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898A -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 - Google Patents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898A
KR20130024898A KR1020127026872A KR20127026872A KR20130024898A KR 20130024898 A KR20130024898 A KR 20130024898A KR 1020127026872 A KR1020127026872 A KR 1020127026872A KR 20127026872 A KR20127026872 A KR 20127026872A KR 20130024898 A KR20130024898 A KR 2013002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th loss
transmit
antennas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키시야마
다이스케 니시카와
테츠시 아베
노부히코 미키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02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는 단계와, 총 송신전력(PTX)을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단계를 마련한다.

Description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 {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DEVICE }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복수의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이동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W―CDMA의 상향링크에서는, 동일 셀 내의 유저장치(UE:User Equipment)는, 유저 고유의 스크램블 부호가 승산되어 있으며, 비직교 수신이 되기 때문에, 멀티 유저 간섭(즉, 원근문제)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고속 송신전력 제어(TPC:Transmission Power Control)가 필수가 되어 있다.
한편, 3GPP Release 8에서 규정되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시스템에서는(이하, 'Rel―8 LTE'라고 약칭한다), 상향링크에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PAPR:Peak―to Average Power Ratio)를 실현하고, 커버리지의 증대에 유효한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액세스가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장치에 따른 스케줄링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어느 주파수 혹은 시간을 갖는 무선 리소스를 하나의 UE에 할당하기 위해, 동일 셀 내의 유저간은 주파수 및 시간영역에서 직교를 실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동일 셀 내의 멀티 유저 간섭을 억압하는 관점에서는, 고속의 TPC는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그러나, Rel―8 LTE에서는 1 셀 주파수 반복을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주변 셀로부터의 간섭이 크고, 특히 셀단에 존재하는 UE로부터의 간섭 레벨은 높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주변 셀 간섭을 보상하고 일정한 수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LTE에 있어서도 TPC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등의 송신전력은, 무선기지국장치가 비교적 장주기로 통지하는 파라미터(Po, α 등) 및 이동단말장치가 측정하는 전파손실(패스로스(PL))에 의한 개(開) 루프 제어와, 무선기지국장치와 이동단말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상태(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에서의 수신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장치가 비교적 단주기로 통지하는 TPC 커맨드에 의한 폐(閉) 루프 제어와의 조합에 의해 제어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그런데, 3GPP에 있어서는,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서, LTE의 후계의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Advanced(LTE―A)). LTE―Advanced에서는 이동국장치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상향링크의 전송이 상정되나, Rel―8 LTE에서는, 싱글 송신 안테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밖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국장치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마다의 송신전력의 제어에 대해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이동국장치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상향링크의 전송에 있어서 소요의 품질을 만족시키는 송신전력의 제어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하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는 단계와, 총 송신전력(PTX)을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관해,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불규칙함을 고려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결정하기 때문에,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하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각 송신 안테나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동국장치의 하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와,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패스로스 측정부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송신전력 설정부를 가지며, 송신전력 설정부가, 패스로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고,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고, 총 송신전력(PTX)을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이동국장치와 기지국장치의 송신전력 제어의 개요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이동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이동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에 있어서 적용하는 코드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싱글 송신 안테나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TPC:Transmission Power Control)에 대해 설명한다.
상향링크의 PUSCH의 송신전력은, 기지국장치가 비교적 장주기로 통지하는 파라미터(Po, α 등) 및 이동국장치가 측정하는 전파 로스 값에 의한 개 루프 TPC와, 쉐도잉에 의한 수신 레벨의 중기적 변동 및 UE의 송신전력의 설정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비교적 단주기로 통지되는 TPC 커맨드에 의한 폐 루프 TPC와의 조합에 의해 이하의 제어식 (11)에 기초하여 제어된다(3GPP, TS363.213).
식 (11)
Figure pct00001
여기서, PCMAX는 최대 송신전력이며, MPUSCH는 송신 대역폭이며, P0 _ PUSCH는 목표 수신전력(PL0인 경우)이며, α는 플랙셔널 TPC의 가중계수이며, PL은 패스로스 측정값이며, ΔTF는 MCS에 의존하는 오프셋이며, f(i)는 TPC 커맨드에 의한 보정값이다.
상기 식 (11)을 이용하여 싱글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 제어(TPC)를 규정하고, 무선기지국장치와 이동국장치와의 사이의 패스로스(PL)에 따라 목표 수신전력을 설정함(개 루프 제어의 파라미터 α로 실현)으로써, 셀간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송신전력의 제어에 관해 검토한 결과,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불규칙함을 고려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점에 착목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에 있어서, 인체 등의 영향에 의해 각 송신 안테나간의 이득차(패스로스(PL) 차)가 불규칙한 경우라도,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패스로스(PL) 차를 고려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송신전력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A1, A2, …, AN)를 갖는 이동국장치가 무선국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에 있어서는, 인체 등의 영향에 의해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 측정값(PL1, PL2, …, PLN)에 차가 발생한다. 이하에,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불규칙함을 고려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서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는 단계와, 총 송신전력(PTX)을 각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A1, A2, …, AN)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을, 각각 PL1, PL2, …, PLN으로 한 경우에, PL1, PL2, …, PLN으로부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고, 해당 PL'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이하에, 구체적인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패스로스(PL) 측정단계]
우선,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측정을 수행한다. 패스로스(PL)의 측정은,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패스로스 측정부에 있어서 수행할 수 있다. 패스로스 측정부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 사전에 통지되는 하향 참조신호(DL RS)의 송신전력(Tx power)과 RSRP로부터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한다. 패스로스(PL)의 측정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 전부에 대해 수행해도 좋으며, 미리 정해진 송신 안테나에 대해 수행해도 좋다. 이하에 나타내는 대표값 패스로스(PL')의 설정방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대표값 패스로스(PL') 설정단계]
측정한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한다. 대표값 패스로스(PL')의 설정은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대표값 패스로스(PL')의 설정방법의 구체예로서 3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PL' 설정방법 1)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A1, A2, …, AN)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을 각각 PL1, PL2, …, PLN으로 한 경우, PL1, PL2, …, PLN을 평균화한 값을 대표값 패스로스(PL')로 한다(PL'=avg{PL1, PL2, …, PLN}).
이 방법에 의하면, 대표값 패스로스(PL')로서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의 평균적인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PL' 설정방법 2)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A1, A2, …, AN)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을 각각 PL1, PL2, …, PLN으로 한 경우, PL1, PL2, …, PLN 중, 가장 로스가 적은(PL 측정값이 작은) 값을 대표값 패스로스(PL')로 한다(PL'=min{PL1, PL2, …, PLN}).
이 방법에 의하면, 인체 등의 영향에 의한 특정한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증대 등을 송신전력의 결정으로부터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L' 설정방법 3)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A1, A2, …, AN) 중, 미리 정해진 하나의 송신 안테나(Ab)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을 대표값 패스로스(PL')로 한다(PL'=PLb).
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미리 정한 송신 안테나(Ab)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면 되기 때문에, 패스로스(PL) 측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총 송신전력(PTX) 결정단계]
상기 PL'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이용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PL' 설정방법으로 설정한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한다. 총 송신전력(PTX)은, 이하의 식 (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식 (1)
Figure pct00002
여기서, PMAX는 최대 송신전력이며, MPUSCH는 송신 대역폭이며, P0 _ PUSCH는 목표 수신전력이며, α는 플랙셔널 TPC의 가중계수이며, PL'는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대표값 패스로스(PL')이며, ΔTF는 MCS에 의존하는 오프셋이며, f(i)는 TPC 커맨드에 의한 보정값이다.
PMAX(최대 송신전력)는, 이동국장치의 각 송신 안테나의 최대값과, 모든 송신 안테나의 합계로의 최대값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f(i)(TPC 커맨드에 의한 보정값)은, 송신 안테나마다 제어방법, 또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공통으로 제어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MPUSCH(송신 대역폭), P0 _ PUSCH(목표 수신전력), α(Fractional TPC의 가중계수), ΔTF(MCS에 의존하는 오프셋)는, Rel―8 LTE의 경우와 동일한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ΔTF(MCS에 의존하는 오프셋)는 0으로 해도 좋다.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 결정단계]
총 송신전력(PTX)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총 송신전력(PTX)을 각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한다. 각 송신 안테나로의 총 송신전력(PTX)의 분배방법은 갖가지 수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결정방법으로서 2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PTXn 결정방법 1)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결정한 총 송신전력(PTX)을, 각 송신 안테나에 동등하게 분배한다(식 (2) 참조).
식 (2)
Figure pct00003
식 (2)에 있어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다.
PTXn 결정방법 1과 PL' 설정방법 1을 조합한 경우에는, PL의 불규칙함을 평균화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PTXn 결정방법 1과 PL' 설정방법 2를 조합한 경우에는, 가장 로스가 적은(PL이 작은)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 등의 영향에 의한 특정한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증대 등을 송신전력의 결정으로부터 배제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PTXn 결정방법 1과 PL' 설정방법 3을 조합한 경우에는, 임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이용하기 때문에, 패스로스(PL) 측정의 간략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PTXn 결정방법 2)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결정한 총 송신전력(PTX)을, 각 송신 안테나에 이득차 Δn에 따라 분배한다(식 (3) 참조).
식 (3)
Figure pct00004
이득차 Δn의 제어법으로서는, 이동국장치의 송신 안테나마다 미리 설정된 값을 이용하는 방법, 기지국장치가 통지하는 값(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PDCCH에 있어서의 TPC 커맨드)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각 송신 안테나에 이득차 Δn에 따라 총 송신전력(PTX)을 분배하는 경우에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의 수치(P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득차 Δn의 합계(선형 연산)를 1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Δn=10log10(Y/Xn)으로서, (X1+X2+, …, +XN)≤Y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를 수행한다.
또,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설정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PTXn' 결정방법 1
PTXn' 결정방법 1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max)을 각 송신 안테나에 동등하게 분배한다(식 (4) 참조).
식 (4)
Figure pct00005
식 (4)에 있어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각 안테나에 대해 상기 식 (3)에서 설정되는 전력으로부터 일률적으로 전력을 감소하여 총 송신전력(PTX)을 Pmax 이내로 재설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특성이 좋은(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송신전력을 설정하고, 해당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을 보상할 수 있다. 특히, 패스로스(PL)가 큰 안테나에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분배해도 송신 불량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이 송신전력의 재설정에 있어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어느 정도의 송신전력을 설정하는 것이 유효해진다.
·PTXn' 결정방법 2
PTXn' 결정방법 2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우선적으로 송신전력을 분배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로부터 순서대로 송신전력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장치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2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예를 들면, 제1 안테나)에 대해 해당 제1 안테나의 최대 송신전력(Pmax _1)에 달하기까지 전력을 할당하고, 남은 송신전력을 나머지의 제2 안테나에 할당한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PTXn' 결정방법 1과 비교하여, 특성이 좋은(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의 전력을 우선적으로 보상하고, 해당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성이 나쁜(패스로스(PL)가 큰) 안테나에 할당하는 송신전력을 특성이 좋은(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할당함으로써, 이동국장치의 통신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TXn' 결정방법 3
PTXn' 결정방법 3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 패스로스(PL)의 가장 작은 안테나만 이용하여 송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패스로스(PL)의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설정하고, 그 외의 안테나에 대해서는 송신전력의 설정을 수행하지 않는다(송신전력을 0으로 한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PTXn' 결정방법 1, 2와 비교하여, 특성이 나쁜(패스로스(PL)가 큰) 안테나에 대해 송신전력을 할당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 결정단계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송신전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의 PTXn' 결정방법
PTXn' 결정방법으로서,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하기의 식 (5)를 이용하여 결정해도 좋다. 이 방법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라도,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레벨차를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의 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식 (5)
Figure pct00006
식 (5)에 있어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며, Pover=sum(PTX1, PTX2, …, PTXN)-Pm ax(선형 연산)이다.
PTXn 결정방법 2와 상기 PL' 설정방법 1을 조합한 경우에는, PL의 불규칙함을 평균화하고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레벨차를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PTXn 결정방법 2와 상기 PL' 설정방법 2를 조합한 경우에는 가장 로스가 적은(PL이 작은)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 등의 영향에 의한 특정한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증대 등을 송신전력의 결정으로부터 배제함과 동시에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레벨차를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PTXn 결정방법 2와 PL' 설정방법 3을 조합한 경우에는, 임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PL 측정의 간략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레벨차를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PTXn 결정방법 2에 있어서,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 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국장치에 대해, 안테나 선택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 수가 2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코드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a는,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2 송신 안테나의 코드북을 나타내고 있다(3GPP, TR 36.814). 코드북 인덱스 4, 5가 안테나 선택 PMI에 상당한다. 이동국장치가 2 송신 안테나 중 패스로스를 고려하여 안테나 선택 PMI(인덱스 4 또는 5)를 선택함으로써, PL의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설정하고, 그 외의 안테나에 대해서는 전력의 설정을 수행하지 않는 구성(상기 PTXn' 결정방법 3)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코드북에 있어서는, 안테나 선택 PMI(인덱스 4, 5)에 있어서, 1/√2에 의해 송신전력이 절반으로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선택하는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한하지 않는 안테나 선택 PMI를 마련한 코드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b 참조). 이 경우, 이동국장치가 2 송신 안테나 중 패스로스를 고려하여 도 6b의 안테나 선택 PMI(인덱스 6 또는 7)를 선택함으로써, PL의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제한하지 않고 설정하며, 그 외의 안테나에 대해서는 전력의 설정을 수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서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각 송신 안테나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즉, 제2 측면에서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A1, A2, …, AN)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을, 각각 PL1, PL2, …, PLN으로 한 경우에, 송신 안테나마다 측정한 PL1, PL2, …, PLN을 각각 고려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이하에, 구체적인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패스로스(PL) 측정단계]
우선,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의 측정을 수행한다. 패스로스(PL)의 측정은, 이동국장치에 마련된 패스로스 측정부에 있어서 수행할 수 있다. 패스로스 측정부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 사전에 통지되는 하향 참조신호(DL RS)의 송신전력(Tx power)과 RSRP로부터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한다.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 결정단계]
PL 값 측정단계에서 측정한 각 송신 안테나의 PL(=PLn)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한다. PTXn의 결정은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결정방법으로서 3가지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PTXn 결정방법 1)
각 송신 안테나의 PL(=PLn) 측정값에 기초하여, 하기의 식 (6)을 이용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한다. 여기서, 최대 송신전력은 송신 안테나마다 규정한다.
식 (6)
Figure pct00007
식 (6)에 있어서, Pmax _n은 송신 안테나마다의 최대 송신전력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개(開) 루프 TPC 기준이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이며, 수신 레벨차를 어느 정보 보정할 수 있다. 또, 각 송신 안테나를 독립한 이동국장치와 같이 취급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PTXn 결정방법 2)
PTXn 결정방법 2는 상기 PTXn 결정방법 1에 있어서, 이동국장치의 최대 송신전력을 모든 송신 안테나의 합계에서도 규정한 방법이다.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은, 상기 식 (6)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또한, Pmax _n=Pmax여도 좋다. 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에는,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설정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PTXn' 결정방법 1
PTXn' 결정방법 1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에,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max)을 각 송신 안테나에 동등하게 분배한다(식 (7) 참조).
식 (7)
Figure pct00008
식 (7)에 있어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각 안테나에 대해 상기 식 (6)에서 설정되는 전력으로부터 일률적으로 전력을 감소하여 총 송신전력(PTX)을 Pmax 이내로 재설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특성이 좋은(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송신전력을 설정하고, 해당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을 보상할 수 있다. 특히, 패스로스(PL)가 큰 안테나에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분배해도 송신 불량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이 송신전력의 재설정에 있어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어느 정도의 송신전력을 설정하는 것이 유효해진다.
·PTXn' 결정방법 2
PTXn' 결정방법 2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우선적으로 송신전력을 분배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로부터 순서대로 송신전력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장치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2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예를 들면, 제1 안테나)에 대해 해당 제1 안테나의 최대 송신전력(Pmax _1)에 달하기까지 전력을 할당하고, 남은 송신전력을 나머지의 제2 안테나에 할당한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PTXn' 결정방법 1과 비교하여, 특성이 좋은(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의 전력을 우선적으로 보상하고, 해당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성이 나쁜(패스로스(PL)가 큰) 안테나에 할당하는 송신전력을 특성이 좋은(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할당함으로써, 이동국장치의 통신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TXn' 결정방법 3
PTXn' 결정방법 3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 패스로스(PL)가 가장 작은 안테나만 이용하여 송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패스로스(PL)가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설정하고, 그 외의 안테나에 대해서는 송신전력의 설정을 수행하지 않는다(송신전력을 0으로 한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PTXn' 결정방법 1, 2와 비교하여, 특성이 나쁜(패스로스(PL)가 큰) 안테나에 대해 송신전력을 할당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 결정단계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송신전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의 PTXn' 결정방법
PTXn' 결정방법으로서,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에,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하기의 식 (8)을 이용하여 결정해도 좋다. 이 방법에서는,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라도,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레벨차를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의 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식 (8)
Figure pct00009
식 (8)에 있어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며, Pover=sum(PTX1, PTX2, …, PTXN)-Pmax(선형 연산)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의 PTXn 결정방법 2에 있어서도,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 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국장치에 대해, 안테나 선택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통지하는 구성(상기 도 6)으로 할 수 있다.
(PTXn 결정방법 3)
측정한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대표값 패스로스(PL')와의 패스로스 차(PLn-PL')에 기초하여 보정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한다.
대표값 패스로스(PL')의 결정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서 제시한 3가지의 PL' 설정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한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하의 식 (9) 및 (10)에 의해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한다.
식 (9)
Figure pct00010
식 (10)
Figure pct00011
여기서, β는 가중계수이며, β=1인 경우에는, 각 송신 안테나의 평균 수신전력이 동일해지도록 제어된다.
또, 모든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PTXn 결정방법 2와 동일한 방법(식 (7) 또는 식 (8))에 의해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을 Pmax로 억제하면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 안테나간의 레벨차를 높은 정밀도로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서 제시한 송신전력 제어법을 적용한 경우의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등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동국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장치(100n)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21~102N)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21~102N)에 대응한 앰프부(104)와, 송수신부(1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와, 호처리부(110)와, 애플리케이션부(1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112)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는, 재송 제어(H―ARQ(Hybrid ARQ))의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송신전력 설정 등이 이루어져, 안테나마다 송수신부(106)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안테나마다 무선 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그 후, 앰프부(1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21~102N)마다 송신된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21~102N)에서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4)에 있어서, AGC(Auto Gain Control)의 하에서 수신전력이 일정 전력으로 보정되도록 증폭된다.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송수신부(1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소정의 처리(오류 정정, 복합 등)가 이루어진 후, 호처리부(110) 및 애플리케이션부(112)로 전송된다.
호처리부(110)는, 기지국장치와의 통신의 관리 등을 수행하고, 애플리케이션부(112)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로부터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이동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이동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는, 레이어 1 처리부(1081)와, MAC 처리부(1082)와, RLC 처리부(1083)와, PL 측정부(1084)와, 송신전력 설정부(1085)를 갖고 있다.
레이어 1 처리부(1081)는, 주로 물리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한다. 레이어 1 처리부(1081)에서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채널 복호화, 이산 푸리에 변환(DFT) 주파수 디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데이터 복조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해,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 주파수 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MAC 처리부(1082)는, 하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한 MA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HARQ),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의 해석(PDSCH의 전송 포맷의 특정, PDSCH의 리소스 블록의 특정)을 수행한다. 또, MAC 처리부(1082)는,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한 MAC 재송 제어, 상향 스케줄링 정보의 해석(PUSCH의 전송 포맷의 특정, PUSCH의 리소스 블록의 특정 등의 처리) 등을 수행한다.
RLC 처리부(1083)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패킷, 및 애플리케이션부(112)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패킷에 대해, 패킷의 분할, 패킷의 결합, RL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 등을 한다.
PL 측정부(1084)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 사전에 통지되는 하향 참조신호(DL RS)의 송신전력(Tx power)과 RSRP로부터 각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한다.
송신전력 설정부(1085)는, PL 측정부(1084)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안테나의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하는 대표값 패스로스(PL') 또는 각 안테나의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하는 패스로스(PL) 측정값을 설정하고, 각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설정한다.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하는 대표값 패스로스(PL')의 설정 및 각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설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설정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PTXn' 결정방법 1~3 등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PTXn' 결정방법 3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동국장치가 상기 도 6에 도시한 코드북으로부터 안테나 선택 PMI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송신전력 설정부(108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송신전력 설정부(1085)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는 단계와,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는 단계와, 총 송신전력(PTX)을 각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서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PL 측정부(1084)에서 측정된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 측정값 중, 가장 PL 측정값이 작은 값을 대표값 패스로스(PL')로 설정하여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한 후, 각 송신 안테나에 총 송신전력(PTX)을 동등하게 분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의 PL' 설정방법과 PTXn 결정방법 1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PL' 설정방법, PTXn 결정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송신전력 설정부(108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송신전력 설정부(1085)가, 각 송신 안테나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각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PL 측정부(1084)에서 측정된 각 송신 안테나의 PL(=PLn)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식 (6)을 이용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측면에 있어서의 PTXn 결정방법 1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PTXn 결정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기지국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2)(하나만 도시)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호처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4)에 있어서, AGC의 하에서 수신전력이 일정 전력으로 보정되도록 증폭된다.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송수신부(206)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 소정의 처리(오류 정정, 복합 등)가 이루어진 후,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도시하지 않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이동국을 관리하고 있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위 장치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재송 제어(H―ARQ(Hybrid ARQ))의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6)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그 후,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 송신된다.
호처리부(210)는, 상위 장치의 무선제어국과의 사이에서 호처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기지국장치(200)의 상태관리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에 있어서의 처리는, 호처리부(210)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다. 기지국장치(200)와 이동국장치(100n)와의 사이의 통신상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2082)와, RLC 처리부(2083)와, 송신전력 제어부(2084)를 갖고 있다.
레이어 1 처리부(2081)는, 주로 물리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한다. 레이어 1 처리부(2081)에서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채널 복호화, 이산 푸리에 변환(DFT), 주파수 디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데이터 복조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 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신호에 대해,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 주파수 맵핑, 역 푸리에 변환(IFFT)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MAC 처리부(2082)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한 MA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HARQ), 상향/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PUSCH/PDSCH의 전송 포맷의 선택, PUSCH/PDSCH의 리소스 블록의 선택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RLC 처리부(2083)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패킷/하향링크에서 송신하는 패킷에 대해, 패킷의 분할, 패킷의 결합, RLC 레이어에서의 재송 제어 등을 한다.
송신전력 제어부(2084)는, 이동국장치의 송신전력 정보를 관리하고, TPC 커맨드의 설정, 통지를 수행한다. 또, 이동국장치의 각 송신 안테나의 이득차를 고려하여, 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PDCCH에 있어서의 TPC 커맨드에서 이동국장치로 통지를 수행한다. 또한, TPC 커맨드에 의한 보정값 (f(i))은, 이동국장치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마다, 또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공통으로 제어된다. 또, 분배 후의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이동국장치에 대해, 안테나 선택의 PMI를 통지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의하면, 이동국장치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고려하여 송신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또,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만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시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기지국장치 및 이동국장치에 유용하다.
본 출원은, 2010년 4월 5일 출원의 특원 2010―087384 및 2010년 8월 16일 출원의 특원 2010―181813에 기초한다. 이들의 내용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28)

  1.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 중 가장 작은 패스로스(PL) 측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미리 정해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PTX)이 이하의 식 (1)에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식 (1)
    Figure pct00012

    여기서, PMAX는 최대 송신전력이며, MPUSCH는 송신 대역폭이며, P0 _ PUSCH는 목표 수신전력이며, α는 플랙셔널 TPC의 가중계수이며, PL'는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대표값 패스로스(PL')이며, ΔTF는 MCS에 의존하는 오프셋이며, f(i)는 TPC 커맨드에 의한 보정값이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각각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각각의 이득차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Pmax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의 식 (4)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식 (4)
    Figure pct00013

    여기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상기 Pmax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우선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1.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
    각 송신 안테나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이 이하의 식 (6)에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식 (6)
    Figure pct00014

    여기서, Pmax _n은 송신 안테나마다의 최대 송신전력이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의 식 (7)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식 (7)
    Figure pct00015

    여기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다.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상기 Pmax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우선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6.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이동국장치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는 단계;
    각 송신 안테나에서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과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이용하여,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의 식 (9) 및 식 (10)을 이용하여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식 (9)
    Figure pct00016

    식 (10)
    Figure pct00017

    여기서, β는 가중계수이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값 중 가장 작은 패스로스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미리 정해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측정 패스로스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20. 복수의 송신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패스로스 측정부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송신전력 설정부를 구비하는 이동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설정부는, 상기 패스로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설정하고,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결정하고,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분배함으로써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 중 가장 작은 패스로스(PL) 측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패스로스(PL')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 미리 정해진 하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PTX)이 이하의 식 (1)에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식 (1)
    Figure pct00018

    여기서, PMAX는 최대 송신전력이며, MPUSCH는 송신 대역폭이며, P0 _ PUSCH는 목표 수신전력이며, α는 플랙셔널 TPC의 가중계수이며, PL'는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대표값 패스로스(PL')이며, ΔTF는 MCS에 의존하는 오프셋이며, f(i)는 TPC 커맨드에 의한 보정값이다.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각각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25. 복수의 송신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를 측정하는 패스로스 측정부와, 측정한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결정하는 송신전력 설정부를 구비하는 이동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설정부는, 상기 패스로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 송신 안테나의 패스로스(PL)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의 식 (6)에서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식 (6)
    Figure pct00019

    여기서, Pmax _n은 송신 안테나마다의 최대 송신전력이다.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이동국장치의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을 이하의 식 (7)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식 (7)
    Figure pct00020

    여기서, N은 송신 안테나 수이다.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상기 Pmax를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작은 안테나에 대해 우선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전력(PTXn)의 송신전력의 합계가 소정값(Pmax)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송신전력(PTX)을 Pmax로 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패스로스(PL)가 가장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만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장치.
KR1020127026872A 2010-04-05 2011-04-05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 KR20130024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7384 2010-04-05
JP2010087384 2010-04-05
JPJP-P-2010-181813 2010-08-16
JP2010181813A JP5149348B2 (ja) 2010-04-05 2010-08-16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装置
PCT/JP2011/058570 WO2011125993A1 (ja) 2010-04-05 2011-04-05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898A true KR20130024898A (ko) 2013-03-08

Family

ID=4476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872A KR20130024898A (ko) 2010-04-05 2011-04-05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29232B2 (ko)
EP (1) EP2557864A4 (ko)
JP (1) JP5149348B2 (ko)
KR (1) KR20130024898A (ko)
CN (1) CN102948226B (ko)
MX (1) MX2012011499A (ko)
WO (1) WO20111259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350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56B1 (ko) * 2010-04-09 2014-08-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상향링크에서의 폐루프 전송 다이버시티 및 mimo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4221048A1 (en) * 2011-05-02 2023-08-0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mote radio heads
CN104471999B (zh) * 2012-08-17 2018-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CN103634889B (zh) * 2012-08-21 2016-12-07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发射功率调整方法及装置
KR102008467B1 (ko) * 2012-12-27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 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2787662B1 (en) * 2013-04-05 2018-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port detection
US20170289920A1 (en) * 2016-03-29 2017-10-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nd Power Allocation in Non-Orthogonal Uplink Transmissions
US10630410B2 (en)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6994304B2 (ja) * 2017-03-02 2022-01-1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端末、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
CN110475330B (zh) * 2018-05-11 2021-05-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00145929A1 (en) * 2018-11-01 2020-05-0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multi-panel transmission
WO2020124506A1 (zh) * 2018-12-20 2020-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确定天线的发射功率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2640539B (zh) * 2018-12-25 2023-04-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上行传输的功率控制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CN112398622B (zh) * 2019-08-16 2022-05-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发送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212482B (zh) * 2020-01-13 2022-05-24 普联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29105B (zh) * 2021-01-22 2022-05-13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 信号源间距确定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988A (ja) * 1998-07-23 2000-02-08 Sony Corp 無線通信装置
JP3848068B2 (ja) 2000-09-12 2006-11-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無線送信装置、cdma無線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cdma無線送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方法ならびにcdma無線送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送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8258937A (ja) * 2007-04-05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伝搬環境推定方法、装置及び通信方法
JP5084044B2 (ja) * 2008-08-05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147123B2 (ja) * 2008-08-05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583160B2 (en) * 2009-05-04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144040B2 (en) * 2010-04-01 2015-09-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antenna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350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98417A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96196B2 (en) 2018-02-14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7864A1 (en) 2013-02-13
MX2012011499A (es) 2012-12-17
US8929232B2 (en) 2015-01-06
JP2011234334A (ja) 2011-11-17
WO2011125993A1 (ja) 2011-10-13
EP2557864A4 (en) 2013-12-04
CN102948226A (zh) 2013-02-27
JP5149348B2 (ja) 2013-02-20
US20130100828A1 (en) 2013-04-25
CN102948226B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9348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装置
US10313984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269476B1 (ko) 무선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516754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9894618B2 (en) Wireless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KR101750369B1 (ko) 분산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189111B2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10555263B2 (en) Uplink signal transmit power control
KR20110052593A (ko) 폐 루프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장치
KR20130061586A (ko)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1010572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panel power control
KR201300180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81962A (ko) 송신전력 제어방법, 기지국장치 및 이동국장치
US9344972B2 (en) Uplink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EP2777334A2 (en) Up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8059248A1 (zh) 上行信号发送功率的处理方法及装置、基站、终端
US9185661B2 (en) Performing power control based on nominal packet size
JP6609357B2 (ja) 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24060190A1 (en) Closed-loop antenna selection for a single transmitter wireless device
WO2012093454A1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