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931A -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931A
KR20130016931A KR1020110079141A KR20110079141A KR20130016931A KR 20130016931 A KR20130016931 A KR 20130016931A KR 1020110079141 A KR1020110079141 A KR 1020110079141A KR 20110079141 A KR20110079141 A KR 20110079141A KR 20130016931 A KR20130016931 A KR 2013001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code
identif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영
손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7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6931A/ko
Publication of KR2013001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093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constructed out of a plurality of similar markings, e.g. a plurality of barcodes randomly oriented on an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리더기를 통해 복수의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b)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e)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plural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바코드 QR코드 등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물이나 화면에 출력된 식별코드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바코드(bar code)나 혹은 2차원 바코드와 같은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컴퓨터가 읽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해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기호와 조합한 코드이다. 광학식 마크 판독 장치로 자동 판독되며, 상품의 종류, 도서 분류, 신분증명서 등에 사용된다.
또한, 바코드는 세계상품코드(UPC)를 따르는 상품의 종류를 나타내거나, 슈퍼마켓 등에서 매출정보의 관리(POS) 등에 이용된다. 코드화 방법은 세계상품코드, CODABAR, MSI, 코드39, 한국공통상품코드(KAN), 일본공통상품코드(JAN) 등 몇 가지가 있다.
이러한 바코드를 이용할 경우, 한쪽 방향으로 숫자 정보가 저장 가능한 데, 1차원적인 정보 저장방식이므로, 저장되는 정보량이 극히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바코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식이다.
여기서 QR 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코드이다. QR 코드는 주로 일본에서 많이 사용되며, 명칭은 덴소 웨이브의 등록상표 Quick Response에서 유래하였다. 특히,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들여 활용한다.
즉, 일반 바코드는 한쪽 방향으로 숫자 정보가 저장 가능하나, QR 코드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를 가져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외에 알파벳과 한자 등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농담의 판별이 가능한 색조라면 색상이 들어가도 상관없다. 이러한 QR 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 8비트 최대 2953 바이트, 한자 등 아시아 문자 최대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특히, 인식률이 좋고 처리속도도 상당히 빠른 장점이 있다.
이처럼, 최근에는 QR 코드를 중심으로 많은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2차원 바코드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별코드들은 한번에 하나의 식별코드만 인식하는 단방향 전송 방식으로 인하여 풍부한 서비스의 제공이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복수의 식별코드를 한번에 동시에 인식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인식된 식별코드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복수의 식별코드를 스캔 수단을 통해 리딩하고, 여기에 포함된 코드들을 사용자의 영역 선택을 통해 수동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명료하게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은,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리더기를 통해 복수의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b)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e)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또는 출력된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스캔 모듈;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인지 복수인지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모듈;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일 경우, 해당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일 코드 처리 모듈; 및 리딩된 식별코드가 복수개일 경우,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코드 선택부와,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처리부로 이루어진 복수 코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1) 리더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또는 출력된 동작 제어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2)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의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단일 코드인지 복수의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복수 코드인지 구분하는 단계; 및 (3) 단일 코드일 경우에는 해당 식별코드를 이용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고, 복수 코드일 경우에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4)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5)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 중 표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 (6)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7)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 중 동작 제어 정보를 통해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식별코드를 한꺼번에 인식한 후, 인식된 식별코드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받아, 선택된 식별코드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식별코드를 통한 사용자와의 인터랙티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을 활용하면 투표나 메뉴 선택과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필요한 서비스를 식별코드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식별코드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의 보다 상세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에서 식별코드 수동 인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은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와 같은 복수의 식별코드를 함께 인식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선택적으로 인식된 식별코드에 따라 정보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제어 장치(100)는 스캔 모듈(110), 모드판별 모듈(120), 단일코드 처리모듈(130), 복수코드 처리모듈(140) 및 수동인식 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스캔 모듈(110)은, 프린팅 또는 출력된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지면이나 인쇄물, 제품 포장지 등에 프린팅된 식별코드를 스캔하거나,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식별코드를 포함한 영상 이미지를 리딩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스캔 모듈(110)은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식별코드 인식기, 디지털 카메라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캔 모듈(110)은 하나의 식별코드만을 리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식별코드를 함께 동시에 리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캔 모듈(110)은 복수의 식별코드가 프린팅 또는 출력된 경우, 이 복수의 코드를 한꺼번에 스캔하여 리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캔 모듈(110)에서 스캔하는 식별코드는 바코드(Bar Code), QR(Quick Response) 코드, 2차원 바코드 등을 포함하며, 정보를 함축적으로 포함하여 프린팅 또는 출력된 코드 형태의 식별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드판별 모듈(120)은 상기 스캔 모듈(110)을 통해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인지 복수인지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일 경우에는 단일 모드로 판정하고, 리딩된 식별코드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복수 모드로 판정한다. 아울러, 상기 스캔 모듈(110)에서 리딩된 식별코드의 갯수 판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식별코드 자체의 구분이 어려울 경우에는 후술할 수동인식 모듈(150)과 연동하여, 식별코드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일코드 처리모듈(130)은 상기 모드판별 모듈(120)에서 단일 모드로 판별될 경우에 동작하며, 리딩된 하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단일코드 처리모듈(130)을 통해 단일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기존에 일반적인 하나의 식별코드를 통한 처리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하나의 식별코드를 통한 정보 제어 처리 절차로는,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페이지 정보를 출력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코드 처리모듈(140)은, 상기 모드판별 모듈(120)에서 복수 모드로 판별될 경우에 동작하며,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들을 통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절차를 거쳐, 이들 중 하나의 식별코드를 통한 정보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복수코드 처리모듈(140)은, 정보 추출부(142), 정보 표시부(144), 코드 선택부(146), 제어 처리부(14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 추출부(142)는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들을 각각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식별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동작 제어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표시 정보가 포함된다. 즉, 동작 제어 정보는 해당 식별코드를 통한 정보 제어 처리시에 근거가 되는 정보로 해당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웹 페이지 접속 링크 정보 등이 해당한다. 또한, 표시 정보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절차시에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식별코드에 관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의 출력 표시 정보 또는 해당 정보의 링크 정보이다.
상기 정보 표시부(144)는 상기 정보 추출부(142)를 통해 추출된 복수의 식별코드에 각각 대응되는 표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화면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영상 정보 등이 출력될 수도 있고,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음성이 출력될 수도 있다. 아울러, 표시 정보의 출력시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모두 확인하고 구별할 수 있도록, 모든 표시 정보가 각각 구별되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코드 선택부(146)는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 표시부(144)를 통해 출력된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은 키 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포인팅 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 입력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제어 처리부(148)는 상기 코드 선택부(14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된 식별코드의 동작 제어 정보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 제어 처리로는 선택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 처리하거나, 웹페이지 접속 링크 정보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처리 등이 수행된다. 장치의 동작 제어 신호로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투표나 메뉴 선택 처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선택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서버 정보로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선택 기호를 투표하도록 제어하는 실시예와, 선택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메뉴 정보로 주문 신호를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실시예 등이 있다.
상기 수동인식 모듈(150)은 상기 모드판별 모듈(120)에서 리딩된 식별코드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직접 식별코드를 식별받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동인식 모듈(150)은 화면 출력부(152), 영역 선택부(154), 코드 인식부(1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152)는 상기 스캔 모듈(110)을 통해 리딩된 화면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출력되는 화면은 상기 스캔 모듈(110)을 통해 스캔된 식별코드를 포함한 전체 화면 이미지이다.
상기 영역 선택부(154)는 상기 화면 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된 리딩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코드 영역을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출력된 화면에서 식별코드 영역의 위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식별코드 영역을 선택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영역 선택부(154)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식별코드 영역을 선택입력받을 수 있다. 즉, 화면에 여러개의 식별코드가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각각의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식부(156)는 상기 영역 선택부(154)를 통해 선택된 식별코드 영역을 식별코드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식별코드 영역을 선택받아, 해당 영역의 식별코드를 인식하게 되므로, 상기 모드판별 모듈(120)에서 식별코드 자동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식별코드 자동 인식 시간이 지연될 경우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동인식 모듈(150)은 사용자가 리딩된 식별코드들 중 원하는 식별코드만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100)는 식별코드 리더기, 이동통신 단말, 휴대용 코드 리더 단말, 가맹점 코드 리더 단말, 코드 리더 수단과 통신 수단이 구비된 단말 장치에 탑재되어 복수의 식별코드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은, 먼저, 스캔 수단을 통해서 인쇄물이나 화면에 출력된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 스캔 수단을 통해 리딩되는 화면에는 복수의 식별코드가 포함된다.(S100)
이렇게, 스캔 수단을 통해 화면을 스캔한 후에는, 스캔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이미지 내에 식별코드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코드들을 각각 인식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200)
복수의 식별코드 인식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면, 이렇게 인식된 복수의 식별코드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 인식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는 동작 제어 신호와 표시 정보 등이 포함된다.(S300)
다음으로, 복수의 식별코드 각각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정보를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의 정보 중 표시 정보가 해당되는데, 이 표시 정보로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음성 정보 등이 해당하며, 나아가, 해당 정보들의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되는 정보는 해당하는 식별코드에 관련한 정보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식으로 표시된다.(S400)
화면에 추출된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표시된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된 표시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식별코드 정보를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 선택 입력 절차가 수행된다.(S500)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식별코드 중 하나가 선택 입력되면, 선택된 해당 식별코드에 포함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이후의 동작 제어 처리가 수행된다. 즉, 선택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웹페이지 접속 링크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웹페이지에 접속되어 웹페이지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처리가 진행될 수도 있고, 선택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 장치의 동작이 제어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 제어 처리에는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선택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객체로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투표 처리를 수행한다든지, 선택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상품으로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주문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예가 있을 수 있다.(S6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의 보다 상세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제어 방법의 보다 상세한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번 실시예에서는, 리딩되는 식별코드가 하나일 경우와, 식별코드가 복수개일 경우 모든 상황에 대한 절차를 통합하여 설명한다.
먼저, 리더기를 통해서 인쇄물 또는 화면에 출력된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 리딩되는 이미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S10)
식별코드를 포함한 이미지가 리딩되면, 이미지 내에 식별코드가 하나인지 복수인지를 구분하여, 하나일 경우 단일 코드로 판별하고 복수인 경우는 복수 코드로 구분하는 절차가 수행된다.(S20)
구분 결과, 복수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복수 코드로 판정되면, 포함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모두 구분하여 인식 처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S30)
다음으로, 인식된 복수의 식별코드에서 정보를 독출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인식된 각각의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데, 식별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동작 제어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표시 정보가 포함된다.(S40)
정보 독출 후에는, 추출된 정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표시 정보들을 화면에 순서대로 출력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리딩되어 인식된 식별코드들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된 정보를 통해 해당 식별코드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 어떤 정보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식별코드에 포함된 표시 정보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정보 등이기 때문에, 해당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확인하여 각각의 식별정보에 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S50)
이렇게 출력된 표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식별코드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 조작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하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각 식별코드들의 표시 정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식별코드의 표시 정보를 직접 손으로 터치하여 선택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S60)
사용자 선택 입력이 완료되면, 선택된 식별코드의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상기 식별코드 정보 추출 절차를 통해 독출된 제어 정보들 중, 선택된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취하는 것으로 절차를 진행한다.(S70)
선택된 식별코드의 제어 정보가 추출되면, 해당 추출된 제어 정보로 동작을 제어 처리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제어 처리 신호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제어 처리하거나, 웹페이지 링크 접속 정보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해당 페이지 정보를 출력하는 등의 제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S80)
반면에, 상기 단계 S20에서 식별코드를 구분한 결과 단일 코드인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단일 모드 동작 절차가 수행된다. 단일 모드는 하나의 식별코드가 인식될 경우의 절차인데, 기존의 일반적인 식별코드(바코드, QR 코드 등) 인식 처리 절차와 유사하다.(S35)
단일 모드 동작 절차가 수행되면, 단일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처리가 먼저 수행된다. 즉, 스캔된 이미지에서 하나의 식별코드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인식 처리하는 절차가 수행된다.(S45)
단일 식별코드가 인식 처리되면, 해당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55)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가 추출되면, 해당 추출된 정보를 통해서 이후의 동작 제어 처리가 진행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해당 정보에 따른 상품정보 출력이라던지, 해당 정보에 포함된 링크 정보에 따라 해당 링크로 접속하여 페이지를 출력하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65)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스캔된 식별코드가 하나일 경우에는 단일 모드로 동작하고, 식별코드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복수 모드로 동작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랙티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절차 중 단계 S10과 단계 S20 사이에는 식별코드 수동 인식 절차(A)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리더기로 식별코드를 리딩한 후, 단일 코드인지 복수 코드인지 구별하기 어렵거나, 식별코드 자체를 인식하기 어려울 경우에 수동 인식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에서 식별코드 수동 인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리더기를 통해 식별코드가 포함된 이미지가 리딩된 후에, 리딩된 이미지를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수동 인식 절차를 요청받아 해당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고, 리딩된 이미지에서 식별코드 인식이 어려울 경우 자동으로 해당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A1)
리딩된 이미지가 화면으로 출력되면,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택 입력받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예를 들면, 출력된 이미지에서 식별코드가 위치하는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하면,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식별코드 영역을 선택 입력하는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때에는 복수의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입력 할 수 있다. 즉, 화면에 복수의 식별코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해당 영역을 선택하면, 복수의 식별코드 영역이 선택입력된다.(A2)
사용자 선택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선택된 지점의 선택 영역을 중심으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 처리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수동 인식 절차를 통해서도 식별코드의 인식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금 리더기를 통해 리딩 처리를 진행하고 식별코드 영역을 다시 선택 입력받아 재인식 처리를 진행하여, 보다 정확한 인식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3)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는 절차의 예를 화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5의 예에서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 식별코드에 포함된 표시 정보를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한 예가 화면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복수의 식별코드(QR 코드)가 동시에 한꺼번에 인식된 후, 해당 각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표시 정보인 이미지 정보가 순서대로 화면에 출력되며, 복수 모드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하는 문구가 화면 하단에 출력된 상태이다.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식별코드가 제공되어 있고, 여기서 각각의 코드는 연결될 이미지와 연결될 링크를 포함한 HTML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 이때, 식별코드 인식기는 각각의 코드를 인식하고 각 코드 정보에 명시된 형태로 이미지 출력 및 이동 링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a href=http://test.com/a.html><img src="http://test.com/a.jpg/></a> 와 같은 코드를 인식할 시, 인식기는 http://test.com/a.jpg 를 읽어와서 화면에 표출하고 사용자가 클릭할 시 http://test.com/a.html 로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범용적인 웹 언어인 HTML을 기준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 외에 다른 다양한 웹 언어 및 동작 제어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의 제어 신호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복수의 식별코드와 함께 대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대표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해 그외 서브 식별코드들의 정보를 표시하고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예가 화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도 6 (a)의 상단에는 대표 식별코드(QR 코드)가 존재하고, 이 대표 식별코드는 http://test.com/?param=%s 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도 6 (a)의 하단에는 서브 식별코드 3개가 순서대로 존재하며, 1,2,3 과 같은 텍스트 형태를 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대표 식별코드는 URL의 형식을 취하고는 있으나 "%s"의 포맷은 정상적인 URL의 포맷이 아니고, 마찬가지로 3개의 서브 식별코드도 단순 텍스트로 기본 동작과 상이하다. 이때 식별코드 인식기는 복수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각각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3개의 서브 식별코드의 인식 결과 텍스트를 화면에 표출(도 6 (b))하고, 사용자가 해당 텍스트를 선택하면 인식기는 대표 식별코드의 %s 문자열을 대치한 후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번째 서브 식별코드의 인식 값인 "2"를 선택했다면, 인식기는 http://test.com/?param=2 라는 URL을 구성하고 해당 URL로 서버에 접속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복수의 식별코드와 함께 대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대표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와 서브 식별코드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예가 화면에 도시된다.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도 7 (a)의 상단에는 대표 식별코드(QR 코드)가 존재하고, 이 대표 식별코드는 http://test.com/?param=%s 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도 7 (a)의 하단에는 서브 식별코드 3개가 순서대로 존재하며, img://test.com/a.jpg, img://test.com/b.jpg, img://test.com/c.jpg 와 같은 이미지 링크 형태를 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 표출하는 방식의 예로써, 식별코드 인식기는 img://test.com/a.jpg 와 같은 비표준 URL 형식을 인식하면 http://test.com/a.jpg 데이터를 로드하여 표시해주고,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 신호에 따른 접속 페이지는 대표 식별코드를 이용해 http://test.com/?param=img://test.com/a.jpg 와 같은 형식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2번째 서브 식별코드의 인식 값인 img://test.com/b.jpg를 통해 표출된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의 제어 처리 동작은 http://test.com/?param=img://test.com/b.jpg 라는 URL을 구성하고 해당 URL로 서버에 접속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대표 식별코드는 동작 제어 신호에 해당할 수 있고, 서브 식별코드는 표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스캔 모듈 120 : 모드판별 모듈
130 : 단일코드 처리모듈 140 : 복수코드 처리모듈
150 : 수동인식 모듈

Claims (14)

  1.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리더기를 통해 복수의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b)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e)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리더기를 통해 프린팅 또는 출력된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a-2)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의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단일 코드인지 복수의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복수 코드인지 구분하는 단계; 및
    (a-3) 단일 코드일 경우에는 해당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어 처리를 수행하고, 복수 코드일 경우에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코드에는, 각각 동작 제어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 중 표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상기 단계 (e)는,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 중 동작 제어 정보를 통해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정보 또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정보는, 단말 동작 제어 신호 또는 웹페이지 접속 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키 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포인팅 수단을 포함한 사용자 조작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리딩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b-2) 사용자로부터 리딩 화면에서 복수의 식별코드 영역을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b-3) 선택 입력받은 복수의 영역을 식별코드로 인식하고,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는,
    식별코드 리더기, 이동통신 단말, 휴대용 코드 리더 단말, 가맹점 코드 리더 단말, 코드 리더 수단과 통신 수단이 구비된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11.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또는 출력된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스캔 모듈;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인지 복수인지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모듈;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일 경우, 해당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일 코드 처리 모듈; 및
    리딩된 식별코드가 복수개일 경우,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코드 선택부와,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처리부로 이루어진 복수 코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에는, 동작 제어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표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 코드 처리 모듈은, 정보 표시부에서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 중 표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어 처리부에서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 중 동작 제어정보를 통해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모듈을 통해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리딩 화면을 출력하고, 리딩 화면에서 복수의 식별코드 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고, 선택 입력된 복수의 영역을 식별코드로 인식하는 수동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장치.
  14.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1) 리더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또는 출력된 동작 제어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될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2) 리딩된 식별코드가 하나의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단일 코드인지 복수의 식별코드로 이루어진 복수 코드인지 구분하는 단계; 및
    (3) 단일 코드일 경우에는 해당 식별코드를 이용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고, 복수 코드일 경우에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리딩하는 단계;
    (4) 리딩된 복수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각각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5) 각 식별코드별로 추출된 정보 중 표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
    (6) 사용자로부터 식별코드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7) 선택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정보 중 동작 제어 정보를 통해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KR1020110079141A 2011-08-09 2011-08-09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16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141A KR20130016931A (ko) 2011-08-09 2011-08-09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141A KR20130016931A (ko) 2011-08-09 2011-08-09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931A true KR20130016931A (ko) 2013-02-19

Family

ID=4789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141A KR20130016931A (ko) 2011-08-09 2011-08-09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69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86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휴인텍 식별코드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육용 로봇 시스템
KR20220028330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마음인 스마트 팩토리 생산 시점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450696B1 (ko) * 2021-09-27 2022-10-04 류상희 이미지 캡처를 통한 마킹 용지 판독 시스템
KR102638371B1 (ko) * 2023-06-07 2024-02-20 주식회사 티웨어랩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86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휴인텍 식별코드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육용 로봇 시스템
KR20220028330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마음인 스마트 팩토리 생산 시점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450696B1 (ko) * 2021-09-27 2022-10-04 류상희 이미지 캡처를 통한 마킹 용지 판독 시스템
KR102638371B1 (ko) * 2023-06-07 2024-02-20 주식회사 티웨어랩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9979B2 (en) Method of barcode templating for enhanced decoding performance
CN100568903C (zh) 显示控制装置、图像处理装置、显示控制方法
EP2309426B1 (en) Two-dimensional bar code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US7054487B2 (en) Controlling and electronic device
US669705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CN110785773B (zh) 票据识别系统
US9027833B2 (en) Commodity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mmodity information in different forms
EA004418B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оздание штрихового кода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оиска данных
KR20130016931A (ko)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210470A (zh) 商品信息图像识别系统
KR101018432B1 (ko) Qr코드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정보제공 시스템
US202102816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455802B1 (ko) 휴대용 단말장치에 시변 코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및 인증 방법 및 장치
JPH08147446A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US116700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2069813A (ja) 文字読取装置及び検査装置
KR100459074B1 (ko)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JP2005234790A (ja) 手書き帳票処理システム、手書き帳票処理方法
US9531906B2 (en)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of paper records to digital form
CN100440778C (zh) 移动终端上运行的快速响应码识别装置和方法
KR101435860B1 (ko) 전자문서 템플릿 사용자 조작방법 및 템플릿을 이용한 전자문서 판독방법
KR100784224B1 (ko) 복수의 용도를 위한 코드 정보가 내장된 멀티코드의 판독방법 및 장치
JP74565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00304671A1 (en) Apparatus and method
JP7396102B2 (ja) コード読み取り装置、コード読み取り方法、及び、コード読み取り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