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371B1 -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371B1
KR102638371B1 KR1020230072553A KR20230072553A KR102638371B1 KR 102638371 B1 KR102638371 B1 KR 102638371B1 KR 1020230072553 A KR1020230072553 A KR 1020230072553A KR 20230072553 A KR20230072553 A KR 20230072553A KR 102638371 B1 KR102638371 B1 KR 10263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mera
code
scanner
electron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웨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웨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웨어랩
Priority to KR102023007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거치대, 트레이거치대 위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탑재한 트레이를 촬영하는 카메라, 트레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 및 트레이에 탑재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 표시된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카메라의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QR SCANNER AND QR SCANNING SYSTEM}
본 발명은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일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들을 보관하는 트레이에서 전자 디바이스들의 표면에 표시되는 QR 코드들을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IoT, AI 전자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IoT, AI 등의 전자제품은 소형화되고 있다. 소형화된 전자제품은 전자 디바이스나 전자제어 모듈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구현된다. 소형화된 전자 디바이스나 전자제어 모듈은 내부에 마이컴이나 CPU를 가지고 통신 연결을 위한 유선이나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소형화된 전자 디바이스나 전자제어 모듈은 통상 1Cm * 1Cm에서 10Cm * 10Cm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소형화된 전자 디바이스나 전자제어 모듈은 제품으로 판매하기 전에 테스트를 거친 후에 정상제품으로 판정되어 출하될 수 있다. 출하 전에, 전자 디바이스나 전자제어 모듈(이하 '전자 디바이스'로 통칭함)은 테스트 과정을 거치고 모든 전자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되어야 출하 가능하다.
소형의 전자 디바이스의 테스트의 확인을 위해 QR 코드가 활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표면에 식별자를 가지는 QR 코드를 구비하고 테스트기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의 식별자로부터 해당 전자 디바이스의 테스트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다.
여기서, 소형화된 전자 디바이스는 생산 현장이나 테스트 현장에서 트레이에 실려서 이송되고 보관된다. 트레이는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들이 보관된 트레이 자체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 표시된 QR 코드를 동시에 인식하고 그로부터 검사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작업자들은 트레이의 보관중인 전자 디바이스를 테스트 기기에 올려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양품 전자 디바이스를 양품 트레이에 옮기고 불량 전자 디바이스를 불량 트레이에 옮기도록 작업 지시를 받으나 작업자의 실수에 따라 양품이나 불량품이 혼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양품 트레이에서 불량품을 걸러 내거나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전자 디바이스를 걸러낼 필요가 매우 있다.
트레이의 전자 디바이스들의 표면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트레이의 전자 디바이스들 각각의 다양한 QR 코드 크기를 모두 인식하기 위해서는 고 해상도의 카메라가 필요하다. 반면, QR 코드의 크기와 트레이의 크기가 더 작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가 필요하거나 QR 코드의 크기와 트레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고 해상도의 카메라가 소용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에서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의 QR 코드를 동시에 인식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장비는 운용자나 테스터가 허용가능한 빠른 속도로 전자 디바이스들 내의 QR 코드를 모두 인식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양품이나 불량품을 걸러 내기 위해 트레이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들을 인식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고정된 해상도의 단일 카메라를 활용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들의 모든 QR 코드들을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에서 인식할 수 있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 상의 다수 전자 디바이스들의 다수 QR 코드를 고속으로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 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의 양품 또는 불량품의 구별을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와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한 단일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표시된 QR 코드들의 식별자의 인식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들의 테스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큐알 스캐너는 트레이거치대, 트레이거치대 위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탑재한 트레이를 촬영하는 카메라, 트레이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 및 트레이에 탑재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 표시된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카메라의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큐알 스캐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 각각의 테스트 상태를 촬영된 이미지 위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제어 모듈은 카메라에 의해 상대적 위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를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각각의 QR 코드에서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에 대한 응답의 수신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전자 디바이스의 테스트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한 큐알 스캐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인 일 방향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는 2축 이상의 액추에이터이고, 제어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된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트레이와 카메라 사이의 상하거리를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에 기초하여 일 방향의 이동단위 거리를 결정하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카메라와 트레이 사이의 거리를 상하거리로 설정하고 이동단위 거리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트레이의 일부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로부터 식별자를 인식한다.
상기한 큐알 스캐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촬영된 이미지에서 제1 단위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검색대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촬영된 이미지 중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제1 단위 개수의 검색대상 영역에서만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한다.
상기한 큐알 스캐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제2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 검색대상 영역으로서 인접하는 검색대상 영역 사이는 서로 오브랩핑하는 검색대상 영역을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설정하고 설정된 제2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 검색대상 영역 각각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며, 인접하는 검색대상 영역 사이의 오브랩핑 영역의 크기는 QR 코드의 크기보다 크다.
상기한 큐알 스캐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설정된 검색대상 영역들 각각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QR 코드의 인식과 후속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복수의 쓰레드와 복수의 쓰레드로부터의 인식 결과에 따라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테스트 여부를 서버를 통해 확인하는 제어 쓰레드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상기한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너로부터 테스트 쿼리를 수신하고 테스트 쿼리의 식별자에 따른 응답을 생성하여 큐알 스캐너로 전송하는 테스트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고정된 해상도의 단일 카메라를 활용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들의 모든 QR 코드들을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에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트레이 상의 다수 전자 디바이스들의 다수 QR 코드를 고속으로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트레이 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의 양품 또는 불량품의 구별을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와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한 단일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트레이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표시된 QR 코드들의 식별자의 인식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들의 테스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큐알 스캐닝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큐알 스캐너의 예시적인 일 외형을 나타낸다.
도 3은 전자 디바이스들이 탑재되는 예시적인 형태의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모듈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트레이의 예와 예시적인 트레이에서 결정되는 인식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촬영된 인식 영역에서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예시적인 두 가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큐알 스캐닝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큐알(Quick Response : QR) 스캐닝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310)들을 보관하는 트레이(300)에서 전자 디바이스(310)들에 표시된 QR 표시(들)를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인식된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기초로 하여 전자 디바이스(310)를(의 테스트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큐알 스캐너(100) 및 테스트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큐알 스캐닝 시스템은 특정 생산라인, 제조라인 등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해당 사업장에서 양산중인 전자 디바이스(310)에 대한 테스트 관리(예를 들어, 양품, 불량의 확인이나 테스트 여부의 확인 등)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큐알 스캐닝 시스템의 큐알 스캐너(100)에는 전자 디바이스(310)들을 탑재한 트레이(300)가 위치할 수 있다. 큐알 스캐너(100)는 카메라(140)를 구비하고 카메라(140)를 통해 놓여있는 트레이(300)의 전자 디바이스(310)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전자 디바이스(310) 각각의 QR 코드(311)와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인식(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큐알 스캐너(100)는 트레이(300)의 전자 디바이스(310)들의 테스트 여부의 결과 등을 구비되거나 연결된 디스플레이(160) 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큐알 스캐너(100)는 인식된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알 스캐너(100)는 인식된 전자 디바이스(310) 각각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를 전송하고 테스트 여부와 나아가 양품 여부(예를 들어, OK 또는 NG)를 나타내는 응답을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응답에 따른 테스트 여부 등을 카메라(140)를 통해 캡쳐링된 이미지(의 영상)에서 인식된 전자 디바이스(310)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큐알 스캐너(100)는 가림막(120)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카메라(140)에 인가되는 외부 빛을 차단하고 외부 빛이 차단된 트레이(300)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큐알 스캐너(100)의 가림막(120) 내에(상에) 카메라(140)가 설치되어 트레이(300)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 가능하다. 큐알 스캐너(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메모리, 하드디스크,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사업장 내의 전자 디바이스(310)들의 테스트의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사업장 내의 로컬 서버나 광대역 망 등에서 구현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테스트 성공 D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테스트 성공 DB의 테스트 아이템들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에 표시되는 식별자와 테스트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테스트 결과를 적어도 저장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전자 디바이스(310)들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기기로부터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310)의 식별자에 테스트 결과를 매칭시켜 테스트 아이템에 저장할 수 있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큐알 스캐너(100)에 연결되고 연결된 큐알 스캐너(100)로부터 테스트 쿼리를 수신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쿼리의 식별자로 테스트 성공 DB를 검색하고 검색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미테스트) 나타내는 응답을 큐알 스캐너(100)로 전송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검색된 테스트 아이템의 테스트 결과(테스트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거나 포함하는 응답을 큐알 스캐너(100)로 전송할 수 있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트레이 정보들을 저장하는 트레이 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트레이 정보 DB는 하나 이상의 트레이정보 아이템을 포함(저장)한다. 트레이정보 아이템은 트레이 식별 정보와 트레이 정보를 포함하고, 트레이 식별 정보는 여러 트레이정보 아이템들 중 특정 트레이정보 아이템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업장 내의 사용자나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되는 데이터이다. 트레이 식별 정보는 숫자나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정보 아이템은 관리자나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되고 관리된다.
트레이정보 아이템의 트레이 정보는 특정 트레이(3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트레이 정보는 트레이(300) 보관 대상 전자 디바이스(310)의 제품 유형 정보, 전자 디바이스(310)의 크기(이하 도 3의 'ew', 'eh' 참조), 전자 디바이스(310) 위의 표시되는 QR 코드(311)의 크기(도 3의 'qw', 'qh' 참조), 트레이(300)의 크기( 도 3의 'TW', 'TH' 참조), 트레이(300)에서 가로 방향으로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예를 들어, 도 3 (a)의 8개, 도 3 (b)의 5개), 트레이(300)에서 세로 방향으로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 예를 들어, 도 3 (a)의 5개, 도 3 (b)의 3개), 트레이(300) 내에 보관되는 이웃 전자 디바이스(310) 사이의 거리(도 3의 'i')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트레이 정보는 트레이(300)의 외형과, 트레이(300) 내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형 및 배치, QR 코드(311)의 크기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와 큐알 스캐너(100) 사이의 네트워크(400)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400)는 와이파이, 이더넷,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큐알 스캐너(100)와 테스트 관리 서버(20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망일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네트워크(400)는 특정 생산라인, 제조라인 등의 사업장 내에 설치되는 근거리 네트워크(LAN)이거나 다수의 지역에서 통신 가능한 광역 네트워크(WAN)일 수 있다.
도 2는 큐알 스캐너(100)의 예시적인 일 외형을 나타낸다.
도 2의 큐알 스캐너(100)는 바디(110), 트레이거치대(130), 카메라(140), 액추에이터(150), 디스플레이(160), 입력 수단(170) 및 제어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큐알 스캐너(100)는 그 외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림막(120)(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또한) 큐알 스캐너(100)는 도 2에 도시된 일부 블록을 생략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 큐알 스캐너(100)를 살펴보면, 바디(110)는 큐알 스캐너(10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보드들, SMPS, 전자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외부의 각종 기구나 부품을 지지하거나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디(110)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바디(110) 내부에 제어 모듈(190) 등이 내장될 수 있다.
트레이거치대(130)는 바디(110)의 상단 표면(top surface)에 위치하고 트레이(30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영역(도 2의 'A')을 가진다. 트레이거치대(130)는 큐알 스캐너(100)의 바디(110)의 상단 표면에 일정한 면적의 플레이트(도 2의 'A')(예를 들어, 카메라(140)가 액추에이터(150)를 이용한 이동으로 촬영할 수 있는 최대 영역)를 가지고 플레이트 상에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300)로서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310)를 가지는 트레이(3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트레이거치대(130)는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기역자('ㄱ') 모양의 앵커(131)를 가질 수 있고 앵커(131)를 기준으로 트레이(300)가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에 위치할 수 있다. 앵커(131)는 플레이트의 일 모서리(예를 들어, 좌상측 꼭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앵커(131)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 가능하다.
카메라(140)는 트레이거치대(130) 위에 위치하는 트레이(300)를 촬영한다. 카메라(140)는 액추에이터(150)에 결합하여 상하(예를 들어, Z축), 전후(예를 들어, Y축) 및/또는 좌우(예를 들어, X축)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트레이거치대(130) 위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310)를 탑재한 트레이(300)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140)는 반드시 고해상도의 카메라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SD급 또는 HD급 해상도를 가지는 일반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140)는 렌즈와 CCD 센서나 CMOS 센서를 포함하여 트레이거치대(130)의 트레이(300)의 전부나 일부를 촬영하고 캡쳐링된 이미지를 제어 모듈(190)로 전송 가능하다.
액추에이터(150)는 트레이(300)를 촬영하는 카메라(140)의 위치를 조정한다. 액추에이터(150)의 일부(예를 들어, 전후 액추에이터(153))는 바디(110)의 상측 표면에 결합하고 다른 일부(예를 들어, 상하 액추에이터(151))는 카메라(140)에 결합하여 카메라(140)를 트레이거치대(130) 상에서 상하 방향과 전후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150)는 2축 이상의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50)는 결합된 카메라(140)를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에서 위나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액추에이터(151)와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에서 카메라(140)를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액추에이터(153) 및/또는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에서 카메라(140)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액추에이터(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150)는 상하, 전후 및 좌우의 3축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150)는 제어 모듈(19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비된 가이드( 홀)(도 2의 'B' 참조)를 통해 상하, 전후 및/또는 좌우 액추에이터(151, 153, 155)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카메라(140)의 트레이거치대(130)에 위치하는 트레이(30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하, 전후 및/또는 좌우 액추에이터(151, 153, 155)는 구동 모터와 정지(고정)를 가이드하기 위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이동라인 상의 다수의 가이드 홀을 각각 가지고 제어 모듈(19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일방향으로 이동과 가이드 홀들을 통한 정지로 카메라(140)의 트레이거치대(130)에서의 상대적인 3차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하, 전후 및/또는 좌우 액추에이터(151, 153, 155)의 구동 모터들은 바디(11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각종 이미지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60)는 LCD 디스플레이이거나 LED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바디(110)의 상측면 후측에 설치되거나 바디(110)와는 별도의 위치에(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제어 모듈(19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레이(300)의 전자 디바이스(310)들 각각의 테스트 상태(테스트 성공 여부나, 테스트 실시 여부 등)를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영역 위에(예를 들어, 외곽에) 표시할 수 있다.
가림막(120)은 외부 빛을 차단한다. 바디(110)로부터 분리나 결합 가능한 가림막(120)은 카메라(140)의 렌즈에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가림막(120)은 카메라(140)와 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하는 공간을 수용할 수 있는 외곽 케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가림막(120)은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수단(17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 수단(170)은 하나 이상의 버튼, 마우스, 키보드, 광 입력기 등의 각종 사용자 입력수단을 가지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수단(170)은 QR 스캐닝의 시작, 종료, 전자 디바이스(310)의 인식(검색) 영역의 설정 등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입력 수단(170)은 예로 든 입력수단들 외의 다른 입력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제어 모듈(190)은 큐알 스캐너(100)를 제어하여 트레이(300)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자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310)에 대해 이루어진 테스트 결과를 테스트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출력한다.
제어 모듈(190)은 바디(110) 내부에 제어 보드의 형태로 구현되고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여 카메라(140)의 트레이(3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한다. 제어 모듈(190)은 스캐닝 대상 전자 디바이스(310)의 상측 표면에 표시되는 QR 코드(311)의 크기에 따라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여 트레이(30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와 전후 및/또는 좌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90)은 상대적인 위치로 설정된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카메라(140)로부터 수신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트레이(300)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자로 테스트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160)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은 테스트 결과를 인식된 식별자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성공 여부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에 대해서는 도 4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전자 디바이스(310)들이 탑재되는 예시적인 형태의 트레이(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40개의 전자 디바이스(310)를 보관하고 관리 가능한 트레이(300)의 예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15개의 전자 디바이스(310)를 보관하고 관리 가능한 트레이(3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트레이(300)의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제시되는 트레이(300)로서 사업장 내에서 이용되는 트레이(30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다양한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3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의 (a)와 (b)의 트레이(300)의 예와 같이, 하나의 트레이(300)는 동일한 제품의 전자 디바이스(310)들을 보관하고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상측 표면에는 QR 코드(311)가 표시된다. QR 코드(311)는 해당 전자 디바이스(310)의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각 전자 디바이스(310)의 크기('ew', 'eh')는 서로 다른 제품의 전자 디바이스(310) 별로 다르고 또한 QR 코드(311)의 크기('qw', 'qh')도 서로 다른 제품의 전자 디바이스(310) 별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300)의 전자 디바이스(310) 간의 간격('i') 또한 트레이(300)별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310)의 용도, 규격, 특징 등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310)의 크기가 다르고, 전자 디바이스(310) 위의 QR 코드(311)의 크기도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트레이(300)의 크기('TW', 'TH')도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규격의 트레이(300), 트레이(300) 위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 전자 디바이스(310)의 규격, QR 코드(311)의 크기가 다른 일반적인 환경하에서 단일 규격의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다양한 트레이(300)의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310)의 다양한 크기의 QR 코드(311)에서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140)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경제적으로 QR 스캐닝이 가능하다.
도 4는 제어 모듈(190)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제어 모듈(190)은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191), 카메라 인터페이스(192), 입력 인터페이스(193), 메모리(194),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95), 통신 인터페이스(196) 및 프로세서(1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블록도로서 제어 보드 상의 탑재된 전자 부품과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191)는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한다.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191)는 2축 또는 3축의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는 디지털의 신호이거나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191)의 제어신호들은 유선라인을 통해 액추에이터(150)에 바람직하게 연결된다.
제어신호(들)에 의해, 액추에이터(150)의 상하 액추에이터(151)는 구비된 구동 모터를 통해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로부터 설정된 높이에 카메라(140)를 위치시키고 전후 액추에이터(153)는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의 기준점(예를 들어, 앵커(131))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의 전후 거리에 카메라(140)를 구비된 구동 모터를 통해 위치시키고 좌우 액추에이터(155)는 트레이거치대(130)의 플레이트의 기준점(예를 들어, 앵커(131))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의 좌우 거리에 카메라(140)를 구비된 구동 모터를 통해 위치시킬 수 있다.
카메라 인터페이스(192)는 카메라(140)를 제어하고 카메라(140)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192)는 카메라(140)의 온/오프나 촬영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카메라(14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이미지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93)는 입력 수단(17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93)는 버튼,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97)로 출력한다.
메모리(194)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194)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97)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95)는 디스플레이(160)로 이미지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95)는 프로세서(197)로부터의 출력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60)의 수신 단자의 규격에 따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6)는 네트워크(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96)는 네트워크(400)와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용 칩셋이나 회로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400)와 지정된 규격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 가능하다.
프로세서(197)는 큐알 스캐너(10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97)는 메모리(194)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른 블록들의 제어로 큐알 스캐너(10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97)는 내부에 프로세싱 코어를 복수개 포함하고 메모리(194)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큐알 스캐너(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7) 상에는 OS(Operating System)가 탑재되고(수행되고) OS 위에 다수의 쓰레드(Thread)가 수행될 수 있다. OS와 쓰레드는 메모리(194)의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97)는 CPU, MPU, 중앙처리장치 등을 나타내거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은 프로세서(197)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예를 들어, OS와 쓰레드 프로그램) 의해 큐알 스캐너(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트레이(300)의 전자 디바이스(310)들의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카메라(140)를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자로 테스트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테스트 결과를 획득하고 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하여 사용자(테스터)가 특정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도 5와 도 6을 통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확인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전자 디바이스(310)들을 보관하는 트레이 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프로세서(197)는 입력 수단(170)을 통한 트레이 식별 정보의 수신에 따라, 트레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트레이 정보 요청을 통신 인터페이스(196)를 통해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7)는 입력 수단(170)을 통해 설정되어 구성되는 트레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트레이 정보 요청을 통신 인터페이스(196)를 통해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트레이 정보 요청의 트레이 식별 정보를 가지는 트레이정보 아이템을 트레이 정보 DB에서 검색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트레이 정보 DB에서 검색된 트레이정보 아이템의 트레이 정보를 트레이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큐알 스캐너(100)의 제어 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트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트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QR 스캐닝 대상 트레이(300)의 전체 영역을 카메라(140)의 다수 인식 영역으로 분할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7)는 설치된 카메라(140)의 해상도(와 나아가 뷰잉 각도)를 고려하고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의 크기에 기초하여 트레이(300)에서의 해당 QR 코드(311)의 식별자의 추출이 가능한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를 결정한다. 직사각형 형상의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는 카메라(140)에 의해 캡쳐링되는 이미지에서 지정된 크기의 QR 코드(311)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최대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는 QR 코드(31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고 QR 코드(311)의 크기가 작으면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도 작아지고 QR 코드(311)의 크기가 크면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도 (비례하여) 커지도록 계산된다.
프로세서(197)는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트레이 정보의 대상 트레이(300)에서(로부터) 카메라(140)에 의해 이미지를 인식할 다수의 인식 영역들로 분할한다. 분할되는 인식 영역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일부(예를 들어, 경계 위치)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분할되는 인식 영역의 크기는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보다는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분할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인식 영역의 크기는 트레이 정보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크기(도 3의 'ew', 'eh' 참조)와 이웃 전자 디바이스(310) 사이의 거리(도 3의 'i')에 더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분할되는 인식 영역들의 개수는 트레이 정보의 트레이(300)의 크기( 도 3의 'TW', 'TH' 참조), 가로 방향으로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 세로 방향으로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에 의해(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a)는 수신된 트레이 정보의 일 유형의 트레이(300)에 대하여 분할된 인식 영역('A' 참조)들을 나타내고 도 5의 (b)는 다른 유형의 트레이 정보의 트레이(300)에 대하여 분할된 인식 영역('B' 참조)들을 나타낸다. 도 5의 예와 같이, 카메라(140)의 동일한 해상도(예를 들어, HD 급 해상도 등)에 따라 작은 QR 코드(311)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310)를 보관하는 트레이(300)(도 5의 (a))를 대상으로 하는 인식 영역은 좀 더 큰 QR 코드(311)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310)를 보관하는 트레이(300)(도 5의 (b))를 대상으로 한 인식 영역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트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 대상 트레이(300)에서 인식 영역들의 크기를 카메라(140)의 해상도와 QR 코드(311)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인식 영역들의 개수를 트레이 정보의 각종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인식 영역(의 크기와 개수)에 대한 결정은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에 의해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트레이 관리 서버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결정된 인식 영역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트레이(300)와 카메라(140) 사이의 상하거리를 결정하고, 전후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의 이동단위 거리를 결정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인식 영역의 크기 및 개수에 대응하는 상하거리와 이동단위 거리를 산출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하거리는 인식 영역의 결정을 통해 적어도 전자 디바이스(310)에 표시된 QR 코드(311)의 크기에 기초하여(따라) 결정되고 이동단위 거리는 적어도 전자 디바이스(31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트레이(300)의 크기 등에 따라,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전후 방향의 이동단위 거리나 좌우 방향의 이동단위 거리 또는 두 방향의 이동단위 거리 모두를 결정할 수 있다.
트레이(300)에서의 인식 영역들의 결정에 따라 그리고 트레이거치대(130)에 QR 스캐닝 대상 트레이(300)가 올려짐에 따라,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인식 영역들에 대해 순차적으로(예를 들어, 좌측 인식 영역에서 우측 인식 영역 방향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와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인식한다.
트레이(300)의 여러 인식 영역들 중, 제1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한 이미지 촬영을 위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여 카메라(140)를 제1 인식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는 상하 액추에이터(151)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140)와 트레이(300) 사이의 거리를 상하거리로 설정되도록 카메라(14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트레이(300)에서 상대적인 제1 인식 영역의 배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전후 액추에이터(153) 및/또는 좌우 액추에이터(15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140)를 위치시킨다.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카메라(140)가 제1 인식 영역의 촬영을 위한 상대적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카메라(140)를 제어하여 제1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앵커(131)를 기준으로 제1 인식 영역의 상대적 위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 각각을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311)에서 식별자를 추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추출된 식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쿼리의 각각의 식별자로 테스트 성공 DB를 검색하고 검색되지 않는 경우 미테스트 상태를, 검색되는 경우 테스트 결과(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포함하는 응답을 큐알 스캐너(100)로 전송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디스플레이(160)에 트레이(300)의 제1 인식 영역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캡쳐링된 제1 인식 영역의 이미지와 함께 제1 인식 영역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상태 표시를 같이 표시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미테스트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제1 색상(예를 들어, 빨강색)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테스트가 성공한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제2 색상(예를 들어, 청색)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테스트에 실패한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제3 색상(예를 들어, 황색)의 사각형을 표시한다.
작업자 등은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된 전자 디바이스(310)의 상태 이미지로부터 트레이(300)에 보관중인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여부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제1 인식 영역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310)의 스캐닝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이웃하는 제2 인식 영역에 대한 QR 스캐닝 작업을 진행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모든 인식 영역들에 대한 QR 스캐닝 작업을 (순차적으로) 완료하여 하나의 트레이(300)에 대한 모든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여부 등의 확인을 가능토록 한다.
제2 인식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제1 인식 영역에 이웃하는 제2 인식 영역의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 카메라(140)를 이동시키기 위해 결정된 이동단위 거리만큼 일 방향으로(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카메라(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150)(의 전후 액추에이터(153) 및/또는 좌우 액추에이터(155))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카메라(140)는 이웃하는 제2 인식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한다.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카메라(140)가 제2 인식 영역의 촬영을 위한 상대적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카메라(140)를 제어하여 제2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앵커(131)를 기준으로 제2 인식 영역의 상대적 위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 각각을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311)에서 식별자를 추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추출된 식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테스트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쿼리의 각각의 식별자로 테스트 성공 DB를 검색하고 검색되지 않는 경우 미테스트 상태를, 검색되는 경우 테스트 결과(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포함하는 응답을 큐알 스캐너(100)로 전송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디스플레이(160)에 트레이(300)의 제2 인식 영역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테스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캡쳐링된 제2 인식 영역의 이미지와 함께 제2 인식 영역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상태 표시를 같이 표시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미테스트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제1 색상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테스트의 성공한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제2 색상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테스트에 실패한 전자 디바이스(310)의 외곽에 제3 색상의 사각형을 표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트레이(300)의 모든 인식 영역들에 대해 QR 스캐닝 작업과 테스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촬영된 인식 영역에서 QR 코드(311)를 인식하고 식별자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데, 도 6은 촬영된 인식 영역에서 QR 코드(311)를 인식하기 위한 예시적인 두 가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사용자의 입력 설정에 따라 인식 영역 내에서 다수의 QR 코드(311) 검색대상 영역을 설정하고 검색대상 영역 내에서 QR 코드(311)를 인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인식 영역 전체 내에서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메모리(194)의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QR 코드(311)와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OS 상에서 수행되고 검색대상 영역의 이미지에서 각각 QR 코드(311)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다수의 쓰레드를 이용하여 인식 영역 내에서 QR 코드(311)와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의 (a)의 예에서,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입력 수단(170)을 통해 다수개의(이하 '제1 단위 개수')의 검색대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검색대상 영역(도 6의 (a)의 ⓐ 참조)(예를 들어, 직사각형 영역)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입력 수단(170)의 마우스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관리자 또는 테스터 등)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카메라(140)가 촬영한 인식 영역을 확인하고 인식 영역 내에서 QR 코드(311)의 검색이 이루어질 검색대상 영역 각각을 특정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 수단(17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위 개수는 인식 영역별로 인식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검색대상 영역들의 설정은 트레이(300)들의 QR 스캐닝과 테스트 확인 과정 전에 미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카메라(140)에서 촬영되는 인식 영역의 이미지에서 설정된 제1 단위 개수의 검색대상 영역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QR 코드(311)와 식별자를 인식하고 추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제1 단위 개수의 쓰레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쓰레드 각각은 할당된 개별 검색대상 영역(만에서)의 이미지에서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311)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의 제어 쓰레드(메모리(194)에 포함될 수 있음)는 각각의 쓰레드로부터 QR 코드(311)의 인식이나 식별자 추출 여부 및 QR 코드(311)의 식별자 및 인식(추출) 위치를 나타내는 인식 결과를 수신한다. 제어 쓰레드는 각 쓰레드의 인식 결과에서 QR 코드(311)나 식별자가 추출되지 못한 검색대상 영역을 QR 코드(311)나 식별자 미추출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상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할 수 있다. QR 코드(311)나 식별자 미추출을 나타내는 상태의 표시는 다른 상태의 표시(미테스트 상태, 테스트 성공 상태, 실패 상태 등, 적어도 테스트 성공 상태 표시)와 다를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의 제어 쓰레드)은 제1 단위 개수의 쓰레드에 의해 인식된 식별자들 각각을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를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테스트 여부를 확인 가능한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식별자가 인식된 각 검색대상 영역에 상태 표시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한다. 도 6의 (a)의 예에 따른 방안(법)은 전자 디바이스(310)의 위치가 고정되는 트레이(300)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되고 빠른 QR 스캐닝이 가능하다.
도 6의 (b)의 예는 사용자 입력 설정이 불가능하거나 트레이(300)의 임의의 위치에 전자 디바이스(310)가 위치할 수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QR 코드(311)의 자동 인식 방안으로서,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서로 오브랩핑되는 다수의(이하 '제2 개수'라 함) 검색대상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제2 개수는 인식 영역의 전체 크기와 이웃 검색대상 영역의 서로 오브랩핑되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자동 계산될 수 있고 트레이(300)의 인식 영역에 보관되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개수보다는 많도록 구성된다. 인접하는 검색대상 영역(도 6의 (b)의 ⓐ 참조) 사이의 서로 오브랩핑 영역(도 6의 (b)의 ⓑ 참조)의 크기(면적)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의 크기(면적)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브랩핑 영역의 가로 길이(도 6의 (b)의 'ow')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의 길이('qw' 및/또는 'qh')보다 길고 오브랩핑 영역의 세로 길이(도 6의 (b)의 'oh')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의 길이('qw' 및/또는 'qh')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오브랩핑 영역을 포함하는 검색대상 영역의 (전체) 크기는 전자 디바이스(310)의 크기와 나아가 전자 디바이스(310) 사이의 간격(도 3의 'i' 참조)이나 QR 코드(311)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검색대상 영역들의 설정은 트레이(300)들의 QR 스캐닝과 테스트 확인 과정 전에 미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카메라(140)에서 촬영되는 인식 영역의 이미지에서 설정된 제2 개수의 검색대상 영역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QR 코드(311)와 식별자를 인식하고 추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제2 개수의 쓰레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쓰레드 각각은 할당된 개별 검색대상 영역의 이미지에서 전자 디바이스(310)의 QR 코드(311)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311)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한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의 제어 쓰레드(메모리(194)에 포함될 수 있음)는 각각의 쓰레드로부터 QR 코드(311)의 인식이나 식별자 추출 여부 및 QR 코드(311)의 식별자 및 인식(추출) 위치를 나타내는 인식 결과를 수신한다. 인식 결과의 수신에 따라 제어 쓰레드는 인식 결과를 (더) 필터링한다. 제어 쓰레드는 인식 결과들의 QR 코드(311)의 식별자와 나아가 인식 위치에 기초하여 QR 코드(311)의 식별자가 동일하고 인식 위치가 동일하거나 일정한 범위 내에 서로 위치하는 경우 여러 쓰레드에 의해 오브랩핑 영역에서 동일한 QR 코드(311)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하나의 QR 코드(311)와 그 식별자의 인식 결과만을 남기고 나머지 인식 결과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 쓰레드는 각 쓰레드의 인식 결과에서 QR 코드(311)나 식별자가 추출되지 못한 검색대상 영역을 QR 코드(311)나 식별자 미추출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상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할 수 있다. QR 코드(311)나 식별자 미추출을 나타내는 상태의 표시는 다른 상태의 표시(미테스트 상태, 테스트 성공 상태, 실패 상태 등, 적어도 테스트 성공 상태 표시)와 다를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의 제어 쓰레드)은 제2 개수의 쓰레드에 의해 인식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식별자들 각각을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를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테스트 여부를 확인 가능한 테스트 관리 서버(20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식별자가 인식된 각 검색대상 영역에 상태 표시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한다. 도 6의 (b)에 따른 QR 인식 방법은 트레이(300)에 전자 디바이스(310)의 위치가 비정형적인 경우나 사용자 설정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자동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따른 QR 인식 방법은 QR 코드(311)의 크기를 반영한 검색대상 영역의 분할로 QR 코드의 놓침 없이 고속으로 QR 코드(311)의 인식과 추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190)(의 프로세서(197))은, 제어 쓰레드와 검색대상 영역에서의 QR 코드(311)와 식별자를 인식하기 위해 서로 독립적이고 프로세서(197) 내의 자원을 개별 또는 공유하는 다수의 쓰레드를 수행하여, 트레이(300) 내의 전자 디바이스(310)들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출력 가능하다.
큐알 스캐너(100)의 제어 모듈(190)은 도 6의 (a)의 QR 코드(311)의 식별자 인식 방법과 도 6의 (b)의 QR 코드(311)의 식별자 인식 방법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두 가지 인식 방법을 모두 수행 가능한 제어 모듈(190)은 제어 설정에 따라 사용자 설정 입력에 따른 고정되고 서로 분리된 검색대상 영역을 대상으로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인식하고(거나) 서로 오브랩핑되는 검색대상 영역을 대상으로 QR 코드(311)의 식별자를 인식 가능하다. 이와 같이, 큐알 스캐너(100)의 제어 모듈(190)은 다양한 개별 트레이(300)에 대해 적합한 QR 코드 식별자 인식 방법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효율적으로 인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큐알 스캐너
110 : 바디
120 : 가림막
130 : 트레이거치대
131 : 앵커
140 : 카메라
150 : 액추에이터
151 : 상하 액추에이터
153 : 전후 액추에이터
155 : 좌우 액추에이터
160 : 디스플레이
170 : 입력 수단
190 : 제어 모듈
191 : 액추에이터 인터페이스
192 : 카메라 인터페이스
193 : 입력 인터페이스
194 : 메모리
195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96 : 통신 인터페이스
197 : 프로세서
200 : 테스트 관리 서버
300 : 트레이
310 : 전자 디바이스
311 : QR 코드
400 : 네트워크

Claims (7)

  1. 큐알 스캐너로서,
    트레이거치대;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탑재한 트레이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트레이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의 상기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큐알 스캐너의 바디에 결합하고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에서 상기 카메라를 전 또는 후로 이동시키는 전후 액추에이터와 상기 전후 액추에이터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에서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액추에이터 및 결합된 상기 카메라를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상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 표시된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의 상기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테스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트레이 정보의 QR 코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QR 코드의 식별자의 추출이 가능한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와 상기 트레이 정보의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 및 이웃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에 대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이미지를 인식할 복수의 인식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인식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상하거리를 결정하고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이동단위 거리를 결정하는,
    큐알 스캐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 각각의 테스트 상태를 상기 촬영된 이미지 위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인식 영역 중 제1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를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각각의 QR 코드에서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쿼리에 대한 상기 테스트 관리 서버로부터의 응답의 수신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테스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 중 테스트가 성공한 전자 디바이스의 외곽에 제1 색상의 사각형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 중 테스트에 실패하거나 미테스트된 전자 디바이스의 외곽에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의 사각형을 표시하는,
    큐알 스캐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분할된 상기 복수의 인식 영역 중 제1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한 이미지 촬영을 위해 상기 상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와 상기 트레이 사이의 거리를 상기 상하거리로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 인식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 액추에이터 및 상기 좌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인식 영역 중 상기 제1 인식 영역에 이웃하는 제2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한 이미지 촬영을 위해 상기 이동단위 거리만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전후 액추에이터 또는 상기 좌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는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큐알 스캐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촬영된 이미지에서 제1 단위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검색대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촬영된 이미지 중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상기 제1 단위 개수의 검색대상 영역에서만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는,
    큐알 스캐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제2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 검색대상 영역으로서, 인접하는 검색대상 영역 사이는 서로 오브랩핑하는 검색대상 영역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설정하고 설정된 제2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 검색대상 영역 각각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며,
    인접하는 검색대상 영역 사이의 오브랩핑 영역의 크기는 상기 QR 코드의 크기보다 큰,
    큐알 스캐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설정된 검색대상 영역들 각각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QR 코드의 인식과 후속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복수의 쓰레드와 상기 복수의 쓰레드로부터의 인식 결과에 따라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테스트 여부를 서버를 통해 확인하는 제어 쓰레드를 수행하는,
    큐알 스캐너.
  7. 큐알 스캐닝 시스템으로서,
    큐알 스캐너; 및
    상기 큐알 스캐너로부터 테스트 쿼리를 수신하고 테스트 쿼리의 식별자에 따른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큐알 스캐너로 전송하는 테스트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큐알 스캐너는,
    트레이거치대;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를 탑재한 트레이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트레이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의 상기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큐알 스캐너의 바디에 결합하고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에서 상기 카메라를 전 또는 후로 이동시키는 전후 액추에이터와 상기 전후 액추에이터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에서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액추에이터 및 결합된 상기 카메라를 상기 트레이거치대 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상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 표시된 QR 코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의 상기 트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의 QR 코드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관리 서버는 상기 트레이에 대응하는 트레이 정보의 QR 코드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QR 코드의 식별자의 추출이 가능한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최대 인식 영역의 크기와 상기 트레이 정보의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 및 이웃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에 대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이미지를 인식할 복수의 인식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인식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큐알 스캐너로 전송하는,
    큐알 스캐닝 시스템.
KR1020230072553A 2023-06-07 2023-06-07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KR10263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553A KR102638371B1 (ko) 2023-06-07 2023-06-07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553A KR102638371B1 (ko) 2023-06-07 2023-06-07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371B1 true KR102638371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553A KR102638371B1 (ko) 2023-06-07 2023-06-07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3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557A (ja) * 1991-10-02 1993-04-16 Olympus Optical Co Ltd バ−コ−ド読取り装置
KR20130016931A (ko) *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02026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의 외관 검사 시스템
KR20230000096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티웨어랩 디바이스 테스트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테스트 시스템
KR20230028654A (ko) * 2021-08-20 2023-03-02 (주) 엠엔비젼 딥러닝을 이용한 멀티 바코드 리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557A (ja) * 1991-10-02 1993-04-16 Olympus Optical Co Ltd バ−コ−ド読取り装置
KR20130016931A (ko) *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02026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의 외관 검사 시스템
KR20230000096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티웨어랩 디바이스 테스트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테스트 시스템
KR20230028654A (ko) * 2021-08-20 2023-03-02 (주) 엠엔비젼 딥러닝을 이용한 멀티 바코드 리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608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N106323600B (zh) 一种级联分布式aoi缺陷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0555185C (zh) 功能命令系统、功能命令装置、功能命令分析系统、演示系统及功能命令分析方法
DE102018129009A1 (de) Dynamischer Sichtsensor und Projektor für Tiefenabbildung
CN109142380A (zh) 电路板的故障检测方法、装置和系统
CN105723696B (zh) 摄像设备、摄像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107226B (zh) 基于ppc软体的aoi多工位系统及方法
CN105700736A (zh) 输入操作检测设备、投影装置、交互白板和数字标识装置
US2017004684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Laser Point on Screen
US10412810B2 (en) Setting support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910284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43796B2 (en) Camera testing using virtual images
KR102638371B1 (ko) 큐알 스캐너 및 큐알 스캐닝 시스템
US7440606B2 (en) Defect detector and defect detection method
JP2008249907A (ja) プロジェクタ及び表示システム
CN113632454A (zh) 投影系统、投影装置以及投影方法
CN107786770A (zh) 图像形成设备、装置管理系统和在记录材料上形成图像的方法
CN106200036A (zh) 点灯检测设备
CN109596317A (zh) 一种面板灯的检测方法及装置
US8330730B1 (en) Calibrating of interactive touch system for image compositing
KR20170012549A (ko) 몸짓 인식을 위한 이미지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 시스템 및 방법
JP3931130B2 (ja) 測定システム、演算方法および演算プログラム
US20150146005A1 (en) Mounting and inspection data creation device and mounting and inspection data creation method
JP5930405B2 (ja) 検査システム、検査方法及び端末
KR101350641B1 (ko) 무안경 3 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