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536A -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 Google Patents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536A
KR20130021536A KR1020110083844A KR20110083844A KR20130021536A KR 20130021536 A KR20130021536 A KR 20130021536A KR 1020110083844 A KR1020110083844 A KR 1020110083844A KR 20110083844 A KR20110083844 A KR 20110083844A KR 20130021536 A KR20130021536 A KR 2013002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band
baby
neck
infan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명
Original Assignee
김주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명 filed Critical 김주명
Priority to KR102011008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536A/ko
Publication of KR2013002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8Bod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유아복의 목받이를 유아복에 미리 장착함으로써 유아의 피부를 보호하고, 유아의 보호자의 편의성도 높이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an infant clothes with a neck sweatbib}
유아복
종래 유아복과 관련해서는 턱받이와 관련한 발명은 다수 존재하지만, 유아복에 목받이를 구비하고자 하는 발명은 없었다. 가장 유사한 것으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89025호(유아용 옷에 부착하는 수건걸이 장치) 정도가 있을 뿐인데, 이 역시도 턱받이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손수건을 유아복에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에 불과하다. 종래기술에서는 본 발명의 착안점인 유아의 목받이에 관한 아무런 인식이나 암시도 존재하지 아니한다.
종래 유아복은 성인복과 마찬가지로 목 뒷부분에 별다른 구성이 부가되지 않은 채 마무리되어 있었다. 그런데 성인과 달리 유아는 보호자의 팔에 누워있는 자세로 안겨 있는 시간이 많다. 특히 분유를 먹이거나 모유를 먹이는 경우에는 반드시 보호자의 팔에 안겨서 누운 자세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에게 분유 또는 모유를 수유하거나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로 안아 줄 때, 보호자의 팔과 유아의 목부분(뒷 목부분과 뒤통수 부분, 이하 같다)이 닿게 되는데 유아의 피부는 무르기 때문에 (땀이 차지 않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유아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자의 팔과 유아의 목부분에 땀이 차지 않도록 별도로 손수건 등을 대어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손수건 등이 준비된 경우라고 할지라도 아이를 안은 상태에서 다시 손수건을 집어 넣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손수건 등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용품을 찾기도 하지만 그도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식당 등에서 잠든 유아를 방석 등에 누일 때에도 머리 부분에 더러운 것이 묻지 않도록 손수건 등을 대어 넣는 경우도 많은데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유아용 손수건으로 흔히 사용되는 원단 등을 사용하여 유아복의 뒷 목부분에 목받이를 미리 장착하여 둠으로써 아이를 안아주거나 분유 내지 모유를 수유할 때 유아의 피부를 땀 또는 보호자의 팔뚝 피부와의 마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목받이가 부착된 유아복을 제안하고 한다.
목받이를 유아복의 어깨 부분 내지 유아복의 뒷면에 박음질로 장착하거나, 끈으로 묶거나, 단추(똑딱이 단추를 포함한다)로 체결하거나, 벨크로로 장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살펴본다.
유아복에 미리 목받이를 장착함으로써 유아와 외출할 때 급하게 손수건을 찾기 위해 허둥댈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목받이가 항상 구비됨으로써 유아의 연약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목받이가 유아복에 체결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목받이를 유아복에 박음질 방법(① 방식)으로 장착한 상태
도 2는 끈으로 묶는 방법(② 방식)으로 장착한 상태
도 3은 단추로 장착한 상태(③ 방식)
도 4는 끈으로 묶는 또 다른 방법(④ 방식)으로 장착한 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아복 2 목받이 3 끈 4 단추 5 고리천
유아용 손수건으로 흔히 사용되는 원단 등을 사용하여 유아복의 뒷 목부분 상단(유아복의 어깨 부분을 지칭한다)에 목받이를 미리 장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목받이에 사용되는 원단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기능성의 측면에서는 땀흡수 및 속건성이 우수하고 반복 세탁시에도 부드러운 감촉을 유지하는 원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그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목받이의 크기 역시 아무런 제한이 없다 할 것이지만, 목받이가 유아복의 등 부분보다 크기 않는 것이 디자인의 측면이나 (사용 및 세탁 등의) 편의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목받이의 형태 역시 별다른 제한이 없다. 가장 일반적인 사각형 손수건의 형태를 비롯하여 사다리꼴 형상, 구름모양(도면 1의 목받이의 형태를 지칭하는 의미이다), 별모양, 원형 등이 가능하다. 목받이 안에 각종 그림 등을 삽입하여 디자인을 살리는 것도 제안될 수 있겠는데, 그림 부분은 본 특허의 권리범위와 무관한 부분이므로 자세히 언급하지 아니한다.
목받이를 유아복의 뒷 부분에 장착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① 박음질하는 방법(도면 1) : 가장 견고하게 목받이를 유아복에 부착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유아의 경우에는 목받이의 오염 등으로 목받이만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을 때 목받이만 교체하지 못하고 유아복 전체를 갈아 입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② 끈으로 묶는 방법 :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복의 뒷부분의 어깨부분 중 일정한 부분(통상 기본적으로는 양쪽 어깨 부분 2군데에 마련된다, 이하 같다)에 목받이를 묶을 수 있는 끈(3)을 마련하고, 그에 대응되는 목받이의 상단 일정부분(대응되는 위치로 상단 양쪽 2군데에 마련될 것이다, 이하 같다)에도 끈(3)을 마련하여 서로 묶는 방식으로 체결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는 목받이를 교체할 수 있는 점에서는 ① 방식보다는 우월하지만, 끈으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은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4군데에 묶는 위치를 표시하였는데, 이는 하단의 2군데는 목받이가 사용되지 않을 때 너풀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목받이 사용시에는 하단의 2군데를 풀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③ 단추로 체결하는 방법 : 도면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복의 뒷부분의 어깨 부분 중 일정한 부분에 단추(4)를 달고, 그에 대응되는 목받이의 상단 일정부분에는 단추가 들어갈 구멍을 마련하여 단추로 체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목받이를 ② 방식보다는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추와 단추 구멍 방식이 아닌, 속칭 똑딱이 단추를 형성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④ 끈으로 묶는 또 다른 방법(통상의 턱받이를 목받이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도면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복의 앞면 목부분에 끈을 끼울 수 있는 고리천(5)을(통상적인 바지에서 허리 둘레방향으로 허리띠를 끼우는 고리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만들어서 그 안으로 목받이의 끈부분이 관통하도록 하여 목받이의 끈을 묶는 방법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목받이는 목받이의 상단 좌우 양측으로 길게 끈이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목받이는 사용하다 보면 목 뒷부분에서 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유아의 목부분에 압박을 가할 우려가 있으므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앞면에 끈을 끼우는 고리천(5)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벨크로(속칭 찍찍이) 방식 : 유아복의 뒷면의 어깨부분 중 일정한 부분(일반적으로 단추를 형성하는 위치와 비슷한 위치가 될 것이다)과 그에 대응되는 목받이의 상단 일정부분(단추구멍을 형성하는 위치와 비슷한 위치가 될 것이다)에 벨크로를 장착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목받이를 유아복에 탈부착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이 될 것이다.
1 유아복 2 목받이 3 끈 4 단추 5 고리천

Claims (5)

  1. 통상의 유아복에 있어서, 목받이를 유아복의 뒷면 어깨 부분 상단에 장착한 유아복.
  2. 제1항에 있어서, 목받이가 유아복의 뒷면 어깨 부분 상단에 박음질로 장착된 유아복
  3. 제1항에 있어서, 목받이가 유아복의 뒷면에 단추로 결합된 유아복
  4. 제1항에 있어서, 목받이가 유아복의 뒷면에 끈으로 결합된 유아복
  5. 제1항에 있어서, 목받이가 유아복의 뒷면에 벨크로로 장착된 유아복
KR1020110083844A 2011-08-23 2011-08-23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KR20130021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844A KR20130021536A (ko) 2011-08-23 2011-08-23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844A KR20130021536A (ko) 2011-08-23 2011-08-23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536A true KR20130021536A (ko) 2013-03-06

Family

ID=4817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844A KR20130021536A (ko) 2011-08-23 2011-08-23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15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78Y1 (ko) * 2014-03-18 2014-08-21 황창규 유아용 상의
WO2018186797A1 (en) * 2017-04-03 2018-10-11 Oeteo Pte Ltd Garment for infant
KR20220114739A (ko) 2021-02-09 2022-08-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로 반사 방지 유아 우주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78Y1 (ko) * 2014-03-18 2014-08-21 황창규 유아용 상의
WO2018186797A1 (en) * 2017-04-03 2018-10-11 Oeteo Pte Ltd Garment for infant
KR20220114739A (ko) 2021-02-09 2022-08-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로 반사 방지 유아 우주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598B1 (en) Infant caregiver padded pillow garment
US20130152271A1 (en) Nursing cape
US20130298305A1 (en) Convertible child bodysuit
US20120284893A1 (en) Caregiver Cover
US20080263740A1 (en) Oopc, dual purpose burp cloth and bib
US20150101100A1 (en) Children's garment and blanket system
US20070250985A1 (en) Clothing and methods for fastening clothing for children
US20060026728A1 (en) 2-In-1 tee-n-bibs
US20110126338A1 (en) Non-Hazardous Garment Attachment, A Garment Including one or more Non-Hazardous Garment Attachments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Garment Attachments and Garments.
KR20130021536A (ko)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JP5031418B2 (ja) 乳幼児用衣服
JP6172723B2 (ja) 乳幼児用スタイ
CN202050960U (zh) 婴幼儿罩衣
JP3188246U (ja) よだれ掛け
CN209846739U (zh) 一种防踢被
KR20170003721U (ko) 턱받이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CN209750610U (zh) 一种婴儿睡袋套装
JP6083590B2 (ja) スリット付きロンパース
JP2010018937A (ja) よだれかけ兼用衿
JP3115775U (ja) 授乳用ケープ
CN211323094U (zh) 一种幼儿用硅胶围兜
JP3212942U (ja) 乳幼児用衣服
CN211354834U (zh) 一种裆部透气的睡袋
CN210642483U (zh) 一种新型育儿肚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