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412A -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412A
KR20130022412A KR1020130004102A KR20130004102A KR20130022412A KR 20130022412 A KR20130022412 A KR 20130022412A KR 1020130004102 A KR1020130004102 A KR 1020130004102A KR 20130004102 A KR20130004102 A KR 20130004102A KR 20130022412 A KR20130022412 A KR 2013002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dev
unit
image forming
web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906B1 (ko
Inventor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연결가능하고, 웹데브(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WebDAV)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기능 인쇄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원격으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는, 다수의 파일들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 인쇄부; 스캔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처리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인쇄 옵션의 선택 또는 스캔 옵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Method of managing file in WevDAV embede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for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웹데브(WebDAV)는 웹기반 분산형 저작 및 버전관리(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하여 웹 상에서 원격으로 웹 서버의 파일을 관리하는 확장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즉, 웹데브는 웹 상의 공동 저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표준으로서 웹데브는 RFC(Request For Commnets) 4918에 관련 내용이 기록되어 배포되고 있다. 따라서, 웹데브는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들 간에 원격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파일을 공동 편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린트, 스캐너,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의 파일 전송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하는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연결가능하고, 웹데브(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WebDAV)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기능 인쇄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원격으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는 다수의 파일들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 인쇄부; 스캔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처리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인쇄 옵션의 선택 또는 스캔 옵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불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원격 공유가 가능할 때,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에 임베디드된 웹데브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이 상기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만약 상기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절전 모드 동안에 차단되고,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접근하고자 하는 웹데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가 절전 모드일 때 조차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에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연결가능하고, 웹데브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기능 인쇄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원격으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는, 저장부; 인쇄부; 스캔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처리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인쇄 옵션의 선택 또는 스캔 옵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불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원격 공유가 가능할 때,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에 임베디드된 웹데브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에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웹데브 클라이언트가 내장된 호스트 장치는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INT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EVIEW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UT 커맨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에 대한 업로드를 제한하는 옵션을 설정하는 G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웹데브 클라이언트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웹데브 클라이언트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에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로 구성된다. 도 1에는 하나의 호스트 장치(200)만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호스트 장치(200)와 같은 복수의 호스트 장치들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는 각각에 마련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230)를 이용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 및 호스트 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인증부(120), 웹데브 서버(130), 다큐먼트 박스 생성부(140), 파일 생성부(145), 저장부(150), 다큐먼트 박스(151), 사용자 계정정보(155), 캐쉬메모리(160), 웹데브 클라이언트(170), 제어부(1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 화상 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로 구성되고, 호스트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웹데브 클라이언트(220), 통신 인터페이스부(230), 제어부(240) 및 메모리(250)로 구성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 스캔, 복사,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 파일 전송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파일들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일(file)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 스캔, 복사,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 파일 전송 작업 등을 수행하는 스캔데이터, 팩스데이터, 이메일데이터 및 인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스캔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스캔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생성되고, 팩스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팩스 송수신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생성되고, 이메일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이메일 송수신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에 따라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원격연결 요청, 로그인 정보 및 웹데브 커맨드 호출 등을 수신하고,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 결과를 호스트 장치(200)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 정보의 수신은 호스트 장치(2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면,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화상형성장치(100)와 호스트 장치(200)가 연결되면 호스트 장치(200)에서 자동으로 로그인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설정에 따라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화상형성장치(100)는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증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와 호스트 장치(200)가 연결되면, 인증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가 사용자 계정정보(15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로그인 정보가 사용자 계정정보(15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부(120)는 호스트 장치(200)를 허가된 사용자로서 인증한다.
웹데브 서버(130)는 인증부(120)의 인증 결과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가 인증된 호스트 장치(200)인 경우,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즉,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되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을 제어하는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 및 디렉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이때, 웹데브 커맨드는 HTTP 프르토콜에 따른 커맨드 및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커맨드를 포함하고, 또한, 웹데브 서버(130)가 지원하는 커맨드에 따라 확장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웹데브 커맨드는 PROPFIND, PROPPATCH, MKCOL, COPY, MOVE, LOCK, UNLOCK, FAX, SCAN, PRINT, PREVIEW 및 EMAI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는 HTTP 프로토콜에 따른 HEAD, GET, POST, PUT, DELETE, TRACE, OPTIONS, CONNECT 메소드,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PROPFIND, PROPPATCH, MKCOL, COPY, MOVE, LOCK, UNLOCK 메소드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확장된 메소드인 인쇄요청 메소드(PRINT METHOD), 미리보기요청 메소드(PREVIEW METHOD), 팩스요청 메소드(FAX METHOD), 스캔요청 메소드(SCAN METHOD) 및 이메일전송요청 메소드(EMAIL METHOD)를 모두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호출되는 HTTP 프로토콜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상기 HTTP 프로토콜에 따른 각 커맨드가 요청하는 작업들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또한,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호출되는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상기 HTTP 프로토콜에 따른 각 커맨드가 요청하는 작업들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HTTP 프로토콜의 PUT 커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에 대한 PUT 커맨드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웹데브 서버(130)는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에 대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PUT 커맨드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자체적으로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배포할 수 있기에,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이 화상형성장치(100)에 무분별하게 업로드(upload)될 경우, 바이러스(virus) 등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보안이 침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는 웹데브 서버(130)에 의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를 참조하여,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제공된 응답을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를 실행하기로 결정하면,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을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를 실행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제공한다.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를 실행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에 대하여 오류가 있다는 응답(예를 들어, HTTP/1.1 403 Forbidden)을 제공한다.
따라서, 웹데브 서버(13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무분별하게 업로드되는 파일을 막음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보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웹데브 프로토콜의 PROPFIND 웹데브 커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PROPFIND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면,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에 대한 속성(properties)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속성정보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된다. 이때, 속성정보라 함은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의 소유자(owner), 선택된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 선택된 파일을 생성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델명/모델 시리얼 넘버, 선택된 파일의 생성 경로(예를 들어, 팩스데이터로부터 생성, 또는, 스캔데이터로부터 생성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PROPFIND 웹데브 커맨드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의 속성에 대하여 원격으로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하여, PROPPATCH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속성을 변경할 수 있고, MKCOL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COPY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파일 및 속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른 파일에 복사할 수 있고, MOVE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파일 및 속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할 수 있고, LOCK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파일 락을 설정할 수 있고, UNLOCK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파일 락을 해제할 수 있다.
웹데브 서버(130)에서 실행하는 HTTP 프로토콜 및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은 상기 HTTP 프로토콜 및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렉터리(directory)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다큐먼트 박스(151)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웹데브 서버(130)는 HTTP 프로토콜 및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웹데브 커맨드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에서 확장된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PRINT 웹데브 커맨드, PREVIEW 웹데브 커맨드, FAX 웹데브 커맨드, SCAN 웹데브 커맨드 및 EMAIL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고,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웹데브 서버(130)의 PRINT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라, 화상 형성부(191)는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PRINT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를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PREVIEW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고,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PREVIEW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웹데브 서버(130)의 PREVIEW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PREVIEW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른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웹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을 관리 및 인쇄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종속적인 파일관리 구현에 따른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HTTP의 확장 프로토콜인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 및 디렉터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인쇄작업 및 미리보기작업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데브 서버(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에서 FAX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즉,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된 팩스데이터에 대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FAX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FAX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고,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에 대응하는 팩스데이터에 대하여 FAX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웹데브 서버(130)의 FAX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라, 팩스부(192)는 상기 팩스데이터에 대하여 팩스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FAX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른 팩스데이터를 지정된 팩시밀리로 전송하고, 또한, FAX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를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팩스전송 작업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데브 서버(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에서 SCAN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즉,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SCAN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EMAIL 웹데브 커맨드의 실행 결과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선택받은 파일에 대하여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이메일전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이메일전송 작업 및 스캔 작업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를 제공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웹데브 서버(130)는 인증부(120)에서 인증된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수행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과 디렉터리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기에,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할 작업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웹데브 서버(130)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인증부(120)의 인증 결과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가 인증된 호스트 장치(200)인 경우, 다큐먼트 박스 생성부(140)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생성하고, 저장부(150)는 생성된 다큐먼트 박스(151)를 저장한다. 이때, 다큐먼트 박스(151)는 웹데브 서버(130)의 디렉터리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다만, 호스트 장치(200)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가 저장부(150)에 기존재하는 경우, 다큐먼트 박스 생성부(140)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파일 생성부(145)는 인쇄데이터, 스캔데이터, 팩스데이터 및 이메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하기 위한 파일을 생성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 등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한 인쇄데이터, 스캔데이터, 팩스데이터 및 이메일데이터 등을 이미지파일로 변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될 파일을 생성한다.
웹데브 서버(130)는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HTTP 프로토콜에 따른 커맨드, 웹데브 프로토콜에 따른 웹데브 커맨드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추가되는 확장된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웹데브 서버(130)는 파일 생성부(145)에서 파일이 생성되는 동안 LOCK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이때, 웹데브 서버(130)는 LOCK 웹데브 커맨드가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지 않더라도 파일 생성부(145)에 의하여 파일이 생성되기 시작하면 자동으로 LOCK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웹데브 서버(130)는 파일 생성부(145)에 의하여 파일의 생성이 완료되면 UNLOCK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다. 이때, 웹데브 서버(130)는 UNLOCK 웹데브 커맨드가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지 않더라도 파일 생성부(145)에 의하여 파일 생성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UNLOCK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즉, 호스트 장치(200)는 파일 생성부(145)에서 생성 중인 파일에 대하여 접근이 제한된다. 따라서, 웹데브 서버(130)는 파일 생성부(145)에서 파일이 생성되는 중 파일이 생성완료되기 이전에 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생성부(145)는 파일의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된 파일의 생성정보를 파일의 속성정보로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200)는 PROPFIND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여 상기 저장된 속성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큐먼트 박스(151)를 저장하고, 다큐먼트 박스(1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을 저장한다.
다큐먼트 박스(151)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될 파일들을 속성에 따라 구별하여 저장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될 파일의 속성을 참조하여, 제어부(180)는 다큐먼트 박스(151)내에 속성 별로 분류된 각각의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한다. 이때, 다큐먼트 박스(151)의 속성은 파일의 작성자, 파일이 생성된 시기, 파일이 생성된 장소, 파일의 종류, 파일에 설정된 보안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고, 이에 따른 속성별로 분류된 각각의 다큐먼트 박스(151)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용(common)박스,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보안 설정이 되어있는 보안(secure)박스 및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user) 박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롬(Read 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의 일 종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계정정보(155)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로그인 정보라 함은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패스워드,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200)의 아이디/패스워드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계정정보(155)를 참조하여, 다큐먼트 박스 생성부(14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생성하고, 저장부(150)는 생성된 다큐먼트 박스(151)를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웹데브 서버(130)의 디렉터리 기능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파일의 속성 또는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기에, 호스트 장치(200)는 좀 더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캐쉬메모리(16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들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저장한다. 즉, 캐쉬메모리(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URL을 저장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저장부(1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모드에 진입한다. 이때, 소정의 시간은 사용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이처럼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인 경우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웹데브 커맨드가 호출되면, 저장부(15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있기에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요청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웹데브 서버(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절전모드가 수행될 때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웹데브 커맨드가 호출되는 경우, 캐쉬메모리(160)에 저장된 URL을 제공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제공된 URL을 호스트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장부(150)에 전원이 차단되는 절전모드에서 캐쉬메모리(160)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HTTP 프로토콜의 GET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을 브라우징(browsing)할 수 있다.
또한,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된 웹데브 커맨드에 의하여 저장부(150)에 접근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절전모드를 해제한다. 즉, 웹데브 서버(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부(180)를 제어한다.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가 COPY, MOVE, DELETE, PRINT, PREVIEW 등과 같이 저장부(150)에 접근하여야 하는 경우, 웹데브 서버(130)는 저장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부(180)를 제어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호스트 장치(200)는 원격으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이처럼 화상형성장치(100)에 내장된 웹데브 서버(130)를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는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하고, 인쇄작업, 미리보기 작업, 팩스전송 작업, 스캔 작업 및 이메일전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웹데브 서버(130)뿐만 아니라 웹데브 클라이언트(170)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환경에 따라 웹데브 서버(130) 및 웹데브 클라이언트(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웹데브 클라이언트(170)는 인증부(120)에 의하여 인증된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을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데브 서버로 제공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제공된 파일을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데브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을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외부장치(예를 들어, 웹데브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FTP(File Transfer Protocol)/SMB(Server Message Block)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파일 전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파일을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데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이용하여 문서를 스캔하고, 스캔된 스캔데이터를 다큐먼트 박스(151)에 의하여 구현되는 "Scan to WebDAV"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데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화상형성장치(100)에 내장된 웹데브 클라이언트(17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데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요청되는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출력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GUI(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LUI(Local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 LCD,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입출력 장치와 이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191)는 파일의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팩스부(192)는 파일의 팩스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파일을 서버, 이동식저장매체, 컴퓨터 시스템 등의 외부 장치로의 전송작업을 수행한다.
즉, 화상 형성부(191)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PRINT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팩스부(192)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FAX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팩스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호출되는 EMAIL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이메일전송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내장된 웹데브 서버(13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고,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에 내장된 웹데브 클라이언트(17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데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 및 디렉터리를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100)와 다른 화상형성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화상형성장치 등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출력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받고,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웹데브 커맨드를 선택받는다. 이때, 어느 하나의 웹데브 커맨드는 PRINT 웹데브 커맨드, PREVIEW 웹데브 커맨드, SCAN 웹데브 커맨드, FAX 웹데브 커맨드 및 EMAIL 웹데브 커맨드 등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51)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표시된 호출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웹데브 커맨드 (예를 들어,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웹데브 클라이언트(220)는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을 요청하고,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하고,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인쇄작업, 미리보기 작업, 스캔 작업, 이메일전송 작업 및 팩스전송 작업 등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요청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및 화상형성장치(100)로 호출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정보 및 웹데브 커맨드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파일정보는 파일이 저장된 위치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40)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예를 들어, 인쇄요청 작업)의 수행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요청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200)를 제어한다.
메모리(250)에는 호스트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250)는 프로그램 메모리(미도시) 및 데이터 메모리(미도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호스트 장치(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호스트 장치(200)는 다른 화상형성장치가 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다큐먼트 박스가 포함된 경우, 다큐먼트 박스의 기능의 일 예인 "Scan to WebDAV" 등을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웹데브 클라이언트(22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편리하게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하고,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인쇄요청 작업, 미리보기요청 작업, 스캔 작업, 이메일전송 작업 및 팩스요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을 요청하고,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파일 및 인쇄작업을 요청하는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200) 및 상기 수신된 파일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편리하게 인쇄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INT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201)가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면, 화상형성장치(202)에서 이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201)의 PRINT 웹데브 커맨드 호출(203)은 PRINT 웹데브 커맨드를 print 디렉터리에 있는 file1에 수행하고, Host는 example.com임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화상형성장치(202)의 응답(204)은 PRINT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EVIEW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201)가 PREVIEW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하면, 화상형성장치(202)에서 이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301)의 PREVIEW 웹데브 커맨드 호출(303)은 PREVIEW 웹데브 커맨드를 file1에 수행함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화상형성장치(302)의 응답(304)은 PREVIEW 웹데브 커맨드에 따른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302)는 PREVIEW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한 결과에 따른 이미지데이터를 호스트 장치(301)에게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UT 커맨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401)가 PUT 커맨드를 호출하면, 화상형성장치(402)에서 이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401)의 PUT 커맨드 호출(403)은 PUT 커맨드를 webd 디렉터리에 있는 file1에 수행함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화상형성장치(402)의 응답(404)은 PUT 커맨드에 따른 작업이 수행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402)는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에 대한 PUT 커맨드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호스트 장치(401)로부터 호출된 PUT 커맨드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402)는 PUT 커맨드에 따른 작업이 수행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호스트 장치(401)에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에 대한 업로드를 제한하는 옵션을 설정하는 GUI(Graphich User Interface)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옵션을 설정하는 GUI(51)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의 일 예인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의 일 예인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Remote client의 파일 생성 제한"의 박스를 터치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에서 생성된 파일에 대한 업로드를 제한하는 옵션을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표시되는 웹데브 클라이언트 UI(User Interfac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웹데브 클라이언트 UI(61)는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소 및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영역(611)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큐먼트 박스(151)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파일 시스템의 디렉터리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51)를 선택하면, 선택된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들의 이름, 표시, 형태, 크기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 표시되는 웹데브 클라이언트 UI(User Interface)를 도시한 도면이다. 웹데브 클라이언트 UI(71)에 표시된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파일(712)을 선택하고, 파일탭(712)을 선택하면, 호스트 장치(200)에 의하여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713)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이용하여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713) 중 어느 하나의 웹데브 커맨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웹데브 커맨드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는 PRINT 웹데브 커맨드 (714)를 선택하여, 선택된 파일인 "DOC001.pdf"에 대한 인쇄작업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는 PREVIEW 웹데브 커맨드(715)를 선택하여, 선택된 파일인 "DOC001.pdf"에 대한 미리보기요청 작업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다만, 화상형성장치(100)의 설정에 따라, PRINT 웹데브 커맨드(714) 또는 PREVIEW 웹데브 커맨드(715) 등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PRINT 웹데브 커맨드(714) 또는 PREVIEW 웹데브 커맨드(715)는 웹데브 클라이언트 UI(71)에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713)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가능한 작업들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에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인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기재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기재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801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즉, 호스트 장치(200)의 웹데브 클라이언트(220)는 웹데브 서버(130)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을 요청한다. 이때, 연결 요청은 HTTP request에 의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802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고, 803 단계에서 인증부(12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한다.
804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증 결과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하고, 805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및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송된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및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는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
806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수신된 다큐먼트 박스(151)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다큐먼트 박스(151)에 저장된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수신된 호출 가능한 웹데브 커맨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웹데브 커맨드를 선택받는다.
807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선택받은 파일정보 및 웹데브 커맨드를 수신한다.
808 단계에서 웹데브 서버(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웹데브 커맨드를 참조하여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선택받은 파일 및 디렉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화상형성장치 200: 호스트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인증부
130: 웹데브 서버 140: 다큐먼트 박스 생성부
150: 저장부 160: 캐쉬 메모리

Claims (26)

  1.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연결가능하고, 웹데브(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WebDAV)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기능 인쇄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원격으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파일들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
    인쇄부;
    스캔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처리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인쇄 옵션의 선택 또는 스캔 옵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불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원격 공유가 가능할 때,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에 임베디드된 웹데브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이 상기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만약 상기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절전 모드 동안에 차단되고,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접근하고자 하는 웹데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가 절전 모드일 때 조차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에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의 동작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상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를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서버는 상기 인쇄부 및 스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웹데브 서버는 인증된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웹데브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수신한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의 인증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웹데브 커맨드에 대응되는 처리의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커맨드는 상기 웹데브 서버가 지원하는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커맨드는 PROPFIND, PROPPATCH, MKCOL, COPY, MOVE, LOCK, UNLOCK, FAX, SCAN, PRINT, PREVIEW 및 EMA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서버는 상기 웹데브 서버에 의해 지원되는 웹데브 커맨드들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인증된 웹데브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웹데브 커맨드들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다큐먼트 박스를 생성하는 다큐먼트 박스 생성부; 및
    인쇄 데이터, 스캔 데이터, 팩스 데이터 및 이메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될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웹데브 서버는 상기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파일에 대하여 락(LOCK) 웹데브 커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저장하기 위한 캐쉬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만약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상기 웹데드 커맨드가 원격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되었다면, 상기 웹데브 서버는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URL을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URL을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다큐먼트 박스에 저장된 파일을 외부의 웹데브 서버에 제공하는 웹데브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웹데브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받은 파일을 상기 외부의 웹데브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3.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연결가능하고, 웹데브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기능 인쇄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원격으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인쇄부;
    스캔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처리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인쇄 옵션의 선택 또는 스캔 옵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불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원격 공유가 가능할 때,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에 임베디드된 웹데브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에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의 동작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상시 웹데브 프로토콜을 이용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를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서버는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서버는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SSL(Secure Sockets Layer) 암호화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SSL 인에이블 옵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원격의 클라이언트들이 상기 저장부에 새로운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금지하는 원격 클라이언트 파일 옵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만약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절전 모드 동안에 차단되고,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접근하고자 하는 웹데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인쇄장치가 절전 모드일 때 조차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에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로그인 정보 및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생된 웹데브 서버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요청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 가능하고,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기 위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웹데브 서버는 상기 인쇄부 및 스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웹데브 서버는 인증된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웹데브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수신한 웹데브 커맨드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정보의 인증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데브 서버 인에이블 옵션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웹데브 커맨드에 대응되는 처리의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5.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연결가능하고, 다기능 인쇄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원격으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인쇄부;
    스캔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처리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인쇄 옵션의 선택 또는 스캔 옵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원격 공유가 가능할 때, 상기 제어부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요청들을 처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파일 액세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에의 원격 액세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원격 공유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인쇄장치.
KR1020130004102A 2013-01-14 2013-01-14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150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02A KR101502906B1 (ko) 2013-01-14 2013-01-14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02A KR101502906B1 (ko) 2013-01-14 2013-01-14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162A Division KR101279442B1 (ko) 2009-11-24 2009-11-24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412A true KR20130022412A (ko) 2013-03-06
KR101502906B1 KR101502906B1 (ko) 2015-03-16

Family

ID=4817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02A KR101502906B1 (ko) 2013-01-14 2013-01-14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761A (ko) * 2018-03-29 2019-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US10476842B2 (en) * 2017-03-24 2019-11-12 Fuji Xerox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1503169B2 (en) * 2020-09-30 2022-11-15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766B1 (ko) * 2005-07-20 2007-05-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웹데브 사용자 정의 속성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9119B1 (ko) * 2005-08-08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송수신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6842B2 (en) * 2017-03-24 2019-11-12 Fuji Xerox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931632B2 (en) 2017-03-24 2021-02-23 Fuji Xerox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190114761A (ko) * 2018-03-29 2019-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US11503169B2 (en) * 2020-09-30 2022-11-15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906B1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442B1 (ko)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JP468774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231620B2 (ja) サーバ装置
JP5899749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23945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547491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複合機
JP5423746B2 (ja) 画像処理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2174B2 (ja) 処理装置、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982520B2 (ja)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337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utt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0135910A (ja) ユーザー設定情報管理システム、ユーザー設定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817944B2 (ja) 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10024156A (ko) 호스트 디바이스, 워크폼 실행 디바이스, 워크폼 생성방법 및 워크폼 실행 방법
JP2016201773A (ja) 画像処理装置、サイネージ管理方法およびサイネージ管理プログラム
KR101502906B1 (ko) 웹데브 서버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JP2012150577A (ja) 画像処理装置、同装置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移動処理方法及び移動処理プログラム
JP2017121055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619733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29389B1 (ko)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23072169A (ja)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199285A (ja) 印刷システム
JP201219864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5783A (ko) 다큐먼트 박스에 문서를 저장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621351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71703A (ko) 화상형성장치의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