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716A -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2716A KR20130022716A KR1020110085532A KR20110085532A KR20130022716A KR 20130022716 A KR20130022716 A KR 20130022716A KR 1020110085532 A KR1020110085532 A KR 1020110085532A KR 20110085532 A KR20110085532 A KR 20110085532A KR 20130022716 A KR20130022716 A KR 20130022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rainwater
- bent
- vortex
- point pollut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침전부의 상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1 격판; 상기 제1 격판과 대향하는 유입구 하측에 형성되면서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2 격판; 및 상기 침전부의 하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단이 하향 절곡된 제3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침전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침전물과 부유물을 더욱 능률적으로 분리하고, 우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점 오염물질(Non-point Source Pollution)이란 점 오염물질과는 달리 넓은 지역에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농경지, 목장, 삼림 벌채지, 광산, 도시의 각종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지역으로부터 발생하는 농약, 비료, 분요, 기름, 중금속, 타이어가루, 협잡물 등의 각종 오염 물질이 비점 오염물질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점 오염물질은 비가 내리면 우수와 함께 하천이나 호소로 흘러들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비점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는 하천이나 호소로 흘러들어가기 전에 가둔 상태에서 여러 단계의 침전이나 여과 과정을 거쳐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위한 시설을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라 한다.
종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살펴보면 크게 침전부와 여과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침전부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가두어 저류를 형성하면서 침전물은 바닥에 가라앉히고 부유물은 수표면 위에 가두도록 형성되어 있고, 여과부는 모래 또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접촉여재가 채워진 필터를 설치하여 우수가 이를 통과하면서 침전부에서 분리되지 않은 비점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의하면 침전부 내부로 유입된 우수 중에는 성질이 다른 침전물과 부유물이 서로 달라붙은 채로 유입되기도 하는데, 이때 상기 침전부 내부에서는 저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침전물과 부유물이 서로 분리되지 못하고 함께 침전되거나 또는 부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추후 침전부 내부의 부유물과 침전물을 별도로 수거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량의 침전물과 부유물이 서로 섞인 상태로 수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의하면 우수 중에 포함된 비점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걸러내기 위한 목적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의 우수에는 산소량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용존산소량이 적은 우수는 하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물질과 결합하여 쉽게 부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침전부의 바닥에 쌓여있는 침전물은 그 상부가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므로, 침전부 내부로 떨어지는 우수의 낙폭이 크거나 유입량이 많아 유속이 빨라질 경우 상기 우수가 침전물(흙과 같이 가벼운 침전물)을 때려 직접적으로 떠오르게 하고, 이렇게 떠오른 침전물은 우수와 함께 여과부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여과부로 이동한 침전물은 필터에 쌓이면서 여과 기능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침전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중에 서로 붙어있는 침전물과 부유물을 자연스럽게 분리시키도록 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우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도록 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침전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이 우수의 높은 낙차나 빠른 유속에 의해 떠오르지 않도록 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형성되어 우수로부터 침전물과 부유물을 분리하는 침전부 및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측에 형성되어 침전물과 부유물이 분리된 우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부로 이루어진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상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하측 공간에 통로를 형성하여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 중에 부유물을 가두도록 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1 격판; 상기 제1 격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유입구 하측에 형성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2 격판; 및 상기 침전부의 하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제1 격판의 하측 공간을 경유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단이 하향 절곡된 제3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은 와류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폭이 동일한 형태, 와류의 크기가 좌 또는 우로 갈수록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일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 와류의 크기가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중앙에 폭이 좁아지는 형태, 또는 와류의 크기가 좌우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좌우에 폭이 좁아지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은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수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의 상단 또는 하단은 아르 형태로 절곡된다.
상기 제1 격판에는 상기 제2 격판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단이 하향 절곡된 보조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격판의 하단과 제3 격판의 상단이 절곡된 폭 A는 상기 제2 격판의 하단이 절곡된 폭 B 보다 크고, 상기 제2 격판의 하단이 절곡된 폭 B는 상기 보조 격판의 하단이 절곡된 폭 C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침전부의 바닥 위에 설치되고, 침전물이 통과하여 바닥이 쌓이도록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공판은 유입구측이 높고 제3 격판 측이 낮은 기울기로 설치된다.
상기 침전부와 여과부를 구획하도록 하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되, 상기 구획벽과 상기 제1 격판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고, 상기 여과부로 이송되는 우수 중에 포함된 기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필터는 망으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채워져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하되, 각 면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의 우수가 각 면을 통과하여 내부의 빈 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면을 통해 상기 배출구가 관통 설치되는 제2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필터는 망으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대나무 활성탄 필터 패드, 제올라이트 또는 코스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워져 구성된다.
본 발명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의하면 침전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중에 서로 붙어있는 침전물과 부유물이 와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침전물과 부유물을 더욱 능률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의하면 와류를 통해 우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 후 배출되는 우수의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의하면 바닥의 상측을 커버하여 침전물은 통과하고 우수의 빠른 흐름은 억제하도록 함으로써, 침전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이 우수에 의해 떠올라 여과부로 이동하여 여과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와류 패널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와류 패널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부의 상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1 격판(100), 상기 제1 격판과 대향하는 유입구 하측에 형성되면서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2 격판(200) 및 상기 침전부의 하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단이 하향 절곡된 제3 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도 1 내지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 측에 형성되어 우수로부터 침전물과 부유물을 분리하는 침전부 및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0) 측에 형성되어 침전물과 부유물이 분리된 우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침전부와 여과부는 후술하는 구획벽(500)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지하에 매설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격판(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부의 상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하측 공간에 우수가 빠져나가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10)로부터 유입된 우수 중에 스티로폼과 같이 물에 뜨는 부유물은 여과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가두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격판의 하단은 상향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격판(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격판(100)과 대향하면서 상기 유입구(10) 하측에 형성한 것으로서, 그 하단은 상향 절곡되어 있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격판(200)의 절곡된 하단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격판(100)의 절곡된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격판(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부의 하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그 상단이 하향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격판(100)의 하측 공간을 경유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함으로써 와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3 격판(300)은 상기 제1 격판(100)과 후술하는 구획벽(500)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은 모두 우수 내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나, 제1 격판(100)과 제2 격판(200)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는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부유물과 침전물을 휘저어 서로 달라붙어 있던 것을 떼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격판(300)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는 침전물이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우수의 흐름을 따라 여과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은 모두 와류를 형성하면서 우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은 그 면의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의 와류를 만들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면의 폭이 동일한 형태의 경우 와류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면의 폭이 일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경우 와류의 크기가 좌 또는 우로 갈수록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면의 폭이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우에는 와류의 크기가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한편, 절곡된 면의 폭이 좌우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우 와류의 크기가 좌우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은 절곡된 면의 형태에 따라 침수부 내에서 우수의 흐름을 일측 또는 중앙이나 양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 많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통수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와류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다수개의 통수구멍을 빠져나가면서 용존산소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상단 또는 하단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르 형태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면서 와류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격판(100)에는 실시 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격판(200)을 향하여 설치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보조 격판(10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격판(100a)은 하단이 하향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흐름을 제2 격판(200)으로 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각 격판은 절곡된 폭을 각각 상이하게 형성하여 우수의 흐름과 와류의 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데, 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격판(100)의 하단과 제3 격판(300)의 상단이 절곡된 폭 A는 상기 제2 격판(200)의 하단이 절곡된 폭 B 보다 크고, 상기 제2 격판(200)의 하단이 절곡된 폭 B는 상기 보조 격판(100a)의 하단이 절곡된 폭 C 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기 침전부의 바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침전물이 가라앉는 곳으로서, 상기 위에는 침전물이 통과하여 바닥에 쌓이도록 하면서 빠른 유속이 바닥에 쌓인 침전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다공판(400)이 설치된다. 상기 다공판(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패널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사이 다공판(400)의 설치 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10) 측이 높고 제3 격판(300) 측이 낮은 경사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경사각은 예를 들어 20~30도의 경사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다공판(400)에는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들어내거나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전부와 여과부는 하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통해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구획벽(500)의 상단은 유입구(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구획벽(500)과 상기 제1 격판(100) 사이의 공간은 상기 여과부로 이송되는 우수 중에 포함된 기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600)에 의해 커버된다. 즉, 상기 제1 필터(6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500)을 넘어 침전부에서 여과부로 넘어가는 우수 중에서 오일이나, 휘발유와 같은 기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필터(600)는 실시 예로서 우수가 통과하도록 망으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채워져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여과부에는 배출구(20)를 통해 빠져나가는 우수 중에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2 필터(70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필터(7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하되, 각 면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의 우수가 각 면을 통과하여 내부의 빈 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면을 통해 상기 배출구(20)가 관통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필터(700)의 상단은 구획벽(500)의 상단보다 높고, 상기 배출구(20)는 상기 구획벽(500)보다 낮게 설치된다.
상기 제2 필터(700)는 실시 예로서 우수가 통과하도록 망으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대나무 활성탄 필터 패드, 제올라이트 또는 코스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워져 구성된다. 이때, 상기 대나무 활성탄 필터 패드, 제올라이트 또는 코스파는 본 발명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나 환경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을 통해 침전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중에 서로 붙어있는 침전물과 부유물이 와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됨으로써, 침전물과 부유물을 더욱 능률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류를 통해 우수 중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 후 배출되는 우수의 수질이 개선된다.
또한, 바닥의 상측을 다공판(400)으로 커버하여 침전물은 통과하고 우수의 빠른 흐름은 억제하도록 함으로써, 침전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이 우수에 의해 떠올라 여과부로 이동하여 여과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10: 유입구 20: 배출구
100: 제1 격판 110a: 보조 격판
200: 제2 격판
300: 제3 격판
400: 다공판
500: 구획벽
600: 제1 필터
700: 제2 필터
100: 제1 격판 110a: 보조 격판
200: 제2 격판
300: 제3 격판
400: 다공판
500: 구획벽
600: 제1 필터
700: 제2 필터
Claims (13)
-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 측에 형성되어 우수로부터 침전물과 부유물을 분리하는 침전부 및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0) 측에 형성되어 침전물과 부유물이 분리된 우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부로 이루어진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상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하측 공간에 통로를 형성하여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 중에 부유물을 가두도록 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1 격판(100);
상기 제1 격판(100)과 대향하면서 상기 유입구(10) 하측에 형성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2 격판(200); 및
상기 침전부의 하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제1 격판의 하측 공간을 경유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단이 하향 절곡된 제3 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은,
와류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폭이 동일한 형태, 와류의 크기가 좌 또는 우로 갈수록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일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 와류의 크기가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중앙에 폭이 좁아지는 형태, 또는 와류의 크기가 좌우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좌우에 폭이 좁아지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은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절곡된 상단 또는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격판(100, 200, 300)의 상단 또는 하단은 아르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격판(100)에는 상기 제2 격판(200)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단이 하향 절곡된 보조 격판(100a);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격판(100)의 하단과 제3 격판(300)의 상단이 절곡된 폭 A는 상기 제2 격판(200)의 하단이 절곡된 폭 B 보다 크고, 상기 제2 격판(200)의 하단이 절곡된 폭 B는 상기 보조 격판(100a)의 하단이 절곡된 폭 C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바닥 위에 설치되고, 침전물이 통과하여 바닥이 쌓이도록 형성된 다공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400)은 유입구(10) 측이 높고 제3 격판(300) 측이 낮은 기울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와 여과부를 구획하도록 하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500)을 형성하되,
상기 구획벽(500)과 상기 제1 격판(10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고, 상기 여과부로 이송되는 우수 중에 포함된 기름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600)는,
망으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채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하되, 각 면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의 우수가 각 면을 통과하여 내부의 빈 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면을 통해 상기 배출구(20)가 관통 설치되는 제2 필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700)는,
망으로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대나무 활성탄 필터 패드, 제올라이트 또는 코스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5532A KR101353039B1 (ko) | 2011-08-26 | 2011-08-26 |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5532A KR101353039B1 (ko) | 2011-08-26 | 2011-08-26 |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2716A true KR20130022716A (ko) | 2013-03-07 |
KR101353039B1 KR101353039B1 (ko) | 2014-01-21 |
Family
ID=4817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5532A KR101353039B1 (ko) | 2011-08-26 | 2011-08-26 |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30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0638B1 (ko) * | 2016-08-25 | 2017-02-27 |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CN115404978A (zh) * | 2022-09-22 | 2022-11-29 | 华钰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市政管网的分流截污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9462B1 (ko) | 2014-07-04 | 2015-01-08 | (주)공간파크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CN104631610B (zh) * | 2015-02-10 | 2016-08-24 |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 一种雨水颗粒分离及调蓄系统 |
CN104829051B (zh) * | 2015-04-27 | 2017-01-18 | 桂林市广泽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智能雨水/污水净化处理系统及其应用与处理方法 |
KR101755113B1 (ko) * | 2015-09-07 | 2017-07-06 | 남홍선 | 그리스 트랩 |
CN105442696B (zh) * | 2015-12-03 | 2017-10-13 |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 水力颗粒分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2740B1 (ko) * | 2008-06-19 | 2008-10-16 |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KR100956138B1 (ko) * | 2008-10-31 | 2010-05-06 | 주식회사 젠스텍 |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KR200459753Y1 (ko) * | 2008-12-10 | 2012-04-16 |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KR100949325B1 (ko) * | 2009-04-17 | 2010-03-23 |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
2011
- 2011-08-26 KR KR1020110085532A patent/KR1013530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0638B1 (ko) * | 2016-08-25 | 2017-02-27 |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CN115404978A (zh) * | 2022-09-22 | 2022-11-29 | 华钰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市政管网的分流截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3039B1 (ko) | 2014-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3039B1 (ko) |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
US7022243B2 (en) | Apparatus for treating storm water | |
US7297266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101353045B1 (ko) | 제어기능을 갖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
US6676832B2 (en) | Surface water purifying catch basin | |
KR100904177B1 (ko) |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 |
KR101218344B1 (ko)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 |
US20140158596A1 (en) |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Multiple Upflow Filters | |
KR101015625B1 (ko) |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0987316B1 (ko) |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 |
KR100605267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20100020867A (ko) |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 |
KR100814063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20130021598A (ko) |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0913315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1479462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US20170145678A1 (en) | Inclined plates for cso | |
WO2015161339A1 (en) |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polluted drainage water | |
KR100704901B1 (ko) |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
KR100673536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101231458B1 (ko) |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 |
US20150258472A1 (en) |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 |
KR20100122373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AU2005316557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101173780B1 (ko) |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