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439A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439A
KR20130017439A KR1020110079849A KR20110079849A KR20130017439A KR 20130017439 A KR20130017439 A KR 20130017439A KR 1020110079849 A KR1020110079849 A KR 1020110079849A KR 20110079849 A KR20110079849 A KR 20110079849A KR 20130017439 A KR20130017439 A KR 2013001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mmunication module
potential
controll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855B1 (ko
Inventor
이정석
최현창
우성호
심홍조
최재영
강기원
정옥현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P(Application Processor)와,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모듈과,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받으면,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AP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회사들은 새로운 혹은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일년에도 몇 번씩 출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들은 포장(Packaging)된 상태로 운송되어 고객에게 팔려나갈 때까지 재고로 보관된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들이 재고로 유지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OS)에 버그가 발견되는 등의 이유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작업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이동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켠 후,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이동 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AP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AP(Application Processor)와,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모듈과,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받으면,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AP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PMIC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AP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PMIC는 상기 AP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정동작 전류(quiescent current)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PMIC는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전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상기 AP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갖는 BT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상기 연결요청신호가 유효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전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AP를 종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삽입된 경우 완전히 불능되도록 이루어지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된 경우 일시적으로 불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PMIC와 연결되어 상기 AP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스위치를 통해 상기 AP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일시적으로 불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요청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및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와,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통신모듈과,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 및 상기 제2 통신모듈이 상기 서버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받으면,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AP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제1 BT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BT 기기의 주소 및/또는 PIN 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주소 및/또는 PIN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을 페어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PMIC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AP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측정된 전위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연결요청신호가 유효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제1 Wi-Fi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제2 Wi-Fi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및 제2 Wi-Fi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으로 전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이 완료되면 불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AP를 종료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PMIC는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AP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바,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AP를 활성화시키지 않음으로써 저전류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시 AP를 종료시키고, 정상개통시 컨트롤러를 완전히 불능 상태로 만들거나 제거하며, 테스트시 컨트롤러를 일시적으로 불능 상태로 만듦으로써,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을 페어링하여 이들과 무선 통신하게 이루어지는바, 이동 단말기를 패키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이동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 전송된 이동 단말기들의 측정된 전위를 바탕으로,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이동 단말기는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서버의 연결요청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AP가 활성화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AP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는 일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AP 시동 시스템이 제어되는 일 예를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서버(100)의 연결요청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의 AP(210)가 활성화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AP(210)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서버(100)와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워크 스테이션, 마스터(master)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스크 탑,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A-N)는 슬레이브(slave) 기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와 제1 통신모듈(1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전송할 연결요청신호(101)와 AP ON 요청신호(102)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통신모듈(120)은 상기 연결요청신호(101)와 AP ON 요청신호(102)를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통신모듈(120)은, 예를 들어, PAN(Personal Area Networ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20)은 필요에 따라서 쉽게 탈착 가능한 동글(dongl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제1 통신모듈(120)은 제1 BT(Bluetooth) 기기(121)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200)의 제2 통신모듈(220)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을 페어링할 수 있는 DB(DataBase, 142) 및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구비한다. DB(142)은 BLE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들(221)의 주소들[BD(Bluetooth Device) 주소, 142b] 및/또는 PIN 코드(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142a)를 포함한다. BD 주소(142b)는 이동 단말기들(200A-N)과 같이 BT 기능을 갖는 기기들의 네트워크 주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D 주소(142b)는 연결, 페어링 또는 활성화를 위해 특정기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번호(예를 들면 48 비트)일 수도 있다.
서버(100)와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의 페어링은 이동 단말기(200)에 지정된 BD 주소(142b)와 PIN 코드(142a)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면, PIN 코드(142a)는 이동 단말기(200)의 시리얼 번호와 다운로드되는 이동 단말기(200)의 OS의 버전에 기초한 네 자리의 개인 아이디 코드일 수 있다. 서버(100)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에 서버(100)가 정한 특정 프로파일에 따라 서버(100)와의 연결을 요청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는 그 요청을 승인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서버(100)와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는 대응되는 AP(Application Processor, 210)를 깨우는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는 AP(210)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을 구비한다. AP 시동 시스템은 AP(210), 제2 통신모듈(220), 전위측정센서(240),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250) 및 컨트롤러(260)를 포함한다.
AP(2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PU), 메모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컨트롤러, 멀티미디어 인코딩/디코딩 코덱, 2D/3D 가속기 엔진, ISP(Image Signal Processor), 카메라, 오디오, 모뎀, 복수의 고속/저속 직렬/병렬 접속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온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통신모듈(220)은 제1 통신모듈(120)과 같이 PAN(Personal Area Network)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2 통신모듈(220)은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도록 저전력 PAN 모듈, 예를 들어, 무선 IrDA, 블루투스, UWB, Z-Wave 또는 ZigBee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이 BLE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221)를 구비하는 경우, 제2 BT 기기(221)는 일반 BT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의 일부분(예를 들어, 1 내지 5 퍼센트)만을 소비한다.
이동 단말기(200)의 내부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가 내장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터리(270)는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 또는 장착된 채로 포장된다. 배터리(270)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이 충전되어 있으며, 배터리(270)는 AP(210)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PMIC(250)를 통해 전동작 전류(quiescent current)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AP(210)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배터리(270)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전류, 즉 정동작 전류로 연명하는데에 기인한다.
이동 단말기는(200)는 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연결요청신호(101)를 처리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101)가 유효하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AP ON 요청신호(102)에 회답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AP(210)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26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60)는 서버(1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등의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대기모드(standby mode) 상태에서 제2 통신모듈(220)이 서버(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서버(100)로부터 AP ON 요청신호(102)를 받게되면 AP(2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서버(100)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PMIC(250)는 AP(2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모듈(250)이 서버(100)로부터 연결요청신호(101)를 받으면, 전위측정센서(240)를 통해 측정된 배터리(270)의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AP(2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PMIC(250)는 측정된 전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AP(210)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50)는 특정 잔량 이상에서 일정 수준의 전력을 유지한다. 이동 단말기(200)가 오랜 시간 동안 재고로 유지되는 등의 이유로 배터리(270)의 전력이 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서버(100)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중간에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PMIC(250)는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배터리(270)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전원공급을 인가하지 않고 차단된 상태(또는 정동작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저전류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제2 통신모듈(220)은 측정된 전위를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전송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측정된 전위를 바탕으로, 배터리(270)의 잔량이 충분한 이동 단말기들(200A-N)에게만 AP ON 요청신호(102)를 전달할 수 있으며, 배터리(270)의 잔량이 부족한 이동 단말기들(200A-N)은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AP 시동 시스템은 전원스위치(290), LDO(Low Drop Out, 282) 및 스위치(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290)는 PMIC(250)와 연결되어 AP(21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동 단말기(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키로 구현될 수 있다. LDO(282)은 제2 통신모듈(22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위치(281)는 AP(210)가 활성화되기 전에는 AP(210)와 제2 통신모듈(220) 사이를 열어두고, AP(210)가 활성화된 후에는 닫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2 BT 기기(221)가 서버(100)의 제1 BT 기기(121)로부터 연결요청신호(101) 및 AP ON 요청신호(102)를 전달받아 AP(210)가 활성화되게 되면, 제2 Wi-Fi 모듈(230)은 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된 OS를 AP(210)로 전송하게 된다.
서버(100)는 제1 Wi-Fi 모듈(130)을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은 제2 Wi-Fi 모듈(230)을 포함한다. 제2 BT 기기(221)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신하기는 어려운바,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페어링된 이후에는 제1 및 제2 Wi-Fi 모듈(120, 230)을 통해 서버(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OS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상은 하나의 서버(100)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200)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페어링이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작업의 수행은 도 1에 예시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제2 통신모듈(220)이 BLE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221)라고 한다면, 마스터 기기인 서버(100)는 복수의 제2 BT 기기들(221)과 함께 피코 네트워크(pico network)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100)와 일곱 개의 제2 BT 기기들(221)은 각 이동 단말기(200)의 AP(210)를 깨우기 위해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여덟 개 이상의 제2 BT 기기들(221)과 스캐터 네트워크(scatternet)를 구성하여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들(200A-N) 간의 통신을 더욱 빠르게 가져갈 수도 있다.
이하, 배터리(270)의 잔량에 따라 AP(21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AP 시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270)의 잔량에 따라 AP(210)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는 일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에 배터리(270)가 장착되면 컨트롤러(260)의 초기화가 실행된다(S302). 이후, 제2 통신모듈(220), 예를 들어, 제2 BT 기기의(221)가 활성화된다(S304). 이때부터 AP(210)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AP 시동 시스템은 배터리(270)에서 발생하는 정동작 전류를 통해 대기모드로 유지된다.
즉, 포장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200)는 대기모드 상태에 놓인 AP 시동 시스템이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면서 서버(100)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연결요청신호(101) 및 AP ON 요청신호(102)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 통신모듈(220)은 BLE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221)를 구비하고, 배터리(270)는 PMIC(250) 및 LDO(282)를 통해 상기 AP 시동 시스템에 정동작 전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바, 상기 AP 시동 시스템은 재충전 없이 여러 달 동안 작동할 수 있다.
AP 시동 시스템이 대기모드에 있는 동안 제2 통신모듈(220)이 외부기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101)를 받으면 이동 단말기(200)는 외부기기와 연결된다(S306). 또한, 외부기기로부터 AP ON 요청신호(102)가 수신되면 전위측정센서는 배터리(270)의 전위를 검출한다(S308).
PMIC(250)는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서버(100)로부터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작업을 마칠 정도로 배터리(270)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만 AP(210)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S310). 만일, 측정된 전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260)는 제2 통신모듈(220)을 통해 서버(100)에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예를 들어, 측정된 전위)를 보고하고(S311), AP(210)를 완전히 종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313). AP(210)의 종료라 함은 대기모드가 아닌 배터리(270)로부터 정동작 전류도 받지 않는 완전한 전원 차단 상태를 의미한다.
추가로, 측정된 전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PMIC(250)는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전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AP(210)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312). 이는 외부 충격 또는 스파크에 의해 PMIC(250)에 일시적으로 높은 전위가 발생하는 등 기능의 이상으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를 감안한 것이다.
즉, 스파크에 의해 PMIC(250)에 일시적으로 높은 전위가 발생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전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기준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오작동이 일어난 경우에는 서버(100)에 상태를 보고하고(S311), AP(210)를 완전히 종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313).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 통신모듈(220)이 제1 통신모듈(120)로부터 유효한 연결요청신호(101)를 받은 것으로 판단되면, PMIC(250)는 AP(210)에 전원공급을 인가하고(S314), 컨트롤러(260)는 AP(210)를 활성화시킨다(S316). 활성화된 AP(210)는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제2 Wi-Fi 모듈(220)을 활성화한다(S318). 제2 Wi-Fi 모듈(220)은 서버(100)의 제1 Wi-Fi 모듈(120)을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한다. 데이터의 처리, 예를 들어, OS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S320). 종료 후에는 AP(210)가 다시 비활성화되며, 상기 AP 시동 시스템은 다시 대기모드로 회기한다.
컨트롤러(260)는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이 완료되면 불능화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은 이동 단말기(200)가 포장된 상태에서 서버(1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프로그램을 전송받기 위한 것인바, 그 기능을 다하게 되면 그 구성을 유지시킬 필요는 없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60)를 불능화시킴으로써, 해당 기능을 제거하고, 배터리(27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작동상태에 따라 AP 시동 시스템이 제어되는 일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P OFF/ BT W/ BLE OFF 상태(40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들(200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터리(270)와 같은 전력원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200)의 패키지 프로세스 동안에, 배터리(106)가 이동 단말기(200)에 장착되면(404), 이동 단말기(200)의 컨트롤러(260)와 BLE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221)는 대기모드로 전환된다(406). 대기모드 동안, 컨트롤러(260)는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컨트롤러 IN STANDBY MODE / AP IN SLEEP MODE 상태(406)에서는, AP(210)는 배터리(270)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는 수면모드를 유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제2 BT 기기(221)는 배터리(270)로부터 공급되는 정동작 전류만으로 대기모드를 몇 달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pairing request / ack(408)과 AP on request / ack(410)에 보여지듯이, 페어링 요청이나 AP ON 요청을 처리하면서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는 AP ON 상태(412)로 전환된다.
AP ON 상태(412)에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AP(210)가 켜지고, AP(210)가 제2 BT 기기(221)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AP(210)는 제2 Wi-Fi 모듈(230)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제2 Wi-Fi ON 명령(416)을 하며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는 제2 WI-FI ON 상태(416)로 전환된다.
이후, OS 이미지 다운로드(418)에서 보여지듯이 이동 단말기(200)가 제2 Wi-Fi ON 상태(416)에 있을 때, OS 이미지(103)의 다운로드가 서버(100)로부터 이행된다. 또한, OS 이미지(138)의 다운로드가 종료되면(420), 이동 단말기(200)의 컨트롤러(260)는 대기모드로, AP(210)는 수면모드로 유지되는 컨트롤러 IN STANDBY MODE / AP IN SLEEP MODE 상태(406)로 회귀한다.
포장이 제거되고, 이동 단말기(200)에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가 삽입되면(422), 컨트롤러(260)는 불능화된다. 즉, 이와 같은 정상개통의 경우에는 더 이상의 서버(100)와의 무선통신이 불필요한바,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없도록 컨트롤러(260)는 불능상태로 전환된다(424). 이 경우, 컨트롤러(260)는 완전히 불능화 또는 제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SIM CARD가 이동 단말기(200)에서 제거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AP OFF/ BT W/ BLE OFF 상태(402)로 회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200)에 USB(Universal Serial Bus)가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200)가 외부기기와 연결되면(428), 컨트롤러(260)는 일시적으로 불능화된다(430). 예를 들어, USB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를 테스트하게 되는 경우, 이는 정상개통 전에 발생할 수 있는 프로세스이므로, 컨트롤러(260)는 테스트 동안 일시적으로 불능화될 수 있다. 테스트가 완료되어 USB가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제거되면, 컨트롤러(260)는 다시 컨트롤러 IN STANDBY MODE / AP IN SLEEP MODE 상태(406)로 전환된다(432).
또한, 이동 단말기(200)의 전원 스위치(290)를 통해 AP(210)가 활성화되면, 컨트롤러(260)는 일시적으로 불능화된다(43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에 SIM CARD가 삽입된 경우라면 컨트롤러(260)는 완전히 불능화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전원 스위치(299)가 다시 눌려지면, 컨트롤러(260)는 다시 컨트롤러 IN STANDBY MODE / AP IN SLEEP MODE 상태(406)로 전환될 수 있다(428). 전원 스위치(29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가압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AP OFF/ BT W/ BLE OFF 상태(402)로 전환될 수도 있다(44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PMIC(250)는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AP(2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바, 배터리(270)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AP(210)를 활성화시키지 않음으로써 저전류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시 AP(210)를 종료시키고, 정상개통시 컨트롤러(260)를 완전히 불능 상태로 만들거나 제거하며, 테스트시 컨트롤러(260)를 일시적으로 불능 상태로 만듦으로써,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 이동 단말기(200)가 제공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을 페어링하여 이들과 무선 통신하게 이루어지는바, 이동 단말기(200)를 패키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이동 단말기(20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로 전송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측정된 전위를 바탕으로, 배터리(270)의 잔량이 부족한 이동 단말기들(200A-N)는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AP(Application Processor);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모듈;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받으면,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AP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AP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AP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정동작 전류(quiescent current)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전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만 상기 AP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갖는 BT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상기 연결요청신호가 유효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검출된 전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AP를 종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삽입된 경우, 불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된 경우, 일시적으로 불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PMIC와 연결되어 상기 AP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스위치를 통해 상기 AP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일시적으로 불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연결요청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및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통신모듈;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 및
    상기 제2 통신모듈이 상기 서버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받으면,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AP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제1 BT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갖는 제2 BT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BT 기기의 주소 및/또는 PIN 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소 및/또는 PIN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을 페어링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AP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측정된 전위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연결요청신호가 유효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1 Wi-Fi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제2 Wi-Fi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및 제2 Wi-Fi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이 완료되면 불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AP를 종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10079849A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10185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849A KR101853855B1 (ko)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849A KR101853855B1 (ko)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439A true KR20130017439A (ko) 2013-02-20
KR101853855B1 KR101853855B1 (ko) 2018-05-04

Family

ID=4789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849A KR101853855B1 (ko)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0256A (zh) * 2016-07-27 2016-12-21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服务器故障恢复方法及其装置
US10187091B2 (en) 2014-12-03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154A (ja) * 2005-04-04 2006-10-19 Canon Inc 携帯情報端末拡張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6118045A1 (ja) * 2005-04-28 2006-11-09 Kyocera Corporation 携帯通信端末及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JP2007158478A (ja) * 2005-11-30 2007-06-21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7091B2 (en) 2014-12-03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N106250256A (zh) * 2016-07-27 2016-12-21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服务器故障恢复方法及其装置
CN106250256B (zh) * 2016-07-27 2019-12-31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故障恢复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855B1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5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원격 시동
KR101843782B1 (ko) 모바일 기기
KR20120096864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KR101840287B1 (ko) 모바일 기기
US10044215B2 (en) Method, apparatus, and server for updating software
US1106842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to external device via USB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TW201342026A (zh) 將電腦系統從睡眠狀態喚醒的方法及設備
US113923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tilizing storage space thereof
JP6933022B2 (ja) 通信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CN107003974B (zh) 一种接口检测方法及装置
KR20190074857A (ko)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모바일 장치 및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US11243594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when using electronic device in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US202001509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ceiving control signal
KR101869772B1 (ko) 통신 시스템
US11740681B2 (en) 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managing method thereof
US7953992B2 (en) System in package semiconductor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of the same
KR10185385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US2018003537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451067B (zh) 下载测试的处理方法及相关产品
KR1012660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CN113448417A (zh) 电压调节器设定值动态设定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4327671A (zh) 参数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218154B2 (en) Integrated circui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EMI of signal
KR1018827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20210045768A (ko) 전력 관리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상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