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062A - 곡면 스크라이버 - Google Patents

곡면 스크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062A
KR20130024062A KR1020110087269A KR20110087269A KR20130024062A KR 20130024062 A KR20130024062 A KR 20130024062A KR 1020110087269 A KR1020110087269 A KR 1020110087269A KR 20110087269 A KR20110087269 A KR 20110087269A KR 20130024062 A KR20130024062 A KR 2013002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criber
axis
work table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호
Original Assignee
윤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호 filed Critical 윤병호
Priority to KR102011008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062A/ko
Publication of KR2013002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4Cutting or splitting in curves, especially for making spectacle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라이버에 있어서, 작업테이블과. 헤드와, 상기 작업테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를 승강시켜 주는 헤드 승강 수단와, 상기 헤드에 장착된 가압수단와, 상기 가압수단에 장착된 스크라이브 수단와, 상기 작업테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수단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수단 및 상기 작업테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 승강 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리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헤드와 상기 유리 기판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유리 기판의 표면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보정하므로, 균일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곡면 스크라이버{SCRIBER ON CURVED SURFACE}
본 발명은 곡면 스크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X,Y,Z축의 변위 측정이 가능한 곡면 스크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로 이용되는 유리 유리 기판은 넓은 크기의 모유리 기판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상기 모유리 기판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모유리 기판의 표면에 커터 휠 팁(cutter wheel tip)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이동시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모유리 기판을 브레이커로 가압하여 휨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가하여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모유리 기판이 절단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스크라이브 가공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브 장치에서 다이아몬드와 같은 최경질의 커터 휠 팁을 이용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취성 유리 기판에 형성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커터 휠 팁을 유리 기판에 접촉시킬 때에 유리 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당한 깊이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리 기판의 표면 위치와 커터 휠 팁이 장착된 헤드(200)의 위치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유리 기판에 대한 헤드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스크라이버는 휠 팁(17)이 장착된 휠 홀더(16)가 베어링(18)을 통해 장착된지지부(15)와, 상기 지지부(15)를 이동시켜 주면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에 필요한 압력을 가하는 헤드(1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10)는 헤드 유닛(11)에 형성된 공압 라인(14)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지지부(15)를 가압시켜 주는 피스톤(13)을 구동시켜 주는 에어 실린더(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크라이버는 유리 기판에 대한 휠 팁(19)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헤드 유닛(11)의 일측에 연결된 스토퍼(14)에 설치된 제 1접점(19a)과, 상기 제 1접점(19a)에 접촉되게 상기 지지부(15)의 측단에 설치된 제 2접점(19b)으로 이루어진 접점 방식을 이용한다.
즉, 상기 헤드(10)의 상기 에어 실린더(12) 및 상기 피스톤(13)에 의해 상기 휠 팁(19)이 유리 기판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휠 팁(19)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촉되는 순간에 상기 지지부(15)가 헤드(10) 쪽으로 반동하므로
상기 제 1접점(19a)과 상기 제 2접점(19b)은 접촉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접점(19a)과 상기 제 2접점(19b)이 분리되어 개방 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유리 기판에 대한 휠 팁의 접촉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직선방향으로만 작업이 가능하여, 곡면이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곡면까지 작업이 가능한 스크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라이버에 있어서, 작업테이블과. 헤드와, 상기 작업테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를 승강시켜 주는 헤드 승강 수단와, 상기 헤드에 장착된 가압수단와, 상기 가압수단에 장착된 스크라이브 수단와, 상기 작업테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수단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수단 및 상기 작업테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 승강 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변위 측정 수단은 x축, Y축, Z축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헤드와 상기 유리 기판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유리 기판의 표면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보정하므로, 균일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면 스크라이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스크라이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라이버에 있어서, 작업테이블(100)과, 헤드(2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200)를 승강시켜 주는 헤드(200) 승강 수단와, 상기 헤드(200)에 장착된 가압수단(400)와, 상기 가압수단(400)에 장착된 스크라이브 수단(5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수단(400)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수단(600) 및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200) 승강 수단과 상기 가압수단(40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크라이버에 관해서는 종래에 고지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하측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하며, 각종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200) 상기 승강수단(300)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승강수단(300)의 내부를 통해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200)를 통해 상기 가압수단(400)과 상기 스크라이브 수단(500)이 작동되게 되며, 헤드(20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300) 유압실린더 또는 D.C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수단(300)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400)은 상기 헤드(200)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라이브 수단(500)이 소재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브 수단(500)은 상기 가압수단(400)에 연동되어 소재를 스크라이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위 측정 수단(600)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제어되어 상기 스크라이브 수단(500)이 이동되는 범위가 결정되게 되되, 종래와 다르게 라운드등의 곡선 및 곡면까지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미도시)는 각종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200), 승강수단(300), 가압수단(400) 및 스크라이브 수단(500)을 제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위 측정 수단(600)은 x축, Y축, Z축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위 측정 수단(600)은, x축, Y축이 동시에 작동하여 곡선 및 곡면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Z축으로도 측정이 가능하여 곡면까지 스크라이브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곡선 및 곡면까지 스크라이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작업테이블 200: 헤드
300: 승강수단 400: 가압수단
500: 스크라이브 수단 600: 변위 측정 수단

Claims (2)

  1. 스크라이버에 있어서,
    작업테이블(100);
    헤드(2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200)를 승강시켜 주는 헤드(200) 승강수단(300);
    상기 헤드(200)에 장착된 가압수단(400);
    상기 가압수단(400)에 장착된 스크라이브 수단(5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수단(400)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수단(600); 및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200) 승강 수단과 상기 가압수단(40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스크라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 수단(600)은,
    x축, Y축, Z축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스크라이버.
KR1020110087269A 2011-08-30 2011-08-30 곡면 스크라이버 KR20130024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269A KR20130024062A (ko) 2011-08-30 2011-08-30 곡면 스크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269A KR20130024062A (ko) 2011-08-30 2011-08-30 곡면 스크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62A true KR20130024062A (ko) 2013-03-08

Family

ID=481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269A KR20130024062A (ko) 2011-08-30 2011-08-30 곡면 스크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0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616B1 (ko) 유리판 선긋기 방법 및 선긋기 장치
KR101786436B1 (ko)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TW201304922A (zh) 水平狀態可調整之切割裝置及其水平狀態調整方法
KR20130024062A (ko) 곡면 스크라이버
CN201376149Y (zh) 多功能激光加工机床
JP5197692B2 (ja) 硬質脆性板のブレーク装置
JP5472235B2 (ja) ガラス板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切断機
CN205218295U (zh) 一种激光切割机
CN204640343U (zh) 一种裁切机裁切刀头激光定位装置
KR101547823B1 (ko) 기판의 가공 장치
CN103100749A (zh) 一种高精度剪板机
CN203460554U (zh) 可快速定焦的大功率激光打标机
KR101066140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방법
CN104001758A (zh) 板材整平机
CN107263213A (zh) 剪板机上刀架和下刀架间隙测量装置
TWI591032B (zh) Ceramic substrate breaking method and scoring device
CN108253995B (zh) 激光水平仪调校机
CN110000936B (zh) 分断装置
TWI734272B (zh) 劃線裝置的控制方法
JP4605882B2 (ja) 硬質脆性板のブレーク装置
KR20070108595A (ko) 스케일러를 이용한 스크라이버 헤드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스크라이버
TW201321319A (zh) 具有雙控制器之玻璃面板切割裝置
CN202344285U (zh) 一种枕梁的机械加工安装工艺装备
CN201768993U (zh) 等离子切割机定位装置
CN203804841U (zh) 一种划线用磁力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