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074B1 -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074B1
KR100459074B1 KR1020040061677A KR20040061677A KR100459074B1 KR 100459074 B1 KR100459074 B1 KR 100459074B1 KR 1020040061677 A KR1020040061677 A KR 1020040061677A KR 20040061677 A KR20040061677 A KR 20040061677A KR 100459074 B1 KR100459074 B1 KR 10045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Priority to KR102004006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074B1/ko
Priority to PCT/KR2004/002192 priority patent/WO2006014037A1/en
Priority to US10/510,806 priority patent/US2007014203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명함에 기재된 내용을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에 기재된 내용들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명함의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명함 이미지의 내용을 필드별로 블록화하는 단계, (c) 상기 블록화된 필드들 및 상기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한 메뉴들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하여 상기 필드들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상기 메뉴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필드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식된 문자들을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명함에 기재된 내용들을 정확하고 빠르게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Method for recognizing name card by mobile phone hav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한 후 명함에 기재된 내용 중에서 필요한 사항만을 선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 인식이란, 종이에 기록된 문자들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판독 및 식별하여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전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문자인식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키보드를 통하여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문자인식 장치는 광전변환장치, 인식처리장치, 기억장치,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광전변환장치는 지면의 문자를 전압 파형으로 변환하고 이때 지면의 2차원 도형인 문자의 형상은 TV와 같은 방식인 주사(scan)에 의해 전압 파형의 시계열 변화인 1차원 신호로 변환한다. 기억장치는 인식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연산 제어 프로그램과, 인식한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표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식처리장치는 기억장치 상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광전변환장치를 통해 미지의 문자를 입력하여 처리하고, 같은 기억장치 내의 표준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일치도가 높은 패턴에해당되는 문자의 종류가 미지 문자의 글자 종류로 인식된다. 출력장치는 인식된 문자를 컴퓨터나 그 밖의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한다.
문자인식을 할 수 있는 기기로는 인쇄문자와 필기문자를 모두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문자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 필기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태블릿(tablet), 특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마크판독기(Optical Mark Reader:OMR), 바코드, 자기잉크판독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등이 있다.
최근에는 문자인식기와 카메라를 휴대폰에 장착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인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참고로, 한국공개특허공보(2003-0063249)와 등록실용신안공보(20-0318689)에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색인종류별(이름, 전화번호 등)로 저장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공보(2003-0063249)와 등록실용신안공보(20-0318689)에 는 명함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입력한다고만 되어 있고,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입력하는 지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명함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에 명함에 기재된 내용들을 정확하고 빠르게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명함 이미지의 내용을 필드별로 블록화한 것과 상기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한 메뉴들이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이동통신단말기, 111; 카메라
121; 방향키들, 131; 액정 화면
141; 키패드, 211; 고주파 처리부
221; A/D 변환부, 231; D/A 변환부
241; 제어부, 251; 전원부
261; 키 입력부, 271; 메모리부
281; 문자 인식부, 291; 영상 처리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에 기재된 내용들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명함의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명함 이미지의 내용을 필드별로 블록화하는 단계; (c) 상기 블록화된 필드들 및 상기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한 메뉴들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하여 상기 필드들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상기 메뉴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필드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식된 문자들을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c) 단계의 메뉴들은 회사명, 직책, 이름, 자택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팩스 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및 URL 중 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c) 단계의 메뉴들 중 한글 이름 또는 영어 이름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한글 인식기 또는 영어 인식기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의 문자를 인식하고, 회사명, 직책 및 이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한글 인식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의 문자들을 인식하고, 자택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및 팩스 번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숫자 인식기를 이용하여상기 선택된 필드의 숫자들을 인식하며, 이메일 주소 또는 URL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영어 인식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에 포함된 영어 문자들을 인식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명함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하는 것이 매우 쉽고 빠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화면(131)의 상부에 카메라(111)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외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키패드(141)의 상부에 방향키들(121)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방향키들(121)을 이용하여 액정 화면(131)상에서 커서를 이동하여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다.
카메라(111)는 설계 방법에 따라 여러 다른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탈착형 카메라인 경우에는 촬영시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하고, 촬영하지 않을 때는 탈착하여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1)에는 접사 렌즈를 부착하여 가까운데 있는 물체, 예컨대 명함과 같은 작은 물체를 확대 촬영할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1)는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거나 안테나로 송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고주파 처리부(211), 고주파 처리부(21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41)로 전송하는 A/D(Analog to Digital) 변환부(221), 제어부(24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고주파 처리부(211)로 전송하는 D/A(Digital to Analog) 변환부(231), 이동통신단말기(101)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1), 이동통신단말기(101)의 각종 기능 설정 및 다이얼링 등을 수행하기 위한 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241)로 전달하는 키입력부(26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71),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281), 외부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111),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91),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화면(131) 및 이동통신단말기(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1)를 구비한다.
제어부(24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를 구비하며, 메모리부(271)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한다.
문자 인식부(291)는 한글 문자를 인식하는 한글 인식기, 영어 문자를 인식하는 영어 인식기, 숫자를 인식하는 숫자 인식기를 포함하며, 기타 외국어(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불어, 독어 등등)를 인식하는 외국어 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101)의 명함 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명함 이미지의 내용을 필드별로 블록화한 것과 상기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한 메뉴들이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1)의 명함 인식 방법은 제1 내지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101)의 명함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계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1)에 부착된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하면(305), 제어부(241)는 상기 촬영된 명함의 이미지(도 4의 411)를 생성한다(311).
제2 단계로써, 제어부(241)는 명함 이미지(411)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들을 필드별로 블록화한다(321). 필드들(도 4의 411a∼411e)은 회사명, 회사 직책, 이름, 자택 주소, 자택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부서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필드는 대부분 하나의 라인에 기재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 이미지(411)에 포함된 문자들을 라인별로 블록화한다. 만일, 하나의 필드가 두 라인에 걸쳐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드를 선택할 때 두 개의 라인을 하나의 필드로 선택하면 된다. 또한, 하나의 라인에 두 개의 필드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라인을 두 개의 블록들로 나누어주거나 두 개의 라인들로 나눌 수도 있고 복수 지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3 단계로써, 제어부(241)는 블록화된 필드들(411a∼411e) 및 상기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한 메뉴들(도 4의 421)을 이동통신단말기(101)의 액정 화면(131)에 디스플레이한다. 메뉴들(421)은 회사명, 회사 직책, 이름, 자택 주소, 자택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팩스번호, 이메일주소, URL(UniformResource Locator), 부서 등을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1)의 설계자는 이들 중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필드들만을 선택하여 액정 화면(131)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아니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필드들을 액정 화면(13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4 단계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1)의 액정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하여 블록화된 필드들(411a∼411e)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333), 메뉴들(421) 중에서 상기 선택된 필드에 해당하는 메뉴 또는 단축키를 선택하면(337), 제어부(241)는 상기 선택된 필드를 문자 인식부(281)에 전송하여 문자 인식부(281)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메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를 인식하게 한다(341). 예컨대, 사용자가 명함 이미지(411)에서 "홍길동" 필드를 선택하고, 메뉴들(421) 중 "1"을 선택하면, 제어부(241)는 문자 인식부(281)에게 "홍길동"이라는 것이 이름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문자 인식부(281)는 "홍길동"을 이름으로써 인식한다.
선택된 필드들을 인식할 때 메뉴들(421)에서 "1"이 선택되면 제어부(241)는 "홍길동"을 문자 인식부(281)에 구비된 한글 인식기로 보내어 인식하게 하고, 메뉴들(421)에서 "2"와 "3"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241)는 선택된 필드를 문자 인식부(281)에 구비된 숫자 인식기로 보내어 인식하게 하며, 메뉴들(421)에서 "4"가 선택되면 제어부(241)는 선택된 필드를 문자 인식부(281)에 구비된 영어 인식기로 보내어 인식하게 한다.
필드들(411a)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직책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직책의 모든 종류를 메모리부(271)에 저장해놓는다. 따라서, 제어부(241)는 필드를 인식할때마다 메모리부(271)에 저장된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인식된 필드가 직책에 해당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명확히 구분할 수가 있다. 메모리부(271)에 저장된 직책에 관한 내용은 변경이 있을 때마다 업그레이드(up-grade)된다. 이 경우는 직책이 이름 앞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 직책을 제외하고 이름만 메모리부(271)에 저장할 때에 해당한다.
전화번호, 팩스, 이메일 주소 등의 필드들을 인식할 때는 각각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전화번호, 팩스, 이메일을 가리키는 문자들, 예컨대, "Tel", "H.P", "Fax", "Email" 등의 단어들은 실제로는 저장될 필요가 없는 문자들임으로 이들은 저장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불필요한 문자들은 메모리부(271)에 모두 저장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비교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문자들이 필드로써 저장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필드들(411a∼411e)에 해당하는 메뉴들(421)을 선택해줌으로써 필드들(411a∼411e)은 해당되는 인식기에 의해 인식되며, 따라서 필드들(411a∼411e)이 정확하게 인식되고, 인식되는 시간도 매우 빨라진다.
여기서, 상기 필드들은 각 블록에 중복하여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 전화 번호와 팩스 번호가 동일한 블록에 있는 경우에는 그 블록을 전화번호와 팩스 번호로 중복 지정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한 필드만 지정하여도 자동으로 중복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블록을 이름이라고 지정할 경우, 인식기는 자동적으로 한글 이름 및 영어 이름의 중복 지정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블록에 회사 전화번호만 지정되었을 때 자동으로팩스 번호나 휴대폰 번호가 중복 지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5 단계로써, 제어부(241)는 상기 인식된 필드를 메모리부(271)에 저장한다(351). 이 때, 상기 인식된 필드들은 상기 메뉴별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즉, 이름들은 이름 저장용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전화번호들은 전화번호 저장용으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이메일 주소들은 이메일 주소 저장용으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팩스 번호는 팩스 번호 저장용으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장된 필드들이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제6 단계로써, 필드 선택이 모두 끝나면 종료하고, 끝나지 않으면, 제4 및 제5 단계를 반복한다(355). 사용자가 필드 선택을 끝내고자할 경우에는 방향키들(121)에 포함된 완료키를 누르면 제어부(241)는 명함 인식 과정을 종료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명함에 기재된 내용을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1)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입력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101)에부착된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한 후 명함에 기재된 내용을 필드별로 구분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1)의 메모리부(271)에 저장함으로써 명함에 기재된 내용을 이동통신단말기(101)에 입력하는 작업이 매우 쉽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입력하는 시간도 매우 단축된다. 또한, 선택적 인식에 의해 인식 시간 및 정확도가 향상된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에 기재된 내용들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명함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명함의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명함 이미지의 내용을 필드별로 블록화하는 단계;
    (c) 상기 블록화된 필드들 및 상기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한 메뉴들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하여 상기 필드들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상기 메뉴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필드에 해당하는 메뉴 또는 단축키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필드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식된 문자들을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메뉴들은 회사명, 직책, 이름, 자택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팩스 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URL 및 부서들 중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메뉴들 중 한글 이름 또는 영어 이름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한글 인식기 또는 영어 인식기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의 문자를 인식하고, 회사명, 직책 및 이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한글 인식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의 문자들을 인식하고, 자택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및 팩스 번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숫자 인식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의 숫자들을 인식하며, 이메일 주소 또는 URL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영어 인식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에 포함된 영어 문자들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명함 이미지는 라인별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명함을 촬영할 때 접사 렌즈를 상기 카메라에 부착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KR1020040061677A 2004-08-05 2004-08-05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KR10045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677A KR100459074B1 (ko) 2004-08-05 2004-08-05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PCT/KR2004/002192 WO2006014037A1 (en) 2004-08-05 2004-09-01 Method for recognizing name card by mobile phone having camera
US10/510,806 US20070142035A1 (en) 2004-08-05 2004-09-17 Method for recognizing name card by mobile phone hav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677A KR100459074B1 (ko) 2004-08-05 2004-08-05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074B1 true KR100459074B1 (ko) 2004-12-03

Family

ID=3578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677A KR100459074B1 (ko) 2004-08-05 2004-08-05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42035A1 (ko)
KR (1) KR100459074B1 (ko)
WO (1) WO20060140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1147A1 (en) * 2006-01-10 2007-07-19 Inzisoft Co., Ltd.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for recognizing name card and method thererof using the same
WO2008120032A1 (en) * 2007-03-29 2008-10-09 Nokia Corpor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business card scanning and detection of preferred language of a conta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46A (ko) * 2004-08-31 200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로 촬영된 문서 영상 처리 방법
KR20060057935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다이얼링 번호 디스플레이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8724785B2 (en) * 2006-03-23 2014-05-13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a party
CN100428265C (zh) * 2006-11-22 2008-10-22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带数码相机的手机实现名片扫描的方法
US9070183B2 (en) 2013-06-28 2015-06-30 Google Inc. Extracting card data with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s
US9904956B2 (en) 2014-07-15 2018-02-27 Google Llc Identifying payment card categories based o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images of the payment car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447A (en) * 1992-01-10 1995-02-21 Eastman Kodak Compay Image-based electronic pocket organizer with integral scanning unit
KR20030094708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카메라를 이용한 문자인식 관리방법
KR100465059B1 (ko) * 2002-08-07 2005-01-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바코드가 구비된 명함의 관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폰
KR20040018766A (ko) * 2002-08-27 2004-03-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인식된 명함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100517337B1 (ko) * 2003-05-22 2005-09-28 이효승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사용 명함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1147A1 (en) * 2006-01-10 2007-07-19 Inzisoft Co., Ltd.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for recognizing name card and method thererof using the same
WO2008120032A1 (en) * 2007-03-29 2008-10-09 Nokia Corpor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business card scanning and detection of preferred language of a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2035A1 (en) 2007-06-21
WO2006014037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3009B2 (en) Character recognition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EP2472372A1 (en) Input method of contact information and system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FI115254B (fi) Kosketusnäytön käyttäminen osoitinvälineellä
US6944472B1 (en) Cellular phone allowing a hand-written character to be entered on the back
US10248878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as well as electronic device and keyboard thereof
US2007023078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handwriting
KR20150025452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07047188A2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device
CN103218595A (zh) 一种终端及二维码的识别方法
KR20140030361A (ko) 휴대단말기의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US20100241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US962149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653160A (zh) 一种文本确定方法和终端
KR100459074B1 (ko)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 인식 방법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JP2005275652A (ja) 入力軌跡処理装置および入力軌跡処理方法
US20070047846A1 (en) Handwriting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60045355A1 (en)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for use in the same
US20070019248A1 (en)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business card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6155622A (ja) 表意文字入力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618441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100640504B1 (ko)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00060799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문자 입력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KR100700803B1 (ko)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