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022A - 콘택팅 유닛 - Google Patents

콘택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022A
KR20130023022A KR1020117021975A KR20117021975A KR20130023022A KR 20130023022 A KR20130023022 A KR 20130023022A KR 1020117021975 A KR1020117021975 A KR 1020117021975A KR 20117021975 A KR20117021975 A KR 20117021975A KR 20130023022 A KR20130023022 A KR 2013002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tacting unit
deformation
contac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팀 쉐퍼
안드레아즈 거츠
발터 라첸메미어
Original Assignee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2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1Connections using shape memory materials, e.g. shape memory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셀, 특히 배터리 셀(22)의 콘택 접속부(18)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콘택팅 유닛(1)으로서, 하나 이상의 변형 섹션(2) 및 2개 이상의 클램핑 에지(9)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에지(9)는 하나 이상의 변형 섹션(2)의 대향 단부 섹션(4)에 지지되는, 콘택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팅 유닛{CONTACTING ELEMENT}
본 발명은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콘택팅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전기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및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배터리, 즉 재충전 불가능한 전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및 재충전 가능한 소위 2차 배터리 또는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는 간략히 전기 셀 또는 배터리라고 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전기 셀 및 배터리 장치는 특히 전기 작동식 자동차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팅 유닛은 기본적으로 배터리 셀을 외부 유닛, 예컨대 부하와 접속하기 위해, 또는 다수의 전기 셀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해 또는 동시에 2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KR 10 2005 004 9835 A에는 형상 기억 물질로 이루어진 장치를 전류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사용하는 2차 배터리용 커버 유닛이 공지되어 있다.
전기 화학적 셀에 대한 유사한 전류 차단기 유닛이 DE 698 35 613 T2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셀 내의 온도 또는 가스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셀을 통한 전류 흐름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개선된 콘택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콘택팅 유닛을 포함하는 개선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콘택팅 유닛 및 배터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전기 셀, 특히 배터리 셀의 콘택 접속부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콘택팅 유닛으로서, 변형 섹션 및 2개 이상의 클램핑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에지들이 하나 이상의 변형 섹션의 대향 단부 섹션에 지지되는, 콘택팅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지지라는 표현은 클램핑 에지에 작용하는 힘이 상응하는 단부 섹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직접 지지 및 간접 지지를 말한다. 이 경우, 지지에 사용되는 힘 흐름을 전달하는 다른 섹션이 클램핑 에지와 단부 섹션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변형 섹션은 경우에 따라 힘의 제공 하에 형태가 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는 변형 섹션의 2개의 대향 단부 섹션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킨다. 2개의 클램핑 에지가 단부 섹션에 지지되기 때문에, 변형 섹션의 형태 변화에 의해 그들의 상대 위치도 변화된다. 특히, 변형 섹션은, 2개의 클램핑 에지들이 서로 움직임으로써 2개의 클램핑 에지들 사이에 배치된 콘택 접속부, 특히 전극 또는 케이블 슈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고정에 의해 콘택팅 유닛과 콘택 접속부 사이의 충분히 안정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변형 섹션은 바람직하게 형상 기억 물질로 제조된다. 형상 기억 물질로 제조되는 대상들은 외부 팩터, 예컨대 온도 또는 자기장 세기에 따라 그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변형 섹션은 예컨대 열 입력에 의해 다시 원래 형태로 되돌아올 수 있고, 원래 형태에서는 콘택팅 유닛이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와의 콘택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의 콘택 형성은 매우 확실하고 신뢰성을 가지며 열원 이외의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배터리 장치 내에 배치된 다수의 콘택팅 유닛은 동시에 단일 열원의 활성화에 의해 그 원래 형태로 되돌아 가서 콘택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콘택팅 유닛은 2개의 클램핑 에지들을 포함하고, 제 1 클램핑 에지는 변형 섹션의 제 1 단부 섹션에 대해 지지되며 제 2 클램핑 에지는 변형 섹션의 제 2 단부 섹션에 대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단부 섹션들은 변형 섹션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열 작용시 변형 섹션의 형태, 특히 그 축 방향 길이가 변한다. 열 작용은 기본적으로 전류 제공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열 작용시 형태의 변화에 의해, 2개의 단부 섹션들 간의 상대 위치가 직접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변형 섹션의 형태 변화시 2개의 대향 단부 섹션들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시에 상대 위치, 특히 2개의 클램핑 에지들의 간격이 야기된다. 클램핑 에지들의 접근을 야기하는 형태 변화에 의해, 콘택 접속부가 예컨대 클램핑 에지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택팅 유닛이 콘택 접속부, 특히 전극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공간을 갖는다.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콘택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다. 수용 공간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 처리 후에 콘택 접속부가 2개의 클램핑 에지에 의해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되고, 그로 인해 콘택팅 유닛과 고정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에지가 수용 공간을 제한한다. 수용 공간은 2개의 클램핑 에지에 의해서도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 섹션은 다수의, 특히 4개의 변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 플레이트들은 바람직하게는 열 작용시 그 형태가 변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이러한 변형 플레이트들의 적합한 배치시, 그 형태 변화는 변형 섹션의 축 방향 길이를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콘택팅 유닛은 둥글지 않은, 특히 직사각형의, 특히 정방형 횡단면을 갖는다. 둥글지 않은 횡단면에 의해, 콘택팅 유닛은 콘택 접속부에 대한 회전 후에 상기 콘택 접속부와 축 방향으로 겹쳐진다. 특히, 장방형 콘택팅 유닛을 야기하는 각진 횡단면의 경우, 콘택 접속부는 바람직하게는 장방형 콘택팅 유닛의 에지와 겹쳐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택팅 유닛은 바람직하게 에지 내에 슬롯을 갖는다. 상기 슬롯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 작용시 변형 섹션의 축 방향 길이가 줄어든다. 변형 섹션이 하나 또는 다수의 변형 플레이트를 가지면, 변형 플레이트들은 열 작용시 휘어진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 작용시 변형 섹션의 축 방향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변형 섹션이 다수의 변형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면, 이들은 열 작용시 곧게 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택팅 유닛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콘택팅 유닛의 제조 비용 및 배터리 장치 내에 콘택팅 유닛의 조립 비용을 줄인다.
콘택팅 유닛은 또한 각각 2개의 단부 섹션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변형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부 섹션에 클램핑 에지가 지지된다. 지지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지지 및 간접적인 지지를 말한다. 총 4개의 단부 섹션 및 총 4개의 클램핑 에지가 얻어진다. 2개의 클램핑 에지들 사이에 콘택 접속부가 접속될 수 있기 때문에, 콘택 접속부를 접속하기 위한 2개의 접속 가능성이 주어진다. 예컨대, 상이한 배터리 셀의 콘택 접속부들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섹션의 단부 섹션이 다른 변형 섹션의 단부 섹션에 직접 지지된다. 이로 인해, 2개의 변형 섹션의 직렬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각각의 변형 섹션의 변형, 특히 그 축 방향 길이가 가산되어 전체 변형 또는 전체 길이를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변형 섹션의 변형에 의해 방출되는 힘이 가산되어, 2개의 상이한 쌍의 클램핑 에지들 사이에 삽입된 콘택 접속부에 작용하는 전체 힘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택팅 유닛은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섹션은 적어도 단부 섹션들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지지 섹션에는 클램핑 에지가 적어도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섹션은 단부 섹션에 클램핑 에지를 간접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특히, 2개의 대향 클램핑 에지가 국부적으로 둘다 변형 섹션의 공통 측면에 배치되는, 클램핑 에지의 공간적 배치가 요구되면, 변형 섹션의 다른 단부 섹션에 대한 클램핑 에지의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 섹션을 이용한 힘의 편향이 필요하다. 지지 섹션은 단부 섹션과 고정 접속되고, 특히 단부 섹션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섹션은 바람직하게 변형 섹션의 변형 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지지 섹션과 변형 방향이 동일하게 정렬됨으로써, 지지 섹션은 지지 섹션의 정렬을 따라 연장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지지 섹션은 한 단부 섹션으로부터 다른 단부 섹션의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섹션 자체가 하나 이상의 클램핑 에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 섹션은 벤딩 라인을 따라 벤딩을 갖는다. 벤딩 라인은 변형 섹션의 변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벤딩 라인을 따른 벤딩에 의해, 지지 섹션의 관성 모멘트가 커짐으로써, 지지 섹션의 좌굴 강도가 증가한다. 이는 또한 횡단면 두께가 일정할 때 부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부하 용량이 일정할 때 횡단면 두께를 감소시킨다. 전체적으로 콘택팅 유닛은 더 작게 및/또는 더 가볍게 설계될 수 있다. 평행한 정렬은 위험하지 않은 기준 값을 말한다. "평행한" 이라는 표현은 정확히 평행한 정렬과의 편차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택팅 유닛은 변형체 및 이와 분리된 클램핑 프레임을 포함한다. 변형체는 변형 섹션을 형성하고 클램핑 프레임은 지지 섹션을 형성한다. 2 분할은 기본적으로 각각의 부품, 즉 변형체 및 클램핑 프레임이 그 기능에 대해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변형체의 메인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상응하는 신호에 대해, 예컨대 열 작용에 대해 특정 형태 변화를 하는 것이며, 이는 특히 2개의 단부 섹션의 간격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간격 변화는 기본적으로 변형체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초래한다. 이에 반해, 클램핑 프레임은 상응하는 대항력을 제공한다. 즉, 변형체의 힘에 반작용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에서, 2개의 부품들 각각, 즉 변형체 및 클램핑 프레임은 구체적으로 부하 방식에 대해, 즉 인장력 또는 압축력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형체는 클램핑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다. 클램핑 프레임은 특히 변형체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변형체의 형태 변화는 의도적으로 하나의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고, 이는 콘택팅 유닛을 전체적으로 더 강하게 만든다. 또한, 변형체 및 클램핑 프레임은 2 부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쉽게 취급되는 유닛을 형성하고, 이는 배터리 장치의 조립을 위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프레임은 변형체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갖는다. 변형체가 횡단면으로 볼 때 클램핑 프레임보다 약간 더 작기 때문에, 변형체가 약간의 갭을 가지고 클램핑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프레임의 횡단면 및 변형체의 횡단면이 직사각형, 특히 정방형이다.
클램핑 프레임이 변형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클램핑 프레임이 바람직하게는 슬리브형으로 형성된다. 클램핑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휘어진 시트로 제조되고, 중심에 변형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특히 하나 또는 2개의 클램핑 에지를 갖는다. 클램핑 에지에 의해 지지 프레임이 콘택 접속부에 직접 지지되어 콘택 접속부를 변형체의 다른 클램핑 에지에 대해 고정한다. 클램핑 프레임이 특히 지지 프레임의 상이한 단부에 배치된 2개의 클램핑 에지를 가지면, 다수의, 특히 2개의 콘택 접속부들이 변형체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 프레임은 내부로 향한 지지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변형체가 단일 콘택 접속부에 대해서만 그리고 클램핑 프레임의 상응하는 클램핑 에지에 대해서만 지지되면, 지지 에지는 맞은 편에 변형체를 추가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체적으로 변형체가 2개의 측면으로부터 클램핑 프레임의 내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 부품에 대한 추가 지지는 필요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하나 이상의 콘택 접속부, 특히 전극이 상기 방식의 콘택팅 유닛에 의해 접속되는, 배터리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콘택 접속부가 콘택팅 유닛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진 보어를 포함한다. 물론, 콘택팅 유닛은 횡단면으로 볼 때 콘택 접속부의 보어보다 약간 더 작기 때문에, 콘택팅 유닛은 콘택 접속부의 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콘택 접속부는 콘택팅 유닛과 전류 전도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콘택 접속부의 보어의 횡단면이 둥글지 않은 것이, 특히 직사각형, 특히 정방형인 것인 바람직하다. 둥글지 않은 횡단면 형태에 대한 전술한 장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과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전술한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 하나의 전기 셀을 다른 전기 셀 상에 적층하는 단계,
- 콘택팅 유닛을 하나의 전기 셀의 보어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콘택팅 유닛을 회전 각 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 변형 섹션의 형태 변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전기 셀들이 공간 절감 방식으로 서로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열 전도 부재의 중간 접속 하에 배치된다. 콘택팅은 콘택팅 유닛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팅 유닛은 공간 절감 방식으로 전기 셀의 보어 내에 배치된다. 전기 셀의 보어들이 바람직하게 서로 일직선으로 놓이기 때문에, 콘택팅 유닛은 다수의 전기 셀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콘택팅 유닛의 삽입 후 회전에 의해,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 특히 전극은 콘택팅 유닛의 수용 공간과 축 방향으로 겹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콘택팅 유닛을 보어 내에서 그 축 방향 위치에 고정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콘택 접속부가 콘택팅 유닛의 2개의 클램핑 에지와 겹쳐짐으로써, 콘택 접속부와 콘택팅 유닛 사이의 전기 전도 접속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섹션의 형태 변화의 활성화, 특히 콘택팅 유닛의 열 처리에 의해, 콘택팅 유닛, 특히 그 변형 섹션은, 콘택팅 유닛의 클램핑 섹션이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를 고정하며 전기 셀과 콘택팅 유닛 사이의 전기 접속을 영구적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된다.
바람직하게 회전 각은 10°내지 80°, 특히 30°내지 60°, 특히 약 45°이다.
또한, 방법은 콘택팅 유닛을 케이블 슈의 보어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팅 유닛과 케이블 슈 사이의 콘택팅은 실질적으로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와 콘택팅 유닛 사이의 콘택팅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케이블 슈는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와 함께 2개의 클램핑 에지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열 처리 후에, 가이드 로드가 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는 개별 전기 셀들 간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한다. 또한, 가이드 로드는 외부에 놓인 전기 셀에 압축 하중을 가하므로, 전기 셀들은 서로 견고하게 접속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콘택팅 유닛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 시트로부터 블랭크를 펀칭하는 단계,
- 벤딩 라인을 따라 블랭크를 벤딩하여 장방형을 만드는 단계,
- 블랭크를 압축하는 단계,
- 블랭크를 열 처리하는 단계.
블랭크의 압축에 의해 적어도 특정 위치에 변형 섹션이 형성된다. 블랭크의 열 처리에 의해 특히 변형 섹션에 필요한 형상 기억 특성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 셀의 콘택 접속부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콘택팅 유닛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콘택팅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가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된 콘택팅 유닛 및 개선된 배터리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다수의 본 발명에 따른 콘택팅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치의
a) 평면도,
b) 도 1의 선 Ⅰ-Ⅰ을 따른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의 전극의
a) 평면도,
b) 도 1의 선 Ⅰ-Ⅰ을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의 케이블 슈의
a) 평면도,
b) 도 1의 선 Ⅰ-Ⅰ을 따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제조를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
도 6은 측면에서 본 형태 변화 전 도 4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a) 도 1의 선 Ⅰ-Ⅰ에 따른 횡단면도,
b) 변형 플레이트.
도 7은 측면에서 본 형태 변화 후 도 4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a) 도 1의 선 Ⅰ-Ⅰ을 따른 횡단면도,
b) 변형 플레이트.
도 8은 도 4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예의 콘택팅 유닛의 변형체의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콘택팅 유닛의 클램핑 프레임의 사시도.
도 11은 형태 변화 전 도 9 및 도 10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a) 도 1의 선 Ⅰ-Ⅰ을 따른 횡단면도,
b) 변형 플레이트.
도 12는 형태 변화 후 도 9 및 도 10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a) 도 1의 선 Ⅰ-Ⅰ에 따른 횡단면도,
b) 변형 플레이트.
도 13은 형태 변화 전 제 2 실시예의 콘택팅 유닛의 변형예의
a) 도 1의 선 Ⅰ-Ⅰ에 따른 횡단면도,
b) 변형 플레이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치(24)를 도시한다. 배터리 장치(24)는 3개의 전기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셀들은 배터리 셀(22)의 형태로 주어진다. 배터리 셀은 2차 셀이다. 즉, 배터리 셀은 재충전 가능하다. 이러한 배터리 장치(24)는 1차 배터리 셀 또는 연료 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셀들(22)은 서로 정렬되어, 서로 적층된다. 각각의 배터리 셀(22)은 2개의 보어(23)를 포함하고, 배터리 셀의 2개의 보어들은 각각 2개의 공통 보어 축(A)을 따라 다른 배터리 셀의 보어들에 대해 정렬된다. 각각의 배터리 셀(22)은 전극(18) 형태의 각각 2개의 콘택 접속부, 즉 캐소드 및 애노드를 포함한다. 캐소드들은 "+" 부호로 표시된다. 애노드들은 "-" 부호로 표시된다.
특히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극들(18)은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고 정방형 보어(19)를 갖는다. 정방형 보어(19)가 상응하는 배터리 셀의 보어(23)보다 작기 때문에, 전극(18)은 배터리 셀(22)의 보어(23)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극(18)은 보어(23) 내로 삽입된 돌출부(28)를 갖는다. 콘택팅 유닛(1)은 보어(19)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배터리 셀(22)의 2개의 보어(23) 내에 다수의, 총 4개의 콘택팅 유닛(1)이 배치된다. 콘택팅 유닛들(1)은 실질적으로 슬리브형으로 형성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돌출부(28)는 슬리브형 콘택팅 유닛(1)의 에지 섹션에 배치된 수용 공간(12) 내로 삽입되고, 거기서 콘택팅 유닛(1)과 전류 전달 방식으로 접속된다. 콘택팅 유닛(11)에는 또한 케이블 슈(20)가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 슈(20)는 전극(18)과 동일한 수용 공간(12) 내로 삽입된다. 케이블 슈(20)는 케이블(30)을 통해 외부로 전기 접속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콘택팅 유닛(14)에 케이블(30)을 가진 케이블 슈(20)가 장착된다.
도 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팅 유닛(1) 및 전극(18) 내의 보어(19)는 서로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정방형 형태를 갖는다. 콘택팅 유닛(1)의 정방형 횡단면은 전극(18) 내의 보어(19)보다 약간 더 작아서, 콘택팅 유닛(1)이 보어(19)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팅 유닛(1)은 배터리 셀(22)의 보어(23)에 대해 약 45°회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극(18)의 돌출부(28)가 장방형 콘택팅 유닛(1)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 콘택팅 유닛(1)의 수용 공간(12) 내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콘택팅 유닛(1)과 전극(18)의 이러한 접속에 의해, 콘택팅 유닛(1)은 배터리 셀(22)의 보어(23)의 내부에서 보어 축(A)을 따라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24)의 경우, 3개의 배터리 셀(22)이 직렬로 접속된다. 제 1 케이블 슈(20)는 콘택팅 유닛(11)을 통해 상부 배터리(22)의 캐소드(18)에 접속된다. 상부 배터리(22)의 애노드(18)는 콘택팅 유닛(12)을 통해 중간 배터리 셀(22)의 캐소드(18)에 접속된다. 중간 배터리 셀(22)의 애노드(18)는 콘택팅 유닛(13)을 통해 하부 배터리 셀(22)의 캐소드(18)에 접속된다. 하부 배터리 셀(22)의 애노드는 콘택팅 유닛(14)에 의해 제 2 케이블 슈(20)에 접속된다. 2개의 콘택팅 유닛들(1) 사이에서 각각 하나의 절연체(20)가 보어(23)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어는 2개의 콘택팅 유닛의 단락을 방지한다. 또한, 절연체(26)는 2개의 콘택팅 유닛들(1) 사이에서 스페이서로서 사용된다.
도 3에는 케이블 슈(20)가 상세히 도시된다. 케이블 슈는 보어(21)를 가지며, 상기 보어(21)는 정방형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횡단면은 전극(18)의 보어(19)의 횡단면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콘택팅 유닛은 보어(19)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도 4는 콘택팅 유닛(1)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콘택팅 유닛은 예컨대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거기서 예컨대 콘택팅 유닛(11 또는 14)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콘택팅 유닛(1)은 시트로부터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콘택팅 유닛(1)은 총 4개의 변형 플레이트(3)를 포함하는 변형 섹션(2)을 갖는다. 도 4에는 4개의 변형 플레이트(3) 중 2개만이 나타나고, 나머지는 은폐된다. 변형 섹션(2)은 2개의 대향 단부 섹션(4, 5)을 포함한다. 변형 섹션들(2)은 형상 기억 물질로 제조되고 열 작용시 다른 형태로 바뀔 수 있다. 변형 플레이트들(3)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휘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단부 섹션들(4, 5)이 서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 1 클램핑 에지들(8) 및 제 2 클램핑 에지들(9)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클램핑 에지(8)는 제 1 단부 섹션(4)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단부 섹션(4)에 지지될 수 있다. 제 2 클램핑 에지들(9)은 지지 섹션(13)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섹션은 제 2 단부 섹션(5)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 2 클램핑 에지(9)는 지지 섹션(13)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섹션은 제 2 단부 섹션(5)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 2 클램핑 에지들(9)은 제 2 단부 섹션(5)에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섹션들(13)은 벤딩 라인(15)을 따라 연장하는 각각 하나의 벤딩(14)을 갖는다. 벤딩 라인(15)은 큐브형 콘택팅 유닛(1)의 제한 에지에 상응한다. 변형 플레이트(3)가 기본적으로 변형 가능성을 갖는 한편, 단부 섹션 및 지지 섹션은 기본적으로 형태 안정적으로 구현되고, 이는 또한 하기 설명에도 적용된다.
변형 섹션(2)의 변형 동안, 예컨대 열 작용으로 인해 콘택팅 유닛의 축방향 길이가 변형 방향(D)을 따라 변한다. 지지 섹션(13)의 벤딩 라인(15)은 상기 변형 방향(D)에 대해 평행하다.
도 5는 전개된 형태의 콘택팅 유닛 또는 콘택팅 유닛의 제조를 위한 블랭크를 도시한다. 블랭크(25)는 시트로부터 펀칭된다. 특히, 콘택팅 유닛을 단부 섹션, 변형 섹션(2) 및 지지 섹션(13)으로 세분하는 리세스(27)가 펀칭된다. 그리고 나서, 블랭크가 벤딩 라인(15)에서 벤딩되어 정방형 형태로 된다. 그 다음에, 변형 플레이트(3)가 압축된다. 그 다음에, 블랭크(25)가 열 처리됨으로써, 블랭크(25), 특히 변형 플레이트(3)가 필요한 형상 기억 특성을 얻는다.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콘택팅 유닛(1)의 기능이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단부 섹션(4) 및 제 2 단부 섹션(5)을 포함하는 변형 섹션(2)이 나타난다. 단부 섹션들(4, 5) 사이에 각각 4개의 변형 플레이트(3)가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클램핑 에지(8, 9)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12) 내로 돌출부(28)가 삽입된다.
도 6은 배터리 장치의 조립 과정 동안 열 처리 전 콘택팅 유닛을 도시한다. 상기 열 처리는 도 5와 관련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블랭크(25)로부터 콘택팅 유닛(1)의 제조 동안 적용되는 열 처리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2개의 열 처리는 상이하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열 처리 전에, 변형 스트립(3)은 도 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곧게 펴진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전류 공급에 의해 열이 제공되면, 변형 플레이트(3)는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휘어진다. 이는 변형 섹션(2)의 수축을 일으키므로, 2개의 단부 섹션들(4, 5)의 간격이 단축된다. 이로 인해, 열 처리 동안 제 1 클램핑 에지(8)가 제 2 클램핑 에지(9)로 이동되고, 수용 공간(12) 내에 배치된 전극(18)을 고정한다. 따라서, 콘택팅 유닛(1)과 전극(18) 사이의 견고한, 전류 전도식 접속이 형성된다.
도 8은 도 4의 콘택팅 유닛(1)의 개선예를 도시한다. 콘택팅 유닛(1')은 제 1 단부 섹션(4) 및 제 2 단부 섹션(5)과 더불어 제 3 단부 섹션(6) 및 제 4 단부 섹션(7)을 포함한다. 또한, 콘택팅 유닛(1')은 4개의 변형 플레이트(3)를 포함하는 제 2 변형 섹션(2)을 갖는다. 달리 표현하면, 콘택팅 유닛(1')은 도 4의 콘택팅 유닛(1)에 상응하고, 그것의 제 2 단부 섹션(5)에 동일한 콘택팅 유닛이 거울-반전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클램핑 에지(8, 9)에 추가해서 제 3 및 제 4 클램핑 에지(10, 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클램핑 에지는 도 4의 콘택팅 유닛(1)과 유사하게 제 3 단부 섹션(6) 또는 제 4 단부 섹션(7)에 지지된다. 콘택팅 유닛(1')은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된 2개의 전극들(18)을 접촉할 수 있고, 예컨대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 내에 콘택팅 유닛(11 또는 13)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9 및 도 10은 콘택팅 유닛(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콘택팅 유닛은 2 부분으로 형성되고 변형체(17) 및 이와 분리되어 형성된 클램핑 프레임(16)을 포함한다. 변형체(17)는 변형 섹션(2)을 형성하고, 4개의 변형 플레이트들(3)을 포함하며, 상기 변형 플레이트의 대향 측면에 제 1 단부 섹션(4) 및 제 2 단부 섹션(5)이 배치된다. 제 1 단부 섹션(4)에 제 1 클램핑 에지(8)가 배치된다. 제 2 단부 섹션(5)에 제 3 클램핑 에지(10)가 배치된다.
클램핑 프레임(16)은 실질적으로 슬리브형으로 형성되고 정방형 횡단면을 갖는다. 클램핑 프레임(16)의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변형체(17)의 횡단면에 상응하고, 변형체(17)가 횡단면으로 볼 때 약간 더 작기 때문에, 상기 변형체가 클램핑 프레임 내로 끼워 맞춰진다. 클램핑 프레임(16)은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서 다수의 수용 공간들(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들은 제한 에지 내의 슬롯으로 형성된다.
슬리브형 클램핑 프레임은 동시에 콘택팅 유닛(1")의 지지 섹션(13)을 형성한다. 수용 공간(12)에는 제 2 클램핑 에지(9) 및 제 4 클램핑 에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클램핑 에지(9) 및 제 4 클램핑 에지(11)는 도 11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변형체(17)의 제 1 클랭핑 에지(8) 및 제 3 클램핑 에지(10)와 상호 작용한다.
도 11에는 도 9에 따른 변형체(17) 및 도 10에 따른 클램핑 프레임(16)을 포함하는 콘택팅 유닛(1")이 도시된다. 변형체(17)는 클램핑 프레임(16)의 내부에 지지됨으로써, 변형체(17)가 횡단면도로 볼 때 클램핑 프레임(16)보다 약간 더 작다. 클램핑 프레임(16)의 수용 공간(12)에는 전극(18)의 돌출부(28)가 나타난다. 돌출부(28)는 수용 공간(12) 내에 느슨하게 삽입된다. 변형체(17)의 변형 플레이트(3)는 도 1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휘어진다.
도 12에는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의 조립 동안 열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콘택팅 유닛(1")의 상태가 나타난다. 변형 플레이트들(3)은 도 1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의 곧게 펴진 상태이므로, 제 1 단부 섹션(4)과 제 2 단부 섹션(5) 사이의 축 방향 간격(X)이 도 11에 따른 상태에 비해 커진다. 그 결과, 제 1 단부 섹션(4)에 배치된 제 1 클램핑 에지(8)가 클램핑 프레임(16)의 수용 공간(12)에 배치된 제 2 클램핑 에지(9)를 향해 이동된다. 또한, 제 3 클램핑 에지(10)가 제 4 클램핑 에지(11)를 향해 이동된다. 둘 다 2개의 수용 공간(12) 내부에 2개의 전극(18)의 고정을 야기한다.
도 13은 도 9 내지 도 12에 따른 콘택팅 유닛(1")의 개선예인, 콘택팅 유닛(1'")을 도시한다. 클램핑 프레임(16)은 상부 영역에서만 전극(18)의 돌출부(28)의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12)을 갖는다. 하측면에서 클램핑 프레임이 이 휘어지기 때문에 환형 지지 에지(29)를 가지며, 상기 지지 에지에 변형체(17)가 지지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콘택팅 유닛(1'")은 예컨대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 내의 콘택팅 유닛(11 또는 14)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에 따른 배터리 장치(24)를 조립하기 위해, 먼저 배터리 셀들(22)이 상하로 적층되고, 특히 배터리 셀들의 보어들(23)이 공통의 보어 축(A)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되도록 적층된다. 그리고 나서, 콘택팅 유닛이 보어 내로 삽입되고 그 축 방향 위치로 이동되므로, 전극들(18)은 상응하는 수용 공간(12)에 대한 동일한 축 방향 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콘택팅 유닛이 45°회전되므로, 수용 공간들(12)이 전극(18)의 돌출부(28)와 겹쳐진다. 콘택팅 유닛(1)의 클램핑 에지들(8, 9, 10, 11)은 전극들(18)에 지지되지만, 아직 이들을 고정시키지 않는다. 클램핑 에지와 전극(18) 사이의 작은 간격 또는 갭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콘택팅 유닛(1)이 열 처리됨으로써, 변형 섹션(2)의 형태가 변하고, 이는 특히 클램핑 에지들(8, 9 및 10, 11)이 서로 움직이고 전극들(18)이 수용 공간(12) 내에 고정되게 한다.
조립 과정 동안 콘택팅 유닛(11 및 14)이 케이블 슈(20)의 보어(21) 내로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슈는 전극(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콘택팅 유닛과 접속된다.
그리고 나서,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로드가 개별 보어 내로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는 배터리 셀들 간의 정렬을 오랫동안 보장한다.
2개의 콘택팅 유닛들(1) 사이에 각각 하나의 절연체(26)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절연체는 한편으로는 보어 내에 공통으로 배치된 2개의 콘택팅 유닛들(1) 사이의 절연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절연체(26)는 2개의 콘택팅 유닛들(1)의 기계적 스페이서로서 사용된다.
1 콘택팅 유닛
2 변형 섹션
3 변형 플레이트
4 제 1 단부 섹션
5 제 2 단부 섹션
6 제 3 단부 섹션
7 제 4 단부 섹션
8 제 1 클램핑 에지
9 제 2 클래핑 에지
10 제 3 클램핑 에지
11 제 4 클램핑 에지
12 수용 공간
13 지지 섹션
14 벤딩
15 벤딩 라인
16 클램핑 프레임
17 변형체
18 전극
19 전극 내의 보어
20 케이블 슈
21 케이블 슈 내의 보어
22 배터리 셀
23 배터리 셀 내의 보어
24 배터리 장치
25 블랭크
26 절연체
27 리세스
28 돌출부
29 지지 에지
30 케이블
31 에지
X 간격
L 축 방향 길이
D 변형 방향
A 보어 축

Claims (42)

  1. 전기 셀, 특히 배터리 셀(22)의 콘택 접속부(18)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콘택팅 유닛(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변형 섹션(2) 및
    2개 이상의 클램핑 에지(9)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에지들(9)은 상기 하나 이상의 변형 섹션(2)의 대향 단부 섹션(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섹션(2)은 형상 기억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2개의 클램핑 에지(9)를 포함하고,
    제 1 클램핑 에지(8)는 상기 변형 섹션(2)의 제 1 단부 섹션(4)에 대해 지지되며,
    제 2 클램핑 에지(9)는 상기 변형 섹션(2)의 제 2 단부 섹션(5)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들(4)은 상기 변형 섹션(2)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섹션(2)은 열 작용시 그 형태, 특히 그 축 방향 길이(L)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대향 단부 섹션들(5)의 간격(X)은 상기 변형 섹션(2)의 형태 변화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콘택 접속부, 특히 전극(18)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공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에지(8, 9, 10, 11)는 상기 수용 공간(12)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둥글지 않은, 특히 직사각형, 특히 정방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12)은 상기 콘택팅 유닛(1)의 에지(31)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섹션(2)은 다수의, 특히 4개의 변형 플레이트(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플레이트들(3)은 열 작용시 그 형태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섹션(2)은 열 작용시 그 축 방향 길이(L)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플레이트들(3)은 열 작용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섹션(2)은 열 작용시 그 축 방향 길이(L)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6. 제 1 항 내지 제 12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플레이트들(3)은 열 작용시 곧게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각각 2개의 단부 섹션(4, 5, 6, 7)을 가진 2개의 변형 섹션(2, 2')을 포함하고, 각각의 단부 섹션에 각각 하나의 클램핑 에지(8, 9, 10, 11)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19. 제 18 항에 있어서, 하나의 변형 섹션(2, 2')의 단부 섹션(5, 6)은 다른 변형 섹션(2', 2)의 단부 섹션(6, 5)에 직접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하나 이상의 지지 섹션(1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섹션은 적어도 상기 단부 섹션들(4, 5, 6, 7)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13)은 상기 단부 섹션들(4, 5, 6, 7) 중 하나와 고정 접속,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13)은 상기 변형 섹션(2)의 변형 방향(D)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13)은 하나의 단부 섹션(5, 6)으로부터 다른 단부 섹션(4, 7)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13)은 상기 클램핑 에지들(8, 9, 10, 11)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13)은 2개의 클램핑 에지(9, 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은 벤딩 라인(15)을 따라 벤딩(14)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라인(15)은 상기 변형 섹션(2)의 변형 방향(D)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은 변형체(17) 및 이와 분리된 클램핑 프레임(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8. 제 27 항 및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체(17)는 상기 변형 섹션(2)을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 프레임(16)은 상기 지지 섹션(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체(17)는 상기 클램핑 프레임(16)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프레임(16)은 상기 변형체(17)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1. 제 2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프레임(16)의 횡단면 및 상기 변형체(17)의 횡단면이 직사각형, 특히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2.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프레임(16)이 슬리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3. 제 2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프레임(16)은 하나 이상의, 특히 하나 또는 2개의 클램핑 에지(8, 9, 10, 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4. 제 27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프레임(16)은 내부로 향한 하나 이상의 지지 에지(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
  35. 하나 이상의 전기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셀(22)의 하나 이상의 콘택 접속부(18)는 제 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택팅 유닛(1)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접속부(18)는 상기 콘택팅 유닛(1)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진 보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접속부(18)의 보어(19)의 횡단면은 직사각형, 특히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8.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 하나의 전기 셀을 다른 전기 셀 상에 적층하는 단계,
    - 콘택팅 유닛(1)을 상기 하나의 전기 셀(22)의 보어(23)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콘택팅 유닛(1)을 회전 각(α)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변형 섹션의 형태 변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α)은 10°내지 80°, 특히 30°내지 60°, 특히 약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팅 유닛(1)을 케이블 슈(21)의 보어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
  41.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섹션의 형태 변화의 활성화 후에, 상기 전기 셀(22)의 상기 보어(23) 내로 가이드 로드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의 조립 방법.
  42.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택팅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시트로부터 블랭크(25)를 펀칭하는 단계,
    - 벤딩 라인(15)을 따라 상기 블랭크(25)를 벤딩하여 장방형을 만드는 단계,
    - 상기 블랭크(25)를 압축하는 단계,
    - 상기 블랭크(25)를 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팅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117021975A 2009-02-20 2010-02-11 콘택팅 유닛 KR20130023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9923A DE102009009923A1 (de) 2009-02-20 2009-02-20 Kontaktierungselement
DE102009009923.9 2009-02-20
PCT/EP2010/000857 WO2010094424A1 (de) 2009-02-20 2010-02-11 Kontaktierungs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22A true KR20130023022A (ko) 2013-03-07

Family

ID=4217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975A KR20130023022A (ko) 2009-02-20 2010-02-11 콘택팅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56544A1 (ko)
EP (1) EP2399325A1 (ko)
JP (1) JP2012518872A (ko)
KR (1) KR20130023022A (ko)
CN (1) CN102326297A (ko)
DE (1) DE102009009923A1 (ko)
WO (1) WO20100944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549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0505B4 (de) * 2017-11-16 2024-03-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schlusselement zur mechanischen und elektrischen Verbindung mit einem Kontaktelement einer elektrischen Speicherzelle, insbesondere einer Kontaktfahne einer Pouch-Zelle, sowie elektrisches Speicherzellenmodul
DE102017221025A1 (de) * 2017-11-24 2019-05-29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mittel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lektrischer Leitungen
DE102022110994B3 (de) 2022-05-04 2023-10-19 Audi Aktiengesellschaft Crash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876A (ja) * 1988-11-18 1990-05-29 Fujitsu Ltd ケーブル端子板
JPH03112868U (ko) * 1990-03-05 1991-11-19
DE9012051U1 (de) * 1990-08-17 1990-10-25 Robert Karst GmbH & Co. KG, 1000 Berlin Kontaktverbindung zwischen zwei elektrischen Leitern
JPH10239701A (ja) * 1997-03-03 1998-09-11 Rohm Co Ltd 液晶表示素子におけるリードピンの構造
DE69835613T2 (de) 1997-08-22 2007-08-23 Duracell Inc., Bethel Stromunterbrecher für elektrochemische zellen
US20020009908A1 (en) * 2000-07-20 2002-01-24 Ta-Wei Liu Wire-to-board connector
US6806679B2 (en) * 2001-06-20 2004-10-19 Tai-Her Yang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DE10336069B3 (de) * 2003-08-06 2005-04-28 Siemens Ag Bauteil der Elektrotechnik oder Elektronik aus einer Memory-Metalllegierung
KR100551050B1 (ko) 2003-11-24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상기억합금에 의한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US8387960B2 (en) * 2008-09-04 2013-03-05 Vektek, Inc. Clamping sleev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549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065882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2042010A (zh) * 2018-11-30 2020-12-04 株式会社Lg化学 具有提高的安全性的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US11881597B2 (en) 2018-11-30 2024-01-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N112042010B (zh) * 2018-11-30 2024-05-28 株式会社Lg新能源 具有提高的安全性的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09923A1 (de) 2010-08-26
CN102326297A (zh) 2012-01-18
EP2399325A1 (de) 2011-12-28
WO2010094424A1 (de) 2010-08-26
WO2010094424A8 (de) 2011-10-06
US20120156544A1 (en) 2012-06-21
JP2012518872A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2790B2 (en) Power supply device
CN106450072B (zh) 电池模块
KR101494463B1 (ko) 배터리의 단자의 전기 접속 시스템 및 방법
EP2631965B1 (en) Battery module
US8426056B2 (en) Power supply device
US20120009461A1 (en) Energy storage module
EP2535966A1 (en) Secondary cell, and 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secondary cell
EP2571078A2 (en) Battery module
EP2562842A1 (en) Battery module
KR102317506B1 (ko) 배터리 팩
CA2593944A1 (en) Fuel cell stack
EP2182567A1 (en) Three-dimensional electrode terminal for pouch-typed battery
KR20120002590A (ko) 평판형 셀들, 이격 요소들, 및 접촉 장치들을 구비한 전기 에너지 메모리 장치
US20120258335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CN109390521B (zh) 蓄电装置、移动体及蓄电系统
JP2011253779A (ja) 組電池
JP2011198660A (ja) 電池パック
KR102211192B1 (ko) 단위전지모듈, 전지모듈과 전지팩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20150171412A1 (en) Secondary battery collector terminal and secondary battery
EP2892087B1 (en) Structure for holding voltage detecting terminal
KR20130023022A (ko) 콘택팅 유닛
CN111656567B (zh) 用于制造电池堆用接触板的方法、电池堆用接触板及电池堆
EP2416398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system
JP6401656B2 (ja) 配線部材
US20210328310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electricity storag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