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594A -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594A
KR20130023594A KR1020110086488A KR20110086488A KR20130023594A KR 20130023594 A KR20130023594 A KR 20130023594A KR 1020110086488 A KR1020110086488 A KR 1020110086488A KR 20110086488 A KR20110086488 A KR 20110086488A KR 20130023594 A KR20130023594 A KR 2013002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touch pad
key input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281B1 (ko
Inventor
이종훈
김헌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81B1/ko
Priority to US13/595,301 priority patent/US20130050094A1/en
Publication of KR2013002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은,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키를 입력하는 중에 실수로 터치패드를 터치한 경우, 터치패드가 이를 인식하여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PREVENTING MALFUNCTION OF TOUCHPAD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들 예를 들어, 데스크 PC, 노트 PC, 태블릿 PC, 휴대폰 및 MP3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에서 상기 입력 수단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휴대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문서 작업, 메시지, 이메일 등과 같은 작업 시, 문자를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전자기기들 중 상기 노트 PC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 터치패드와 키보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트 PC는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종래의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 제공되는 대부분의 노트 PC는 상기 키보드 밑에 상기 터치패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노트 PC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패드를 항상 활성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 입력 중에 상기 터치패드를 실수로 터치하여 상기 노트 PC가 오동작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문서 작성 창에 문자를 입력하는 중에 실수로 상기 키보드 밑의 터치패드를 손목 혹은 손바닥으로 터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노트 PC가 상기 문서 작성 창을 비활성화시켜 문자 입력을 중단하고 상기 손목 혹은 손바닥으로 터치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문자가 상기 문서 작성 창에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에서 연속적인 키 입력 중에 터치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에서 키 입력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은,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와,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과,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키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 내에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키를 입력하는 중에 실수로 터치패드를 터치한 경우, 터치패드가 이를 인식하여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에 대한 사용자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전자기기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와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는 터치패드와 키보드를 포함하는 노트 PC일 수도 있으며, 상기 터치패드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키 입력 수단으로 키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키패드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기는 제어부(100), 키보드(110), 터치패드(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타이머(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상기 키보드(110) 및 터치패드(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타이머(102)를 통해 상기 키보드(110)의 키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키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패드(12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세히 말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이 온 될 시, 상기 키보드(110) 및 터치패드(120)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키보드(110)를 통한 키 입력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보드(110)로부터 키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시,상기 터치패드(12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을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타이머(102)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보드(110)로부터 키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숫자 혹은 문자를 상기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구동된 타이머(102)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키보드(110)로부터 키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타이머(102)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키보드(110)로부터 키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재입력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패드(120)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며, 동시에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타이머(102)를 구동시킨다. 반면, 상기 타이머(102)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키보드(110)로부터 키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시, 즉, 상기 타이머(102)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키보드(110)를 통한 키 입력이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터치패드(130)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만료된 타이머(102)를 초기 상태로 유지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연속적으로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패드(120)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특정 키의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패드(1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동안에는 상기 터치패드(120)를 통한 오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른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패드(120)를 터치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에 포함된 상기 타이머(102)는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설정되는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구동 시간이 만료되면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은 설계시 복수의 사용자들의 키 입력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의 키 입력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문자열 혹은 단어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키보드(110)에서 해당 문자열 혹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입력되면, 전체 키들이 눌리는 속도, 혹은 하나의 키가 입력된 후 다음 키가 입력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여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키보드(110)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혹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11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는 시점 즉, 키를 누르는 시점에 상기 키가 입력됨(혹은 눌림)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을 해제하는 시점 즉, 누른 키에서 손을 떼는 시점에 상기 키 입력(혹은 눌림)이 종료됨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터치패드(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2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 및 전환한다. 즉, 상기 터치패드(120)는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화되어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지 않는 동안 혹은 하나의 키 입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보고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보드(110)의 키 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110)의 키 입력 혹은 상기 터치패드(120)의 터치를 통해 발생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터치패드(120)가 비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터치패드(120)가 비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기는 201단계에서 전원이 온 될 시, 203단계로 진행하여 키보드(110) 및 터치패드(120)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상기 전자기기는 205단계에서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입력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즉,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보드(110)의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만일,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패드(12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타이머(102)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은 설계시 복수의 사용자들의 키 입력 속도 혹은 키 입력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의 키 입력 속도 혹은 키 입력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문자열 혹은 단어를 입력하도록 요구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110)에서 해당 문자열 혹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입력하면, 전체 키들이 눌리는 속도, 혹은 하나의 키가 입력된 후 다음 키가 입력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여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전자기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만일,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패드(120)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타이머(102)를 재구동시킨다. 이후,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209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상기 키보드(110)를 통해 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타이머(102)가 구동된 이후부터 상기 타이머(102)의 구동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추가적인 키 입력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지 않는 상황임을 판단하고,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패드(120)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만료된 타이머(102)를 초기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키를 연속적으로 입력하지 않는 상황은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를 소정 시간 동안 누르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2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전자기기가 키보드를 통해 연속적인 키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은(이하 '터치패드 활성 제어 동작'이라 칭함),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치패드 활성 제어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혹은 기능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보드를 통해 키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더라도 상기 터치패드가 비활성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타이머
110: 키보드 120: 터치패드
130: 표시부

Claims (14)

  1.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제 1 키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키의 입력을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될 시, 상기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됨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되지 않을 시, 상기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음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시, 상기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음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은, 사용자의 키 입력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드와,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과,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의 활성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 수단을 통해 제 1 키가 입력됨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키의 입력을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될 시, 상기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되지 않을 시, 상기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감지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 2 키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시, 상기 키 입력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은, 사용자의 키 입력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86488A 2011-08-29 2011-08-29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83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88A KR101833281B1 (ko) 2011-08-29 2011-08-29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US13/595,301 US20130050094A1 (en) 2011-08-29 2012-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ouchpad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88A KR101833281B1 (ko) 2011-08-29 2011-08-29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94A true KR20130023594A (ko) 2013-03-08
KR101833281B1 KR101833281B1 (ko) 2018-02-28

Family

ID=4774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88A KR101833281B1 (ko) 2011-08-29 2011-08-29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50094A1 (ko)
KR (1) KR101833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7855A1 (en) * 2012-01-20 2013-07-25 Microsoft Corporation Touch mode and input type recognition
US10552031B2 (en) 2014-12-30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erience mode tran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9051A1 (en) * 2013-03-22 2014-09-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612664B2 (en) * 2014-12-01 2017-04-04 Logitech Europe S.A. Keyboard with touch sensitive element
US9846495B2 (en) * 2015-07-23 2017-12-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for controlling vehicular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DE102018221352A1 (de) * 2018-12-10 2020-06-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und Benutzerschnittstelle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6869A (ja) * 2000-06-13 2001-12-26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US20020180704A1 (en) * 2001-05-30 2002-12-05 Rudd Michael L. Automatic disabling of computer keyboard insertion point control during typing
US20050057489A1 (en) * 2003-09-03 2005-03-17 Shao-Tsu Kung Cooperative keyboard and touchpad control method
US7659887B2 (en) * 2005-10-20 2010-02-09 Microsoft Corp. Keyboard with a touchpad layer on keys
WO2008063987A2 (en) * 2006-11-13 2008-05-29 Veveo,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JP4672756B2 (ja) * 2008-06-30 2011-04-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9665278B2 (en) * 2010-02-26 2017-05-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ing input from a keyboard
US9256304B2 (en) * 2010-05-28 2016-02-09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disable of input de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7855A1 (en) * 2012-01-20 2013-07-25 Microsoft Corporation Touch mode and input type recognition
US9928562B2 (en) * 2012-01-20 2018-03-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mode and input type recognition
US9928566B2 (en) 2012-01-20 2018-03-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mode recognition
US10430917B2 (en) 2012-01-20 2019-10-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mode recognition
US10552031B2 (en) 2014-12-30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erience mode tran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281B1 (ko) 2018-02-28
US20130050094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82404B2 (en) Touch-sensitive button
CA2750352C (en) Method for conserving power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the same
US20060012577A1 (en) Active keypad lock for devices equipped with touch screen
KR101262624B1 (ko) 터치 감응성 장치의 사용자 입력
JP5618665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4006696A1 (en) Sensor manage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328813A1 (en) Unlocking Mechanism for a Touch Screen Device
KR20130023594A (ko)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US9250801B2 (en) Unlocking metho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uch-sensitive device
US20140354550A1 (en) Receiving contextual information from keyboards
US10126843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107422B1 (ko) 전면부 및 후면부에 터치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휴대형 정보단말기
EP321151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EP2818984B1 (e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CN10589291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2113645A (ja) 電子機器
EP3580646B1 (en) Dynamic space bar
KR2011004111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40152586A1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013219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1204092A (ja) 入力装置
KR20100086264A (ko)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631505A (zh) 信息处理设备以及字符输入显示方法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810811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与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