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024A -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024A
KR20130019024A KR1020137002586A KR20137002586A KR20130019024A KR 20130019024 A KR20130019024 A KR 20130019024A KR 1020137002586 A KR1020137002586 A KR 1020137002586A KR 20137002586 A KR20137002586 A KR 20137002586A KR 20130019024 A KR20130019024 A KR 20130019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core network
packe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516B1 (ko
Inventor
카츠토시 니시다
케이스케 스즈키
심페이 카와카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01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30Network data restoration; Network data reliability; Network data fault tole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출방법은, P―GW(20)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UE(10)의 호출을 수행하는 호출방법에 있어서, S―GW(30)가, P―GW(20)에서 착신된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으로 설정하고, 상기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MME(40) 및 SGSN(60)으로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MME(40) 및 SGSN(60)이,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PAGING METHOD, CORE NETWORK DEVICE, WIRELESS ACCESS NETWORK DEVICE, AND GATEWAY DEVICE}
본 발명은,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 앞으로의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해당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해 패킷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 코어 네트워크에 마련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등)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마련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RNC(Radio Network Controller)/BSC(Base Station Controller)나 eNodeB 등)에 대해, 유저단말을 호출하는 페이징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신호에 따라, 유저단말을 호출하는 페이징 신호를 송신한다. 유저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된 페이징 신호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착신처리를 수행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또,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해 패킷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 코어 네트워크 장치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해당 유저단말의 호출을 규제하는 호출 규제를 수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호출 규제는,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폭주상태인 경우 등에 수행된다.
비특허문헌 1: 3GPP TS23. 401
그러나,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호출 규제가 수행되는 경우,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패킷의 종별에 관계없이, 해당 유저단말의 호출을 중지해버린다. 이 때문에, 착신시켜야 하는 우선도가 높은 패킷(예를 들면, 혼잡시라도 소통시키고자 하는 통신에 속하는 패킷)을 수신한 경우라도,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을 호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해당 유저단말의 호출을 유연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호출방법은,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호출방법이며, 제2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착신된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요구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착신된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에 대한 착신 종별 정보를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자 장치가 폭주상태인 경우 등 통상 유저단말의 호출 규제가 수행되는 상황이라도, 착신 종별 정보의 내용에 의해서는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호출방법은,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호출방법이며, 제2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착신된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요구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정보를 호출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신호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호출 신호로 설정하기 때문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호출 신호에 포함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자 장치가 폭주상태인 경우 등 통상 유저단말의 호출 규제가 수행되는 상황이라도, 호출 정보의 내용에 의해서는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이며,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된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을 나타내는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이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된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을 나타내는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는,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호출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며,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상기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요구 신호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해당 유저단말의 호출을 유연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MME 또는 SGSN에 있어서의 호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eNodeB 또는 RNC/BSC에 있어서의 호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9는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LTE 등의 차세대 통신방식과 제2/제3세대 통신방식과의 호환성을 갖는 시스템이며, 차세대 통신방식의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1)와, 차세대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E―UTRAN(2)과, 제2/제3세대 통신방식의 코어 네트워크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코어 네트워크(3)와, 제2/제3세대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UTRAN/GERAN(4)으로 구성된다.
UE(User Equipment)(1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단말, 노트북 등,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방식에 대응한 유저단말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UE(10)는, LTE 등의 차세대 통신방식과 제2/제3세대 통신방식에 대응하고, E―UTRAN(2)과 UTRAN/GERAN(4)과의 무선 존(zone)의 쌍방에 재권(在圈) 가능하다. 또, 도 1에 있어서, UE(10)는, LTE 등의 차세대 통신방식에만 대응하고, E―UTRAN(2)의 무선 존에만 재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EPC(1)에는, 인터넷 등의 PDN(Packet Data Network)과의 접속점이 되는 P―GW(PDN Gateway)(20)(제1 게이트웨이)와, E―UTRAN(2)과 UTRAN/GERAN(4)과의 무선 존 간을 이동하는 UE(10)의 패킷 전송경로의 앵커 포인트가 되는 S―GW(Serving Gateway)(30)(제2 게이트웨이)와,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하는 MME(40)(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마련된다. S―GW(30)는, P―GW(20)와 MME(40)와 후술하는 eNodeB(50)와 SGSN(60)에 접속된다.
E―UTRAN(2)에는,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eNodeB(50)(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마련된다. eNodeB(50)는, S―GW(30)와 MME(40)에 접속된다.
UMTS/GPRS 코어 네트워크(3)에는,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하는 SGSN(60)(코어 네트워크 장치)이 마련된다.
UTRAN/GERAN(4)에는,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NodeB(미도시)와, UE(10)와 NodeB(미도시)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RNC/BSC(70)(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마련된다. RNC/BSC(70)는, SGSN(60)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UE(10)와 PDN(미도시)과의 사이에는, P―GW(20) 경유로, IP 세션인 PDN 커넥션이 설정된다. 상기 PDN 커넥션에 의해, IP 어드레스로 식별되는 UE(10)는, APN(Access Point Name)으로 식별되는 PDN(미도시)에 접속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와 P―GW(20) 또는 S―GW(30)와의 사이에는, 차세대 통신방식의 논리적인 통신로인 EPS 베어러가 설정된다. 상기 EPS 베어러를 통해, PDN(미도시)으로부터 착신된 패킷이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으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는, PDN(미도시)으로부터 착신된 패킷은, P―GW(20) 혹은 S―GW(30)에 있어서, TFT(Traffic Flow Template)에 따라 판별되고, 해당 패킷의 플로우마다 EPS 베어러로 맵핑되고, 맵핑된 EPS 베어러를 통해 전송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와 SGSN(60)과의 사이에, 제2/제3세대 통신방식의 논리적인 통신로인 UMTS/GPRS 베어러가 설정된다. 상기 UMTS/GPRS 베어러는, SGSN(60)과 S―GW(30) 또는 P―GW(20)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EPS 베어러로 연접(連接)된다. 상기 UMTS/GPRS 베어러와 EPS 베어러를 통해, PDN(미도시)으로부터 착신된 패킷이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로 전송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E―UTRAN(2) 또는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와 P―GW(20)와의 사이에는, 상술한 PDN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디폴트 베어러가 설정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상세 구성〉
이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 및 SGSN(60)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E―UTRAN(2)과 UTRAN/GERAN(4)과의 무선 존 간을 이동하는 아이들 상태인 UE(10)가 위치등록 에어리어를 갱신하는 빈도를 저감하기 위한 ISR(Idle State Reduction)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GW(20)는, PDN(미도시)으로부터,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다른 통신 베어러(여기서는, 정보 A와 정보 B)에 속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P―GW(20)는, 통신 베어러마다 패킷을 캡슐링하고, GTP―U 패킷 또는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패킷으로서 S―GW(30)로 송신한다.
S―GW(30)는, P―GW(20)에서 착신된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패킷의 착신 종별을 나타내는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Downlink Data Notification'이란,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을 요구하는 호출 요구 신호이다.
구체적으로는, S―GW(30)는,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베어러 식별 정보란, P―GW(20)에서 착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베어러의 식별정보이다. 베어러 식별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EPS 베어러를 식별하는 'EPS 베어러 ID'나, 상술한 GPRS/UMTS 베어러를 식별 'GPRS/UMTS 베어러 ID' 등이 포함된다.
또, 베어러 QoS 정보란, P―GW(20)에서 착신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베어러의 QoS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베어러 QoS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EPS 베어러를 설정·변경하는 경우의 EPS 베어러 간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ARP: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나, 상술한 EPS 베어러나 UMTS/GPRS 베어러가, 전송 레이트가 보상되는 GBR 베어러인 경우에, 해당 GPR 베어러의 보상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GBR: Guaranteed Bit Rate'나, 해당 GBR 베어러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나타내는 'MBR: Maximum Bit Rate'이나, 상술한 EPS 베어러나 UMTS/GPRS 베어러의 QoS 클래스를 나타내는 'QCI: QoS Class Identifier' 등이 포함된다.
또, 디폴트 베어러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UE(10)와 P―GW(20)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디폴트 베어러의 정보이다. 디폴트 베어러 정보에는, 예를 들면, 디폴트 베어러를 식별하는 '디폴트 베어러 ID'나, 해당 디폴트 베어러의 QoS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 P―GW 정보(제1 게이트웨이 장치 정보)란, PDN(미도시)으로부터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패킷을 착신한 P―GW(20)의 정보이다. P―GW 정보에는, 예를 들면, P―GW(20)를 식별하는 P―GW 식별자나, P―GW(20)에서 종단(終端)하는 GTP 터널의 종단 식별자인 'TEID: Tunnel Endpoint Identifier'나 GPE 터널의 종별 식별자인 'GRE Key', P―GW(20)의 IP 어드레스 등이다.
또, PDN 커넥션 정보란, P―GW(20)에서 착신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P―GW(20)를 통해 UE(10)와 PDN(미도시)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술한 PDN 커넥션의 정보이다. PDN 커넥션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PDN(미도시)와 PDN(미도시)로의 접속점인 P―GW(20)와의 쌍방을 식별하는 'APN: Access Point Name' 등이 포함된다.
또, 플로우 식별 정보란, P―GW(20)에서 착신된 IP 패킷의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의 식별 정보이다. 플로우 식별 정보에는, 예를 들면, 'TFT: Traffic Flow Template' 등이 포함된다. 또, S―GW 부하 정보(제2 게이트웨이 장치 부하 정보)란, S―GW(30)의 부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착신 종별 정보는, 이상과 같은,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착신 종별 정보는, 이상과 같은,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지어진 파라미터(예를 들면, 1: 착신 종별(1), 2: 착신 종별(2), 3: 착신 종별(3) 등)이어도 좋다.
S―GW(30)는, S―GW(30)에 접속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S―GW(30)는, EPC(1)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와 UMTS/GPRS 코어 네트워크(3)가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SGSN(60)에 대해,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송신한다.
EPC(1)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는,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MME(40)는, 소정의 착신 종별 정보인 경우, E―UTRAN(2)에 마련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인 eNodeB(5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여기서, 'Paging'은, UE(10)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 신호이다. eNodeB(50)는, MME(40)로부터의 'Paging'에 따라,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UMTS/GPRS 코어 네트워크(3)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SGSN(60)은,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SGSN(60)은, 소정의 착신 종별 정보인 경우, UTRAN/GERAN(4)에 마련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인 RNC/BSC(7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RNC/BSC(70)은, SGSN(60)으로부터의 'Paging'에 따라,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S―GW(30)가, P―GW(20)에서 수신한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와 SGSN(60)은, 각각,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E(10)의 호출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MME(40)나 SGSN(60)은, 예를 들면, 자 장치가 폭주상태인 경우 등 통상 UE(10)의 호출 규제가 수행되는 상황이라도, 착신 종별 정보의 내용에 의해서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가 설정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와 SGSN(60)에 있어서, 베어러마다, 베어러의 QoS마다, PDN 커넥션마다, 플로우마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상세한 조건으로,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유연한 호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호출처리에서는, S―GW(30)가, MME(40)와 SGSN(60)의 쌍방에 대해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송신하고, MME(40)와 SGSN(60)이, 각각,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MME(40) 또는 SGSN(60)의 어느 일방에 대해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송신하고, 어느 일방이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UE(10)의 호출 판단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EPC(1)에 마련되는 MME(40)나, UMTS/GPRS 코어 네트워크(3)에 마련되는 SGSN(6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통신방식의 코어 네트워크에 마련된 UE(10)의 호출용 장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E―UTRAN(2)에 마련되는 eNodeB(50)나 UTRAN/GERAN(4)에 마련되는 RNC/BSC(7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마련된 UE(10)의 호출용 장치여도 좋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각 장치(즉, P―GW(20), S―GW(30), MME(40), eNodeB(50), SGSN(60), RNC/BSC(70))는,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 회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갖고 있으며,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억되어 있다. 상술한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은, 상술한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에는, 상술한 ISR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GW(20)는, PDN(미도시)으로부터의 패킷을 착신한다(단계 S101). P―GW(20)는, 착신한 패킷을 캡슐링하고, GTP―U 패킷 또는 GRE 패킷으로서 S―GW(30)로 송신한다(단계 S102).
S―GW(30)는, P―GW(20)로부터의 GTP―U 패킷 또는 GRE 패킷의 수신에 따라, P―GW(20)에 있어서의 패킷 착신의 종별을 나타내는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으로 설정한다(단계 S103).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S―GW(30)는, 베어러 식별 정보, 베어러 QoS 정보, 디폴트 베어러 정보, P―GW 정보, PDN 커넥션 정보, 플로우 식별 정보 및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가 설정한다.
S―GW(30)는, MME(40)에 대해,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송신한다(단계 S104a). MME(40)는,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S―GW(30)로부터 수신한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 Ack'를 S―GW(30)로 송신한다(단계 S105a). MME(40)는,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6a). 도 4를 참조하여, 단계 S106a에 있어서의 호출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4는, MME(40)에 있어서의 호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ME(40)는, S―GW(30)로부터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수신한 경우, MME(40)에 있어서 호출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호출 규제는, 예를 들면, MME(40)가 폭주상태인 경우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특정한 가입자 단위 혹은 모든 가입자에 대해 호출 규제를 수행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에 수행된다. 또한, 본 단계는, 생략 가능하며, 본 흐름도는, 단계 S203부터 개시되어도 좋다.
MME(40)에 있어서 호출 규제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1; No), MME(40)는, eNodeB(50)에 대해,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한다(단계 S202).
MME(40)에 있어서 호출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단계 S201; Yes), MME(40)는,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착신 종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착신 종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03; No), MME(4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4). 상기 일반 호출 규제에서는, MME(40)가 폭주상태인 경우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예를 들면, 특정한 가입자 단위 혹은 모든 가입자가 지정된 경우) 등에, 상술한 착신 종별 정보에 관계없이,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다. MME(4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 경우, S―GW(30)나 P―GW(20) 등과의 사이에서 착신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MME(4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eNodeB(5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착신 종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단계 S203; Yes), MME(40)는, 해당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E(10)를 우선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착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UE(10)를 우선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착신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205; Yes), MME(40)는, 특정 호출 규제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6). 상기 특정 호출 규제에서는, 상술한 착신 종별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다. MME(40)는, 특정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 경우, S―GW(30)나 P―GW(20) 등과의 사이에서 착신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MME(40)는, 특정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eNodeB(5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UE(10)를 우선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착신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205; No), MME(4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의 송신을 중지한다(단계 S207). 또한, 본 단계의 처리내용은, 단계 S20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도 3의 단계 S106a에서는, MME(40)에 있어서의 호출 판단 처리가 수행된다. 도 4의 단계 S206에 있어서 'Paging'의 송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MME(40)는, eNodeB(5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단계 S107a). eNodeB(50)는, eNodeB(50)로부터의 'Paging'에 따라,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단계 S108a).
이상의 단계 S104a~108a와 동일한 처리가, 단계 S104b~S108b에서도 수행된다. 또한, 단계 S104a~108a에 있어서의 MME(40) 및 eNodeB(50)는, 각각, 단계 S104b~S108b에 있어서의 SGSN(60) 및 RNC/BSC(7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단계 S106b에서는, 도 4의 단계 S201~S207에 도시하는 호출 판단 처리가, SGSN(6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UE(10)는, E―UTRAN(2)의 무선 존에 위치하는 경우, eNodeB(50)로부터 송신된 'Paging'에 따라, eNodeB(50)와 MME(40)와 S―GW(30)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착신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09). 혹은, UE(10)는,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위치하는 경우, SGSN(60)으로부터 송신된 'Paging'에 따라, RNC/BSC(70)와 SGSN(60)과 S―GW(30)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착신 처리를 수행한다.
S―GW(30)는, 단계 S109의 착신 처리가 완료되면, MME(40)와 SGSN(60)과의 쌍방에 대해, 'Paging'의 송신 정지를 요구하는 'Stop Paging'을 송신한다(단계 S110a 및 S110b).
S―GW(30)는, UE(10)가 E―UTRAN(2)의 무선 존에 위치하는 경우, UE(10)에 대해, eNodeB(50)를 통해, 단계 S102에서 수신한 패킷을 송신한다(단계 S111a). 혹은, S―GW(30)는, UE(10)가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위치하는 경우, UE(10)에 대해, SGSN(60) 및 RNC/BSC(70) 및 미도시의 NodeB를 통해, 혹은, RNC/BSC(70) 및 미도시의 NodeB를 통해, 단계 S102에서 수신한 패킷을 송신한다(단계 S111b).
〈작용·효과〉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S―GW(30)가, P―GW(20)에서 착신된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MME(40)와 SGSN(60)은, 각각,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E(10)의 호출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MME(40)나 SGSN(60)은, 예를 들면, 자 장치가 폭주상태인 경우 등 통상 UE(10)의 호출 규제가 수행되는 상황이라도, 착신 종별 정보의 내용에 의해서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가 설정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와 SGSN(60)에 있어서, 베어러마다, 베어러의 QoS마다, PDN 커넥션마다, 플로우마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상세한 조건으로,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유연한 호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eNodeB(50), RNC/BSC(70))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상세 구성〉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ISR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PC(1)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는,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정보를 'Paging'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MME(40)는, 착신 종별 정보에 의해 판별되는 정보와, UE(10)의 능력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설정한다. MME(40)는, eNodeB(50)에 대해,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을 송신한다.
여기서, 착신 종별 정보에 의해 판별되는 정보란,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 및 S―GW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 UE(10)의 능력 정보에는, 예를 들면, UE(10)의 무선 액세스 능력을 나타내는 'UE Radio Access Capability' 등이 포함된다.
또한, 호출 정보는, 이상과 같은, 착신 종별 정보에 의해 판별되는 정보와, UE(10)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호출 정보는, 착신 종별 정보에 의해 판별되는 정보와, UE(10)의 능력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관련지어진 파라미터여도 좋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면, UE(10)를 호출하는 우선도를 나타내는 호출 우선도(예를 들면, 1: 우선도 고, 2: 우선도 중, 3: 우선도 저 3 등) 등이 있다.
E―UTRAN(2)에 마련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인 eNodeB(50)는, MME(40)로부터의 'Paging'에 포함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eNodeB(50)는, 소정의 착신 종별 정보인 경우,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UMTS/GPRS 코어 네트워크(3)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SGSN(60)은,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정보를 'Paging'으로 설정한다. SGSN(60)은, RNC/BSC(70)에 대해,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을 송신한다.
UTRAN/GERAN(4)에 마련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인 RNC/BSC(70)는, SGSN(60)으로부터의 'Paging'에 포함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UTRAN/GERAN(4)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RNC/BSC(70)는, 소정의 착신 종별 정보인 경우,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에는, ISR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도 6의 단계 S301~S303, S304a~S305a, S304b~S305b는, 도 3의 단계 S101~S103, S104a~105a, S104b~S105b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ME(40)는,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정보를 'Paging'으로 설정한다(단계 S306a).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MME(40)는, 착신 종별 정보에 의해 판별되는 정보와, UE(10)의 능력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설정한다. MME(40)는, eNodeB(50)에 대해,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을 설정한다(단계 S307a).
eNodeB(50)는, MME(40)로부터의 'Paging'에 포함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E―UTRAN(2)의 무선 존에 재권하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8a). 도 7을 참조하여, 단계 S308a에 있어서의 호출 판단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7은, eNodeB(50)에 있어서의 호출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NodeB(50)는, MME(40)로부터 'Paging'을 수신한 경우, eNodeB(50)에 있어서 호출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1). 호출 규제는, 예를 들면, eNodeB(50)이 폭주상태인 경우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특정한 가입자 단위 혹은 모든 가입자에 대해 호출 규제를 수행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에 수행된다. 또한, 본 단계는, 생략 가능하며, 본 흐름도는, 단계 S403부터 개시되어도 좋다.
eNodeB(50)에 있어서 호출 규제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01; No), eNodeB(50)는,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한다(단계 S402).
eNodeB(50)에 있어서 호출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단계 S401; Yes), eNodeB(50)는, MME(40)로부터의 'Paging'에 호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3).
MME(40)로부터의 'Paging'에 호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03;No), eNodeB(5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4). 상기 일반 호출 규제에서는, eNodeB(50)가 폭주상태인 경우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예를 들면, 특정한 가입자 단위 혹은 모든 가입자가 지정된 경우) 등에, 상술한 호출 정보에 관계없이,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다. eNodeB(5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 경우, MME(40)나 S―GW(30)나 P―GW(20) 등과의 사이에서 착신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eNodeB(5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MME(40)로부터의 'Paging'에 호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 S403;Yes), eNodeB(50)는, 해당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UE(10)를 우선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착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5).
UE(10)를 우선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착신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405;Yes), eNodeB(50)는, 특정 호출 규제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6). 상기 특정 호출 규제에서는, 상술한 호출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다. eNodeB(50)는, 특정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된 경우, MME(40)나 S―GW(30)나 P―GW(20) 등과의 사이에서 착신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eNodeB(50)는, 특정 호출 규제에 따라 'Paging'의 송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
UE(10)를 우선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착신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405;No), MME(40)는, 일반 호출 규제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UE(10)를 호출하는 'Paging'을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7). 또한, 본 단계의 처리내용은, 단계 S40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도 6의 단계 S308a에서는, eNodeB(50)에 있어서의 호출 판단 처리가 수행된다. 상술한 도 7의 단계 S406에 있어서 'Paging'의 송신이 중지되지 않은 경우, eNodeB(50)는, UE(10)에 대해, 'Paging'을 송신한다(단계 S309a).
이상의 단계 S306a~309a와 동일한 처리가, 단계 S306b~S309b에서도 수행된다. 또한, 단계 S306a~309a에 있어서의 MME(40) 및 eNodeB(50)는, 각각, 단계 S306b~S309b에 있어서의 SGSN(60) 및 RNC/BSC(7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단계 S308b에서는, 도 7의 단계 S401~S407에 도시하는 호출 판단 처리가, RNC/BSC(7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도 6의 단계 S310, S311a~312a, S311b~S312b는, 도 3의 단계 S109, S110a~111a, S110b~S111b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MME(40)와 SGSN(60)이, 각각, S―GW(30)로부터의 'Downlink Data Notification'에 포함되는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를 'Paging'로 설정하기 때문에, eNodeB(50)와 RNC/BSC(70)은, 각각, 'Paging'에 포함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UE(10)의 호출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eNodeB나 RNC/BSC(70)는, 예를 들면, 자 장치가 폭주상태인 경우 등 통상 UE(10)의 호출 규제가 수행되는 상황이라도, 호출 정보의 내용에 의해서는 UE(10)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착신 종별 정보에 의해 판별되는 정보(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 등)와, UE(10)의 능력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가 설정되기 때문에, eNodeB(50)와 RNC/BSC(70)에 있어서, 베어러마다, 베어러의 QoS마다, PDN 커넥션마다, 플로우마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상세한 조건으로,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유연한 호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는, S―GW(30)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인 UE(10)이 호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처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GW(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러 식별 정보와,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S―GW(30)는, 호출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EPC(1)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에 대해,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S―GW(30)는, UMTS/GPRS 코어 네트워크(3)에 마련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SGSN(60)에 대해,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송신한다.
[변경예 1]
다음으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변경예 1에서는, P―GW(20)가, 착신한 패킷의 종별을 나타내는 패킷 종별 정보를 S―GW(30)에 통지하고, S―GW(30)가, 해당 패킷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P―GW(20)는 수신한 패킷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수신 패킷의 IP 헤더에 설정되는 정보(예를 들면 DSCP 코드 포인트나, 송신원 서버 정보(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등))나, 패킷 데이터의 내용(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패킷 종별 정보를 판단해도 좋다.
도 9는,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처리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GW(20)는, PDN(미도시)으로부터, 아이들 상태인 UE(10)에 대한 패킷을 착신한다. P―GW(20)는, 착신한 패킷의 종별을 나타내는 패킷 종별 정보를 GTP―U 패킷 또는 GRE 패킷으로 설정하고, 해당 GTP―U 패킷 또는 GRE 패킷을 S―GW(30)로 송신한다. P―GW(20)로부터 S―GW(30)로 통지하는 패킷 종별 정보는, 예를 들면 캡슐화한 GTP―U 혹은 GRE 패킷의 IP 헤더부인 DSCP 코드 포인트로 설정되어도 좋다. 상기 경우, 패킷 종별 정보는 DSCP 코드 포인트의 값에 의해 표현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S―GW(30)는, P―GW(20)로부터의 패킷 종별 정보와, 상술한 베어러 QoS 정보와, 디폴트 베어러 정보와, P―GW 정보와, PDN 커넥션 정보와, 플로우 식별 정보와, S―GW 부하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를 'Downlink Data Notification'로 설정한다.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패킷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종별 정보가 설정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 및 SGSN(60),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인 eNodeB(50) 및 RNC/BSC(70)에 있어서, 하나의 베어러 내를 전성되는 패킷 종별마다, UE(10)의 호출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보다 유연한 호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인 MME(40) 및 SGSN(60)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인 eNodeB(50) 및 RNC/BSC(70)의 쌍방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3 실시형태, 제2 및 제3 실시형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아이들 상태인 UE(10)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은, 2010년 7월 30일 출원의 특원 2010―172794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2)

  1.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호출방법에 있어서,
    제2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착신된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요구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공정;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폭주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종별 정보는, 상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베어러를 식별하는 베어러 식별 정보와, 상기 베어러의 QoS를 나타내는 베어러 Qo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종별 정보는, 상기 베어러 식별 정보와 상기 베어러 Qo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5.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호출방법에 있어서,
    제2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착신된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요구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공정;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정보를 호출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신호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공정;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종별 정보는, 상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베어러를 식별하는 베어러 식별 정보와, 상기 베어러의 QoS를 나타내는 베어러 Qo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종별 정보는, 상기 베어러 식별 정보와 상기 베어러 Qo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정보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로서 설정된 상기 베어러 QoS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방법.
  9.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된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을 나타내는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호출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신 종별 정보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폭주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1.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된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을 나타내는 착신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상기 호출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단말의 호출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12. 아이들 상태인 유저단말에 대한 패킷이 착신된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호출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착신 종별 정보를 상기 호출 요구 신호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 요구 신호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137002586A 2010-07-30 2010-12-28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 KR10127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2794A JP4767357B1 (ja) 2010-07-30 2010-07-30 呼び出し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JP-P-2010-172794 2010-07-30
PCT/JP2010/073775 WO2012014342A1 (ja) 2010-07-30 2010-12-28 呼び出し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024A true KR20130019024A (ko) 2013-02-25
KR101278516B1 KR101278516B1 (ko) 2013-06-27

Family

ID=4469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586A KR101278516B1 (ko) 2010-07-30 2010-12-28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44874B2 (ko)
EP (1) EP2600668B1 (ko)
JP (1) JP4767357B1 (ko)
KR (1) KR101278516B1 (ko)
CN (1) CN103081547B (ko)
BR (1) BR112013002209A2 (ko)
CA (1) CA2802418C (ko)
MX (1) MX2013000993A (ko)
WO (1) WO20120143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510A (ko) * 2013-10-02 2015-04-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중요 데이터 패킷을 우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69598A1 (ko) * 2015-10-23 2017-04-2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아이들 모드 시그널링 감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439B2 (ja) 2011-01-07 2012-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ノード及び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装置
EP3490320B1 (en) 2011-09-30 2023-08-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 communication using a reduced channel bandwidth
CN108809835A (zh) * 2012-06-29 2018-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转发面设备和控制面设备
WO2014013660A1 (ja) * 2012-07-20 2014-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ページング制御装置、ページング方法、無線端末、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351274B2 (en) * 2012-07-24 2016-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priority of application based handling of a paging request
DK2878162T3 (en) * 2012-07-24 2016-10-03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KNOT AND APPLICATION PRIORITY-BASED MANAGEMENT OF A PAGING REQUEST
KR20140035785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혼잡상황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52412A2 (en) * 2012-09-26 2014-04-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operation in long-term evolution (lte) systems
KR101982204B1 (ko) * 2012-09-28 2019-05-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운링크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ES2735625T3 (es) 2012-10-10 2019-12-19 Lg Electronics Inc Procesamiento de búsquedas mediante un servidor que gestiona la movilidad para evitar, en caso de fallo en la búsqueda, la pérdida de los datos de enlace descendente almacenados temporalmente en una pasarela de servicio
KR20140071866A (ko) * 2012-12-04 2014-06-12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271248B (zh) * 2013-02-27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优化方法、装置及系统
CN104303466B (zh) * 2013-05-15 2018-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通信系统
JP2016527822A (ja) * 2013-07-29 2016-09-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Imsサービスのためのページング方法及び装置
WO2015036130A1 (en) * 2013-09-16 2015-03-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er equipment access-based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echanism
JP2016532337A (ja) * 2013-09-29 2016-10-13 富士通株式会社 ページング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EP3096573B1 (en) * 2014-01-13 2018-10-24 LG Electronics Inc. Downlink data transfer method
JP6228470B2 (ja) * 2014-01-21 2017-11-08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6329000B2 (ja) * 2014-05-27 2018-05-2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方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84610A1 (zh) * 2014-06-05 2015-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报文的方法及装置
US10531427B2 (en) 2014-12-09 2020-01-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ystem access for E-UTRAN
US10405233B2 (en) 2015-07-28 2019-09-03 Deutsche Telekom Ag Enhanced overload protec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9076491A (zh) * 2016-04-15 2018-12-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在无线网络中寻呼非活动ue的方法和装置
EP3857980A1 (en) 2018-09-25 2021-08-04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mobile battery and empowering user equipment for incoming communication and pag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944B1 (en) * 2000-05-17 2004-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orwarding of low priority page requests
US20040157626A1 (en) * 2003-02-10 2004-08-12 Vincent Park Paging methods and apparatus
EP1784035A1 (en) * 2005-11-07 2007-05-09 Alcatel Lucent A method for connection re-establish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047949B (zh) * 2006-03-27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数据流的承载控制方法
US20080025250A1 (en) 2006-07-28 2008-01-3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paging indication sequences in paging messages
US8295860B2 (en) * 2007-03-13 2012-10-2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paging of an idle mobile device
EP2168263B1 (en) * 2007-06-18 2018-04-18 Lg Electronics Inc. Paging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for effective call setup
JP4733093B2 (ja) * 2007-09-28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466083B (zh) 2007-12-18 201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紧急呼叫方法和装置
RU2489812C2 (ru) * 2008-05-13 2013-08-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вызов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упомянутая система
US9544873B2 (en) * 2008-05-1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with Q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59718A1 (en) * 2008-11-18 2010-05-27 Starent Networks, Corp Selective paging in wireless networks
JP2009153141A (ja) * 2008-12-24 2009-07-09 Kyocera Corp 無線加入者システム、無線加入者システムの回線接続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JP5480509B2 (ja) 2009-01-27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JP2012519396A (ja) * 2009-02-27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的経路のセットアップを通知するための複数の通信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通信ノードのための方法及びそれに関連する装置
US8428625B2 (en) * 2009-02-27 2013-04-23 Cisco Technology, Inc. Paging heuristics in packet based networks
JP5783640B2 (ja) * 2009-09-02 2015-09-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のページングの区別のためのソリューション
KR101650608B1 (ko) * 2009-10-30 2016-08-2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US8611895B2 (en) * 2009-10-30 2013-12-17 Apple Inc. Methods for optimizing paging mechanisms using device context information
US8861535B2 (en) * 2010-05-21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Multi-tiered paging support using paging priority
US9191917B2 (en) * 2010-06-21 2015-1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510A (ko) * 2013-10-02 2015-04-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중요 데이터 패킷을 우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69598A1 (ko) * 2015-10-23 2017-04-2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아이들 모드 시그널링 감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75278B2 (en) 2015-10-23 2020-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idle-mode signaling reduc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4342A1 (ja) 2012-02-02
CA2802418C (en) 2014-02-11
EP2600668B1 (en) 2015-10-28
CA2802418A1 (en) 2012-02-02
EP2600668A4 (en) 2014-04-30
KR101278516B1 (ko) 2013-06-27
EP2600668A1 (en) 2013-06-05
CN103081547A (zh) 2013-05-01
US20130170438A1 (en) 2013-07-04
CN103081547B (zh) 2016-03-02
JP2012034238A (ja) 2012-02-16
BR112013002209A2 (pt) 2016-06-14
US9544874B2 (en) 2017-01-10
MX2013000993A (es) 2013-04-03
JP4767357B1 (ja)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516B1 (ko) 호출방법, 코어 네트워크 장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
US10945300B2 (en) Method for (re)selection of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data transmission
CN108702724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注销方法及其装置
US11564121B2 (en) Load control from control plane CIoT EPS optimization
US9674830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JP6962402B2 (ja) ユーザ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並びに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6664597B (zh) 通信系统
EP2371152A1 (en) Emergency call support during roaming
WO2015018194A1 (zh) 一种隧道建立的方法及装置
KR101830224B1 (ko) 패킷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33945A1 (en) Methods, wireless device, radio base station and second network node for managing eps bearer
KR101449720B1 (ko) 베어러 설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