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156A - 시약병 - Google Patents

시약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156A
KR20130021156A KR1020110083514A KR20110083514A KR20130021156A KR 20130021156 A KR20130021156 A KR 20130021156A KR 1020110083514 A KR1020110083514 A KR 1020110083514A KR 20110083514 A KR20110083514 A KR 20110083514A KR 20130021156 A KR20130021156 A KR 20130021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reagent bottle
reagent
display uni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용
Original Assignee
(주)내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일기업 filed Critical (주)내일기업
Priority to KR102011008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156A/ko
Publication of KR2013002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4Labware with identification means
    • B01L3/545Labware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laboratory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실험을 위한 시약이 수용되는 시약병 몸체와, 시약병 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과, 뚜껑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에는 그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커팅위치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병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시약병{A REAGENT BOTTLE}
본 발명은 시약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품 분출양의 조절이 용이한 시약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또는 회사 등의 실험실에서는 약액을 통한 다양한 화학 실험을 하게 되고 그 실험 도구로 다양한 종류의 실험도구와 더불어 약액을 저장하는 시약병과 그 약액을 흡입하기 위한 스포이트가 이용된다.
즉, 시약병으로부터 소량의 약액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스포이트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스포이트는 알려진 바와 같이 상측 고무재의 탄성 누름관과 이에 결합되는 유리관인 약액 안내관으로 이루어져 약액 흡입시 탄성 누름관을 누른 후 약액 안내관을 약액에 침수시킨 상태에서 탄성 누름관의 가압력을 해제시키면 진공 압력에 의해 약액을 흡입하게 되고, 이렇게 약액을 흡입한 후 다른 용기 또는 비커에 옮겨 각종 실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실험과정에서 실험자는 한 손으로 스포이트를 들고 있음에 따라 시약병의 유출구를 폐쇄시킬 수 없어 시약병은 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치되고 이때 자칫 실수로 시약병이 넘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며 이로 인해 약액의 낭비 또는 위험물인 경우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약병(10)의 뚜껑(11)에 노즐(12)이 일체로 결합된 소위 노즐캡을 시약병(10)의 입구에 결합한 구성의 시약병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시약병(10)은 노즐(12)을 이용하여 약품을 분출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실험 종류에 따라서 1회 약품 분출량이 각기 다르므로, 정확한 분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약품의 종류에 따라서 그 점도가 다르며, 점도에 따라서 노즐구멍을 통한 1회 분출 양이 다르므로, 정확한 실험을 위한 약품의 투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약병을 사용 후에는 노즐 구멍이 오픈된 상태로 유지될 수밖에 없으므로, 시약병 내의 약품 냄새가 외부로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불쾌한 실내 환경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약품이 유해한 물질인 경우에는 유해가스에 의해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약의 종류에 따라서 분출량을 조절하여 노늘 구멍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시약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약병은, 실험을 위한 시약이 수용되는 시약병 몸체와; 상기 시약병 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에는 그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커팅위치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노즐의 외측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시 시약의 점도에 따라서 상기 노즐의 단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1회 분출량은 시약의 종류와 무관하여 일정하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노즐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시약병에 따르면, 노즐에 토출구 커팅을 위한 표시부가 마련됨으로써 단부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커팅을 하여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약품의 분출 양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위치를 약품의 종류에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점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점도에 상관없이 약품의 분출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약품을 이용한 실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과도한 약품의 분출을 방지하고, 정확한 분출 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노즐 마개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에는 노즐을 토출구를 통한 유해 가스의 배출 및 냄새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약병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즐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약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약병(100)은, 약병 몸체(110)와 약병 몸체(11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뚜껑(120)과, 뚜껑(120)에 설치되는 노즐(130)과, 노즐(130)의 토출구를 막는 노즐 마개(140)를 구비한다.
상기 시약병 몸체(110)는 내부에는 시약 즉, 특정 약품이 수용되며, 그 외측면에는 약품의 종류에 대한 내용(내용물 종류, 사용용도, 용량, 위험 경고 표시 또는 멘트, 안전보호구 착용 안내 그림 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약품의 종류에 대한 내용은 약품에 의해 벗겨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코팅처리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약품에 강한 UV코팅되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뚜껑(120)은 시약병 몸체(110)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품의 종류에 따라서 그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등과 같이 비교적 안전한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뚜껑(120)은 파란색으로 형성되고, 유기용재 중에서 주의를 요망하는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뚜껑(120)은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염산 등과 같이 위험한 내용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뚜껑(120)은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노즐(130)은 뚜껑(120)에 설치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노즐(130)은 일정 부분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부터 끝단부(131)까지 점진적으로 그 외경과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노즐(130)은 그 끝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거팅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2,133)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32,133)는 예를 들어 노즐(130)의 외측면에 소정 깊이로 인입형성되어 커팅라인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표시부(132,133)는 내용물의 1회 분출 양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표시된 것으로서, 시약병을 이용한 작업 특성(실험 종류)에 따라 어느 한 표시부(132,133)를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회 분출 량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노즐(130)을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시 약품의 과도한 분출 등으로 인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2,133)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단부(131)로부터의 이격거리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 시약병 몸체(110)에 수용된 경우에는, 표시부(132,132)의 설치위치가 단부(131)로부터 더 멀게 형성될 수 있고, 점도가 낮은 내용물이 시약병 몸체(110)에 수용된 경우에는, 표시부(132,133)는 단부(131)로부터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물의 점도에 따라서 표시부(132,133)의 설치위치를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1회 분출양은 내용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실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늘 마개(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30)의 단부를 즉, 토출구에 끼워져 토출구를 막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끈(150)에 의해 시약병 몸체(110)에 연결됨으로써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노즐 마개(140)를 더 구비함으로써, 시약병을 사용 후에 내용물(약품)이 노늘(130)의 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유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시약병 110..시약병 몸체
120..뚜껑 130..노즐
140..노즐 마개

Claims (4)

  1. 실험을 위한 시약이 수용되는 시약병 몸체와;
    상기 시약병 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에는 그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커팅위치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노즐의 외측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시 시약의 점도에 따라서 상기 노즐의 단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1회 분출량은 시약의 종류와 무관하여 일정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노즐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병.
KR1020110083514A 2011-08-22 2011-08-22 시약병 KR20130021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14A KR20130021156A (ko) 2011-08-22 2011-08-22 시약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14A KR20130021156A (ko) 2011-08-22 2011-08-22 시약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56A true KR20130021156A (ko) 2013-03-05

Family

ID=4817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514A KR20130021156A (ko) 2011-08-22 2011-08-22 시약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1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230A (ko) 2019-12-13 2021-06-24 김기원 안전 시약 용기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230A (ko) 2019-12-13 2021-06-24 김기원 안전 시약 용기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1070577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и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NZ721206A (en) Protective cap for a dispenser, and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al liquids
MX2020005654A (es) Dispositivo de combinacion para contenedores medicos individuales o multiples.
ES2654056T3 (es) Aparato y método de termosellado para llenar y sellar recipientes de líquido
TW200643396A (en) Specimen material collection liquid container
BRPI0500253A (pt) Sistema de distribuição intravenosa
TW200706851A (en) Specimen collection liquid vessel
CN204638220U (zh) 定量滴管
BRPI0903703A2 (pt) Dispositvo de perfuração, bolsa com um "port" e processo para retirada de um líquido de uma bolsa por meio de um dispositivo de perfuração.
CN105214748A (zh) 一种定量取液的取样器
ATE492351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packung eines flüssigproduktspenders
US20080029180A1 (en) Drip chamber dropper bottle
CA2545386A1 (en) Improved sterile sampling methods and apparatus
KR20130021156A (ko) 시약병
JP4199778B2 (ja) 注射器の空気抜き装置
CN203803517U (zh) 化学试剂取样装置
CN106176221B (zh) 一种密闭式流体转移装置及一种密闭式流体转移方法
CN204816580U (zh) 一种注射式移液管
CN103569923B (zh) 灌装组件、灌装装置以及清洗灭菌装置
CN203874786U (zh) 气体实验装置
CN105722763A (zh) 容器
CN111315662B (zh) 催化剂容器
KR20240040761A (ko) 샘플 수집 장치
CN204688765U (zh) 一种新型农药瓶
CN205327742U (zh) 试剂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