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084A -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084A
KR20130018084A KR1020110094875A KR20110094875A KR20130018084A KR 20130018084 A KR20130018084 A KR 20130018084A KR 1020110094875 A KR1020110094875 A KR 1020110094875A KR 20110094875 A KR20110094875 A KR 20110094875A KR 20130018084 A KR20130018084 A KR 2013001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group
subscriber
group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홍승춘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3001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5Details of addressing, directories or routing 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 그룹 주소록을 그룹 구성원들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하는 가입자의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Group Document Management Server, GDMS); 메시지 및 파일 송수신을 위한 세션 처리를 수행하는 메시징 서버(Instant Messaging Server, IM); SIP 신호를 처리하고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 동작하는 신호 처리 서버(Signaling Server, SS); 및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가입자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자의 상태 관리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처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Register Server, RS)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변경된 정보를 그룹에 속한 다른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GROUP DIRECTORY IN MESSENGER SERVICE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 그룹 주소록을 그룹 구성원들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정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각 구성원의 단말에 동기화시키는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및 이동 통신망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메신저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의 급증에 따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 통화, 문자 전송 서비스, 영상 채팅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메신저는 일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사람들의 정보를 주소록 형태로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메신저의 주소록은 모두 사용자가 직접 입력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일부 메신저의 주소록은 그룹으로 사람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동일한 그룹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원이 각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정보 모두를 각각 입력해야 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만약 특정 그룹 내에서 한 구성원의 연락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다른 구성원들 모두는 각자의 단말에서 자신이 직접 해당 구성원의 연락처를 수정 또는 편집하여야 한다. 또한, 특정 그룹 내의 구성원이 추가되거나 탈퇴한 경우, 다른 구성원들 모두는 각자의 단말에서 수동으로 해당 그룹 주소록을 편집하여야 한다. 게다가, 소정 단체나 기관에서는 구성원의 정보가 변경되면, 해당 그룹 연락처 목록을 새롭게 인쇄하여 배포하거나 구성원들 각자에게 그룹 주소록 정보 변경 사항을 전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51805호(2011.05.1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 그룹 주소록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단체에서 이용하는 경우 해당 단체 내 구성원의 연락처가 갱신될 때마다 단체의 각 구성원에게 변경된 연락처를 새롭게 배포할 필요 없이,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갱신된 연락처를 모든 구성원에게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단체에 소속된 구성원의 경우에 별도로 연락처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구성원이 속한 단체의 연락처를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원의 개별 연락처가 변경되거나 구성원을 추가하거나 구성원이 탈퇴하여 그룹 주소록 내의 구성원 목록이 변경된 경우에도, 개별 구성원들이 각자의 단말에서 연락처를 편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그룹의 관리자가 편집한 연락처를 배포하여 각 구성원의 단말에서 그룹 주소록을 갱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룹 주소록의 공유 방식을 통해, 빠르고 정확한 연락처 공유가 가능하여 개인 또는 단체에서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들 간에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 그룹 주소록을 그룹 구성원들과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하는 가입자의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Group Document Management Server, GDMS); 메시지 및 파일 송수신을 위한 세션 처리를 수행하는 메시징 서버(Instant Messaging Server, I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신호를 처리하고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는 신호 처리 서버(Signaling Server, SS); 및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자의 상태 관리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처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Registration Server, RS)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가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변경된 정보를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는 그룹 주소록의 변경 정보를 포함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요청 신호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1 그룹의 그룹 주소록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확인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2 가입자 단말의 동기화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2 가입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하고,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들의 정보 변경 신호에 따른 그룹 주소록의 변경된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의 동기화 요청에 따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 자동 동기화 설정에 따라 서버 접속시 자동으로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입자 단말들 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으로서,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그룹 주소록을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제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제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또는 실질적으로 제1 단계와 동시에,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과의 그룹 대화 요청 신호, 그룹 음성 쪽지 전송 요청 신호, 또는 그룹 쪽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제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또는 실질적으로 제1 단계와 동시에,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 주소록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리자로 지정하는 관리자 지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제3 단계 이전에,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에서, 제1 그룹의 그룹 주소록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알림 메시지를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요청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제3 단계 이전에,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에서, 제2 가입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하고,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들의 정보 변경 신호에 따라 변경된 그룹 주소록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경된 그룹 주소록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의 서버 접속시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 자동 동기화 설정에 따라 서버측에서 자동으로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은,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입자 단말들 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으로서,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수신한 그룹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제1 가입자 단말 또는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정보 변경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그룹에 대한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하는 제4 단계;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통지하는 제5 단계; 및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설정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의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룹 주소록을 생성하고 서버와 동기화하는 과정은 기존과 유사하나, 해당 그룹의 구성원 각각이 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그룹 주소록의 연락처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그룹 주소록 동기화 과정을 거쳐 그룹 구성원의 모든 연락처를 단말로 간편하게 내려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룹 정보 및 그룹 내의 구성원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그룹 구성원 개개인이 연락처를 편집하지 않아도, 그룹 주소록 동기화 과정을 거쳐 변경된 구성원 정보를 단말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룹 주소록 동기화는 복구(Restore)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어, 단말을 초기화(Reset)하거나 변경한 경우, 다시 연락처를 입력할 필요 없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주소록 동기화를 통해 자신의 단말로 해당 그룹 주소록의 최신 연락처를 내려받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장치를 이용하는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의 생성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의 또 다른 생성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입자 단말에 이미 그룹 주소록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를 불러오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 주소록을 서버로 전송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 관리 및 공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 공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절차로서, 제2 가입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절차로서, 그룹 구성원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공유된 그룹 주소록을 자신의 주소록에 동기화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100, 이하 간략히 "서비스 제공 장치"라고도 한다)는 기본적으로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110) 및 신호 처리 서버(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존의 가입자 관리 서버(130)와 메시징 서버(140)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단말(10)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단말(10)은 가입자 단말을 지칭하고, 가입자 단말은 스마트 단말을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애플사의 운영체계인 iOS 계열의 아이폰(iPhone), 아이패드(iPad), 아이팟(iPot) 및 안드로이드 계열의 단말 및 스마트 패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퍼스널 컴퓨터(PC) 등에서 선택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서버(120)는 소위 SS(Signaling Server)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10) 또는 단말(10)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상의 통신 장비로부터 송수신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신호를 처리하고, 복수의 단말들(10)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 동작한다. 또한, 신호 처리 서버(120)는 가입자 관리 서버(130) 및 메시징 서버(140)와 단말(10)과의 사이의 중계 역할을 담당한다.
가입자 관리 서버(130)는 소위 RS(Register Server)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10)로부터 가입자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접속 유무 또는 통신 가능 여부를 포함한 가입자의 상태 관리 및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Service)를 처리한다.
메시징 서버(140)는 소위 IM(Instant Messaging Server)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들(10) 간의 문자 대화 및 파일 송신 또는 파일 수신을 위한 세션 처리를 담당한다.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110)는 GDMS(Group Document Management Server)로 지칭될 수 있고,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를 채용함으로써, 가입자 단말들 간에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 그룹 주소록을 그룹 구성원들이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에서는 주소록에 메신저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개별적인 버디 리스트를 저장 관리해 주거나, 이동통신 단말의 주소록을 메신저 서비스용 인스턴트 메신저의 주소록으로 재편성 또는 동기화해 주거나, 가입자의 동의하에서 개별 버디리스트를 단말에 자동 등록해 주거나 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 실질적으로 그룹에 속한 가입자 정보를 그룹 구성원끼리 그룹 주소록을 동기화 또는 업데이트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의 그룹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에 의해 그룹 구성원들 간에 그룹 주소록을 실시간으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의 동작 과정과 단말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장치를 이용하는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의 생성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그룹 주소록의 생성 과정은 가입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만 동작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 단말(10)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21)에서 가입자가 그룹 주소록을 생성하기 위해 주소록 그룹 추가 버튼(210)을 클릭하고, 제1 화면(21)에 이어지는 제2 화면(22)에서 새 그룹 생성 또는 주소록 그룹 가져오기 입력 인터페이스 중에서 새 그룹 생성 버튼(220)을 클릭하고, 제2 화면(22)에서 이어지는 제3 화면(23)에서 그룹명을 입력하고 그룹 구성원을 추가한다. 그런 다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화면(24)에서 구성원을 선택한 후 완료 버튼(240)을 클릭하고, 제5 화면(25)에서 주소록 그룹의 생성에 동의하는 생성 버튼(250)을 클릭함으로써, 제6 화면(26)에서와 같이 "회사" 그룹의 주소록(260)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 버튼(250)의 선택에 의해 주소록 그룹이 생성되는 때에 서버에도 이 가입자의 계정에 대하여 할당된 저장 공간 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가입자의 그룹 주소록이 등록될 수 있다. 현재 그룹 주소록은 그룹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되지 않고, 생성자만 이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룹 주소록의 생성은 새로 입력하지 않고 단말의 연락처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 그룹을 그대로 불러오는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의 또 다른 생성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입자 단말에 이미 그룹 주소록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를 불러오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10)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31)에서 가입자가 그룹 주소록을 생성하기 위해 주소록 그룹 추가 버튼(310)을 클릭하고, 제2 화면(32)에서 새 그룹 생성 버튼 또는 주소록 그룹 가져오기 버튼 중에서 주소록 그룹 가져오기 버튼(320)을 클릭하고, 제3 화면(33)에서 새로운 주소록 그룹에 추가할 그룹을 선택한 후 완료 버튼(330)을 클릭하면, 제4 화면(34)에서 각 주소록 그룹 중 본 서비스에 가입된 사람과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5 화면(35)에서 선택된 "가족" 그룹과 "친구" 그룹의 구성원을 새로 생성된 주소록 그룹에 추가하면서 상기 선택된 그룹들의 구성원들 중에서 본 서비스 예컨대 "티톡"의 그룹 주소록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에게 본 서비스에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묻을 수 있다.
제5 화면(35)에서 선택된 그룹들의 구성원이 새로운 주소록 그룹의 구성원으로 추가되도록 그룹 추가 버튼(350)을 클릭하면, 제6 화면(36)에서와 같이 주소록 그룹 가져오기에 기초한 새로운 "가족" 주소록 그룹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 주소록을 서버로 전송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0)은 UE(User Equipment)로 표시되고, 단말(10)에서 생성한 특정 그룹에 대한 그룹 주소록은 서버와 동기화 과정을 거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다. 서버는 가입자 관리 서버(RS)에 연결된 신호 처리 서버(SS, 120) 및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GDMS, 11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그룹 주소록 전송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10)에서 주소록 그룹을 생성한다(S410). 생성된 주소록 그룹에 구성원을 추가한다(S412).
그런 다음, 그룹 주소록 생성을 위한 입력 예컨대 생성 버튼을 누른다. 이때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 변경 신호가 신호 처리 서버(120)를 거쳐 GDMS(110)로 전송된다(S414). 본 실시예에서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는 그룹 주소록의 변경 정보를 포함한 그룹 주소록의 공유 또는 동기화 요청 신호이다.
GDMS(110)는 수신한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해당 가입자의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 한다(S416). 그룹 주소록이 업데이트되면, 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그룹 주소록의 갱신 또는 업데이트를 알리는 알림 신호를 해당 그룹 주소록의 구성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 알림 신호는 그룹 주소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의 정보가 추가되거나 삭제되거나 또는 변경된 경우에 해당 구성원의 단말에 설정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설정 옵션에 따라 각 구성원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GDMS(110)는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신호 처리 서버(120)를 거처 단말(10)로 전송한다(S418). 응답 신호는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 관리 및 공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주소록의 생성자는 해당 그룹 주소록을 그룹 내의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 요청 과정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그룹 주소록 생성자는 그룹 관리를 통해 그룹 공유를 요청할 수 있는데, 이 과정 중에 생성자와는 별도로 그룹 주소록을 공유하거나 그룹 주소록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관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그룹 주소록의 관리자는 해당 주소록 그룹의 생성자이거나 생성자가 지정한 그룹 내의 또 다른 구성원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입자 단말(10)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51)에서 가입자가 그룹 주소록을 생성한 후 해당 그룹 주소록을 관리하고 그룹 구성원과 공유하기 위해 "그룹 관리"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선택하면 제2 화면(52)에서 해당 그룹의 모든 구성원이 나열되고, 이때 본 가입자(이하, "제1 가입자"라고 한다)가 편집 버튼(520)을 클릭하면 제3 화면(53)에서와 같이 그룹 주소록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각 구성원의 아이콘이 활성화된다. 제1 가입자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아이콘 상의 "x"자 부분을 클릭하여 구성원을 간단히 삭제하거나 아이콘을 약간 길게 눌러 관리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이길수"로 표시된 아이콘상의 꽃 모양과 같이 자신의 아이콘 위에 꽃 모양이 표시되는 것으로 다른 구성원과 구별될 수 있다.
다음, 제3 화면(53)에서 완료 버튼(530)을 클릭하면, 제2 화면(52)에 대응하는 제4 화면(54)으로 복귀하고, 제4 화면(54)에서 제1 가입자가 그룹 공유 버튼(540)을 클릭하면 그룹 주소록 공유를 위한 그룹 주소록이 서버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5 화면(55)에서 제1 가입자가 그룹 주소록 공유를 확인하는 공유 버튼(550)을 클릭하면 해당 그룹 주소록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가입자를 관리자로 자동 지정하거나 제6 화면(56)에서와 같이 별도의 관리자 지정을 위해 관리자 지정 인터페이스(560)를 통해 제1 가입자에게 관리자 지정을 문의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그룹 주소록이 서버측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그룹 주소록 업데이트 알림 신호를 그룹 구성원의 단말(이하, 제2 가입자 단말이라 한다)에 전달하여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한 후 제7 화면(57)에서와 같이 그룹 주소록 공유 완료 신호를 단말 즉 제1 가입자의 단말(이하, 제1 가입자 단말이라 한다)에 전송하여 그룹 주소록 공유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 공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주소록 공유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10)에서 가입자는 도 4의 과정에 따라 생성 또는 변경한 그룹 주소록에 대하여 공유를 선택한다(S610). 본 실시예에서 가입자는 제1 가입자이고 단말은 제1 가입자 단말(10)에 대응한다. 제1 가입자 단말(10)에서 그룹 주소록 공유가 선택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가입자 단말(10)로부터 별도의 그룹 주소록 공유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2).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가입자 관리 서버(RS)에 연결된 신호 처리 서버(SS, 120) 및 이 신호 처리 서버(120)에 연결된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GDMS, 11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서버(120)를 거쳐 그룹 주소록 공유 설정 신호를 수신한 GDMS(110)는 데이터베이스(112)에서 해당 그룹에 속한 각 구성원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S614). GDMS(110)는 해당 그룹의 데이터베이스(112)의 상태를 갱신하여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 정보가 있음을 각각의 구성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GDMS(110)는 그룹 주소록 공유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1 가입자 단말(10)로 전달한다. 응답 신호는 그룹 주소록 공유 처리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절차로서, 제2 가입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주소록 생성자가 그룹 주소록을 공유하면, 해당 그룹에 속한 구성원은, 자신이 소속된 그룹의 그룹 주소록을 동기화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단말(제2 가입자 단말)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입자 단말(12)에서 작동하는 메신저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71)에서 자신이 소속된 그룹 주소록이 공유 또는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710)가 표시되면, 가입자는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그룹과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 대한 주소록이 자신의 단말에 적용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가입자 단말(12)에서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선택하는 것은 메시지(710)로 표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클릭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동기화가 선택되면, 제2 가입자 단말(12)은 제2 화면(72)에서와 같이 서버측으로부터 해당 그룹 주소록을 동기화하여 업데이트하고, 제3 화면(73)에서와 같이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 결과를 활성화된 추가 예정 그룹(730)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입자 단말(12)은 제4 화면(74)에서와 같이 동기화 결과를 자신에 단말에 적용할 것인지를 가입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문의 결과, 가입자가 확인 버튼(740)을 클릭하면, 제2 가입자 단말(12)은 제5 화면(75)에서와 같이 새로이 추가된 그룹 주소록을 포함한 최신 버전의 동기화된 주소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 채용가능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절차로서, 그룹 구성원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공유된 그룹 주소록을 자신의 주소록에 동기화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어느 한 구성원의 단말(이하, 제2 가입자 단말이라 한다)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810). 애플리케이션 로딩(Loading)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상태 업데이트를 위해 신호 처리 서버(120)로 전달한다(S812).
신호 처리 서버(120)는 공유된 그룹 주소록이 있는지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110)로 확인한다(S814). 공유된 그룹 주소록이 존재하면,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110)는 공유된 그룹 주소록의 유무 정보를 신호 처리 서버(120)로 전달한다(S816).
신호 처리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공유된 그룹 주소록의 상태 갱신 결과와 함께 제2 가입자 단말(12)로 공유된 그룹 주소록이 있음을 전달한다(S818).
공유된 그룹 주소록이 있음을 확인한 제2 가입자 단말(12)은 서버와의 동기화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새로운 그룹 주소록이 있음을 표시한다. 이때, 가입자는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를 위해 동기화 버튼 터치 등의 형태로 동기화를 선택한다(S820).
제2 가입자 단말(12)에서의 동기화 선택에 따라 제2 가입자 단말(12)은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110)로 그룹 주소록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한다(S822).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110)는 해당 구성원의 주소록에 저장된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하고(S824),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요청에 대한 결과로서 제2 가입자 단말(12)로 전송한다(S826). 전술한 과정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입자 단말(12)은 본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S828).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을 수신하고, 수신한 그룹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1 가입자 단말 또는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변경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그룹에 대한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하고,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통지한 후,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설정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의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GDMS: Group Document Management Server)
120: 신호 처리 서버(SS: Signaling Server)
130: 가입자 관리 서버(RS: Register Server)
140: 메시징 서버(IM: Instant Messaging Server)

Claims (14)

  1.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입자 단말들 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로서,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
    메시지 및 파일 송수신을 위한 세션 처리를 수행하는 메시징 서버;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신호를 처리하고 가입자 단말들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는 신호 처리 서버; 및
    가입자 단말로부터 가입자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변경된 정보를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는 그룹 주소록의 변경 정보를 포함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요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1 그룹의 그룹 주소록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제2 가입자 단말의 동기화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2 가입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하고,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들의 정보 변경 신호에 따른 그룹 주소록의 변경된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의 동기화 요청에 따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는,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 자동 동기화 설정에 따라 서버 접속시 자동으로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장치.
  6.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입자 단말들 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으로서,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그룹 주소록을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그룹 주소록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과의 그룹 대화 요청 신호, 그룹 음성 쪽지 전송 요청 신호, 또는 그룹 쪽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 주소록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리자로 지정하는 관리자 지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전에, 상기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에서, 제1 그룹의 그룹 주소록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요청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전에, 상기 가입자의 주소록을 관리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처리하는 그룹 구성원 정보 관리 서버에서, 제2 가입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하고,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그룹 주소록 동기화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들의 정보 변경 신호에 따라 변경된 그룹 주소록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그룹 주소록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의 서버 접속시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 자동 동기화 설정에 따라 서버측에서 자동으로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14. 문자, 음성 및 영상 메시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입자 단말들 간에 송수신하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으로서,
    제1 그룹에 속한 어느 한 가입자의 제1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한 그룹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가입자 단말 또는 제1 그룹에 속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가입자의 제2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룹 주소록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정보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정보 변경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그룹에 대한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하는 제4 단계;
    상기 그룹 주소록의 업데이트 정보를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로 통지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설정에 따라 업데이트된 그룹 주소록을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1 그룹에 속한 가입자들의 각 가입자 단말의 그룹 주소록을 업데이트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KR1020110094875A 2011-08-12 2011-09-20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18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30 2011-08-12
KR20110080530 2011-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084A true KR20130018084A (ko) 2013-02-20

Family

ID=4789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875A KR20130018084A (ko) 2011-08-12 2011-09-20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그룹 주소록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80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95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all-based data communication
US10074078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eting invitations
EP3206377B1 (en) Synchronizing messages on connected devices
US20160149839A1 (en) Multi-Network Chat System
JP6968097B2 (ja) 非同期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プロファイルを管理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過性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媒体
CN112152907A (zh) 通讯方法及通讯系统
JP2005190287A (ja) プレゼンス表示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エイ装置
US10462195B2 (en)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 for using email to schedule and/or launch group communications sessions
US10080112B2 (en) Unwanted caller and message sender identification for restricted communication devices
US8447362B2 (en) Function updating system and function updating method
CN103069755A (zh) 使用多个客户端实例的即时消息
TW200845649A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ference events
US20180343336A1 (en)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alls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01967B1 (ko)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20150059662A (ko) 소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관계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4580247A (zh) 基于ims多方通话的信息同步方法和信息同步装置
CN105812229A (zh) 一种终端通信方法、系统及相关装置
EP3100446B1 (en) Communications techniques
EP2770757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rcs-e system
WO2010034231A1 (zh) 一种电话本的实现方法,系统和地址服务器
KR101346394B1 (ko) 인스턴트 메시지의 멀티미디어 링톤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WO2017004593A1 (en) Information sharing control
KR100819704B1 (ko) 주소록에 메신저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모바일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방법
JP2011259277A (ja) セッション制御プロトコル対応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発着信制御方法および発着信制御プログラム
US974928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ed reciprocating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