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677A -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 - Google Patents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677A
KR20130020677A KR1020127029363A KR20127029363A KR20130020677A KR 20130020677 A KR20130020677 A KR 20130020677A KR 1020127029363 A KR1020127029363 A KR 1020127029363A KR 20127029363 A KR20127029363 A KR 20127029363A KR 20130020677 A KR20130020677 A KR 2013002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partition
partition schedule
data
control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882B1 (ko
Inventor
완시 첸
피터 가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어 및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을 이용하는 송신 관리가 제공된다. 이볼브드 노드 B(eNB)는 송신 스트림에 대해 별개의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을 생성하고, 여기서 제 1 스케줄은 데이터 송신들에 이용되는 한편, 제 2 스케줄은 제어 신호 송신들에 이용된다. 2개의 별개의 방식들은, 데이터 또는 제어 송신들에 유리하거나 데이터 및 제어 모두의 조정을 허용하는 상이한 주기성들 또는 상이한 서브프레임 유형 할당들을 가질 수 있다. eNB들은 상이한 스케줄들을 정규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고, 여기서, 이 eNB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은 적절한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에 따라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송신들을 구성할 것이다.

Description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SEPARATE RESOURCE PARTITIONING MANAGEMENT FOR UPLINK CONTROL AND UPLINK DATA SIGNALS}
본 출원은, 2010년 4월 8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E RESOURCE PARTIONING MANAGEMENT FOR UPLINK CONTROL AND UPLINK DATA SIGNALS"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322,22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그 전체가 명백하게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separate) 자원 파티셔닝 관리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전개되어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로서 정의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포맷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및 싱글 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로부터 또는 다른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송신기들로부터의 송신들에 기인한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의 업링크 송신들로부터 또는 다른 무선 RF 송신기들로부터의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이 간섭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UE들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고 더 많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들이 지역사회들에 전개되는 것에 의해, 혼잡한 네트워크들 및 간섭의 가능성들이 증가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진보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해, UMTS 기술들을 진보시키려는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제어 및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를 제공하는 송신 관리와 관련된다. 기지국은 송신 스트림에 대해 2개의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을 생성하고, 여기서 제 1 스케줄은 데이터 송신들에 이용되는 한편, 제 2 스케줄은 제어 신호 송신들에 이용된다. 2개의 별개의 방식들은, 데이터 또는 제어 송신들에 유리하거나 데이터 및 제어 모두의 조정을 허용하는 상이한 주기성들 또는 상이한 서브프레임 유형 할당들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들은 상이한 스케줄들을 정규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에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 기지국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은 적절한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송신들을 구성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UE에 송신하는 단계, 및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 프레임은 제 1 자원 파티션 및 제 2 자원 파티션에 따른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UE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송신 프레임은 제 1 자원 파티션 및 제 2 자원 파티션에 따른다.
본 개시의 추가적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UE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갖는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UE에 송신하기 위한 코드, 및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송신 프레임은 제 1 자원 파티션 및 제 2 자원 파티션에 따른다.
본 개시의 추가적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갖는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 양상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고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UE에 송신하고, 그리고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프레임은 제 1 자원 파티션 및 제 2 자원 파티션에 따른다.
본 개시의 추가적 양상에서, UE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고,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고, 그리고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업링크 LTE/-A 통신들에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에서 시분할 멀티플렉싱된(TDM) 파티셔닝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되는 기지국/eNB 및 UE의 일 설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UL 제어 및 UL 데이터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라, 듀얼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이 적용된 송신 스트림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라, 듀얼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을 갖는 송신 스트림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라, 듀얼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을 갖는 송신 스트림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개념들이 이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몇몇 예들에서,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지된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종종 상호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TIA(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의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기술은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기술은 EIA(Electronics Industry Alliance) 및 TIA로부터의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 기술들은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어드밴스드(LTE-A)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더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전술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이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 또는 LTE-A(대안적으로 이들은 함께 "LTE/-A"로 지칭됨)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고,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LTE/-A 용어를 이용한다.
도 1은 LTE-A 네트워크일 수 있는 통신용 무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이볼브드 노드 B들(eN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고,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이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eNB의 이러한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인 영역)을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수 있고, 제한 없는 액세스에 부가하여, 또한 그 펨토 셀과 연관된 UE들(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UE들, 집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는 매크로 eNB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B는 피코 eNB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펨토 셀에 대한 eNB는 펨토 eNB 또는 홈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및 102c)에 대한 매크로 eNB들이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B이다. 그리고, eNB들(110y 및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및 102z)에 대한 펨토 eNB들이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의(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식 동작의 경우, eNB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대략적으로 시간상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식 동작의 경우, eNB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eNB들의 세트에 커플링할 수 있고, 이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132)을 통해 eN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110)은 또한, 예를 들어, 유선 백홀(136) 또는 무선 백홀(134)을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걸쳐 산재되고, 각각의 UE는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 이동국,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UE는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등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서,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UE와 서빙 eNB 사이의 원하는 송신들을 표시하고, 서빙 eNB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이다.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점선은 UE와 eNB 사이의 간섭하는 송신들을 표시한다.
LTE/-A는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업링크 상에서 싱글-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SC-FDM)을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K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며, 이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및 SC-FDM으로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spacing)은 고정될 수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쯔(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동일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부대역(sub-band)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은 1.08 MHz를 커버할 수 있고, 1.25, 2.5, 5, 10 또는 20 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부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LTE/-A에서 이용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다운링크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라디오 프레임들 단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예를 들어, 10 밀리초(ms))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볼 기간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7개의 심볼 기간들 또는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6개의 심볼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2L개의 심볼 기간들은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용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들은 자원 블록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슬롯 내에 N개의 서브캐리어들(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커버할 수 있다.
LTE/-A에서, eNB는 eNB 내의 각각의 셀에 대해 기본(primary) 동기화 신호(PSS) 및 보조 동기화 신호(SSS)를 전송할 수 있다. 기본 및 보조 동기화 신호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갖는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 0 및 5 각각의 심볼 기간들 6 및 5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획득을 위해 UE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 내의 심볼 기간들 0 내지 3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전송할 수 있다. PBCH는 특정한 시스템 정보를 반송(carry)할 수 있다.
eN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서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을 전송할 수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들에 대해 이용되는 심볼 기간들의 수(M)를 전달할 수 있고, M은 1, 2 또는 3과 동일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마다 변할 수 있다. M은 또한, 예를 들어, 10개 미만의 자원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는 4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M=3이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최초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물리 HARQ 표시자 채널(PHICH)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PDCCH 및 PHICH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최초 3개의 심볼 기간들에 포함된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HARQ)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PDCCH는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제어 정보 및 UE들에 대한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전송할 수 있다. 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섹션에서, 즉,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서 PHICH 및 PDCCH를 전송하는 것에 부가하여, LTE-A는 또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부분들에서 이 제어-지향된 채널들을 또한 송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을 활용하는 이 새로운 제어 설계들, 예를 들어, 중계-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R-PDCCH)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추후의 심볼 기간들에 포함된다. 또한, 중계-물리 HARQ 표시자 채널(R-PHICH)은 또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추후의 심볼 기간들에 포함될 수 있다. R-PDCCH는 원래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중계 동작의 상황에서 개발된 데이터 영역을 활용하는 새로운 유형의 제어 채널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최초 몇몇 제어 심볼들을 점유하는 레거시 PDCCH 및 PHICH와는 상이하게, R-PDCCH 및 R-PHICH는 원래 데이터 영역으로 지정된 자원 엘리먼트(RE)들에 맵핑된다. 이 새로운 제어 채널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FDM과 TDM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eNB는, eNB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1.08 MHz에서 PSS, SSS 및 PB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이 채널들이 전송된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한 부분들에서 UE들의 그룹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한 부분들에서 특정한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UE들에 PSS, SSS, PBCH,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 있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한 UE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한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eN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 eNB들 중 하나가 UE를 서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B는, 수신된 전력, 경로 손실, 신호-대-잡음비(SNR)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업링크 롱 텀 에볼루션(LTE/-A) 통신들에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30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업링크에 대해 이용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은 데이터 섹션 및 제어 섹션으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제어 섹션은 시스템 대역폭의 2개의 에지(edge)들에 형성될 수 있고, 구성가능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자원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설계는 데이터 섹션이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게 하고, 이것은, 단일 UE가 데이터 섹션의 모든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받게 할 수 있다.
UE는 제어 정보를 eNB에 송신하기 위해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UE는 또한 데이터를 eNode B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섹션의 자원 블록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UE는 제어 섹션의 할당받은 자원 블록들(310a 및 310b)을 통해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데이터 섹션의 할당받은 자원 블록들(320a 및 320b)을 통해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 데이터만을 송신하거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모두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은 서브프레임의 2개의 슬롯들 모두에 걸쳐있을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에 걸쳐 홉핑(hop)할 수도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0)는 단위 면적당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세트의 eNB들(110)(즉,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을 이용한다. 무선 네트워크(100)가 자신의 스펙트럼 커버리지에 대해 이러한 여러 eNB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이종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매크로 eNB들(110a-c)은 통상적으로 신중하게 계획되고, 무선 네트워크(100)의 제공자에 의해 배치된다. 매크로 eNB들(110a-c)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5 W 내지 40 W)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상당히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 mW 내지 2 W)로 송신하는 피코 eNB(110x)는 비교적 계획적이 아닌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어서, 매크로 eNB들(110a-c)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커버리지 홀(hole)들을 제거하고 핫스팟(hot spot)들의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네트워크(100)와는 독립적으로 전개되는 펨토 eNB들(110y-z)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관리자(들)에 의해 인가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잠재적 액세스 포인트로서, 또는 적어도, 간섭 관리의 조정 및 자원 조정을 수행하도록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eNB들(110)과 통신할 수 있는 활성이고 인지된(aware) eNB로서, 무선 네트워크(100)의 커버리지 영역에 통합될 수 있다. 펨토 eNB들(110y-z)은 또한 통상적으로 매크로 eNB들(110a-c)보다 상당히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 mW 내지 2 W)로 송신한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의 동작에서, 각각의 UE는 통상적으로 더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eNB(110)에 의해 서빙되는 한편, 다른 eNB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원하지 않는 신호들은 간섭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들은 상당한 준-최적(sub-optimal) 성능에 도달하게 할 수 있지만, eNB들(110) 사이에서의 지능적인 자원 조정, 더 양호한 서버 선택 전략들, 및 효율적인 간섭 관리를 위한 더 진보된 기술들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네트워크 성능에서의 이득들이 실현된다.
피코 eNB(110x)와 같은 피코 eNB는,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매크로 eNB와 비교할 때 상당히 더 낮은 송신 전력을 특징으로 한다. 피코 eNB는 또한 통상적으로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네트워크 주위에 애드 혹(ad hoc) 방식으로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계획되지 않은 전개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피코 eNB 배치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은 낮은 신호 대 간섭 조건들을 갖는 큰 영역들을 갖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고, 이것은,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의 에지에 있는 UE들("셀-에지" UE)로의 제어 채널 송신들에 대한 더 도전적인 RF 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매크로 eNB들(110a-c)과 피코 eNB(110x)의 송신 전력 레벨들 사이에서 잠재적으로 큰 이격도(예를 들어, 대략 20 dB)는, 혼합된 전개에서, 피코 eNB(110x)의 다운링크 커버리지 영역이 매크로 eNB들(110a-c)의 다운링크 커버리지 영역보다 훨씬 더 작을 것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업링크의 경우, 업링크 신호의 신호 강도는 UE에 의해 지배되고, 따라서, 어떠한 유형의 eNB들(110)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도 유사할 것이다. eNB들(110)에 대한 업링크 커버리지 영역들이 대체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업링크 핸드오프 경계들은 채널 이득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이것은, 다운링크 핸드오버 경계들과 업링크 핸드오버 경계들 사이에 미스매치를 초래할 수 있다. 추가적인 네트워크 조절(accommodation)들이 없다면, 이 미스매치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핸드오버 경계들이 더 근접하게 매치되는 매크로 eNB-전용 동종(homogeneous) 네트워크에서보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서버 선택 또는 eNB에 대한 UE의 연관을 더 어렵게 할 것이다.
서버 선택이 다운링크 수신 신호 강도에 주로 기초하면,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의 혼합된 eNB 전개의 유용성은 크게 감소될 것이다. 이것은, 피코 eNB(110x)가 자신의 훨씬 더 약한 다운링크 송신 전력에 기인하여 임의의 UE를 서빙하지 못할 수 있는 동안, 매크로 eNB들(110a-c)의 더 높은 다운링크 수신 신호 강도가 이용가능한 UE들 전부를 끌어들일 것이기 때문에,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더 높게 전력 인가된 매크로 eNB들의 더 큰 커버리지 영역이 피코 eNB(110x)와 같은 피코 eNB들에 의한 셀 커버리지의 분할(splitting)의 이점들을 제한할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매크로 eNB들(110a-c)은 그 UE들을 효율적으로 서빙할 충분한 자원들을 갖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110)는 피코 eNB(110x)의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매크로 eNB들(110a-c)과 피코 eNB(110x) 사이의 로드(load)를 능동적으로 밸런싱하려 시도할 것이다. 이 개념은 레인지(range) 확장으로 지칭된다.
무선 네트워크(110)는, 서버 선택이 결정되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이 레인지 확장을 달성한다. 서버 선택을 다운링크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는 것 대신에, 선택은 다운링크 신호의 품질에 더 기초한다. 하나의 이러한 품질-기반 결정에서, 서버 선택은, UE에 최소 경로 손실을 제공하는 eNB를 결정하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100)는 매크로 eNB들(110a-c)과 피코 eNB(110x) 사이에서 자원들의 고정된 파티셔닝을 동등하게 제공한다. 그러나 로드의 이러한 능동적인 밸런싱에도 불구하고, 매크로 eNB들(110a-c)로부터의 다운링크 간섭은 피코 eNB(110x)와 같은 피코 eNB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에 대해 완화되어야 한다. 이것은, UE에서의 간섭 제거, eNB들(110) 사이에서의 자원 조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이 레인지 확장을 갖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더 높게 전력 인가된 eNB들로부터 송신된 더 강한 다운링크 신호들의 존재시에, UE들이 피코 eNB(110x)와 같은 더 낮게 전력 인가된 eNB들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피코 eNB(110x)는 매크로 eNB들(110a-c) 중 지배적인 간섭하는 매크로 eNB와의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간섭 조정에 관여한다. 간섭을 관리하기 위해, 간섭 조정을 위한 다수의 상이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채널(co-channel) 전개에서 셀들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셀간(inter-cell) 간섭 조정(ICIC)이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ICIC 메커니즘은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이다.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은 특정한 eNB들에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한다. 제 1 eNB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이웃 eNB들은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eNB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은 감소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모두에 대해 서브프레임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모두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은 3개의 분류들의 서브프레임들, 즉, 보호된 서브프레임들(U 서브프레임들), 금지된 서브프레임들(N 서브프레임들) 및 플렉서블(flexible) 서브프레임들(X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할당될 수 있다.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제 1 eNB에 의해 배타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제 1 eNB에 할당된다.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이웃하는 eNB들로부터의 간섭의 부족에 기초하여 "클린(clean)" 서브프레임들로 지칭될 수 있다. 금지된 서브프레임들은 이웃 eNB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이고, 제 1 eNB는 금지된 서브프레임들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금지된다. 예를 들어, 제 1 eNB의 금지된 서브프레임은 제 2 간섭하는 eNB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eNB는 제 1 eNB의 보호된 서브프레임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는 유일한 eNB이다. 공통 서브프레임들은 다수의 eNB들에 의한 데이터 송신에 이용될 수 있다. 공통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다른 eNB들로부터의 간섭의 가능성에 기인하여 "언클린(unclean)" 서브프레임들로 지칭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은 주기마다 정적으로 할당된다. 몇몇 경우들에서, 오직 하나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이 정적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주기가 8 밀리초이면, 하나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은 매 8 밀리초 동안 eNB에 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서브프레임들은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 정보(ARPI)는 비-정적으로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이 동적으로 할당되게 허용한다. 보호된, 금지된 또는 공통 서브프레임들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들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각각, AU, AN, AX 서브프레임들). 동적 할당들은, 예를 들어, 매 100 밀리초 또는 그 미만과 같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들은 상이한 전력 분류들의 eNB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전력 분류들은, 감소하는 전력 분류에서,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이 동일 채널 전개 내에 있는 경우, 매크로 eNB(침략 eNB)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가 피코 eNB 및 펨토 eNB(피해 eNB들)의 PSD보다 더 클 수 있어서, 피코 eNB 및 펨토 eNB와 대량의 간섭을 생성할 수 있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과의 간섭을 감소 또는 최소화시키기 위해,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보호된 서브프레임은 침략 eNB 상의 금지된 서브프레임과 대응하도록 피해 eNB에 대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시분할 멀티플렉싱된(TDM) 파티셔닝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블록들의 제 1 행은 펨토 eN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도시하고, 블록들의 제 2 행은 매크로 eN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도시한다. eNB들 각각은 정적 보호된 서브프레임을 갖고, 그 동안 다른 eNB는 정적 금지된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예를 들어, 펨토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의 금지된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0에서 보호된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유사하게, 매크로 eNB는, 서브프레임 7에서의 금지된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서브프레임 7에서 보호된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서브프레임들 1-6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AU), 금지된 서브프레임들(AN) 및 플렉서블 서브프레임들(AX) 중 하나로서 동적으로 할당된다. 서브프레임들 5 및 6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플렉서블 서브프레임들(AX) 동안, 펨토 eNB 및 매크로 eNB 모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U/AU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침략 eNB들이 송신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에, 감소된 간섭 및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다. (N/AN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금지된 서브프레임들은 어떠한 데이터 송신도 갖지 않아서, 피해 eNB들이 낮은 간섭 레벨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한다. (X/AX 서브프레임들과 같은) 플렉서블 서브프레임들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웃 eNB들의 수에 의존하는 채널 품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웃 eNB들이 플렉서블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으면, 플렉서블 서브프레임들의 채널 품질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보다 더 낮을 수 있다. 플렉서블 서브프레임들 상의 채널 품질은 또한, 침략 eNB들에 의해 강하게 영향받는 확장된 경계 영역(EBA) UE들의 경우 더 낮을 수 있다. EBA UE는 제 1 eNB에 속할 수 있지만, 또한 제 2 eNB의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eNB 커버리지의 레인지 경계 근처에 있는 매크로 eNB와 통신하는 UE는 EBA UE이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의 전개들에서, UE는 지배적인(dominant) 간섭 시나리오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시나리오에서 UE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섭하는 eNB들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지배적인 간섭 시나리오는 제한된 연관(association)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UE(120y)는 펨토 eNB(110y)에 근접할 수 있고, eNB(110y)에 대해 높은 수신 전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UE(120y)는 제한된 연관에 기인하여 펨토 eNB(110y)에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크로 eNB(110c) 또는 또한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펨토 eNB(110z)(도 1에는 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그 다음, UE(120y)는 다운링크 상에서 펨토 eNB(110y)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고, 또한 업링크 상에서 eNB(110y)에 높은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조정된 간섭 관리를 이용하여, eNB(110c) 및 펨토 eNB(110y)는 자원들을 협상하기 위해 백홀(134)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협상에서, 펨토 eNB(110y)는 자신의 채널 자원들 중 하나를 통한 송신을 중단하는 것에 동의하여, UE(120y)가 그와 동일한 채널을 통해 eNB(110c)와 통신할 때처럼 큰 간섭을 펨토 eNB(110y)로부터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지배적 간섭 시나리오에서 UE들에서 관측되는 신호 전력에서의 불일치(discrepancy)들 외에도, UE들과 다수의 eNB들 사이의 상이한 거리들에 기인하여 심지어 동기식 시스템들에서도, 다운링크 신호들의 타이밍 지연들이 또한 UE들에 의해 관측될 수 있다. 동기식 시스템의 eNB들은 시스템에 걸쳐 추정적으로(presumptively) 동기화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매크로 eNB로부터 5 ㎞의 거리에 있는 UE를 고려하면, 매크로 eNB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다운링크 신호들의 전파 지연은 대략 16.67 ㎲ (5 ㎞ ÷ 3 x 108(즉, 광속 'c'))일 것이다. 매크로 eNB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훨씬 더 가까운 펨토 eNB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와 비교하면, 타이밍 차이는 타임-투-라이브(TTL; time-to-live) 에러의 레벨에 근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타이밍 차이는 UE에서의 간섭 제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섭 제거는 종종 동일한 신호의 다수의 버전들의 조합 사이의 상호 상관 특성들을 이용한다. 동일한 신호의 다수의 카피들을 결합함으로써, 간섭은 더 쉽게 식별될 수 있는데, 이것은, 신호의 각각의 카피에 대해 간섭이 존재할 것이지만, 이 간섭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합된 신호들의 상호 상관을 이용하여, 실제 신호 부분이 결정될 수 있고 간섭으로부터 구별될 수 있고, 따라서, 간섭이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기지국들/eNB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eNB(110) 및 UE(120)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한된 연관 시나리오의 경우, eNB(110)는 도 1의 매크로 eNB(110c)일 수 있고, UE(120)는 UE(120y)일 수 있다. eNB(110)는 또한 몇몇 다른 유형의 기지국일 수 있다. eNB(110)에는 안테나들(534a 내지 534t)이 구비될 수 있고, UE(120)에는 안테나들(552a 내지 552r)이 구비될 수 있다.
eNB(110)에서, 송신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소스(51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54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맵핑)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특정 기준 신호에 대해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530)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변조기들(MODs)(532a 내지 532t)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532)는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5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532a 내지 5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534a 내지 534t)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552a 내지 552r)은 eNB(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s)(554a 내지 5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5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554)는 입력 샘플들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556)는 모든 복조기들(554a 내지 554r)로부터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5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560)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5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는, UE(120)에서, 송신 프로세서(564)가 데이터 소스(5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5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5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5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복조기들(554a 내지 554r)에 의해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되고, eNB(110)에 송신될 수 있다. eNB(110)에서, UE(120)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534)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532)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5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538)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5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539)에 제공할 수 있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540 및 580)은 eNB(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direct)할 수 있다. eNB(110)에서의 제어기/프로세서(5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UE(120)에서의 제어기/프로세서(5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기능 블록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542 및 582)은 eNB(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544)는 셀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자원 파티션 스케줄 또는 스케줄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업링크 또는 둘 모두의 방향들에서) 압도적인(overwhelming) 간섭으로부터 제어 및/또는 데이터 송신들을 더 양호하게 보호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이한 노드 전력 부류들 사이에서 자원 파티셔닝을 통해 간섭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업링크(UL)에 대한 시간-도메인(시분할 듀플렉스(TDD)) 기반 자원 파티셔닝의 일례에서, 주어진 셀에 대해 상이한 부류들의 셀로부터 통상적으로 간섭이 없는 사용가능한 "U" 서브프레임들; 상이한 부류들의 셀들에 대한 과도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주어진 셀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사용불가능한 "N" 서브프레임들; 및 eNB 구현에 기초하여 플렉서블하게 이용될 수 있는 플렉서블 "X" 서브프레임들로서 3개의 UL 서브프레임 유형들이 정의된다.
일례에서, 서브프레임 유형들의 관리를 인식하는 UE들은 통상적으로 최상의 보호를 위해 "U"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할 수 있다. 이 UE들은 또한, 과도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적어도 베스트-에포츠(best-effort) 기반으로 "N"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한 송신을 회피해야 한다. 이 UE들은 주어진 셀에 의한 판정들에 따라 "X"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일례에서, "U" 서브프레임들이 가장 많이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N" 서브프레임들이 가장 적게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X" 서브프레임들은 이용될 수 있거나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업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동작은 동기식이고, 고정된 타이밍 관계를 따른다. 더 상세하게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들의 경우, 고정된 8 ms H-ARQ 라운드 트립 시간(RTT)이 특정되고, 이것은 2개의 부분들: (1) PDCCH 또는 PHICH와 PUSCH 송신 사이의 고정된 4 ms, 및 (2) PUSCH 송신과 다음 PDCCH 또는 다음 PHICH 사이의 다른 고정된 4 ms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LTE-A의 경우, 이러한 8 ms 기반 H-ARQ RTT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가능한 한 많이 동일한 8 ms H-ARQ RTT를 유지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다른 양상에서, UL H-ARQ 동작의 관점에서, 특히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UL에 대한 자원 파티셔닝에 기초한 8 ms 주기성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분류에 대해서는 [U,X,X,X,N,X,X,X] 및 제 2 분류에 대해서는 [N,X,X,X,U,X,X,X] 와 같이 2개의 전력 분류들에 대한 UL 자원 파티셔닝을 구성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분류는 8 ms의 주기성을 따르고, 2개의 분류들은 상보적인 "U" 및 "N" 서브프레임 구성들을 갖는다.
몇몇 UL 제어 신호들은 8 ms 주기성과 완전하게 호환가능하지는 않은 주기성들을 갖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호환가능성"은, 제어 신호에 대해 주기성이 정의되면, 제어 신호의 송신이 예를 들어, "U" 서브프레임과 같은 보호된 서브프레임 유형에 완전히 포함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더 상세하게는,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프리코딩 행렬 표시자(CQI/PMI) 리포팅의 경우, 주기성들은 2, 5, 10, 20, 40, 80, 160, 32, 64, 128 ms일 수 있고, 여기서 5, 10, 20 ms는 8 ms 주기성과 호환가능하지 않다. 주기적 랭크 표시자(RI) 리포팅의 경우, 주기성들은 CQI의 정수배들일 수 있고, 여기서 정수는 1, 2, 4, 8, 16, 32의 값들을 취할 수 있다. CQI 주기성과 정수배들의 몇몇 조합의 경우, 결과적인 RI 주기성은 또한 8 ms 기반 자원 파티셔닝과 호환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들(SR)은 1, 2, 5, 10, 20, 40, 80 ms의 주기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5, 10, 20 ms는 8 ms 주기성과 호환가능하지 않다. 준-지속적(semi-persistent) 스케줄링의 경우, ACK/NAK 자원들은 상위 네트워크 계층들에 의해 준-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10, 20, 32, 40, 64, 80, 128, 160, 320, 640 ms의 주기성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10, 20 ms는 8 ms 주기성과 호환가능하지 않다. 또 다른 예에서, VoIP(Voice over IP) 서비스들은 통상적으로 20 ms 주기성을 이용한다.
다른 예에서, 8 ms 기반 UL 자원 파티셔닝과 몇몇 UL 제어 신호에 대한 몇몇 주기성들의 호환불가능성은 몇몇 제어 신호들이 더 큰 주기성들을 이용하도록 강제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고, 이것은 부정적인 성능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느린 CQI 리포팅은 다운링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더 큰 SR 주기성은 더 느린 UL 응답을 초래할 수 있다. 호환불가능한 주기성 구성을 갖는 제어 신호들은 또한 유효한 더 큰 주기성 및/또는 원하지 않는 UL 송신들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ms CQI 주기성이 구성되면, 그리고, 8 ms 기반 자원 파티셔닝에서 오직 하나의 "U" 서브프레임만 존재하면, 결국 CQI 리포팅 주기성은 40 ms이다. 서브프레임 유형 관리를 인식하지 않는 레거시(legacy) UE들의 경우, CQI 송신들의 80%(8 ms 대 40 ms)가 "원하지 않는" 송신들이고, 불필요하게 UL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본 개시는 호환불가능성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시한다.
일 양상에서, UL 제어 및 UL 데이터에 대해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가 이용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UL PUSCH 및 동적 ACK/NAK 송신에 대해, 제 1 자원 파티셔닝 관리가 정의되는 한편, 주기적 CQI/PMI/RI, SR 및 준-지속적 스케줄링(SPS) ACK/NAK들에 대해, 제 2 자원 파티셔닝 관리가 정의된다.
일 양상에서, 자원 파티셔닝 관리는 주기성의 형태, 서브프레임 유형들의 카테고리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원 파티셔닝은 8 ms 기반인 한편, 제 2 자원 파티셔닝은 10 ms 기반이다. 도 6은, UL 제어 및 UL 데이터에 대해 예시적인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 스케줄을 갖는 서브프레임(60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 1 자원 파티션(604)은 PUSCH(603) 및 동적 ACK/NAK 영역(602) 송신들에 대한 할당들을 포함한다. 제 2 자원 파티션(605)은 PUCCH 영역들(601)에 대한 할당들을 포함한다. 제 1 자원 파티션(604)은, 제 2 자원 파티션(605)의 주기성과는 상이한 주기성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제 1 자원 파티션(604)은 8 ms 주기성에 기초할 수 있는 한편, 제 2 자원 파티션(605)은 10 ms 주기성에 기초한다.
동적 ACK/NACK 영역(602)은, 송신되는 어떠한 SPS ACK/NACK 메시지들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PUSCH 영역(603)인 데이터 영역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SPS ACK/NACK 메시지들의 현재의 송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PUSCH 영역(603)에 의해 추가적인 자원 블록들이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서브프레임에 걸쳐 데이터 대역폭을 증가시킨다.
다른 양상에서, 현재 개시된 자원 파티션 관리 패러다임은 하기 특징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원 파티션(604)에 기초하여 SPS ACK/NAK들을 카테고리화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제 2 자원 파티션(605)은 또한 제 1 자원 파티션의 수퍼세트(superse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원 파티션(604)은 8 ms 주기성에 기초할 수 있는 한편, 제 2 자원 파티션(605)은, 8 ms와 10 ms의 최소공배수인 40 ms 주기성(비트맵)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자원 파티션(605) 주기성은 또한 제 1 자원 파티션(604)과 동일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서 잠재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자원 파티션(604) 및 제 2 자원 파티션(605)은 동일한 주기성을 가질 수 있지만, 상이한 서브프레임 유형들의 상이한 카테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노드들에 걸친 로드 고려사항들에 기인하여, 저-레이턴시(low-latency) CQI 리포트들을 허용하기 위해, UL 데이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매 8 ms마다 오직 하나의 "U"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UL 제어에 대해서는 하나보다 많은 "U"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8 ms 주기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라, 듀얼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이 적용된 송신 스트림(7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송신 스트림(700)에는 데이터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701) 및 제어 신호들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702)을 적용된다.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701 및 702) 각각에 대한 주기성들은 동일하다. 그러나,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들은 2개의 스케줄들 사이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701)에서는, 사용가능한 "U"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한편,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702)에서는 사용불가능한 "N" 서브프레임이 제어 신호들을 위해 스케줄링된다. 유사하게,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702)에서, 2개의 사용가능한 "U" 서브프레임들이 서브프레임들 4 및 6에서 스케줄링되는 한편,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의 서브프레임 4에 대해서는 사용불가능한 서브프레임 "N"이 스케줄링되고,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의 서브프레임 6에서는 플렉서블 "X"가 스케줄링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들에 대해 스케줄링된 다수의 "U"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구성은 저-레이턴시 CQI 리포트들을 허용한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라, 듀얼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을 갖는 송신 스트림(7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송신 스트림(70)은 제어 영역들(704) 및 데이터 영역(703) 사이에 분할되도록 도시된다. 별개의 서브프레임 분류 방식을 갖는 각각의 영역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어 영역(704)에 적용되고,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데이터 영역(703)에 적용된다. 제어 영역(704) 및 데이터 영역(703)에 적용된 별개의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에 부가하여, 제어 영역(704)은 10 ms의 주기성을 갖는 한편, 데이터 영역(703)은 8 ms의 주기성을 갖는다. 서브프레임 0/8에서, 데이터 영역(703)에는 사용불가능한 "N"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어 데이터 영역(703)에 대해 새로운 프레임의 제 1 서브프레임을 표현하고, 제어 영역(704)에는 사용가능한 "U"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어, 제어 영역(704)에 대해 도시된 제 1 프레임의 제 9 서브프레임을 표현한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라, 듀얼 자원 파티셔닝 스케줄들을 갖는 송신 스트림(7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송신 스트림(71)은 제어 영역(704) 및 데이터 영역(703)으로 분할된 것으로 도시되고, 또한 동적 ACK/NACK 영역(705)을 도시한다. 송신 스트림(70)(도 7b)에서와 같이, 송신 스트림(71) ACK/NACK 신호들은 일정하게 송신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동적 ACK/NACK 영역(705)이 항상 이용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ACK/NACK 신호들은 서브프레임 2/2에서 제어 영역(704)의 동적 ACK/NACK 영역(705)에서 송신되는 한편, 서브프레임 3/3의 제어 영역(704)에서는 어떠한 ACK/NACK 신호들도 송신되지 않는다. 어떠한 ACK/NACK 신호들도 송신되지 않는 경우, 더 많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제어 영역(704)의 동적 ACK/NACK 영역(705)은 데이터 영역(703)에 의해 재사용(reclaim)될 수 있다. 따라서, 동적 ACK/NACK 영역(705)은, ACK/NACK 신호들의 스케줄을 조절하고, 어떠한 ACK/NACK 신호들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영역(703)에서의 증가된 데이터 송신을 허용하는 플렉서블 영역이다.
eNB로부터의 동작 관점에서, 별개의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서빙되는 셀 내에서 생성되고 브로드캐스트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800)에서, eNB는 적어도 하나의 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한다. 블록(801)에서,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이 생성되고, 여기서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하다. 선택된 주기성들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기성은 10 ms에 기초할 수 있는 한편, 제 2 주기성은 8 ms에 기초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선택된 주기성들은 송신되는 정보의 선호되는 주기성들과 상관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유형들의 정보는 상이한 주기성들로부터 이점이 있거나 상이한 주기성들로 제한되고, 적절한 주기성으로 적절한 파티션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례에서, 파티션들은 LTE/-A 프레임의 표준 제어 및 데이터 영역들 사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파티션들은 또한 동적 또는 준-지속적 ACK/NACK 파티션을 제공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블록(802)에서,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이 UE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파티션 스케줄들은 SIB 송신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케줄은 대안적인 SIB, MIB에 배치될 수 있거나, 다른 제어 송신 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803)에서, eNB는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고, 여기서 송신 프레임은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는, LTE/-A의 업링크 구조 또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파티셔닝된 다른 업링크 송신 방식에 부합할 수 있다.
UE의 관점에서, UE는 시스템 정보에 대한 정규의 시스템 브로드캐스트들을 모니터링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900)에서, UE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한다. 블록(901)에서, UE는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한다. 2개의 수신된 스케줄들을 이용하여, UE는 블록(902)에서,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데이터 파티션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SIB 송신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케줄은 대안적인 SIB, MIB에 배치될 수 있거나, 다른 제어 송신에 배치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UE(120)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기술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들), 제어기/프로세서(580), 메모리(582), 수신 프로세서(558), MIMO 검출기(556), 복조기들(554a), 및 안테나들(552a)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1000)에서, UE 안테나들 상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로 디코딩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UE(120)를 참조하면, 신호들은 안테나들(552a-552r) 상에서 수신된다. 그 다음, 신호들은 복조기들(554a-554r)에 의해 복조된다. MIMO 검출기(556)는 공간적으로 프로세싱되고 복조된 신호들을, 신호 내에 인코딩된 정보로 어셈블링(assemble)한다. UE(120)가 그 자원 파티션들에 영향받는 커버리지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 수신 프로세서(558)는 정보를 디코딩하고, 추가적 제어 프로세싱을 위해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을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전송하고, 그 다음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메모리(582)에 저장된다. 따라서, UE는 제어 신호들에 대한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다른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한다.
블록(1001)에서, 제어 및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이용하여, UE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을 위해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로 어셈블링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소스(562) 내의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준비되는 경우, 제어기/프로세서(580)는 채널 품질 표시자들(CQI),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들(PMI), 랭크 표시자들(RI), 스케줄링 요청들(SR) 등과 같은 송신을 위한 제어 신호들을 갖고,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 프레임 내에 배열하기 위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자원 스케줄링과 함께 송신 프로세서(564)에 입력된다. 송신 프로세서(564)는 송신 정보를 인코딩한다. 그 다음, 인코딩된 정보는 송신 MIMO 프로세서(566)에 의해 공간적으로 프로세싱되고, 그 다음 변조기들(554a-554r)에 의해 변조된다. 그 다음, 변조된 신호는 안테나들(552a-552r)을 통해 오버 디 에어로 송신된다. 따라서, UE는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어 신호들은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라 배열되고 데이터 신호들은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라 배열된다.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110)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UE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송신 프레임은 제 1 자원 파티션 및 제 2 자원 파티션에 따른다. 일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들), 제어기/프로세서(540), 스케줄러(544), 메모리(542), 송신 프로세서(520), 송신 MIMO 프로세서(530), 변조기들(532a), 및 안테나들(534a)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이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1100)에서, 제어 메트릭들에 할당된 주기성들은 데이터 송신과 관련된 주기성들과 관련하여 분석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eNB(110)를 참조하면, 제어기/프로세서(540)가 메모리(542)에 저장된 할당된 주기성들에 액세스한다.
블록(1101)에서, 기지국은 주기성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제어 송신들 및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eNB(110)의 스케줄러(544)는,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의해 수행되는 주기성들의 검사(examination)을 이용하고, 업링크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는 데이터 및 제어 송신들에 대한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셀 내의 주기성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동일한 셀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하나보다 많은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한다.
블록(1102)에서,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UE에 송신된다. 제어기/프로세서(540)는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을 송신 프로세서(520)에 통신한다. 송신 프로세서(520)는 정보를 인코딩하고, 그 후 송신 MIMO 프로세서(530)는 변조기들(532a-532t)에서의 변조 이전에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그 다음,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534a-534t)을 통해 오버 디 에어로 송신된다.
블록(1103)에서, 기지국 안테나들 상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다수의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에 따라 구성되는 업링크 송신 프레임 구조로 디코딩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534a-534t)은 UE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한다. 신호들은 복조기들(532a-532t)에 의해 복조된다. MIMO 검출기(536)는 공간적으로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신호 내에 인코딩된 정보로 어셈블링한다. 수신 프로세서(538)는 정보를 디코딩하고, 추가적 제어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539)로 및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540)로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 중 하나에 따라 eNB(110)에 의해 수신된 프레임 내에서 송신되고, 제어 정보는 다른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라 프레임 내에서 송신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고, 여기서 송신 프레임은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에 따라 구성된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기능 블록들 및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로직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들을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한다.

Claims (60)

  1.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프레임은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르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성 및 상기 제 2 주기성은 서로 배수들인,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들은 동일한 주기성을 갖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의 스케줄들을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을,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제 1 주파수 에지(edge) 및 제 2 주파수 에지에서 예비되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에지 및 상기 제 2 주파수 에지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제어 영역은, 어떠한 동적 제어 신호들도 송신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9.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성 및 상기 제 2 주기성은 서로 배수들인, 무선 통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동일한 주기성을 갖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동일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은,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시작 에지 및 종료 에지에서 예비되는 자원 블록들(RB들)의 제 1 세트를 갖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시작 및 상기 종료 에지들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은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 및 동적 제어 신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동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동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프레임은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르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성 및 상기 제 2 주기성은 서로 배수들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들은 동일한 주기성을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의 스케줄들을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을,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제 1 주파수 에지(edge) 및 제 2 주파수 에지에서 예비되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에지 및 상기 제 2 주파수 에지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제어 영역은, 어떠한 동적 제어 신호들도 송신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27.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성 및 상기 제 2 주기성은 서로 배수들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동일한 주기성을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동일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은,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시작 에지 및 종료 에지에서 예비되는 자원 블록들(RB들)의 제 1 세트를 갖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시작 및 상기 종료 에지들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은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 및 동적 제어 신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동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동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37.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프레임은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의 스케줄들을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을,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제 1 주파수 에지(edge) 및 제 2 주파수 에지에서 예비되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에지 및 상기 제 2 주파수 에지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동일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은,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시작 에지 및 종료 에지에서 예비되는 자원 블록들(RB들)의 제 1 세트를 갖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시작 및 상기 종료 에지들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은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 및 동적 제어 신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동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제어 신호에 대한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U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생성하고 ―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들은 동일한 송신 프레임 구조에 적용가능함―;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UE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프레임은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르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의 스케줄들을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53.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자원 파티션들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을,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제 1 주파수 에지(edge) 및 제 2 주파수 에지에서 예비되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에지 및 상기 제 2 주파수 에지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기지국.
  54.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서빙 셀로부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고;
    상기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제어 신호들 및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에 따른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주기성에 기초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주기성과는 상이한 제 2 주기성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과는 상이한 제 2 서브프레임 분류 할당 구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은 동일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5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파티션 스케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파티션 스케줄이 적용가능한 송신 프레임 구조들은,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시작 에지 및 종료 에지에서 예비되는 자원 블록들(RB들)의 제 1 세트를 갖는 준-지속적 제어 영역;
    상기 송신 프레임 구조들 각각의 중간 부분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시작 및 상기 종료 에지들 각각에서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 사이에 예비되는 RB들의 제 3 세트를 갖는 동적 제어 영역
    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들로 분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59.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은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 및 동적 제어 신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60.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준-지속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준-지속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제어 신호들을 상기 동적 제어 영역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KR1020127029363A 2010-04-08 2011-04-08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 KR101475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222810P 2010-04-08 2010-04-08
US61/322,228 2010-04-08
US13/079,716 US9031010B2 (en) 2010-04-08 2011-04-04 Separate resource partitioning management for uplink control and uplink data signals
US13/079,716 2011-04-04
PCT/US2011/031831 WO2011127435A1 (en) 2010-04-08 2011-04-08 Separate resource partitioning management for uplink control and uplink data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677A true KR20130020677A (ko) 2013-02-27
KR101475882B1 KR101475882B1 (ko) 2014-12-22

Family

ID=4414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363A KR101475882B1 (ko) 2010-04-08 2011-04-08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1010B2 (ko)
EP (1) EP2556713B1 (ko)
JP (1) JP5646727B2 (ko)
KR (1) KR101475882B1 (ko)
CN (1) CN102907156B (ko)
TW (1) TW201204069A (ko)
WO (1) WO20111274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100A (ko) * 2014-03-28 2019-04-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를 위한 초저 레이턴시 설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4364B2 (en) 2010-04-20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gra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674007B1 (ko) * 2010-05-26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위한 레인징 방법 및 장치
US9014025B2 (en) * 2010-10-04 2015-04-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different types of base stations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s system
KR101962140B1 (ko) * 2010-11-17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85313B1 (ko) * 2011-04-12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서브프레임 운용 및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20742B1 (ko) * 2011-05-30 2018-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US9742516B2 (en) * 2011-07-28 2017-08-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format detection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JP5444298B2 (ja) * 2011-08-29 2014-03-1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50009921A1 (en) * 2011-11-17 2015-01-08 Docomo Innovations, Inc Method for scheduling and mu-mimo transmission over ofdm via interference alignment based on user multipath intensity profile information
US20130194997A1 (en) 2012-02-01 2013-08-01 Fujitsu Limited Low Power Narrowband Operation By An Endpoint
WO2013118409A1 (ja) * 2012-02-10 2013-08-1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通信方法
US9215060B2 (en) 2012-02-21 2015-12-15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for user equipment and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CN103327594B (zh) 2012-03-22 2017-04-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功率控制方法、设备及系统
CN103379604B (zh) 2012-04-20 2018-04-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动态tdd小区中的上行功率控制方法
WO2013169074A1 (en) * 2012-05-10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5620B2 (en) 2012-05-30 2015-11-10 Intel Corporation Adaptive UL-DL configurations in a TDD heterogeneous network
CN104412685B (zh) * 2012-05-31 2018-07-13 高通股份有限公司 不对称的lte部署中的干扰缓解
EP2856826B1 (en) * 2012-05-31 2017-10-11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asymmetric lte deployment
US9300395B2 (en) 2012-07-05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EP3883170B1 (en) 2012-09-28 2022-11-30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enhancements to flexible subframes in lte heterogeneous networks
WO2014153738A1 (en) * 2013-03-27 2014-10-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selecting consecutive resource blocks and associated base station
KR101664876B1 (ko) * 2013-05-14 2016-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제어를 위한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4244430B (zh) * 2013-06-09 2017-11-24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快速调度方法
WO2015008804A1 (ja) * 2013-07-19 2015-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1831584B2 (en) * 2015-12-15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a dynamic subframe type
US10448285B2 (en) 2015-12-22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handling in ultra dense networks
KR102533829B1 (ko) * 2016-03-04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295650B (zh) * 2016-03-31 2019-11-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控制信息传输方法、基站、ue和系统
US10499381B2 (en) 2016-04-01 2019-1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open-loop multi-user co-operative multi-point (CoMP) scheduling and transmission
CN109565412B (zh) * 2016-08-01 2021-09-1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数据传输的控制资源的使用
US10694527B2 (en) * 2016-08-04 2020-06-23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of reliable low latency and other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10660115B1 (en) * 2016-10-19 2020-05-19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semi-persistent scheduler
US11212813B2 (en) * 2017-01-13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control resources
SG11201912988SA (en) * 2017-07-19 2020-01-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11601953B2 (en) * 2018-03-23 2023-03-07 Convida Wireless, Llc Coexistence of persistent and dedicated allocations on a wireless link
US11968658B2 (en) * 2021-07-09 2024-04-23 Cisco Technology, Inc. Partitioning radio resources to enable neutral host operation for a radio acc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1688B2 (en) 2007-06-11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rtitioning of 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KR20090029623A (ko) 2007-09-18 2009-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획득 방법
US8472389B2 (en) 2007-09-21 2013-06-25 Panasonic Corpor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device,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JP5064573B2 (ja) * 2008-02-08 2012-10-3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8184579B2 (en) * 2008-02-15 2012-05-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K/NAK repetition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US8483107B2 (en) 2008-03-16 2013-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resource allocation of control channel
US8442069B2 (en) 2008-04-14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uplink control for restricted association networks
US9288021B2 (en) 2008-05-02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ACK/NACK resource allocation
US9226300B2 (en) 2008-07-11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611313B2 (en) * 2008-08-27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311053B2 (en) 2008-09-15 2012-11-13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s for controlling an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and communication devices
US8315217B2 (en) * 2008-09-23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E e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309876A1 (en) 2009-06-04 2010-12-09 Qualcomm Incorporated Partitioning of control resources for communication in a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
US8320267B2 (en) * 2009-06-23 2012-11-27 Motorola Mobility Llc Reference signal sounding for uplink pilot time slo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100A (ko) * 2014-03-28 2019-04-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를 위한 초저 레이턴시 설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1010B2 (en) 2015-05-12
TW201204069A (en) 2012-01-16
CN102907156A (zh) 2013-01-30
JP5646727B2 (ja) 2014-12-24
JP2013529413A (ja) 2013-07-18
EP2556713A1 (en) 2013-02-13
KR101475882B1 (ko) 2014-12-22
CN102907156B (zh) 2016-09-07
EP2556713B1 (en) 2019-01-16
WO2011127435A1 (en) 2011-10-13
US20120082101A1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882B1 (ko) 업링크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자원 파티셔닝 관리
US116525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CSI-RS for 3-D MIMO
KR101515463B1 (ko) 비대칭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 스펙트럼을 위한 백워드 호환성 lte 시스템 설계
US9356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actions for time-domain partitioned cells
US9692539B2 (en) Incremental interference cancelation capability and signaling
KR101707136B1 (ko) 간섭 시나리오들에서 업링크 커버리지를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407037B1 (ko) 이종 네트워크들에서의 반-지속성 스케줄링 허가들
US8953507B2 (en) Frequency and time domain range expansion
RU2538290C2 (ru) Обработка индикатора качества канала (cqi)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го узла в для гетерогенных сетей
EP3349527B1 (en) Uplink resource management of pucch unde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omp
US20140334397A1 (en) Enhanced pdsch operation
KR20140142237A (ko) Lte에서의 강화된 제어 채널 동작을 위한 전송 블록 크기 제한
US9270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source usage in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interference cancelation
KR20140129389A (ko) 크로스-서브프레임 할당에 의한 전력 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