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451A -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451A
KR20130020451A KR1020110083095A KR20110083095A KR20130020451A KR 20130020451 A KR20130020451 A KR 20130020451A KR 1020110083095 A KR1020110083095 A KR 1020110083095A KR 20110083095 A KR20110083095 A KR 20110083095A KR 20130020451 A KR20130020451 A KR 2013002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device
vehicle
electric vehicle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731B1 (ko
Inventor
김종우
서동관
오근현
문희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8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7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승 시설에서 차량을 갈아타거나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주차를 하면서 전기차량의 충전까지 가능한 환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행으로 방전된 전기차량을 환승지에서 충전시키면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이미 충전이 된 다른 차량으로 바꿔 탑승함으로써 충전시간 소요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목적지까지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그와 같은 환승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각 차량의 배터리의 용량을 지나치게 크게 할 필요가 없게 하여 전기차량의 가격을 낮추고 전기차량의 보급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그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설을 대중 교통과 연계시킴으로써, 이용자의 교통편의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PARK-AND-RIDE SYSTEM AND METHOD WITH CHARGING FACILITY}
본 발명은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승 시설에서 차량을 갈아타거나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주차를 하면서 전기차량의 충전까지 가능한 환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기차량의 경우 배터리가 동력원으로 사용됨으로 말미암아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과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배터리의 용량이 커질수록, 과중한 배터리 용량에 의해 차량의 하중이 커지게 될 뿐 아니라 차량의 제작단가를 높이는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해 왔고, 이에 따라 전기차량이 널리 보급됨에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따라서, 전기차량의 배터리 용량을 줄이면서도 효율적인 운행을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여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운행으로 방전된 전기차량을 환승지에서 충전시키면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이미 충전이 된 다른 차량으로 바꿔 탑승함으로써 충전시간 소요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목적지까지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그와 같은 환승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각 차량의 배터리의 용량을 지나치게 크게 할 필요가 없게 하여 전기차량의 가격을 낮추고 전기차량의 보급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그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설을 대중 교통과 연계시킴으로써, 이용자의 교통편의를 높일 수 있게 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은, 전기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및 상기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에서,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및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를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은, 전기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로부터, 충전을 위해 이용할 충전장치의 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충전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충전장치 선택기; 및 상기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에서,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 및,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충전예약 충전장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를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는, 충전하기 위해 입장한 차량의 식별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그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그 차량이 충전예약한 충전장치에는 그 차량만이 입장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는, 입구에 입장하려는 차량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장치에 의하여 인식된 차량의 식별번호에 대하여,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허가 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여 상기 차량이 충전장치로 입장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는,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로부터, 차량을 충전장치에 입장시킨 후 환승하여 이용할 전기차량이 위치하는 충전장치 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사용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가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에는,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사용예약 충전장치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이 전기차량의 충전 및 환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 중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 및, 충전예약된 충전장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를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충전장치 선택기가, 충전을 위해 이용할 충전장치의 번호를 충전할 전기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c)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충전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b) 이후, (b11)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가, 상기 충전할 전기차량의 식별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그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b12)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가, 상기 전기차량이 충전예약한 충전장치에는 그 차량만이 입장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b12)는, (b121) 충전장치 입구에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장치가, 입장하려는 차량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b122) 상기 차량번호 인식장치에 의하여 인식된 차량의 식별번호에 대하여,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허가 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차량이 충전장치로 입장할 수 있도록 충전장치 입구에 구비된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b) 이후, (b21)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로부터, 차량을 충전장치에 입장시킨 후 환승하여 이용할 전기차량이 위치하는 충전장치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b22)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사용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지와 대중교통 이용지점이 연계된 환승 시스템은, 주행중인 전기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는 거리 간격으로 배치되고,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다수의 환승지; 및 상기 환승지 중 하나 이상의 특정 환승지에 대하여, 그 환승지와 근거리에 배치된 대중교통 이용지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행으로 방전된 전기차량을 환승지에서 충전시키면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이미 충전이 된 다른 차량으로 바꿔 탑승함으로써 충전시간 소요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목적지까지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그와 같은 환승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각 차량의 배터리의 용량을 지나치게 크게 할 필요가 없게 하여 전기차량의 가격을 낮추고 전기차량의 보급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설을 대중 교통과 연계시킴으로써, 이용자의 교통편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접촉 자기유도방식의 급전 및 집전을 수행하는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는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대중교통수단과 연계된 전기차량 환승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비접촉 자기유도방식의 급전 및 집전을 수행하는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식은 크게 접촉식(plug-in)과 비접촉식(contactless, wireless, 혹은 inductiv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접촉식 충전은 전기자동차와 충전설비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플러그인 코드를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고, 비접촉식 충전은 전기자동차와 충전설비 사이에 플러그인 코드 없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접촉식으로 충전하는 PEV (plug-in electric vehicle)의 경우,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충전 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충전해야 하므로 정차식 충전만 적용가능한 반면, 비접촉식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는 정차할 필요없이 급전장치가 설치된 도로 위를 주행하면서도 충전이 가능하여 정차식 뿐만 아니라 비정차식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접촉식 전기자동차는 기존 배터리 충전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부담을 해결하고 차량 운행중에도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인프라와 차량 집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주행거리, 배터리 크기와 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의 KAIST가 개발한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도로(2) 밑 바닥에 매설된 급전코어(110) 및 급전코일(120)을 포함하는 급전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1)을, 차량 하부에 장착된 집전장치(200)에서 모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운행하는 전기자동차로서 기존의 배터리 충전형 전기자동차와는 다른 개념으로 무선자기장 방식을 이용한 비접촉식 전기자동차다. 급전코일(120)에는 급전도로 시스템 제어장치(300, 도 3 참조)의 인버터 등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류가 흐르게 되며, 집전선(220)에는 급전장치(100)의 급전코어 자극(111)에서 발생한 자기장(1)으로부터 유도된 집전전류가 흐르게 된다.
위 도면(a)은 그러한 급전장치(100)와 집전장치(200)의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아래 도면(b)은 급전장치(100) 및 집전장치(20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급전장치(100)는 위 도면(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 면 바로 밑에 매설되므로 아래 도면(b)에서와 같이 위에서 보이지는 않으나 편의상 도시한 것이다.
종래 전기자동차의 형태인 배터리충전형 차량은 충전소에 정차하여 배터리 충전을 하기 전까지 차량 구동은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감속에 의한 회생제동 에너지는 배터리로 저장되는 비교적 간단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지며 차량 운행 중 배터리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차량 구동을 멈추어야 한다.
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도전류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의한 구동뿐만 아니라 집전장치의 집전을 통하여 배터리를 거치지 않고 부하장치에 바로 전력을 공급하는 직접 구동, 배터리 충전, 배터리와 집전기 집전을 통한 동시 부하전력 공급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동력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동전력의 다원화로 배터리에 방전오류와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급전구간 상에서는 배터리 없이도 차량 운행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환승 시스템에서의 전기 차량의 충전은 전술한 접촉식 및 비접촉식 충전방식 어느 것으로도 가능하다.
도 2는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스템(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환승 시스템(200,300)은, 이러한 다수의 환승 시스템(200,300)을 통하여 환승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가 다수의 환승용 차량을 보유하고, 사용자가 각 환승지에서 그러한 환승용 차량을 갈아타고 다른 특정 환승지까지 운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전제로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환승 서비스에의 회원 가입 등 소정의 절차를 거쳐 이용 권한을 확보한 후 그러한 환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환승 시스템(200,300)을 이용하는 차량이 4륜 전기자동차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기 이륜차 등에 대하여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전기차량'이라 함은 전기자동차 뿐만 아니라 전기 이륜차 등, 전기로 구동하는 각종 차량을 포함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승 시스템(200)에는 전기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장치(도면의 실시예에서 1 내지 10)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210)을 구비한다. 이러한 충전시스템(210)의 각 충전장치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식 충전방식의 충전장치 또는 비접촉식 충전방식의 충전장치 어느 것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220)에는, 충전시스템(210)의 각 충전장치 1 내지 10에서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및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 등의 각종 충전장치 이용정보에 대한 표시를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충전중인 구역에는 현재 충전을 수행한 시간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로부터, 이용자는 자신이 운전하여 가지고 온 방전된 차량(25)을 빈 충전장치(2 내지 6, 8)에 주차하여 충전을 시키고, 충전완료된 차량(22, 24) 중에 하나로 신속히 갈아 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갈아탈 수 있는 충전완료된 차량(22, 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환승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가 제공하는 환승용 차량일 수 있다.
도 3은 충전이 가능한 환승 시스템(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경우는 도 2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충전장치 선택기(33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환승 시스템(300)에서 차량을 충전시키고 다른 차로 환승하기 위해 들어온 차량(35,36,37) 운전자는,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320)에서 현재 충전시스템(310)의 각 충전장치(도면의 실시예에서 1 내지 10)의 상황을 파악한 후, 충전장치 선택기(330)에서 자신이 충전할 충전장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35, 36 전기차량에 의해 번호가 입력되어 선택된 충전장치 4, 5는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320)에 '충전예약'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입장하는 지점과 충전시스템(310) 구역까지의 거리가 멀 때, 예를 들어 1층에서 입장하여 3층에서 충전하는 등의 경우에 유용하다. 이때 충전장치 선택기(330)는 충전하기 위해 입장한 차량(35,36,37)의 식별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인식하여, 그 차량이 충전예약한 충전장치에는 그 차량만이 입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량(35)이 4번 충전장치를 예약하고 충전장치 4번으로 올 경우, 그 4번 충전장치 입구에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장치가 그 차량(35)의 식별번호를 인식하여 충전장치 선택기(330)로 신호를 보내고, 충전장치 선택기(330)는 그 식별번호의 차량이 4번 충전장치에 충전예약한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맞는 경우 4번 충전장치 입구에 구비된 차단기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차량이 충전을 위해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 선택기(330)에서는,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가 현재 타고 온 차량을 충전장치에 입장시킨 후 어떤 전기차량으로 갈아탈 것인지, 즉 어떤 전기차량을 환승하여 이용할 것인지도 예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전자는 환승이용할 전기차량이 위치한 충전장치 번호를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320)에서 확인하여, 그 번호를 충전장치 선택기(330)에 입력할 수 있다. 충전장치 선택기(330)는 입력된 번호를 사용예약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320)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320)는, 사용예약된 전기차량이 위치하는 충전장치에 대하여는 '사용예약' 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예약되지 않고 충전완료된 전기차량이 존재하는 충전장치에는 그 전기차량으로 환승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320)에 '사용가능'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대중교통수단과 연계된 전기차량 환승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은, 일정 간격으로 구축된 환승지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함으로써 더욱 전기차량의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즉, 배터리 용량에 따른 주행거리 등을 고려하여, 충전설비가 갖춰진 전기차량 환승지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때 배터리 용량에 따른 주행거리란, 주행중인 전기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는 거리 간격을 말한다. 또한 환승지와 근거리에 대중교통수단(버스, 지하철)과의 연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경우 환승지와 대중교통수단 이용지점 간에 전기이륜차를 이용하는 경우에 더욱 연계성을 높이고 이용자의 편의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00, 300: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210,310: 충전장치
220,320: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
330: 충전구역 선택기
31,32,33,34,35,36,37: 전기차량

Claims (10)

  1.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으로서,
    전기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및
    상기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에서,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및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를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2.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으로서,
    전기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로부터, 충전을 위해 이용할 충전장치의 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충전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충전장치 선택기; 및
    상기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에서,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 및,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충전예약 충전장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를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는,
    충전하기 위해 입장한 차량의 식별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그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그 차량이 충전예약한 충전장치에는 그 차량만이 입장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는,
    입구에 입장하려는 차량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장치에 의하여 인식된 차량의 식별번호에 대하여,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허가 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여 상기 차량이 충전장치로 입장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는,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로부터, 차량을 충전장치에 입장시킨 후 환승하여 이용할 전기차량이 위치하는 충전장치 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사용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가 환승 시스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에는,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사용예약 충전장치 번호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6.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이 전기차량의 충전 및 환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충전시스템의 각 충전장치 중 현재 차량이 없으므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 번호, 현재 차량이 충전중인 충전장치 번호, 충전완료된 차량이 있는 충전장치 번호 및, 충전예약된 충전장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이용정보 표시를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충전장치 선택기가, 충전을 위해 이용할 충전장치의 번호를 충전할 전기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c)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충전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및 환승 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
    (b11)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가, 상기 충전할 전기차량의 식별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그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b12)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가, 상기 전기차량이 충전예약한 충전장치에는 그 차량만이 입장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및 환승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계(b12)는,
    (b121) 충전장치 입구에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장치가, 입장하려는 차량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b122) 상기 차량번호 인식장치에 의하여 인식된 차량의 식별번호에 대하여, 상기 충전장치 선택기로부터 허가 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차량이 충전장치로 입장할 수 있도록 충전장치 입구에 구비된 차단기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및 환승 서비스 제공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
    (b21) 충전할 전기차량 운전자로부터, 차량을 충전장치에 입장시킨 후 환승하여 이용할 전기차량이 위치하는 충전장치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b22) 입력받은 충전장치 번호를 사용예약 충전장치 번호로서 충전장치 이용안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및 환승 서비스 제공방법
  10.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지와 대중교통 이용지점이 연계된 환승 시스템으로서,
    주행중인 전기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는 거리 간격으로 배치되고,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다수의 환승지; 및
    상기 환승지 중 하나 이상의 특정 환승지에 대하여, 그 환승지와 근거리에 배치된 대중교통 이용지점
    을 포함하는 대중교통 연계 환승 시스템.
KR1020110083095A 2011-08-19 2011-08-19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KR10128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95A KR101281731B1 (ko) 2011-08-19 2011-08-19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95A KR101281731B1 (ko) 2011-08-19 2011-08-19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451A true KR20130020451A (ko) 2013-02-27
KR101281731B1 KR101281731B1 (ko) 2013-07-04

Family

ID=4789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095A KR101281731B1 (ko) 2011-08-19 2011-08-19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281A (zh) * 2016-09-13 2017-02-15 广州爱电牛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雷达扫描技术的新能源汽车充电桩及其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266A (ko) * 1998-01-23 1999-08-16 어수곤 전기자동차 자동충전시스템
JP2002367072A (ja) 2001-06-12 2002-12-20 Araco Corp 電動車両のレンタルシステム
JP2010154635A (ja) * 2008-12-25 2010-07-0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車両の充電管理システム
JP5287409B2 (ja) 2009-03-25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車両管理サーバ、カーシェアリングサーバ、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731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1994B (zh) 车辆及电力输送接受系统
EP2757657B1 (en) Moving-vehicle electric power feeding system
CN103561995B (zh) 车辆、电气设备以及电力送受电系统
RU2633423C2 (ru) Зарядка дорожных автомобилей с приводом от аккумулятора
JP2013038991A (ja) 充電システム、中央制御装置及び信号制御装置
US8970167B2 (en) Vehicle charging induction loop incorporated into section of roadway in proximity to traffic stop locations
CN107627879A (zh) 一种为多辆静止电动汽车有序充电的移动充电系统及方法
US20190275910A1 (en) Charging management device, parking lo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7554317A (zh) 无线电力传输方法、无线充电方法以及电动车辆
CN106233561A (zh) 非接触送电装置
CN105946626A (zh) 城市轨道交通受电装置和系统
CN110435433B (zh) 一种动力电池储能式有轨电车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CN205304797U (zh) 无线充电系统
KR20190056083A (ko)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CN210502289U (zh) 一种动力电池储能式有轨电车充电装置
KR101281731B1 (ko)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KR101281739B1 (ko)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027159A (ja) 充電システム
KR101242753B1 (ko) 전기 이륜차의 무선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1261073A1 (ja) 充電施設の運用管理装置
KR102305097B1 (ko) 무가선 트램 시스템
EP4151371A1 (en)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1252591B1 (ko) 주행환경에 최적화된 급전도로 시스템
KR20130075580A (ko) 가이드웨이형 유도급전충전시스템
JP7435550B2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