로 번저가면서 저장되며 초기 저장시 적은 면적 흡수제 기화로 소량기화가 이루어지나 투약후기는 기화기내 흡수제로 더 많이 번져서(넓어져서) 다량 기화될 동시 소광대상면 설치된 봉풍고속순환기에서 봉풍 흡입되어 3배이상 고속순환으로 기화기내 다량 통과시 다량기화와 봉구(벌이 뭉쳐진)내 습도와 온도 구제제를 가진 고속봉풍은 봉개방 뚜껑을 통과되는 압력 발생되어 후기 순위교로 다량 기화된 구제제로 잔류 은폐를 못견디고 이동시 완전 구제된다.
상기 액체구제 보급을 위하여 병과 통속 액체구제제가 병통에서 연결된 PVC호스내에 내장된 모세관 형성된 흡수선에 넓이에 따라 액체구제제 보급되고 흡수선에 액체구제제 보급된 만큼 병과 말통속에 액체구제제 다량사용시와 소량 사용시 PVC 큰 호스속에 흡수선 내장하여 병을 대신한 PVC 큰 호스 끝부분에 주사기 연결 주입과 PVC큰 호스속에 액체구제제 축소된 만큼 공기유입되도록 흡입구 조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투약구제제 초기소량기화와 후기다량기화가 봉풍고속순환시에 휘발성 용제로 에탄올류와 휘발성이 높은 포름산 혼합 투약시 다음 봉군에 잔류 없을시 30-60분내 연속투약된다. 또한 기화순위 교체로 후기 기화력과 구제력이 차차 상승될시 은폐된 해충 이동 노출시 봉개방내에서 완전 구제되는 봉풍고속순환속도로 단시간 기화되어 연속 투약되는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 순위 교체
본 발명에 따른 봉개방내 해충구제제 투입순위교체는 정유와 유기산을 혼합한 30%이하와 휘발성 용제 에탄올과 에탄올 수용액 70%이상 첨가로 바로아진드기가 기절하고 또는 넉따운되는 효과와 에탄올 첨가로 다량기화조정과 봉풍연속순환 속도의 압력과 다량 기화력 발생되어 봉개방내 구제제 투입되도록 붕풍고속순환속도로 밀어서 봉개방내 구제율 향상된다.
또한 투약시 구제제 병과 통마개에서 기화기로 연결된 PVC호스속에 내장되는 넓은 흡수선과 좁은 흡수선에 따라 기화기내 다량 흡수시 다량 기화되고 소량 흡수시 소량 기화되는 것은 액체구제제 흡수선의 모세관의 흡수에 따라 구제제 유입 보급됨은 병과 통의 공기흡입구의 크고 적은 고정구에 따라 일정량의 구제제 보급된다.
따라서 상기흡수선과 공기흡입구 조정된 PVC호스내 흡수선 다량 분할되어 기화기내 흡수제 약 90cm 둘레속에 분산흡수를 모세관에서 고정흡수로 초기 소량 기화는 기화기내 흡수제 소량 적셔진 범위가 적은 흡수기화작용되고 후기다량 기화는 기화기내 흡수제에 많은 범위가 적셔진 넓은 흡수제에서 다량 기화되고 봉풍력 순환시 기화기내 에탄올 용제와 개미산 구제제의 다량 휘발로 30-60분내 단시간 피해없이 연속 투약 효과적임과 봉개방내에탄올과 개미산 혼합하여 봉풍고속순환속도로 밀어서 좁은 다습사이 수분제거하면서 통과될시 순위교체되는 혼합구제제 후기다량 기화의 구제력이 효과적인 봉개방내 다량 침투되어 잔류구제 효과적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봉개방내 구제제를 봉풍고속의 속도로 밀어서 조성물 실시예1의 기화량 8분 16분 24분 경과와 종래구제제 비교예1의 구제시간에 따른 구제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봉개방내 구제제 실험순서를 나열한 순서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봉개방내 구제제가 포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해충구제제를 병을 통하여 주입으로 투약초기 기화되는 흡수제내 흡수범위가 적은 면적에서 소량기화되고 투약후기 흡수제내 흡수범위가 넓은 면적에서 다량 기화로 본 발명기화순위 교체의 원형으로 나타냈고 다량 기화는 점선으로 나타낸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내 내부순환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봉풍흡입구와 배기구 설치가 도시된 사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고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 봉개방내 기생충과 병원체의 구제제는 정유와 유기산 휘발성용제 에탄올에 투윈80을 혼합한 각종 구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예상기 유기산 중 개미산은 바로아진드기의 호흡을 방해하여 응애류를 괴멸시키는 친환경적인 구제제로서 종래부터 양봉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였었다. 그러나 상기 포름산은 강산으로 60%이상을 사용으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60%이상 포름산을 많이 사용하는 흡수포나 또는 치킨타올 등 넓은 곳에 개미산을 고루고루 뿌려서 사용시 포름산을 많은 양을 뿌렸을시(30cc이상) 포름산의 특성이 초기다량 기화후 소량 기화의 특성으로 초기는 독성에 꿀벌유충봉개전(9일)내 봉개되지 않고 노출된 봉충들이 60%이상 개미산에 접촉되어 서서히 결국은 불구 폐사된다. 그 폐사의 관찰이 어려움은 장시간 서서이 연속 폐사 즉시 꿀벌들이 제육아로 패사는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소량의 포름산을 사용한다. 상기 최소량의 포름산은 인체에 접촉시 피부에 화상을 일으키지 않아 안전함으로 꿀벌들은 기피하지 않는다. 또한 에탄올을 혼합함으로 소량의 포름산의 휘발성구제제와 구제효과는 에탄올의 넉따운 효과와 에탄올인 휘발성용제 혼합하기 때문에 분산범위가 멀리 퍼지는 작용으로 장거리에서도 봉개방 내부로 침투되도록과 단시간 투약시 잔류 구제제 없어야만 다음 봉군 투약에 잔류구제제없이 일정한 기화력의 발생과 포름산의 미세통과력이 혼합되어 다량의 봉개방내 침투된다.
그러한 포름산과 메탄올 혼합된 구제제 다량 봉개방내 상부측에 구제제 충만되나 봉개방 하부측 습도 90%-95% 습지는 봉개방내 봉충하면 좁은사이 기화된 구제제 통과할 수 없음은 좁은 습지 흡수력에 구제제 흡수부착으로 기화된 구제제 통과하지 못하여 잔유된 바로아진드기등 1개봉개방내 1-2마리 소수가 살아있음이 발견된다. 그 원인은 숫벌방을 밀도로 절단시 봉개방내 상측에 다수가 폐사된 것이 확인된다.
그 잔류 1-2마리는 타 구제제로도 구제되지 않는다. 그 잔류를 구제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봉개방내 상측까지 구제제 다량 침투되도록 과투약즉시 봉군의 유충보호로 봉풍을 발산하여 소문을 향해 직행 70% 이상 배출로 봉개방내 구제불가를 소문 1/4로 축소로 봉풍 3/4은 소문벽을 타고 저속상승순환되나 육아온도 육아습도 3/4 구제제 혼합봉풍은 30-60분간 고속순환되어도 많은 피해보다 본 발명의 기화기 등록 제0449791호 기화기의 병속흡수제 넓이에 따라 다량 소량 흡수선(심지) 조정된다. 병속에서 기화기내 호스연결속에 흡수선으로 흡수된 구제제 넓은 흡수다량 발산되는 기화기에서 일정량 병속에서 흡수된 만큼 일정한 조정된 발산으로 포름산의 특성이 바꾸어진 초기소량 후기 다량 일정량이 기화력 조정을 병속 공기 흡입구와 호스속에 흡수된(넓이)에 따른 기화 조정된다.
또한 봉풍 구제로 상기 봉풍 고속 순환기 소광대위에 설치로 포름산의 특성의 작용이 바꾸어짐은 초기소량 발산시 잔류바로아 진드기가 봉개방 하측 다습지 좁은사이 은폐하다가 기화량 바꾸어져서 후기 다량 균일 기화시 은폐된 바로아 진드기 은폐를 못견디어 이동 노출시 봉개방내 상측에서 완전 구제는 상기 개미산 뿐이 아니라 정유유기산을 1예로 설명하였다.
또는 에탄올 소독과 휘산 작용을 하는 것으로 소비내의 공기를 소독하며 개미산과 에탄올의 휘발성용제와 봉풍이 봄 가을 외 기온이 낮을시 봉풍이 약할시 소광대상면 봉풍고속순환설치로 투약시간 단축과 봉개방내 좁은 다습지 은폐된 잔류구제는 봉풍속도로 미세 통구로 밀어서 수분제거하면서 봉풍 구제제 통과와 혼합 구제제 다량 기화되어 멀리 퍼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30-60분내 기생충과 병원체를 폐사와 에탄올만으로도 바로아진드기를 기절시킴과 넉따운되는 효과와 모든 구제제 30% 이하로 에탄올 혼합시 우수한 구제력이 상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개방내 해충구제제 투입 순위 교체와 봉풍고속순환기설치로 다량 기화 봉구내 다량 축적 구제로 투약시간 단축과 봉풍속도로 밀어서 봉개방내 하측 다습지 사이 수분제거하면서 미세통구 통과로 잔류 구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병과 통의 마개로 부터 연결된 PVC 호스속에 내장된 흡수선의 모세관 형성된 속으로 구제제 기화기내 보급의 흡수넓이가 넓을시 다량과 좁을시 소량기화 조정에 따라 기화순위 교체된다. 또한 상기 모세관으로 구제제 보급된 만큼 병과 통속의 구제제 줄어든 만큼 공기로 보충되어 가므로 적은 미세 공기조정 흡입구가 형성되는 크고 작은 흡입구 조정에 따라 흡수제에서 다량 발산과 소량 발산이 조정된다. 따라서 기화기내 흡수제내 흡수범위가 넓을수록 다량 좁을수록 소량 기화로 이루어진다.
(비교 예1) 꿀벌 봉개방내 해충구제제 개미산 60중량% 증류수 40중량% 를 혼합하여 흡수제에 고루고루 30cc를 뿌려서 투약하였다.
(실험 예1) 본 발명에 따른 해충구제제 개미산 15%내와 아세트산 15%내와 에탄올 69%내 트윈 80, 1%내를 혼합하여 등록제 0449791호와 출원된 제10-2009-0019144호 기화기내 호스와 병부착한 흡수선 조정과 병속미세 흡입구를 주사기바늘로 조정된 고정 흡입구 부착하여 상기 조성물 병속에 4cc를 주입한 구제제 그러나 호스속흡수선 끝 8곳 분산 흡수된 구제제를 봉풍고속 순환속도로 일부는 기화기내 순환과 일부는 봉구내 순환으로 4cc 구제제 완전 기화로 다음 봉군에 피해없이 연속투약된다.
종래 조성물 개미산 60중량%와 증류수 40중량% 흡수제에 고루뿌려서 12개 봉군에 각각 6군씩 소비함 채위에 올려놓고 시간에 따라 구제율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도1 및 표1에 봉개방내 평균 구제율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도 1에서 실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고 있고 점선은 종래 비교에 1을 도시하고 있다.
표2 및 도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에서 휘발성이 개미산에 휘발성 에탄올을 혼합한 구제제가 비교예1에서 휘발성 개미산과 증류수만을 사용한 구제제보다 구제력과 기화시간 단축 투약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1은 30%이하로 휘발성만의 정유 유기산과 휘발성 용제인 에탄올과 봉풍 고속순환속도에 의해 30-60분내에 봉풍 해충은폐지 통과로 후기에 더 많이 기화된 구제제가 소문축소로 흡입된 고속순환속도로 봉개방내에 충진되어 봉개방내 바로아진드기 번식지까지 침투되도록 후기 다량 기화로 구제제의 특성을 바꿀수 있어서 초기 소량 기화시 봉개방내 하측 좁은 습지사이 은폐된 바로아진드기 은폐를 못견디고 수차례 이동으로 구제제에 중독되면서 노출될시 바꾸어진 구제제 다량 후기기화로 은폐 잔류 완전 구제된다. 더욱 효과적임의 에탄올 혼합구제제는 해충을 기절시키는 넉따운 효과와 구제제 30%이하 구제제 더욱 효과를 가지므로 봉개방내 구제력을 증대시키는 봉풍 소곡순환속도로 투약시간 단축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험결과를 보면 30-60분내 봉개방내 하측좁은 다습지 사이 잔류까지 100% 구제하였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1은 개미산의 자연발산에 의해 기화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기화량이 적어져 24시간내에 봉개방 내부의 해충을 80%이하 구제하였으나 개미산이 아닌 구제제는 봉개방 내부 구제율이 더욱 낮은 구제율이 된다.
또한 개미산 30% 이하로 사용하면 되므로 절약과 안전하게 사용되며 오직 기화된 개미산과 에탄올이 휘발성으로 시간 단축 투약으로 응애의 호흡을 방해하여 괴멸시킨다. 상기 조성물 중량 비율에 따른 봉개방내 구제제의 제조방법을 도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 봉개방내 구제제 제조방법은 약제포장팩 준비단계(S10)와 약제투입단계(S20)와 약제포장팩 밀봉단계(S30)와 포장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약제포장팩 준비단계(S10)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미산은 알칼리 중성에서 완전 파괴됨을 방지로 섞이지 않고 각각 분리하여 장기 보관하여 사용되도록 다수개로 구획된 수용공간(12)이 구비된 약제포장팩(10)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약제포장팩(10)의 제질은 폴리에에스테르필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약제 투입단계(S20)는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약제포장팩(10) 각각의 수용공간(12)에 개미산 휘발성 용제를 에탄올을 각각 분리하여 조성물 비율대로 투입시킨다. 이때 서로 석여도 유효성분 파괴되지 않는 구성물들은 섞어서 투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약제 포장팩 밀봉단계(S30)는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가 각각 투입된 수용공간의 입구를 열융착하여 밀봉시킨다. 상기포장단계(S40)는 도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된 약제포장팩을 외포대내에 넣고 입구를 밀봉하여 포장하는 단계이다. 또한 약제량이 많을시 비닐말통내 약제포장팩 속에 각각 밀봉하여 비닐말통속에 넣을때 구제제중 가장 많은 휘발성용제를 말통속에 넣고 량이 적은 약제를 각각 밀봉하여 말통속에 각각 넣어서 사용시 말통속에 가위 끝을 넣어서 약제포장팩을 절단하여 희석한다. 이렇게 약제를 각각 분리하여 포장하는 이유는 구제용액과 휘발성용제등을 분리 보관함으로써 유효성분 파괴없이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구획된 약제포장팩(10)을 접어서 열융착부분을 가위로 절단한 다음 내용물을 외포대(20)내에 또는 말통속에 넣고 흔들어서 구제용액과 휘발성 용제를 적절히 혼합된 구제제를 병과 통속에 주입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도4와 같이 병(22) 속에 내장된 흡수선(28)과 병마개(24)로 부터 흡수제(32)까지 연결된 PVC호스(26)속에내장된 흡수선(28)의 모세관으로 기화기내 흡수제(32) 상면 다수곳 분산 흡수발산되는 구제제 보급되도록 병(22) 속 구제제 보급된다. 또한 PVC호스(26)속에 내장된 흡수선(28)내 모세관이 많을시(흡수선이 넓을시) 다량의 구제제 보급과 흡수선(28)이 좁을시 소량 구제제 보급되며 본 발명의 병(22)속에 구제제 보급과 병(22) 속 구제제 저장은 더큰 PVC호스(26)속에 다량의 흡수선(28)을 넣어서 공기흡입구(30) 설치로 병(22)과 같은 용도로 큰 PVC호스(26)끝 연결된 주사기내 저장된 구제제 연속투약시 주사기만 밀어서 투약된다. 흡수선(28)으로 부터 보급되어 기화기내 흡수제(32) 상면 둘레가 약 90cm로 다량 기화력이 풍부하고 흡수제(32)가 다층 설치와 다층 사이마다 망사(34)가 다겹으로 공기가 잘 통하고 상기 흡수제(32) 다겹으로 상측흡수제(32)에 구제제 과다 흡수시 망사(34)로 흘러서 다음 흡수제에서 또다른 기화작용되는 다층 의하측 흡수제(32)로 흘러서 보급되어 기화작용되는 다수개 흡수선(28)에서 투약초기 도4와 같이 소량 흡수범위(36)와 같으나 투약후기 점선같이 다량 흡수범위(38)와 같이 차차 구제제 발산(기화작용) 범위가 넓어져서 초기소량기화와 후기 다량 기화로 봉개방내 해충구제제 투입순위교체되어 초기 은폐된 바로아 진드기 후기 봉풍고속순환속도로 다량 기화 구제제 4cc로 완전기화로 다음 봉군투약시 잔류구제제 없이 연속투약되는 1군당 30-60분내 투약으로 봉개방내 하측 좁은 사이 다습 제거하면서 봉풍구제제 통과로 완전 구제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꿀벌 봉개방내 해충구제제 투입 순위 교체 구제제는 정유와 유기산과 에탄올 투윈80등을 각각 분리하여 포장하는 약제포장팩을 이용한 제조방법을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에 쓰이는 약제들 중 유효성분 파괴없는 조성물들을 각각 분리하지 않고 혼합제조하여 포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봉풍은 투약즉시부터 봉군들이 유충을 보호하는 봉풍을 발산하여 기화되는 구제제 발산지부터 소문까지 직행 배출로 구제력이 저하되고 있다. 그 봉풍은 육아 온도 33℃이상과 습도 75%이상을 휘발성 에탄올과 휘발성 구제제가 혼합봉풍으로 30-60분내 완전기화작용과 완전 구제될수 있는 다량 최고 기화력(봉군에 피해없을 정도) 30분내 투약구제로 봉군들의 온도습도 소모없이 대류현상(자연에서)보다 약 3배 이하 봉풍 고속순환속도를 발생하기 위함이다.
상기 봉풍으로 70%이상을 소문배출되는 봉풍을 소문 1/4 축소 30분간(투약시만) 소문위로 상승되는 3/4 유효봉풍을 소광대 위 설치된 봉풍고속순환기 케이스(40) 내 환풍설치로 자동차 밧데리용12V용선연결 투약시 케이스하면 양측 다리턱(48) 다리 형성된 케이스(40)하면 중앙 흡입구(42) 설치상면 덮어진 보호망(46) 설치하여 소광대 상면흡입구(42)에서 고속 흡입되는 다리턱(48) 다리사이에서 흡입구(42) 통과된 봉풍은 환풍설치에서 고속 봉풍으로 바꾸어져서 케이스(40)옆 4면중 1면이 고속배출구(44) 상면보호망(46)으로 덮어져서 봉군보호하면서 고속배출구(44) 상측은 기화기내 순환하면서 다량기화와 고속배출구(44) 하측은 봉구내 봉풍 고속순환속도로 봉구내와 봉개방내 하측 좁은 다습지 사이 축적된 밀착으로 다량 투입 순환시 습지사이 수분제거하면서 봉풍통과로 은폐된 잔류 완전 구제된다.
상기 고속봉풍으로 다량 기화되어 빠른 구제로 연속 투약시 봉군에 피해와 인건비 축소되도록 연속 투약이 바람직 할 것이다.
10 : 약제포장백 12 : 수용공간 20 : 외포대 22 : 병 24 : 병마개 26 : PVC호스 28 : 흡수선 30 : 공기흡입구 32: 흡수제 34 : 망사 36 : 소량흡수발산범위 38 : 다량흡수발산범위 40 : 케이스 42 : 흡입구 44 : 고속배출구 46 : 보호망 48 : 다리턱

Claims (6)

  1. 병속에 흡수선이 병마개에서 PVC호스로 연결된 속에 흡수선과 PVC 큰 호스속에 흡수선 내장되어 구제제 보급되는 흡수선을 특징으로 하는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2. 1항에 있어서 병상측 공기흡입구 형성과 PVC 큰 호스속에서 크고 작은 흡입구에 따라 병속과 큰 호스속제 다량 소량 흡수선으로 보급되도록 공기흡입구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 순위 교체
  3. 1항 2항에 있어서 구제제 다량 기화되는 흡수제로 연결된 PVC호스내로 다수개의 흡수선 끝에서 구제제 넓은 흡수제로 흡수 발산되는 다수개 흡수선 끝의 분산을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 순위 교체
  4. 상기의 흡수선 다수개 끝에서 투약 초기 구제제 소량 흡수분산으로 차차 분산 범위가 확대되는 초기 소량 기화와 후기 구제제 흡수분산되는 다량기화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봉풍 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5. 다수의 수용공간이 구비된 약제 포장팩 준비단계(S10)와 상기 비율대로 투입시키는 투입단계(S20)와 밀폐시키는 약제포장팩 밀봉단계(S30)와 포장팩을 외포대내 삽입시키는 포장단계(S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6. 온도습도 기화된 구제제 혼합된 봉풍을 고속순환기의 흡입구에서 흡입과 고속배출구에서 봉풍고속순환 속도로 일부는 구제제 다량 기화 발생과 일부는 봉구내 순환속도로 다습지사이 수분제거로 봉풍통과시 해충구제되는 특징으로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KR1020130008560A 2013-01-25 2013-01-25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KR20130024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60A KR20130024938A (ko) 2013-01-25 2013-01-25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60A KR20130024938A (ko) 2013-01-25 2013-01-25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938A true KR20130024938A (ko) 2013-03-08

Family

ID=4817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560A KR20130024938A (ko) 2013-01-25 2013-01-25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9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396A (ko) 2016-05-31 2019-02-1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396A (ko) 2016-05-31 2019-02-1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73407A (ja) 飛翔昆虫忌避剤
CN104054758A (zh) 无害植物灭虫剂
CN102308797A (zh) 液体蝇香
CN105454329A (zh) 香茅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TWI829942B (zh) 殺蟲效力增強劑、害蟲防除方法及加熱蒸散用水性殺蟲劑組成物
JP5730980B2 (ja) 内服用虫よけ剤
CN105519587A (zh) 茶树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KR20130024938A (ko) 봉풍고속순환과 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CN106922751A (zh) 天然植物灭虫剂
CN104430580A (zh) 一种中药材仓储害虫驱避剂
CN105724445B (zh) 迷迭香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JP6321882B2 (ja) 加熱蒸散用水性殺虫剤組成物、及び加熱蒸散用水性殺虫剤組成物の加熱蒸散方法
KR102272717B1 (ko) 쿼세틴 및 티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CN102308785A (zh) 液体蟑香
JP5755022B2 (ja) 害虫駆除方法
KR20120029450A (ko) 꿀벌 봉개방내 해충구제제 투입순위 교체
JP2011195512A (ja) 寝具用防虫剤
WO2008105645A1 (es) Composiciones de acaricidas de extractos de semillas para el control de acaros en textiles. botánica y/o agricultura enfocados al sector salud
CN106509002A (zh) 一种防治根结线虫的熏蒸剂及其制备方法
US20190021340A1 (en) Fly repellent, its preparation method and its use in fly repellency
TWI767450B (zh) 控制或防治昆蟲之界面活性劑組成物及其使用方法
CN111264570B (zh) 植物驱蚊熏香及其制备方法
CN106577878A (zh) 含虱螨脲活性成分的高效环保杀虫组合物
CN105724374B (zh) 天竺葵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CN108990982A (zh) 一种防治小地老虎的诱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