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083A -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83A
KR20190056083A KR1020170153133A KR20170153133A KR20190056083A KR 20190056083 A KR20190056083 A KR 20190056083A KR 1020170153133 A KR1020170153133 A KR 1020170153133A KR 20170153133 A KR20170153133 A KR 20170153133A KR 20190056083 A KR20190056083 A KR 2019005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
wireless
charging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208B1 (ko
Inventor
고홍기
이수연
정재헌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208B1/ko
Priority to PCT/KR2018/013828 priority patent/WO2019098648A1/en
Publication of KR2019005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과 유선충전이 모두 가능한 전기자동차에서 무선충전을 진행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는 무선충전 장치와 차량의 ECU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퀀스에 따라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무선충전 절차를 진행하고, 사용자의 버튼 입력만으로 자동주차와 충전 및 무선충전 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릴레이 제어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정밀한 전기자동차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버튼입력만으로 세밀한 전기자동차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에게도 효율적인 무선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WIRELESS CHARG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운송수단으로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짧은 운행거리와 충전소 부족, 긴 충전시간 등은 전기자동차가 관심만큼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요인들이다. 전기자동차를 운행하면서 충전이 가능하다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될 터이나, 움직이는 물체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동 중 충전이 가능한 기술이 있더라도 자동차가 다니는 모든 도로에 이러한 충전 시설을 설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가 있지만 그렇더라도 무선충전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진다. 무선충전 방식을 사용하면 유선충전과 같이 커넥터를 연결할 필요 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장소에 전기자동차를 가져다 놓기만 하면 충전이 진행된다.
따라서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차에서 내릴 필요 없이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하지 않더라도 뜨거운 여름이나 매서운 추위의 겨울, 혹은 비바람이 치는 날씨에는 전기자동차 내부에서 편리하게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커넥터만 연결하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충전이 되는 유선충전과는 달리 무선충전은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와 전력을 수신하는 전기자동차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어야 높은 충전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제어를 위한 보다 세밀한 운전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무선충전 기능을 가지는 전기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유선충전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므로 무선충전과 유선충전간의 전환도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기술 중 하나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7798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급전부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무선충전방법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유선충전이 가능한 자동차에서 무선충전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연구 노력해 왔다. 전기자동차가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을 위한 장치를 모두 갖춘 경우 유선충전과 무선충전 사이의 전환과, 무선충전을 사용할 때 충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제어방법을 완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이 모두 가능한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충전과 유선충전 사이의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무선충전 방식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보다 정밀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세밀한 전기자동차의 제어가 가능한 무선충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하거나 운전이 서투른 사용자에게도 효율적으로 무선충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충전 장치와 유선충전 장치를 모두 가지고, 하나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ECU(Electr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면 무선충전용 집전 모듈의 설치여부를 확인하여 무선충전용 집진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면 무선충전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드일 때 무선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무선충전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린 다음,
상기 무선충전 장치의 정상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충전 장치가 정상이면 전기자동차의 자동주차기능을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자동주차 지시를 입력받으면 무선충전기 위치에 전기자동차를 상기 자동주차기능으로 위치시고,
상기 전기자동차와 상기 무선충전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오차 이내로 정렬되었는지 판단하여, 기설정된 오차 이내로 정렬되었으면 사용자의 충전 시작 지시를 입력받아 무선충전을 시작하고, 기설정된 오차 이내로 정렬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의 자동주차 지시를 다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CU는 상기 무선충전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를 전송 받아 상기 무선충전용 집전 모듈의 설치 여부 또는 상기 무선충전 장치의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ECU는,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무선충전 장치와 전기자동차 내의 배터리 사이의 릴레이를 연결된 상태로 제어하고, 무선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충전 장치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릴레이를 연결 해제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무선충전과 유선충전 방법을 모두 사용가능한 전기자동차를 제공함으로써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무선충전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무선충전 효율을 높이고 그에 따른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무선충전을 이용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충전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회적 약자의 전기자동차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무선충전 진행 시 무선충전 모듈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자동주차와 무선충전 시작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UI(User Interface)의 모습을 나타낸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느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대략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10)는 유선충전 변환부(110), 무선충전 수신부(120), 릴레이부(130), 배터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유선충전 변환부(110)는 교류-직류(AC-DC) 변환기(112)와 직류-직류(DC-DC) 변환기(114)를 포함한다. 유선 충전기(20)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류는 교류-직류 변환기(112)를 거치면 직류 전류로 바뀐다. 충전을 위해 직류 전류를 사용하는 유선 충전기(20)라면 교류-직류 변환기(112)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직류로 변환된 전류는 다시 직류-직류 변환기(114)를 거쳐 배터리(140)로 전달된다. 같은 직류라도 유선 충전기(20)로부터 받은 전압과 배터리(140)에 저장하기 위한 전압이 다르기 때문에 직류-직류 변환이 필요하다.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무선전력 수신패드(122)와 정류기/전압조절기(124)를 포함한다. 무선전력 수신패드(122)는 무선충전용 집전패드로 구성되어 무선충전기(30)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되므로 무선충전기(30)와 무선전력 수신패드(122) 사이의 정렬이 중요하다. 무선충전기(30)와 무선전력 수신패드(122) 사이의 미묘한 틀어짐에 따라 무선 송수신 효율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무선전력 수신패드(122)는 무선충전기(30)로부터 20kHz~85kHz에 이르는 고주파수의 전류를 수신하기 때문에 정류기(rectifier)또는 전압조절기(regulator)를 거쳐야 배터리(140)에 저장할 수 있는 전류로 변환되는 것이다. 정류기/전압조절기(124)는 일종의 교류-직류 변환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변환된 직류 전류는 배터리(140)에 전달되기 전에 릴레이부(130)를 거친다. 릴레이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유선충전 변환부(110) 또는 무선충전 수신부(120)의 출력 전류를 배터리(140)에 연결해준다.
제어부(150)는 하나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무선충전 여부에 따라 릴레이부(130)를 제어하여 무선충전 수신부(120)의 출력을 배터리(140)에 전달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차량내의 ECU(Electric Control Unit), EVC(Electric Vehicle Controller) 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 수신부(120)에도 ECU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0)와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CAN(Control Area Network), MOST(Multi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FlexRay,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다양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고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무선충전을 진행하는 대략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무선충전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운전자들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무선충전기의 송신부와 전기자동차의 수신부가 잘 정렬되어야 충전 효율이 높기 때문에 정밀한 차량제어가 필요하다.
표 1은 무선충전을 위한 정의된 시퀀스의 한 예를 나타낸다.
Title WCS EVC comment
Communication 0x00 0x01 CAN communication check
start WCS checking 0x02 0x03
Going WCS checking 0x04 0x05 fault diagnosys
End of WCS checking 0x06 0x07 goto index = 0x10;
WCS fail 0x08 0x09 display at monitor "unused WCS" and wait
Ready to find a charging station 0x10 0x11 if ( detection ) index = 0x20;
charging station detected 0x20 0x21 detected charging station
start interlock checking 0x22 0x23
going interlock checking 0x24 0x25 fault diagnosys
end of interlock checking 0x26 0x27 goto index = 0x30;
Interlock fail 0x28 0x29 display at monitor "problem of WCS" and wait
ready to push a auto-parking 0x30 0x31 if ( detection ) park start button = enable;
Start auto-parking 0x40 0x41 park start button = disable & park stop button =enable;
Going auto-parking 0x42 0x43 if (park stop button ) index = 0x46;
end of auto-parking 0x46 0x47 park stop button =disnable % goto index = 0x50;
auto-parking fail 0x48 0x49 display at monitor " bad park" and index = 0x30;
ready to push a charging 0x50 0x51 park button = enable;
If (Alignment == 0b111) charge button = enable;
if ( charge button push ) goto index = 0x60;
if ( park button push ) goto index = 0x30;
start of relay close 0x60 0x61 all button = disable;
going of relay close 0x62 0x63
end of relay close 0x64 0x65 if (Relay == ON) goto index = 0x70;
Start charging 0x70 0x71 charge stop button = enable;
Going charging 0x72 0x73 if (charge stop button ) goto index = 0x76;
else if ( SOC >= 80) goto index = 0x76;
end of charging 0x76 0x77 goto index = 0x80;
start relay open 0x80 0x81 all button = disable;
going relay open 0x82 0x83
end of relay open 0x84 0x85 if (Relay == OFF) goto index = 0x90;
end of sequence 0x90 0x91 If (alignment ==0b111) index=0x50;
else if (alignment !=0b111 && detect == 1 ) index=0x30;
else index=0x10;
무선충전 수신부(WCS: Wireless Charging System, 120)는 우선 제어부(EVC: Electric Vehicle Control, 150)에 CAN 통신을 통해 무선충전 수신부(120)가 설치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0x00)를 전송하고(S210), 제어부(150)는 무선충전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제어부(150)에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 후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0x01)를 전송한다(S212).
소프트웨어 설치가 확인되면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무선충전을 진행하기 위한 자체 점검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메시지들(0x02, 0x04, 0x06)을 제어부(150)에 송신하고 제어부(150)는 확인 메시지들(0x03, 0x05, 0x07)을 응답으로 전송한다.
자체 점검 결과 이상이 발생하면 점검 실패(0x08) 메시지를 전송하고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충전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상이 없으면 충전소를 찾기 위한 대기상태에서 머무르고 제어부(150)에 이에 대한 메시지(0x10)를 전송한다.
대기상태에서 무선충전소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들어왔음이 감지되면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무선충전소가 감지되었음을 제어부(150)에 알리는 메시지(0x20)를 전송한다(S214). 제어부(150)는 무선충전소 감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0x21)을 무선충전 수신부(120)에 전송한다(S216).
무선충전소가 감지되고 나면 무선충전을 진행하기 전에 무선충전을 위한 각 모듈들의 연동정보(interlocking)를 점검한다(S218). 연동정보 점검은 도 3과 같이 무선충전 수신부(120)에 포함된 WCS(Wireless Charging System, 126)에 의해 수행된다. WCS(126)는 무선전력 수신패드(122), 정류기/전압조절기(124), 릴레이부(130) 등에 포함되는 커넥터들의 연결여부와 정상동작여부를 점검하여 이와 관련된 메시지(0x22, 0x24, 0x26)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는 메시지(0x23, 0x25, 0x27)를 WCS(126)가 송신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송한다(S220).
연동정보에 이상이 있으면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제어부(150)에 연동정보 점검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메시지(0x28)를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이를 확인하는 메시지(0x29)를 전송한 다음 무선충전 시스템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표시를 전기자동차의 계기판 혹은 네비게이션 등의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연동정보가 정상이면 자동주차(auto-parking)를 진행하기 위해 대기하는 상태로 돌입하고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제어부(150)에 자동주차 준비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0x30)를 전송한다(S224). 제어부(150)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응답 메시지(0x31)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의 자동주차 버튼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S226).
도 4는 자동주차가 활성화 된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에 자동주차 안내를 위한 화면(410)이 표시되고 시작버튼(412)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터치하면 자동주차를 시작할 수 있게 준비된 모습이다.
사용자가 시작버튼(412)를 터치하여 자동주차가 시작되면 무선충전 수신부(120)은 자동주차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0x40)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응답메시지(0x41)를 보낸 후 디스플레이의 시작버튼(412)를 비활성화한다. 자동주차를 진행하며 관련 메시지(0x42, 0x46)를 전송하고, 주차가 끝나면 자동주차 성공여부를 검토한다. 무선충전은 송신부와 수신부의 정렬이 전송효율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자동주차에 의해 무선충전 송신부와 무선충전 수신부(120)의 정렬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송신부와 수신부의 정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자동주차 실패 메시지(0x48)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다시 자동주차 시작버튼(412)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송신부와 수신부의 정렬이 잘 이루어졌으면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무선충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메시지(0x50)를 제어부(150)에 송신하고 제어부(150)는 응답 메시지(0x51)를 전송한 다음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도 4에서 무선충전을 나타내는 화면(420)과 무선충전 시작 버튼(422)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시작버튼(422)을 터치함으로써 무선충전을 시작한다.
무선충전을 시작하기 전 다시 한 번 무선충전 송신부와 수신부의 정렬을 검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정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자동주차 시작버튼(412)를 활성화시키고 자동주차 진행 요청(S224)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충전 시작 버튼(422)를 터치하면 무선충전 시작 메시지(0x70)를 전송하고(S228), 제어부(150)는 이에 응답하는 메시지(0x71)를 전송하면서(S230) 충전 중단 버튼(미도시)을 활성화시킨다.
사용자가 충전 중단 버튼을 터치하거나, 배터리에 충분한 용량의 전력이 충전되면 충전이 끝났음을 알리는 메시지(0x76)를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이에 응답하는 메시지(0x77)를 전송한다. 충전이 끝나면 무선충전을 위해 연결되었던 릴레이들은 개방(open)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무선충전 수신부(120)는 릴레이부(130)의 각 릴레이들을 개방하는 절차에 관한 메시지들(0x80, 0x82, 0x84)을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각각에 대한 응답 메시지들(0x81, 0x83, 0x85)을 전송하여 무선충전 절차를 종료한다.
무선충전 절차를 모두 마치면 무선충전 수신부(120)와 제어부(150)는 무선충전 종료 메시지들(0x90, 0x91)을 각각 주고 받는다. 이후 전기자동차의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각 절차로 진행하여 대기한다. 예를 들어, 무선충전 송신부와 수신부가 정렬된 상태이면 무선충전 시작 버튼(422)을 활성화 하여 충전 시작 대기상태(S228)에서 무선충전 대기상태 메시지(0x50)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무선충전 시작버튼(422) 입력을 기다리고, 정렬이 필요하면 자동주차 시작버튼(412)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기하는 것이다. 정렬도 되지 않고 무선충전소가 감지되지도 않은 상태이면 무선충전소 감지를 위한 상태로 돌아가고 이를 위한 메시지(0x10)를 전송하여 가장 첫 단계부터 무선충전을 위한 준비단계를 시작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세분화 된 무선충전 진행 방법을 이용한다면 장애인이나 노약자 외에도 주차가 서툰 초보운전자 등도 무선충전을 위한 전기자동차 정렬을 버튼 터치만으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무선충전을 쉽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3)

  1. 무선충전 장치와 유선충전 장치를 모두 가지고, 하나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ECU(Electr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면 무선충전용 집전 모듈의 설치여부를 확인하여 무선충전용 집진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면 무선충전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드일 때 무선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무선충전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린 다음,
    상기 무선충전 장치의 정상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충전 장치가 정상이면 전기자동차의 자동주차기능을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자동주차 지시를 입력받으면 무선충전기 위치에 전기자동차를 상기 자동주차기능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전기자동차와 상기 무선충전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오차 이내로 정렬되었는지 판단하여, 기설정된 오차 이내로 정렬되었으면 사용자의 충전 시작 지시를 입력받아 무선충전을 시작하고, 기설정된 오차 이내로 정렬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의 자동주차 지시를 다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무선충전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를 전송 받아 상기 무선충전용 집전 모듈의 설치 여부 또는 상기 무선충전 장치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무선충전 장치와 전기자동차 내의 배터리 사이의 릴레이를 연결된 상태로 제어하고, 무선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충전 장치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릴레이를 연결 해제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인,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KR1020170153133A 2017-11-16 2017-11-16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KR10248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33A KR102483208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PCT/KR2018/013828 WO2019098648A1 (en) 2017-11-16 2018-11-13 Wireless charg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33A KR102483208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83A true KR20190056083A (ko) 2019-05-24
KR102483208B1 KR102483208B1 (ko) 2022-12-29

Family

ID=6653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33A KR102483208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3208B1 (ko)
WO (1) WO20190986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9475A (zh) * 2020-04-15 2020-07-14 安徽佑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装置
KR20220090702A (ko) 2020-12-23 2022-06-30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시스템의 평가 보조장치 및 그 평가 보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6518B (zh) * 2020-07-29 2022-03-22 江苏财经职业技术学院 高安全性电动汽车无线充电柜
EP3964384B1 (en) * 2020-09-02 2023-08-09 Volvo C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CN114312382B (zh) * 2022-01-14 2023-10-2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苏州供电分公司 一种适用于电动汽车有线无线一体化充电桩的系统拓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7460A (ja) * 2010-03-31 2011-10-27 Aisin Aw Co Ltd 車両用充電支援装置、車両用充電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35794A (ko) * 2012-07-03 2015-04-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차량 주차 및 무선 충전 관련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150120849A (ko) * 2014-04-18 2015-10-28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차량과 무선 충전 시스템의 페어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JP2016141161A (ja) * 2015-01-29 2016-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充電駐車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1950B2 (en) * 2011-08-05 2017-04-25 Evatran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vehicle with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US8700258B2 (en) * 2012-09-12 2014-04-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k assist system
US9586494B2 (en) * 2015-06-05 2017-03-07 Nissan North America, Inc. Alignment method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7460A (ja) * 2010-03-31 2011-10-27 Aisin Aw Co Ltd 車両用充電支援装置、車両用充電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35794A (ko) * 2012-07-03 2015-04-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차량 주차 및 무선 충전 관련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150120849A (ko) * 2014-04-18 2015-10-28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차량과 무선 충전 시스템의 페어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JP2016141161A (ja) * 2015-01-29 2016-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充電駐車支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9475A (zh) * 2020-04-15 2020-07-14 安徽佑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装置
KR20220090702A (ko) 2020-12-23 2022-06-30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시스템의 평가 보조장치 및 그 평가 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208B1 (ko) 2022-12-29
WO2019098648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6083A (ko)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방법
US20190143828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used fo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WO2014157095A1 (ja) 給電装置、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1725703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CN104813565B (zh) 非接触供电装置、非接触供电系统以及非接触供电方法
US20170120758A1 (en) V2x based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s
US101246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alternating current (AC) charger
CN107571755B (zh) 一种架空轨道式移动充电系统及方法
CN107627879A (zh) 一种为多辆静止电动汽车有序充电的移动充电系统及方法
CN103633697A (zh) 电磁感应式非接触充电系统及其对准方法
KR20150119389A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CN205304797U (zh) 无线充电系统
CN107825970B (zh) 一种电动汽车路段式移动无线充电站
CN115402147A (zh) 基于预测和实际断电而协调双向充电事件的系统和方法
CN108928247B (zh) 非接触电功率传输系统
JP7149303B2 (ja) 配車サービス装置、配車サービ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42753B1 (ko) 전기 이륜차의 무선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5577546U (zh) 充电装置及立体车库
CN212332397U (zh) 新能源轨道机车车辆无线充电系统
Sahu et al. IoT Based Smart Parking Ecosystem with Connected Wireless Induction Chargers
KR101281731B1 (ko) 전기차량을 위한 충전 설비를 갖춘 환승 시스템 및 방법
JP7435550B2 (ja) 車両
JP2023018476A (ja) 交通流制御装置及び情報表示装置
CN107067810A (zh) 一种无线通信的大型超市智能停车系统
US12005790B2 (en) Bidirectional energ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ggregated power outage m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