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343A -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343A
KR20130021343A KR1020120091639A KR20120091639A KR20130021343A KR 20130021343 A KR20130021343 A KR 20130021343A KR 1020120091639 A KR1020120091639 A KR 1020120091639A KR 20120091639 A KR20120091639 A KR 20120091639A KR 20130021343 A KR20130021343 A KR 2013002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information
video call
control poin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899B1 (ko
Inventor
맹제영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로부터 인증 액션에 호출되면 SMS 또는 모바일 폰 간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중인 모바일 폰2에 인증 메시지와 랜덤 번호를 전송하고, 모바일 폰2로부터 새로운 랜덤 번호를 수신되면 인증 결과를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에 알려주며,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1로부터 페러럴 호 시작 액션이 호출되면 SMS 또는 모바일 폰 간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모바일 폰2에 신규 추가 호의 초기화 메시지를 전송한 후 모바일 폰2로부터 신규 추가 호의 초기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신규 추가 호를 수립함으로써 TV 뿐 아니라 타 기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추가 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 A SESSION POR PARALLEL CALL BASED ON THE 3-BOX ARCHITECTURE}
본 발명은 외부에서 휴대폰간의 설정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 TV와 사용자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에 속한 TV 간의 직접적인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의 및 휴대단말기기의 발달은 휴대폰 요금의 대중화를 이끌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 시장의 급격한 성정을 겪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음성통화 이외의 부가서비스들이 발달하고 결국에는 영상통화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Mobile Service)는 홈(Home) 내로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댁내에서 TV와 같은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휴대폰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UPnP 텔레포니(UPnP Telephony)와 같은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UPnP 텔레포니는 전자장치와 텔레포니 장치를 연동하는 기술이며, 상기의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는 댁내에서 텔레포니 장치의 종류에 무관하게 TV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게 되었다.
UPnP 텔레포니는 모바일 텔레포니 서비스(Mobile Telephony Service) 뿐 아니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 기존 텔레포니 기술과도 연동되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댁내 미디어(Media) 공유를 위한 사실상의 표준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와 동일한 하부구조(UPnP device Architecture)를 소유하고 있어, DLNA의 차기 표준으로 채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UPnP 텔레포니와 유사한 영역을 커버하는 기술로는 TISPAN에서 표준화 진행중인 SIP기반의 Gm*와 댁내 무선전화 연결을 위한 CAT-iq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의 UPnP 텔레포니 서비스를 통해서 댁내 TV간 고화질 영상을 교환하기 위해서 휴대폰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TV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고, TV에 적합한 고화질 영상을 광대역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교환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휴대폰을 사용하여 제1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과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의 TV와, 제1 사용자가 통화하고 있는 제2 사용자의 휴대폰과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2 사용자의 TV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통화를 연결한다.
종래에는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휴대폰을 사용하여 제1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과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의 TV와, 제1 사용자가 통화하고 있는 제2 사용자의 휴대폰과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2 사용자의 티비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통화를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는 동시에 휴대폰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TV 리모컨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TV를 사용하여 새로운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휴대폰간 설정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TV에서 휴대폰을 제어하고, 상대방 휴대폰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의 TV를 발견한 후 상대방 TV와 사용자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에 속한 TV 간의 직접적인 세션을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2 모바일 장치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연결부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 제1 제어포인트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교환부를 통해서 상기 제2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모바일 폰에서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제어포인트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모바일 장치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연결부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 상기 제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영상 통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2 제어포인트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모바일 폰에서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영상 통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2 제어포인트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TV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화상 전화를 위한 초기 설정을 사용자의 UX(User Experience)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결할 수 있고, TV 뿐 아니라 타 기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추가 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 통화 중에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원하는 경우 댁 내 전자장치를 통해서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TV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에 TV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TV와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션 설정을 위한 휴대폰과 TV, TV를 제어하는 제어포인트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션 설정 시스템에서 세션 설정을 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 통화 중 영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세션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통화 중 영상통화를 위해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와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장치간의 영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통화 중 영상통화를 위해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와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장치간의 영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TV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에 TV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TV와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사용자 Alice는 Alice's TV(100)와 Alice's phone(110)를 사용하여 상대방 Bob's phone(120) 및 Bob's TV(130)의 ID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세션을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션 설정을 위한 휴대폰과 TV, TV를 제어하는 제어포인트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세션 설정 시스템은 3-box 아키텍쳐(3-box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TelCP)를 휴대폰에서 분리하고, 휴대폰의 설정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텔레포니 제어 포인트는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이므로 모바일 폰(Mobile phone) 또는 TV 등 홈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어떠한 기기에도 내장될 수 있다.
세션 설정 시스템은 Tablet 1 (TelCP)(200), TV 1(210), Mobile phone 1(220), Mobile phone 2(230), Tablet 2 (TelCP)(240), TV 2(250)를 포함한다.
Tablet 1 (TelCP)(200)은 TV 1(210)의 TS(Telephony Server)(211)를 제어하고, TV 1(210)의 SIP UA(User Agent)(212)로부터 TV 1(210)의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얻는다.
TV 1(210)는 TS(211)와 SIP UA(212)를 포함한다. TS(211)는 TV 1(210)의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Tablet 1 (TelCP)(200)로 전달한다. SIP UA(212)는 TV2와의 HD 호 세션을 연결한다.
Mobile phone 1(220)은 TS(221), SMS, SIP 모듈(222), 3G/VoIP 모듈(223)을 포함한다.
TS(221)는 SMS, SIP 모듈(222), 3G/VoIP 모듈(223)을 제어한다. SMS, SIP 모듈(222)는 SMS 메시지 또는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TV 1(210)의 SIP URI를 Mobile phone 2(230)으로 전달하고, Mobile phone 2(230)로부터 TV 2(250)의 SIP URI를 수신한다. 3G/VoIP 모듈(223)은 Mobile phone 2(230)와 오디오 호를 연결한다.
Mobile phone 2(230)은 TS(231), SMS, SIP 모듈(232), 3G/VoIP 모듈(233)을 포함한다.
TS(231)는 SMS, SIP 모듈(232), 3G/VoIP 모듈(233)을 제어한다. SMS, SIP 모듈(232)는 SMS 메시지 또는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TV 2(210)의 SIP URI를 Mobile phone 1(220)으로 전달하고, Mobile phone 1(220)로부터 TV 1(210)의 SIP URI를 수신한다. 3G/VoIP 모듈(233)은 Mobile phone 1(220)과 오디오 호를 연결한다.
Tablet 2(TelCP)(240)은 TV 2(250)의 TS(251)를 제어하고, TV 2(250)의 SIP UA(252)로부터 TV 2(250)의 SIP URI를 얻는다.
TV 1(210)는 TS(211)와 SIP UA(212)를 포함한다. TS(211)는 TV 1(210)의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Tablet 1 (TelCP)(200)로 전달한다. SIP UA(212)는 TV2와의 HD 호 세션을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션 설정 시스템에서 세션 설정을 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Mobile Phone 1(220)과 Mobile Phone 2(230)은 음성 호를 수행하고, Tablet1(200)은 내장되어 있는 TelCP를 사용하여 현재 자신이 속해 있는 홈 네트워크의 텔레포니 장치를 발견한다.
300단계에서 Tablet1(TelCP)(200)은 Mobile Phone 1(220)에 StartAuthentication() Action을 호출하고, 301단계에서 Mobile phone 1(220)은 SMS 또는 모바일 폰 간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 중인 Mobile Phone 2(230)에게 인증 메시지(Authentication Message)와 랜덤 번호(Random number)를 전송한다.
302단계에서 Mobile Phone 2(23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SMS 또는 모바일 폰 간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응답 메시지에 수신받은 랜덤 번호와 새로운 랜덤 번호를 포함하여 Mobile phone 1(220)로 전송한다. 이후 모바일 폰이 상호간에 메시지를 교환할 때에는 랜덤 넘버를 포함시켜,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하게 된다. 인증을 위한 상기 프로세스(300단계~302번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302단계까지의 동작은 "신규 추가 호" 연결을 위한 사전동작이며, 이후의 동작은 사용자가 실제 "신규 추가 호"를 수립하기 위하여 기기를 구동시킨 후에 이루어진다.
상기의 응답이 수신되면 Mobile phone 1(220)는 303단계에서 동일 네트워크 내의 Tablet 1(TelCP)(200)에 AuthenticationResponse 이벤트를 전달하여 인증 과정(Authentication Process)의 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304단계에서 Tablet 1(TelCP)(200)은 GetTelephonyIdentity() Action을 통해 "신규 추가 호"를 연결할 댁내 TV 1(210)의 SIP URI를 요청한다.
305단계에서 TV 1(210)은 상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SIP URI가 포함된 응답 메세지를 Tablet 1(TelCP)(200)에 전송한다.
306단계에서 Tablet 1(TelCP)(200)은 Mobile Phone 1(220)에 ParallelCallInitiation() Action을 호출하고, 307단계에서 Mobile phone 1(220)은 SMS 또는 모바일 폰 간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 중인 Mobile Phone 2(230)에게 "신규 추가 호" 초기화 메세지를 전송한다.
초기화 메세지가 수신되면 308단계에서 Mobile Phone 2(230)는 초기화 메세지에 포함된 랜덤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의 요청이 적절한 사용자로부터 왔는지 인증하고, 댁내의 Tablet 2(TelCP)(240)에게 ParalllelCallRequest 이벤트를 전송하여 상대방 Mobile phone 1(220)로부터 "신규 추가 호"를 수립요청을 수신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Mobile Phone 2(230)가 송신자에 대한 인증한 후 309단계에서 Tablet 2(TelCP)(240)는 상기의 요청이 적절하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Tablet 2(TelCP)(240)는 프리퍼런스 체크를 수행하고, 랜덤넘버를 비교한 후 사용자 피드백을 수행한다.
상기의 요청이 적절하다고 판단하면 310단계에서 Tablet 2(TelCP)(240)는 GetTelephonyIdentity() Action을 통해 "신규 추가 호"를 연결할 댁내 TV 2(250)의 SIP URI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의 SIP URI를 수신한다.
311단계에서 Tablet 2(TelCP)(240)는 WaitingCall() Action을 통해 상대편 네트워크에 있는 TV1(210)의 SIP URI를 TV 2(250)에 전송한다. TV2(250)는 수신한 SIP URI를 저장하고, 대기한 후 상기 SIP URI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자동으로 수락한다.
312단계에서 Tablet 2(TelCP)(240)는 Mobile phone 2(230)에 ParallelCallResponse() Action을 호출하고, 313단계에서 Mobile phone 2(230)는 SMS 또는 모바일 폰 간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현재 통화 중인 Mobile Phone 1(220)에게 "신규 추가 호" 초기화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314단계에서 Mobile phone 1(220)는 동일 네트워크 내의 Tablet 1(TelCP)(200)에 ParallelCallResponse 이벤트를 전달하여 "신규 추가 호" 초기화 요청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315단계에서 Tablet 1(TelCP)(200)은 EnhancedInitiateCall() Action을 호출하여 TV1(210)에 TV2(250)의 SIP URI를 전달한다.
316단계에서 TV1(210)은 TV2(250)의 SIP URI를 이용하여 TV2(250)로 페러렐 호를 시작한다.
317단계에서 TV2(250)는 호를 시작하는 TV1(210)의 SIP URI와 저장된 SIP UR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일치하면 318단계에서 TV2(250)는 TV2(250)와 "신규 추가 호"를 수립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TV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화상 전화를 위한 초기 설정을 사용자의 UX(User Experience)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결할 수 있고, TV 뿐 아니라 타 기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추가 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 통화 중 영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세션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세션 설정 시스템은 제1 제어포인트(400), 제1 전자장치(410), 제1 모바일 폰(420), 제2 모바일 폰(430), 제2 제어포인트(440), 제2 전자장치(45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제어포인트(400)는 제1 모바일 폰(420)과 제2 모바일 폰(430)이 음성 통화 중에 영상 통화를 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제1 전자장치(410)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는 제1 전자장치(410)의 SIP URI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하는 중에 제2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하고 싶을 경우,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 가능한 댁 내의 TV와 같은 전자 장치들의 연결정보를 받고, 제 1사용자는 상기 연결정보를 사용하여 제 2사용자의 댁내기기와 세션 연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제어포인트(400)는 제1 전자장치(410)로부터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ParallelCallInitiation() 액션을 호출하여 영상 통화 초기화를 위해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1 모바일 폰(420)으로 전달한다.
이후 제1 제어포인트(400)는 제1 모바일 폰(420)으로부터 영상 통화 초기화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Info(informationType=ParallelCallAccepted) 이벤트를 이용하여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는 제2 전자장치(450)의 SIP URI가 될 수 있다.
제1 제어포인트(400)는 수신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제1 전자장치(410)로 전달한다.
제1 전자장치(410)는 프로세서(411)와 통신부(412)를 포함하고, 제1 제어포인트(400)로부터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통신부(412)가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확인하여 프로세서(411)로 전달하고, 프로세서(411)가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1 제어포인트(400)로 전달한다.
제1 제어포인트(400)로부터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11)는 수신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부(412)를 통해서 제1 전자장치(410)와 제2 전자장치(450)간의 영상 통화 연결을 수립한다.
제1 모바일 폰(420)은 전화연결부(421), 메시지 교환부(422), 프로세서(423)를 포함한다.
먼저, 전화 연결부(421)는 제2 모바일 폰(430)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메시지 교환부(422)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전송하고, 제2 모바일 폰(430)으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가 수신한다.
제1 제어포인트(400)로부터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23)는 SMS 또는 모바일 폰간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메시지 교환부(422)를 통해서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전달한다.
제2 모바일 폰(430)으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23)는 영상 통화 초기화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Info(informationType=ParallelCallAccepted) 이벤트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제1 제어포인트(40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제2 모바일 폰(430)은 전화 연결부(431), 메시지 교환부(432), 프로세서(433)를 포함한다.
먼저, 전화 연결부(431)는 제1 모바일 폰(420)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메시지 교환부(432)는 제1 모바일 폰(420)으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제1 모바일 폰(420)로 전달한다.
제1 모바일 폰(420)으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23)는 영상 통화 설정 요청을 위한 ParallelCallInfo(informationType=ParallelCallRequest) 이벤트를 이용하여 제2 제어포인트(440)로 제1 모바일 폰(420)으로부터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 요청 수신을 알리면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제2 제어포인트(440)로부터 영상 통화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Response() 액션이 호출되어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33)는 SMS 또는 모바일 폰간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모바일 폰(420)로 전달한다.
제2 모바일 폰(430)으로부터 제1 모바일 폰(420)의 영상 통화 요청에 대한 알림이 수신되면 제2 제어포인트(440)는 제1 모바일 폰(4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 요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포인트(440)는 영상통화 요청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통화중인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요청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제2 제어포인트(440)는 GetTelephonyIdentity() 액션을 호출하여 제2 전자장치(450)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요청한다.
제2 전자장치(450)로부터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제2 제어포인트(440)는 영상 통화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Response() 액션을 호출하여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2 제어포인트(440)는 제2 전자장치(450)가 호 연결 요청을 자동으로 수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Waiting call() 액션을 호출하여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2 전자장치(4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450)는 호 연결을 요청하는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전자장치(410)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으면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호 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 전자장치(450)는 프로세서(451)와 통신부(452)를 포함한다.
제2 제어포인트(440)로부터 GetTelephonyIdentity() 액션이 호출되어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프로세서(451)는 통신부(452)로부터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제어포인트(440)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제1 전자장치(410)로부터 영상 통화를 시작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프로세서(451)는 제1 전자장치(410)로부터 영상 통화가 요청됨을 알리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영상 통화를 수락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451)는 제1 전자장치(410)와의 영상 통화를 시작한다.
통신부(452)는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프로세서(451)로 전달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2 제어포인트(440)로부터 Waiting call() 액션이 호출되어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51)는 수신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제1 전자장치(410)로부터 영상 통화를 시작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프로세서(451)는 미리 저장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확인하여 제1 전자장치(410)와의 영상 통화를 자동으로 시작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위한 입력 없이 자동으로 제1 전자장치(410)와의 영상 통화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 통화 중에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원하는 경우 댁 내 전자장치를 통해서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통화 중 영상통화를 위해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와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장치간의 영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00단계에서 제1 모바일 폰(420)과 제2 모바일 폰(430)은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501단계에서 제1 제어포인트(400)는 영상 통화를 위한 요청에 따라 제1 전자장치(410)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요청한다.
502단계에서 제1 전자장치(410)는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1 제어포인트(400)로 전달한다.
503단계에서 제1 제어포인트(400)는 ParallelCallInitiation() 액션을 호출하여 영상 통화 초기화를 위해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1 모바일 폰(420)으로 전달한다.
504단계에서 제1 모바일 폰(420)은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전달한다.
505단계에서 제2 모바일 폰(430)은 영상 통화 설정 요청을 위한 ParallelCallRequest() 액션을 호출하여 제2 제어포인트(440)로 제1 모바일 폰(420)으로부터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 요청 수신을 알린다.
506단계에서 제2 제어포인트(440)는 GetTelephonyIdentity() 액션을 호출하여 제2 전자장치(450)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요청한다.
507단계에서 제2 전자장치(450)는 제2 제어포인트(440)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508단계에서 제2 제어포인트(440)는 영상 통화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Response() 액션을 호출하여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509단계에서 제2 모바일 폰(430)은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모바일 폰(420)로 전달한다.
510단계에서 제1 모바일 폰(420)은 영상 통화 초기화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Info(informationType=ParallelCallAccepted) 이벤트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제1 제어포인트(400)로 전달한다.
511단계에서 제1 제어포인트(400)는 수신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제1 전자장치(410)로 전달한다.
512단계에서 제1 전자장치(410)는 수신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장치(450)로 영상 통화를 시작하고, 513단계에서 제2 전자장치(42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통화를 수락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제1 전자장치(410)와의 영상 통화 연결을 수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 통화 중에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원하는 경우 댁 내 전자장치를 통해서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통화 중 영상통화를 위해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와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장치간의 영상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00단계에서 제1 모바일 폰(420)과 제2 모바일 폰(430)은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601단계에서 제1 제어포인트(400)는 영상 통화를 위한 요청에 따라 제1 전자장치(410)로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요청한다.
602단계에서 제1 전자장치(410)는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1 제어포인트(400)로 전달한다.
603단계에서 제1 제어포인트(400)는 ParallelCallInitiation() 액션을 호출하여 영상 통화 초기화를 위해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1 모바일 폰(420)으로 전달한다.
604단계에서 제1 모바일 폰(420)은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전달한다.
605단계에서 제2 모바일 폰(430)은 영상 통화 설정 요청을 위한 ParallelCallInfo(informationType=ParallelCallRequest) 이벤트를 이용하여 제2 제어포인트(440)로 제1 모바일 폰(420)으로부터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 요청 수신을 알린다.
606단계에서 제2 제어포인트(440)는 GetTelephonyIdentity() 액션을 호출하여 제2 전자장치(450)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요청한다.
607단계에서 제2 전자장치(450)는 제2 제어포인트(440)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608단계에서 제2 제어포인트(440)는 제2 전자장치(450)가 호 연결 요청을 자동으로 수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Waiting call() 액션을 호출하여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를 제2 전자장치(450)로 전달한다.
609단계에서 제2 제어포인트(440)는 영상 통화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Response() 액션을 호출하여 제2 모바일 폰(430)으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전달한다.
610단계에서 제2 모바일 폰(430)은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모바일 폰(420)로 전달한다.
611단계에서 제1 모바일 폰(420)은 영상 통화 초기화에 대한 응답으로 ParallelCallReponse() 액션을 호출하여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제1 제어포인트(400)로 전달한다.
612단계에서 제1 제어포인트(400)는 수신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제1 전자장치(410)로 전달한다.
613단계에서 제1 전자장치(410)는 수신된 제2 전자장치(450)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장치(450)로 영상 통화를 시작한다.
614단계에서 제2 전자장치(410)는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제1 전자장치(410)의 연결정보와 저장된 연결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일치하면 615단계에서 제2 전자장치(420)는 제1 전자장치(410)와의 영상 통화 연결을 자동으로 수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 통화 중에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원하는 경우 댁 내 전자장치를 통해서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400: 제1 제어포인트
410: 제1 전자장치
420: 제1 모바일 폰
430: 제2 모바일 폰
440: 제2 제어포인트
450: 제2 전자장치

Claims (20)

  1.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2 모바일 장치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연결부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
    제1 제어포인트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교환부를 통해서 상기 제2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포인트는,
    상기 제1 전자장치로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통화의 초기화를 위해 상기 요청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세션 설정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통화의 초기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1 제어포인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포인트는,
    상기 수신된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1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제어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와의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6. 제1 모바일 장치에서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제어포인트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제2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포인트는,
    상기 제1 전자장치로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통화의 초기화를 위해 상기 요청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1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통화의 초기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1 제어포인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포인트는,
    상기 수신된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1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제어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와의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11.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모바일 장치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연결부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
    상기 제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영상 통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제2 제어포인트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포인트는,
    제2 전자장치로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통화 설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제2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포인트는,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제2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어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장치는,
    상기 제2 제어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와의 영상 통화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장치.
  16. 제2 모바일 장치에서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영상 통화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제2 제어포인트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포인트는,
    제2 전자장치로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통화 설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상기 제2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포인트는,
    상기 제2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제2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어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포함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통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장치는,
    상기 제2 제어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1 전자장치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와의 영상 통화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KR1020120091639A 2011-08-22 2012-08-22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988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95 2011-08-22
KR20110083395 201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343A true KR20130021343A (ko) 2013-03-05
KR101988899B1 KR101988899B1 (ko) 2019-06-13

Family

ID=477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639A KR101988899B1 (ko) 2011-08-22 2012-08-22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87942B2 (ko)
EP (1) EP2749006B1 (ko)
KR (1) KR101988899B1 (ko)
CN (1) CN103748855B (ko)
WO (1) WO20130280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1436B2 (ja) * 2015-03-12 2019-06-19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伝送端末、通信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1736A1 (en) * 2006-06-16 2007-12-20 Jeff Furlo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nference session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US20090055879A1 (en) * 2006-06-12 2009-0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treaming service
US20100110978A1 (en) * 2006-10-11 2010-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S Device Reconfiguration
US20100278171A1 (en) * 2009-04-30 2010-1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calability of IMS in VoIP Service Deploymen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9697A1 (en) 1999-03-22 2000-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parallel calls
US7617457B2 (en) * 2004-01-07 2009-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call management
US7969461B2 (en) * 2006-03-30 2011-06-28 Poly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videoconferencing units using instant messaging
US8270590B2 (en) * 2006-06-15 2012-09-18 Alcatel Lucent User message delivery to calling party device
CN100574232C (zh) * 2006-06-20 2009-1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呼叫的并行呼叫功能的实现方法
US20080024593A1 (en) * 2006-07-25 2008-01-31 Larisa Tsirinsky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7912042B2 (en) 2006-10-11 2011-03-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S surrogate registration
KR101461055B1 (ko) * 2006-11-10 2014-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일반 음성 통화 단말을 이용한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사설 교환기
US7865558B2 (en) * 2007-05-07 2011-0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TB messaging system
US8934476B2 (en) * 2007-11-26 2015-01-13 Cisco Technology, Inc. Enabling AD-HOC data communication over established mobile voice communications
US20090161843A1 (en) * 2007-12-19 2009-06-25 Nortel Networks Limited Delayed multimedia session
US8582726B2 (en) * 2007-12-20 2013-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handling multimedia calls
US8351913B2 (en) * 2008-01-15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Merging call notifications in cross ringing systems
EP2083547A1 (en) * 2008-01-25 2009-07-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munications
US8078230B2 (en) * 2008-06-27 2011-12-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ioritized list of display devices for display of a media file
KR20100021342A (ko) 2008-08-14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339438B2 (en) * 2008-12-24 2012-12-25 Rockstar Consortium Us Lp Web based access to video associated with calls
CN101511072A (zh) * 2009-04-10 2009-08-19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sip或ims网络中实现增强型一号通业务的方法
KR20100121384A (ko) * 2009-05-08 2010-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 UPnP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치로 전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02417B1 (ko) 2009-11-09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를 이용한 호 송수신 시스템에서 통화의 독점권을 부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07433A (ko) * 2010-07-14 201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장치 간의 고화질 비디오 텔레포니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5879A1 (en) * 2006-06-12 2009-0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treaming service
US20070291736A1 (en) * 2006-06-16 2007-12-20 Jeff Furlo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nference session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US20100110978A1 (en) * 2006-10-11 2010-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S Device Reconfiguration
US20100278171A1 (en) * 2009-04-30 2010-1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calability of IMS in VoIP Service Deploy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87942B2 (en) 2017-10-10
WO2013028007A2 (en) 2013-02-28
EP2749006B1 (en) 2020-07-01
CN103748855A (zh) 2014-04-23
EP2749006A2 (en) 2014-07-02
EP2749006A4 (en) 2015-05-13
KR101988899B1 (ko) 2019-06-13
CN103748855B (zh) 2018-08-17
US20130050397A1 (en) 2013-02-28
WO2013028007A3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7622B2 (en) Gateway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6464752B (zh) 关于呼叫者的附加信息
KR101630653B1 (ko)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958467B1 (en) Method of enabling a combinational ser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ing the service
US88386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multimedia experiences across multiple subscriptions
JP2008523662A (ja) 画像ベースのプッシュ・ツー・トーク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向き画像交換方法
WO2011127706A1 (zh) 一种实现智能家居应用的装置、系统和方法
WO2011109978A1 (zh) 镜头控制方法及终端
WO2008119272A1 (fr) Procédé, terminal et système de mise en oeuvre d'une liaison vidéo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vocale
TW200427268A (en) Method and system for group communications
WO2010075696A1 (zh) 一种支持手机电视节目共享的系统和方法
WO2006033264A1 (ja) 電化機器、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641686A (zh) VVoIP通话转移
JP5982402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通話方法及び装置
CN101400149A (zh) 一种移动终端实现远程协助的系统和方法
CN101453524A (zh) 一种多媒体业务的实现方法
KR20120007464A (ko) 컴퓨터 장치 간의 고화질 비디오 텔레포니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63511A1 (zh) 一种监控方法及网络电视机顶盒
KR20080050044A (ko)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US20200186636A1 (en) Enabling call transfer using headset
WO2012009908A1 (zh) 基于可视电话实现互动游戏的方法及终端
KR101988899B1 (ko) 3―box 아키텍쳐를 고려한 페러럴 콜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1201855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on a webpage
JP5282389B2 (ja) 電話装置および電子会議装置
KR20090072761A (ko) 영상 통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