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914A -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 Google Patents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914A
KR20130016914A KR1020110079120A KR20110079120A KR20130016914A KR 20130016914 A KR20130016914 A KR 20130016914A KR 1020110079120 A KR1020110079120 A KR 1020110079120A KR 20110079120 A KR20110079120 A KR 20110079120A KR 20130016914 A KR20130016914 A KR 2013001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pawn
beans
coffee beans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8893B1 (en
Inventor
김동구
박천규
신지영
장래성
정재현
유광원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주식회사 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주식회사 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1007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893B1/en
Publication of KR201300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PURPOSE: A manufacturing method for functional coffe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content of amino acid, GABA (gamma-aminobutyric acid), and chlorogenic acid which are useful for a human body by inoculating a mushroom and Monascus spawn to a green coffee bean. CONSTITUTION: A green coffee bean fermenting method includes a step germinating a green coffee bean by dipping in water(S100); a step sterilizing a germinated green coffee bean(S200); a step cooling a sterilized green coffee bean by storing a storage room(S300); a step inoculating a cooled green coffee bean against any one spawn among Phellinus linteus, Ganoderma tsugae, and Hericium erinaceum(S400); a step fermenting an inoculated green coffee bean(S500). The weight ratio of a green coffee bean and water is 1:1.0-2.5. A green coffee bean is dipped at 20-30°C for 20-30 hours. A germinated green coffee bean is sterilized in the pressure of 2-4 kgf/cm2 at 110-130°C for 1-3 hours. A sterilized green coffee bean is stored in a storage room and is cooled at 0-5°C for 1-3 hours. The weight ratio of a green coffee bean and any one of Phellinus linteus, Ganoderma tsugae, and Hericium erinaceum is 1:0.05-0.30. In case an inoculated spawn is Phellinus linteus or Ganoderma tsugae, an inoculated green coffee bean is cultivated at 18-22°C for 5-15 hours. In case an inoculated spawn is a Hericium erinaceum, an inoculated green coffee bean is cultivated at 23-28°C for 5-15 days.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0) Germinating green coffee beans by dipping in water; (S200) Sterilizing the germinated green coffee beans; (S300) Cooling the sterilized green coffee beans by storing in a storage room; (S400) Inoculating the cooled green coffee beans with one spawn of Phellinus linteus, Ganoderma tsugae, and Hericium erinaceum; (S500) Fermenting the inoculated coffee

Description

버섯 및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조성물, 및 발효커피{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본 발명은 버섯 및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조성물, 및 발효커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양한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및 홍국균 종균을 커피생두에 접종함으로써 인체에 유용한 아미노산, 가바, 및 크로로겐산 등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버섯 및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조성물, 및 발효커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fermentation method, a composition, and a fermented coffee using mushrooms and Hongguk spawn,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human body by inoculating coffee beans with the cultured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 roe deer mushroom, and Hongguk spaw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fermentation method, a composition, and a fermented coffee using mushrooms and red pepper seeds that can increase the content of useful amino acids, gaba, and chromogenic acid.

커피는 세계 인구의 1/3이 마시고 있으며 다른 어떤 음료보다 많이 마시는 음료이다. 이러한 커피의 인기와 더불어 최근 기능성 음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Coffee is consumed by one third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is more than any other beverage.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such coffee, there is a recent search for a method that can be used as a functional drink.

선행기술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20121(발명의 명칭 :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숙면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는 김치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커피에 관한 발명이다. 발효되지 않은 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월등하게 개선되고, 저하된 카페인 농도를 가지며, 고함량의 가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발효커피를 다량 섭취하였을 때에도 불면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숙면을 도와주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20121 (name of the invention: a deep-sealed fermented coffee fermented with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relates to a fermented coffee fermented using kimchi lactic acid bacteria. Compared with unfermented coffee, the taste and aroma are significantly improved, have a lower caffeine concentration, and contain a high content of Gabba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abou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버섯 종균 및 홍국균 종균을 커피생두에 접종함으로써 인체에 유용한 성분인 아미노산, 가바, 및 크로로겐산 등의 함량을 높여 기능성 커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oculating mushroom spawn and Hongguk spawn in coffee beans to increase the content of amino acids, gabba, and chlorogenic acid, which are useful components for the human body, to increase functional coffee. The purpose is to provid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생두를 물에 침지하여 발아시키는 단계(S100); 발아된 커피생두를 멸균하는 단계(S200); 멸균된 커피생두를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시키는 단계(S300); 냉각된 커피생두를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 버섯 중 어느 하나의 종균과 접종하는 단계(S400); 및 접종된 커피생두를 발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tep of immersing the coffee beans in water to germinate (S100); Sterilizing the sprouted coffee beans (S200); Storing the sterilized coffee beans in a storage room and cooling them (S300); Inoculating the chilled coffee beans with any one of the spaw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and scab mushroom (S400); And fermented coffee beans inoculated (S500);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a mushroom spawn comprising a.

또한, 커피생두와 물의 중량비는 1: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coffee beans and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1: 1.0 to 2.5.

또한, 커피생두를 20 내지 30시간 동안 20 내지 30℃에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ffee beans are characterized by immersing at 20 to 30 ℃ for 20 to 30 hours.

또한, 발아된 커피생두를 1 내지 3시간 동안 110℃ 내지 130℃ 온도에서 2 내지 4kgf/cm2의 압력으로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rminated coffee beans are characterized in that sterilization at a pressure of 2 to 4kgf / cm2 at 110 ℃ to 130 ℃ temperature for 1 to 3 hours.

또한, 멸균된 커피생두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ed coffee beans stored in the storage room for 1 to 3 hours at a temperature of 0 ° C to 5 ° C; and cooling.

또한, 커피생두와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 버섯 중 어느 하나의 종균의 중량비는 1:0.05~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any one of the coffee beans and green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 and roe mushrooms is characterized in that 1: 0.05 ~ 0.30.

또한, 접종하는 종균이 상황버섯 또는 영지버섯인 경우에는 접종된 커피생두를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spawn seedling is a situation mushroom or ganoderma lucidum, the inoculated coffee beans are incubated at a temperature of 18 ° C. to 22 ° C. for 5 days to 15 days.

또한, 접종하는 종균이 노루궁뎅이 버섯인 경우에는 접종된 커피생두를 23℃ 내지 28℃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seed to be inoculated is a locust mushroom, the inoculated coffee beans are incubated for 5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23 ℃ to 28 ℃.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에 의해 조성된 발효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fermentation composition formed by the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mushroom spawn.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에 의해 조성된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발효커피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fermented coffe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composition formed by the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mushroom spawn.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생두를 물에 침지하여 발아시키는 단계(S100'); 발아된 커피생두를 멸균하는 단계(S200'); 멸균된 커피생두를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시키는 단계(S300'); 냉각된 커피생두를 홍국균 종균과 접종하는 단계(S400'); 및 접종된 커피생두를 발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merse the coffee beans in water to germinate (S100 '); Sterilizing the sprouted coffee beans (S200 ′); Storing the sterilized coffee beans in a storage room and cooling them (S300 '); Inoculating the cooled coffee beans with the Hong Kong spawn seed (S400 '); And fermented coffee beans inoculated (S500 ');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 Kong spaw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커피생두와 물의 중량비는 1: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coffee beans and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1: 1.0 to 2.5.

또한, 커피생두를 20 내지 30시간 동안 20 내지 30℃에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ffee beans are characterized by immersing at 20 to 30 ℃ for 20 to 30 hours.

또한, 발아된 커피생두를 1 내지 3시간 동안 110℃ 내지 130℃ 온도에서 2 내지 4kgf/cm2의 압력으로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rminated coffee beans are characterized in that sterilization at a pressure of 2 to 4kgf / cm2 at 110 ℃ to 130 ℃ temperature for 1 to 3 hours.

또한, 멸균된 커피생두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ed coffee beans stored in the storage room for 1 to 3 hours at a temperature of 0 ℃ to 5 ℃; cooling;

또한, 커피생두와 홍국균 종균의 중량비는 1:0.05~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the coffee beans and Hongguk spawn is characterized in that 1: 0.05 ~ 0.30.

또한, 접종된 커피생두를 27℃ 내지 33℃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oculated coffee beans are characterized in that culture for 5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27 ℃ to 33 ℃.

한편,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에 의해 조성된 발효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fermentation composition formed by the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guk spawn.

한편,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에 의해 조성된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발효커피.On the other hand, the fermented coffe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composition formed by the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guk spaw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 종균 및 홍국균 종균을 커피생두에 접종함으로써 인체에 유용한 성분인 아미노산, 가바, 및 크로로겐산 등의 함량을 높여 기능성 커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oculating the mushroom spawn and Hong Kong spawn spawn in the coffee beans,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functional coffee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amino acids, gabba, and chlorogenic acid, which are useful components for the human bod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페놀(크로로겐산)의 함량 증가에 따른 항산화 및 항암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content of polyphenols (chromoic aci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종균에 따라 산미, 쓴맛, 향기 등이 다양한 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ffee, such as acidity, bitter taste, aroma according to each spaw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영지버섯, 또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 페놀성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BTS+에 의한 자유 라디칼 소거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PPH에 의한 자유 라디칼 소거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FRAP 환원법에 의한 자유 라디칼 소거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만델린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발효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지발효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루궁뎅이발효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홍국1발효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홍국4발효 원두의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coffee green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spaw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or roe deer mus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coffee green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 Kong spawn spa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total phenolic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mount of free radical scavenging by ABTS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amount of free radical scavenging by DPP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concentration by the FRAP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amino aci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mandelin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the germinated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the situationally fermented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Ganoderma lucidum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the Roe buckthorn fermentation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red yeast 1 fermented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the trigorelin, nicotinic acid, chromogenic acid, caffeine content of red yeast four fermented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커피생두Coffee beans 발효방법> Fermentation Metho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생두 발효방법은 커피의 생두를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또는 홍국균 중 어느 하나의 버섯 종균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coffee green bean fer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vention inoculated and fermented green coffee beans with any one of the mushroom spawn of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 roe deer mushroom, or red yeast fungi .

이렇게 발효시킨 조성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경우 산미(산에서 나는 나물 또는 과실의 맛), 쓴맛, 향기 등이 종균 접종전에 비해 다르고, 또한 인체에 유용한 아미노산, 가바 및 크로로겐산 등의 함량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발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생두 발효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When coffee is produced using the fermented composition, the acidity (acid taste of herbs or fruits), bitter taste, and aroma are different from those before seed inoculation, and the contents of amino acids, gaba, and croroic acid, which are useful for the human body, It relates to a fermentation method that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Hereinafter, a coffee bean fer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커피생두를 물에 침지하여 발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커피생두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인도네시아 산의 생두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하였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 커피생두를 침지하기 위하여 커피생두와 물의 중량비를 1:1.0~2.5로 하여 20 내지 30시간 동안 20 내지 30℃에서 침지한다.First, the coffee beans are immersed in water to germinate (S100). Coffee beans are generally used Indonesian green bean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merse coffee beans produced in Indonesia, the weight ratio of coffee beans and water is 1: 1.0 to 2.5 and soaked at 20 to 30 ° C. for 20 to 30 hours.

이때 일예로서 커피생두와 물의 중량비가 1:2인 경우에는 커피생두 500g에 물 1000ml로 하면 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시간 동안 침지된 커피생두는 발아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weight ratio of coffee beans and water is 1: 2, as an example, the coffee beans may be 1000ml of water in 500g, and it is preferably immersed at 25 ° C for 24 hours. Coffee beans soaked for 24 hours will germinate.

다음으로, 발아된 커피생두를 1 내지 3시간 동안 110℃ 내지 130℃ 온도에서 고압 멸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이때 121℃ 온도에서 2시간 동안 3kgf/cm2 압력으로 멸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압 멸균에 의해 커피생두의 잡균을 멸균함으로써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또는 홍국균의 종균을 접종할 수 있다.
Next, the germinated coffee beans are autoclaved at 110 ° C to 130 ° C for 1 to 3 hours (S200). At this time, 3kgf / cm 2 It is preferable to sterilize by pressure, and by sterilizing various germs of coffee beans by high pressure sterilization, it is possible to inoculate spawns of situation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s, roe deer mushrooms, or red yeast fungi.

다음으로, 멸균된 커피생두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저온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2℃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멸균된 커피생두를 냉각시켰다.
Next, the sterilized coffee beans are stored in a cold storage room for 1 hour to 3 hours at a temperature of 0 ° C. to 5 ° C. to perform cooling (S300).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oled sterilized coffee beans for 2 hours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2 ℃.

다음으로, 냉각된 커피생두를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또는 홍국균의 종균과 접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이때 접종되는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배양방법은 다음과 같다.
Next, the step of inoculating the chilled coffee beans with the situatio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roe deer mushroom, or spawn of red yeast fungi (S400). At this time, the mycelium culture method of the inoculated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 roe deer mushroom is as follows.

버섯의 배양방법은 배양온도, 배지의 pH, 진탕 속도 및 배양기간에 따라 균사체 수율에 영향을 받는다. 버섯 배양방법 중 최적의 액체배양조건은 "버섯 배양물을 포함하는 배지 및 상기 배지를 이용한 버섯재배방법(등록특허 10-0523263)"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배양온도, MCM 배지의 pH, 진탕 속도 및 배양기간은 배양물을 최대로 수득하기 위한 범위이다.
The culture method of the mushroom is affected by the mycelial yield depending on the culture temperature, pH of the medium, shaking speed, and incubation period. Optimum liquid culture conditions of the mushroom culture method are described in detail in "Medium containing mushroom culture and mushroom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medium (registered patent 10-0523263)". Therefore, the culture temperature, the pH of the MCM medium, the shaking speed and the incubation perio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range for obtaining the maximum culture.

표 1은 대표적인 버섯 배지의 종류별 성분표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질소원과 무기질원이 풍부한 배지에서 활발한 생육을 보이는바, MCM 배지 또는 YMPG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M 배지는 K2HPO4 1.0 g/L, KH2PO4 0.46 g/L, MgSO4·7H2O 0.5 g/L, 글루코스 20.0 g/L, 펩톤 2.0 g/L, 효모 추출물 2.0 g/L, 한천 20.0 g/L으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1 shows the ingredient table by type of the representative mushroom medium. In general, mushrooms show an active growth in a medium rich in nitrogen and minerals, can be cultured in MCM medium or YMPG medium. As shown in Table 1, the MCM medium contained 1.0 g / L K 2 HPO 4 , 0.46 g / L KH 2 PO 4 , MgSO 4 .7H 2 O 0.5 g / L, glucose 20.0 g / L, peptone 2.0 g / L, Yeast extract is composed of 2.0 g / L, agar 20.0 g / L.

영양원Nutrition 배지종류(g/L)Badge type (g / L) MCMMCM MYPAMYPA PDAPDA MEME YMYM YMPGYMPG YMGYMG PYGPYG GPGP GPYGPY 감자potato 250.0250.0 K2HO4 K 2 HO 4 1.01.0 1010 KH2PO4 KH 2 PO 4 0.460.46 2.02.0 MgSO4·7H2OMgSO 4 .7H 2 O 0.50.5 1.01.0 0.70.7 0.50.5 FeSO4·7H2OFeSO 4 .7H 2 O 글루코스Glucose 20.020.0 20.020.0 10.010.0 10.010.0 4.04.0 1414 3030 2020 티아민-HCLThiamine-HCL 1.0-3 1.0 -3 DL-아스파라진DL-asparagine 1.01.0 펩톤peptone 2.02.0 1.01.0 5.05.0 5.05.0 2.02.0 1.251.25 33 22 말트 추출물Malt extract 30.030.0 20.020.0 3.03.0 10.010.0 10.010.0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2.02.0 2.02.0 3.03.0 2.02.0 4.04.0 1.251.25 22 한천Agar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20.020.0

한편, 이하의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버섯의 배양방법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이하의 기술된 배양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method of the mushroom using the following vitamin tree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the cultivation method described below.

(( 노루궁뎅이Spindle 버섯의 배양방법) Cultivation method of mushrooms)

우선, 평판 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3일 내지 17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한다. 여기서 평판 배지는 PDA 평판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온도는 23℃ 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13일 내지 1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inoculate the scavenger worm mushroom spawn into the plate medium,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3 ° C. to 26 ° C., and then incubate for 13 days to 17 days to obtain a mycelia. The flat medium is preferably a PDA flat medium,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3 ℃ to 26 ℃ but preferably 25 ℃.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13 days to 17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15 days.

다음으로,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한다. 이때 균사체 디스크는 코르크 볼러로 절취할 수 있으며, 코르크 볼러의 직경은 4mm 내지 10mm일 수 있으나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Next, the obtained mycelium is cut to prepare a plurality of mycelium discs. At this time, the mycelium disc can be cut with a cork baller, the diameter of the cork baller may be 4mm to 10mm, but preferably 8mm. The mycelial disc produced may be at least two.

다음으로, MC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7 내지 12일간 진탕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다. 여기서 접종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이며 8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mycelium disk to MCM medium,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3 ℃ to 26 ℃ and shake culture for 7 to 12 days to obtain a primary inoculum. At least two mycelium disks to be inoculated are preferably eight.

또한, 배양온도는 23℃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4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7일 내지 12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10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은 제 2차 접종원으로 배양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3 ℃ to 26 ℃ but preferably 25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rpm to 140rpm, but preferably 140rpm.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7 to 12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10 days. In addition, the obtained primary inoculum may be further subjected to homogenization before incubation with the secondary inoculum.

다음으로,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5일 내지 7일간 진탕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다. 여기서 배양온도는 23℃ 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4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primary inoculum in MCM medium and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3 ℃ to 26 ℃ and then shake culture for 5 to 7 days to obtain a secondary inoculum.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3 ℃ to 26 ℃ but preferably 25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rpm to 140rpm, but preferably 140rpm.

또한, 배양일수는 5일 내지 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5 to 7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5 days.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to be inoculated in the MCM medium may be 10%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primary inoculum, but preferably 10% by volume. Do.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차 접종원은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접종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second inoculum, the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inoculated with the MCM medium is preferably in a ratio of 10: 0.8 to 10: 1.2. And the second inoculum may be further subjected to homogenization before inoculation into MCM medium containing vitamin tree powder.

마지막으로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진탕 배양한다. 여기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nally, inoculate the second inoculum to the MCM medium containing the vitamin tree powder,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3 ℃ to 26 ℃ and then shake culture for 8 to 10 days. Wherein the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inoculated in the MCM medium may be 10%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a second inoculum, but preferably 10% by volume. .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3℃ 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4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8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inoculated with MCM medium in the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s preferably in a ratio of 10: 0.8 to 10: 1.2. In addition,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3 ℃ to 26 ℃ but preferably 25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 rpm to 140 rpm, but is preferably 140 rpm.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8 days to 10 days,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8 days.

한편,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비타민나무 분말 사이의 비율이 MCM 배지 100㎖당 1g 내지 10g의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between the MCM medium and the vitamin tree powder contains 1 g to 10 g of the vitamin tree powder per 100 ml of the MCM medium.

한편,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을 위한 제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 및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의 pH는 5.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H of the MCM medium in the step of obtaining a primary inoculum for the liquid culture of rot fungus mushrooms using a vitamin tree, obtaining a secondary inoculum and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ary inoculum is 5.0 to 6.0 Is preferably.

(영지버섯의 배양방법)(Incubation method of Ganoderma lucidum mushroom)

평판 배지에 영지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3일 내지 7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한다. 여기서 평판 배지는 PDA 평판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3일 내지 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oculate the Ganoderma lucidum mushroom spawn on the plate medium to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then cultured for 3 to 7 days to obtain a mycelium. Here, the plate medium is preferably a PDA plate medium,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3 to 7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5 days.

다음으로,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한다. 이때 균사체 디스크는 코르크 볼러로 절취할 수 있으며, 코르크 볼러의 직경은 4mm 내지 10mm일 수 있으나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Next, the obtained mycelium is cut to prepare a plurality of mycelium discs. At this time, the mycelium disc can be cut with a cork baller, the diameter of the cork baller may be 4mm to 10mm, but preferably 8mm. The mycelial disc produced may be at least two.

다음으로, MC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5 내지 9일간 진탕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다. 여기서 접종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이며 8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16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mycelium disk in MCM medium,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shake culture for 5 to 9 days to obtain a primary inoculum. At least two mycelium disks to be inoculated are preferably eight. In addition,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rpm to 160rpm, but preferably 100rpm.

또한, 배양일수는 5일 내지 9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7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은 제 2차 접종원으로 배양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5 to 9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7 days. In addition, the obtained primary inoculum may be further subjected to homogenization before incubation with the secondary inoculum.

다음으로,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3일 내지 7일간 진탕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다. 여기서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16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primary inoculum in MCM medium and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shake culture for 3 to 7 days to obtain a secondary inoculum.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rpm to 160rpm, but preferably 100rpm.

또한, 배양일수는 3일 내지 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3 to 7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5 days.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to be inoculated in the MCM medium may be 10%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primary inoculum, but preferably 10% by volume. Do.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차 접종원은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접종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second inoculum, the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inoculated with the MCM medium is preferably in a ratio of 10: 0.8 to 10: 1.2. And the second inoculum may be further subjected to homogenization before inoculation into MCM medium containing vitamin tree powder.

마지막으로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진탕 배양한다. 여기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nally, inoculate the second inoculum to the MCM medium containing the vitamin tree powder and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then shake culture for 8 to 10 days. Wherein the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inoculated in the MCM medium may be 10%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a second inoculum, but preferably 10% by volume. .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16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inoculated with MCM medium in the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s preferably in a ratio of 10: 0.8 to 10: 1.2. In addition,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 rpm to 160 rpm but is preferably 100 rpm.

또한, 배양일수는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8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비타민나무 분말 사이의 비율이 MCM 배지 100㎖당 1g 내지 10g의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8 days to 10 days,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8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between the MCM medium and the vitamin tree powder contains 1 g to 10 g of the vitamin tree powder per 100 ml of the MCM medium.

한편,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영지 버섯의 액체배양을 위한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 및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의 pH는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H of the MCM medium is 3.0 to 6.0 in the step of obtaining a first inoculum for liquid culture of Ganoderma lucidum mushroom using a vitamin tree, obtaining a second inoculum and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t is preferable.

(상황버섯의 배양방법)(Cultivation method of the situation mushroom)

평판 배지에 상황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13일 내지 17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한다. 여기서 평판 배지는 PDA 평판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13일 내지 1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oculate the situation mushroom spawn in the plate medium to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then cultured for 13 to 17 days to obtain a mycelium. Here, the plate medium is preferably a PDA plate medium,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13 days to 17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15 days.

다음으로,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한다. 이때 균사체 디스크는 코르크 볼러로 절취할 수 있으며, 코르크 볼러의 직경은 4mm 내지 10mm일 수 있으나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Next, the obtained mycelium is cut to prepare a plurality of mycelium discs. At this time, the mycelium disc can be cut with a cork baller, the diameter of the cork baller may be 4mm to 10mm, but preferably 8mm. The mycelial disc produced may be at least two.

다음으로, MC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7 내지 12일간 진탕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다. 여기서 접종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이며 8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8℃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25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mycelium disk in MCM medium and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shake culture for 7 to 12 days to obtain a primary inoculum. At least two mycelium disks to be inoculated are preferably eight. In addition,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rpm to 250rpm, but preferably 100rpm.

또한, 배양일수는 7일 내지 12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10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은 제 2차 접종원으로 배양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7 to 12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10 days. In addition, the obtained primary inoculum may be further subjected to homogenization before incubation with the secondary inoculum.

다음으로,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3일 내지 7일간 진탕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다. 여기서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25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primary inoculum in MCM medium and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shake culture for 3 to 7 days to obtain a secondary inoculum.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rpm to 250rpm, but preferably 100rpm.

또한, 배양일수는 3일 내지 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3 to 7 days, but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5 days.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to be inoculated in the MCM medium may be 10%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primary inoculum, but preferably 10% by volume. Do.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차 접종원은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접종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second inoculum, the volume of the primary inoculum inoculated with the MCM medium is preferably in a ratio of 10: 0.8 to 10: 1.2. And the second inoculum may be further subjected to homogenization before inoculation into MCM medium containing vitamin tree powder.

다음으로,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8℃ 내지 32℃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진탕 배양한다. 여기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inoculate the second inoculum in MCM medium containing the vitamin tree powder and adjust the culture temperature to 28 ℃ to 32 ℃ and then shake culture for 8 to 10 days. Wherein the volume of the first inoculum inoculated in the MCM medium may be 10%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first inoculum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a second inoculum, but preferably 10% by volume. .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8℃ 내지 32℃일 수 있으나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탕 속도는 100rpm 내지 25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second inoculum inoculated with MCM medium in the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s preferably in a ratio of 10: 0.8 to 10: 1.2. In addition, the culture temperature may be 28 ℃ to 32 ℃ but preferably 30 ℃. The shaking speed may be 100 rpm to 250 rpm but is preferably 100 rpm.

또한, 배양일수는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8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비타민나무 분말 사이의 비율이 MCM 배지 100㎖당 1g 내지 10g의 비타민나무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ulture days may be cultured for 8 days to 10 days, it is preferable to culture for 8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 inoculum,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between the MCM medium and the vitamin tree powder contains 1 g to 10 g of the vitamin tree powder per 100 ml of the MCM medium.

한편,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상황 버섯의 액체배양을 위한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 및 제 2차 접종원을 진탕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의 pH는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H of the MCM medium is 4.0 to 10.0 in the step of obtaining a primary inoculum for the liquid culture of the situation mushroom using vitamin trees, obtaining a secondary inoculum and shaking culture of the secondary inoculum It is preferable.

(배양물)(Culture)

담자균류에 속하는 버섯은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성장하는 중요한 식품 자원이면서 약용식물이다. 버섯은 그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독특하며 단백질, 비타민, 및 기타 무기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최근 연구에 의하면 버섯류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인 글루칸(glucan)유도체들에 의한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보고되어 건강식품으로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버섯에 존재하는 식이성분이 특정 암에 대하여 항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동물에 버섯을 식이하였을 때 암 형성이 현저히 감소됨이 보고되었다. Mushrooms belonging to basidiomycetes are important food resources and medicinal plants that decompose and grow various organic substances. Mushrooms are unique in taste and aroma, and contain a lot of protein, vitamins, and other inorganic nutrients. In particular,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anti-cancer and antiviral effects caused by glucan derivatives, which are polysaccharides contained in mushrooms, and are gaining worldwide attention as health foods. Recen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ietary components present in mushrooms exhibi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certain cancer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cancer form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when mushrooms are fed to animals.

이러한 항암 활성을 가지는 버섯유래 저해인자들의 기작중의 하나는 간에서의 사이크롬 P450-의존적 모노옥시게나제(cytochrome P450-dependent monooxygenase: CYP450) 활성을 저해하여 발암성 전구체 물질이 발암성 물질로 전이 되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이다.
One of the mechanisms of mushroom-derived inhibitors with such anticancer activity is to inhibit cytochrome P450-dependent monooxygenase (CYP450) activity in the liver, thereby transferring carcinogenic precursors to carcinogens. It is involved in reducing what is happening.

비타민나무는 탄닌, 각종 비타민과 18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특 히, 비타민나무의 잎은 탄닌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티에로사이드 등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C, 지방, 섬유질, 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The vitamin tree contains tannins, various vitamins and 18 amino acids. In particular, the leaves of vitamin trees contain high amounts of tannins, flavonoid-based compounds such as thiosides with excellent antioxidant effects, and are known to be rich in vitamin C, fat, fiber, amino acids, minerals, and the like.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된 노루궁뎅이 버섯, 영지 버섯, 상황 버섯의 배양물은 비타민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들뿐만 아니라 버섯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들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된 배양물은 건강보조식품이나 음료를 만드는 원료로써 사용될 수 있다. The culture of snail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 and situation mushroom cultured by the above method includes not only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vitamin tree, but also bioactiv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mushroom itself. Therefore, the culture cultured by the above method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making health supplements or beverages.

여기서 건강보조식품이나 음료를 만들 때의 버섯 추출물은 버섯 균사체 또는 자실체에 증류수, 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용매를 가하여 열 또는 상온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버섯 추출물 제조방법은 추출하고자 하는 유효성분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다.
Here, the mushroom extract in making health supplements or beverages may be prepared by adding a solvent or distilled water, alcoh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to the mushroom mycelium or fruiting body by extracting them at room temperature or at room temperature. Can be. However, the mushroom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is preferably used according to the effective method to be extracted. The alcohol is preferably ethanol, methanol, butanol or isopropanol.

상술한 배양방법에 의해 배양된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또는 홍국균의 종균을 커피생두에 접종한다. 이때 종균의 접종은 각 버섯의 종균이 액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포트(200ml 또는 500ml)에 커피생두와 종균을 넣어 세이킹(shaking) 함으로써 접종된다. 커피생두와 상황버섯, 영지버섯, 또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의 중량비는 1:0.05~0.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커피생두에 비해 20%의 종균을 접종하였다(일예로 커피생두 100g에 20ml의 종균).Seeds of cultivated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s, roe deer mushrooms or red yeast fungi cultured by the above-described culture method are inoculated into coffee beans. At this time, inoculation of spawn is inoculated by shaking the coffee beans and spawn in a pot (200ml or 500ml) because the spawn of each mushroom is in a liquid state. The weight ratio of the coffee beans and the situatio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or roe mushroom is preferably 1: 0.05 ~ 0.3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oculated 20% spawn compared to coffee beans (for example, coffee 20 ml of spawn in 100 g of green beans).

상황버섯, 영지버섯, 또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배양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앞서 상술한 상황버섯, 영지버섯, 또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의 배양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ultivation of mycelium of the situatio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or roe deer mushroom may be a variety of method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cultivating mycelium of the situatio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or roe deer mushroom.

다음으로, 접종된 커피생두를 발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접종된 커피생두의 발효기간은 종균에 따라 다르며 아래와 같다.
Next, the fermented coffee beans are inoculated (S500). The fermentation period of inoculated coffee beans differs depending on the seeds and is as follows.

상황버섯 또는 영지버섯의 종균을 접종한 경우에는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20℃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Inoculation of spawn mushroom or Ganoderma lucidum seedlings is preferably incubated at a temperature of 18 ° C. to 22 ° C. for 5 days to 15 days.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cubated for 10 days at approximately 20 ℃.

한편,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을 접종한 경우에는 23℃ 내지 28℃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25℃의 온도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On the other hand, when inoculating the seedling of the roe deer mushroom is preferably incubated for 5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23 ℃ to 28 ℃.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cubated for 10 days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25 ℃.

또한, 홍국균의 종균을 접종한 경우에는 27℃ 내지 33℃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홍국균 1 및 홍국균 4를 이용했으며, 대략 30℃의 온도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In addition, when inoculated with the seed of the hongguk bacteria, it is preferable to incubate for 5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27 ℃ to 33 ℃.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hongguk 1 and hongguk 4, it was incubated for 10 days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30 ℃.

<발효 조성물><Fermentation composition>

상술한 상황버섯,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또는 홍국균의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면 커피생두가 발효된 조성물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조성물을 로스팅하여 발효커피를 제조하는 경우 각 종균에 따라 산미, 쓴맛, 향기 등이 다르고, 또한 인체에 유용한 아미노산과 가바 및 크로로겐산 함량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건강기호 식품으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
When inoculated and fermented with the spawn of the above-mentioned mushrooms, Ganoderma lucidum mushroom, roe deer mushroom, or hongguk bacteria to produce a composition in which coffee beans are fermented. At this time, when the fermented coffee is produced by roasting the produced composition, acidity, bitter taste, and aroma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eed, and it also contains a lot of amino acid, Gaba, and crorogen acid, which are useful for human body.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각종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커피는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페놀산은 항산화 및 항암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항산화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리 몸에는 끊임없이 활성산소(유해산소)가 생긴다. 활성산소는 이른바 불완전하게 연소된 산소 즉, 전자를 잃어버린 불안정 산소로서 이 산소가 세포를 공격해 상처를 입히는데 이를 산화작용이라고 한다. Fermented coffee fermented by inoculating various kinds of spa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components useful for the human body. Phenolic acid is a substance involved in antioxidants and anticancer. Antioxidants are described below. Your body constantly produces free radicals. Free radicals are so-called incompletely burned oxygen, that is, unstable oxygen that loses electrons, and this oxygen attacks cells and injures them, called oxidation.

따라서 황산화 물질은 전자가 없는 유해산소와 자유 라디칼에 자신의 전자를 내어 줌으로써 유해산소가 전자를 뺏기 위해 우리 몸을 파괴하는 것을 막아 주는 물질을 일컫으며 본 발명에서의 폴리 페놀이 이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Therefore, the sulfated substance refers to a substance that prevents harmful oxygen from destroying our body to take away electrons by giving its own electrons to free radicals and free radicals without electrons. to be.

도 3은 접종된 각 종균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에 따른 수치 데이터가 표 2에 나타나 있다.Figure 3 shows the total phenolic content for each seed inoculated, the numerical data according to Figure 3 are shown in Table 2.

종류Kinds 총 폴리페놀 함량(μg/ml)Total Polyphenol Content (μg / ml) 만델인 커피Mandelin Coffee 132.86132.86 발아 커피Germinated coffee 143.72143.72 영지 커피Ganoderma lucidum coffee 131.14131.14 노루궁뎅이 커피Roe Deer Coffee 184.24184.24 상황 커피Situation coffee 210.10210.10 홍국1 커피Hongguk 1 coffee 180.45180.45 홍국4 커피Hongguk 4 coffee 199.07199.07

표 2에서 만델인 커피는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 생두이고, 발아커피는 종균을 접종하지 않고 생두를 발아시킨 원두를 의미한다. 또한, 영지 커피는 영지버섯 종균을 생두에 접종하여 발효시킨 영지 원두를 의미하며, 노루궁뎅이 커피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노루궁뎅이 원두를 의미한다. 이하 상황 커피, 홍국1 커피, 홍국 4 커피도 동일하게 상황 원도, 홍국1 원도, 홍국 4 원두를 의미한다.
In Table 2, Mandelin coffee is green beans produced in Indonesia, and germinated coffee refers to beans that germinated green beans without seeding. In addition, ganoderma lucidum coffee refers to ganoderma lucidum beans fermented by inoculating the Ganoderma lucidum spawn in green beans, and roe deer coffee refers to roasted bean beans inoculated and fermented with spawns of goji mushrooms. The following situation coffee, hongguk 1 coffee, hongguk 4 coffee also means the situation circle, hongguk 1 won, hongguk 4 beans.

표 2를 살펴보면 1mg/ml의 시료를 750nm의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 상황 원두가 가장 높은 210.10μg/ml의 페놀 함량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상황 발효 원두가 가장 높은 항산화 작용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the 1 mg / ml sample was measured with absorbance at 750 nm, showing the highest phenol content of 210.10 μg / m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ermented soybeans fermented by inoculation with the spawn seedling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또한, 시료 1mg/ml를 이용하여 ABTS+에 의한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원두가 가장 높은 70.88%의 활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상황발효 원두가 자유 라디칼을 가장 잘 소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에는 도 4에 따른 수치 데이터가 나타나 있다.In addition, free radical scavenging by ABTS + using 1 mg / ml of the sampl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70.88%, as shown in FIG. 4.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ermented soybeans fermented by inoculating fermented mushrooms can best eliminate free radicals. Table 3 shows numerical data according to FIG. 4.

종류Kinds 자유 라디칼 소거 함유량(%)Free radical scavenging content (%) 만델인 커피Mandelin Coffee 58.558.5 발아 커피Germinated coffee 58.0458.04 영지 커피Ganoderma lucidum coffee 55.7455.74 노루궁뎅이 커피Roe Deer Coffee 60.7160.71 상황 커피Situation coffee 70.8870.88 홍국1 커피Hongguk 1 coffee 61.5661.56 홍국4 커피Hongguk 4 coffee 62.8862.88

또한, 시료 0.5mg/ml를 이용하여 DPPH에 의한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원두가 가장 높은 57.22%의 활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상황발효 원두가 자유 라디칼을 가장 잘 소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에는 도 5에 따른 수치 데이터가 나타나 있다.In addition, free radical scavenging by DPPH using 0.5 mg / ml of the sampl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57.22%, as shown in FIG. 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ermented soybeans fermented by inoculating fermented mushrooms can best eliminate free radicals. Table 4 shows the numerical data according to FIG. 5.

종류Kinds 자유 라디칼 소거 함유랑(%)Free radical scavenging content (%) 만델인 커피Mandelin Coffee 45.5145.51 발아 커피Germinated coffee 32.4832.48 영지 커피Ganoderma lucidum coffee 39.7539.75 노루궁뎅이 커피Roe Deer Coffee 49.849.8 상황 커피Situation coffee 57.2257.22 홍국1 커피Hongguk 1 coffee 46.8546.85 홍국4 커피Hongguk 4 coffee 56.2456.24

또한, 1mg/ml의 시료를 593nm의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 FRAP 환원법에 의한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원두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고, 따라서 가장 많은 4.09mM의 농도를 보이고 있다. 표 5에는 도 6에 따른 수치 데이터가 나타나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a sample of 1mg / ml at an absorbance of 593nm,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by FRAP reduction method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the situation beans as shown in Figure 6, thus show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4.09mM . Table 5 shows the numerical data according to FIG. 6.

종류Kinds 자유 라디칼 소거 함유량(mM)Free radical scavenging content (mM) 만델인 커피Mandelin Coffee 1.771.77 발아 커피Germinated coffee 2.762.76 영지 커피Ganoderma lucidum coffee 2.072.07 노루궁뎅이 커피Roe Deer Coffee 3.353.35 상황 커피Situation coffee 4.094.09 홍국1 커피Hongguk 1 coffee 2.812.81 홍국4 커피Hongguk 4 coffee 2.922.92

한편, 접종된 종균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한 도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버섯의 종균을 접종한 발효 원두가 가장 많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mparison of the amino acid content according to the seeded seed is shown in Figure 7. As shown in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the fermented beans inoculated with the spawn of the situation mushroom contains the most amino acids.

생두가 배전(roasting)하는 과정에서 총 아미노산 함량의 손실이 약 10% 정도가 된다. 그 중 Arg는 약 27배, Ser은 5.8배, Lys는 3.7배 정도의 손실을 본다. 그 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p, Gly, His, Thr, Ala, Pro, Val, Met, Ile, Phe 등도 손실됨을 알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roasting,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is lost by about 10%. Among them, Arg loses 27 times, Ser 5.8 times, and Lys loses 3.7 times.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Asp, Gly, His, Thr, Ala, Pro, Val, Met, Ile, Phe and the like are also lost.

이때 생두를 물에 침지하여 발아시킨 발아 원두의 경우 총 아미노산 함량이 70.2 μg/mg으로서 원두의 67.47μg/mg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상황버섯의 종균을 접종한 상황발효 원두가 가장 높은 87.79μg/mg의 아미노산을 함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germinated beans germinated by soaking in soybean water was 70.2 μg / mg, which is higher than 67.47μg / mg of beans. It can be seen that it contains an amino acid of μg / mg.

또한, 산성아미노산 중 글루탐산(Glutamic acid)은 배전으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파민, 노아드레날인, 아드레날인 등 신경 전달 물질 및 기억력 개선에 관여하는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니알라닌은 배전 공정 중 감소하나 상황발효 원두는 원두보다 약 13%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티로신은 배전 공정 중 약 17%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상황발효 원두는 0.70μg/mg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glutamic acid among acidic amino acids i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roasting. Phenoalanine, an aromatic amino acid involved in neurotransmitters such as dopamine, noadrenaline, and adrenaline and memory improvement, decreases during roasting, but the fermented beans increase about 13% compared to coffee beans. It can be seen that tyrosine is increased by about 17%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nd the situationally fermented bean has the highest value of 0.70 μg / mg.

뇌 및 중추신경계의 중요한 에너지원인 알라닌은 배전 공정 중 감소한다. 그러나 상황발효 원두는 4.34μg/mg로서 원두의 4.03μg/mg보다 높게 나타났다.Alanine, an important energy source in the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decreases during the roasting process. However, the conditionally fermented beans were 4.34 μg / mg, higher than 4.03 μg / mg of the beans.

항체 및 신경섬유 주위의 지방 덥게(myelin) 합성에 관여하는 세린은 배전공정 중 현저히 감소하는 아미노산 중 하나로서 발효에 의해 원두 및 발아 원두보다 월등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Serine, which i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fat myelin around antibodies and nerve fibers, is one of the amino acids that is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It can be seen that ferment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from beans and germinated beans.

GABA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혈압저하 및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다. 각 종균의 종류에 따른 GABA의 함량을 아래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일예로 상황원두는 상황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원두를 의미한다.GABA is one of the amino acids present in nature and is effective in lowering blood pressure and diuretic action. The contents of GABA according to each seed type are shown in Table 6 below. For example, situation beans refer to beans fermented by inoculation with seed mushroom seedlings.

생두Green beans 원두Beans 발아원두Germinated beans 상황원두Situation beans 영지원두Young Ji Doo 노루궁뎅이원두Roe Deer Bean 홍국1원두Hongguk 1 beans 홍국4원두Hongguk 4 beans GABAGABA 732.28732.28 110.24110.24 85.4185.41 97.6797.67 119.07119.07 159.30159.30 114.16114.16 79.5979.59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GABA의 함량은 생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생두를 로스팅한 원두에서 그 함량이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GABA의 함량이 생두에는 미치지 못하나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노루궁뎅이 원두가 원두에 비해 더 많은 GABA 함량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6, the content of GABA is the highest in green bean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of the green beans roasted drops sharply. In this case, the GABA content does not reach the green beans, but it can be seen that the beans were fermented by inoculating the seedlings of the Roestock beetles containing more GABA than the beans.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커피가루 100g, 끓는 물 400ml로 3회 추출한 농축액 중에서 0.1g을 5ml 용해 후 sep-pak 통과하여 HPLC 전개용매 15ml를 용출한다. 0.45um 여과 후 10ul HPLC를 주입하여 시료를 조제한다.
100 ml of coffee powder and 0.1 ml of the concentrated solution extracted three times with 400 ml of boiling water were dissolved in 5 ml and passed through sep-pak to elute 15 ml of HPLC developing solvent. Samples are prepared by injecting 10ul HPLC after 0.45um filtration.

상술한 시료에 의해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고렐린, 니코틴산, 크로로겐산, 카페인 등의 함량을 각 종균에 따라 나타내었다.As illustrated in FIGS. 8 to 15, the contents of trigolelin, nicotinic acid, crorogenic acid, caffeine, and the like are shown according to each seed.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만델인 원두와 발아원두의 경우에는 대부분 카페인 성분만이 피크를 나타내며,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난 종균을 접종한 발효 원두의 경우에는 상술한 4가지 성분이 모두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만델인 원두 및 발아 원두에 비해 각종 종균을 접종한 발효원두가 크로로겐산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암에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Mandelin beans and germinated beans shown in FIGS. 8 and 9, only caffeine components show peaks, and in the case of fermented beans inoculated with spawns shown in FIGS. 10 to 14, all four components described above peak. It is shown. Therefore, fermented beans inoculated with various spawns contain more chlorogenic acid than mandelin and germinated beans, which is useful for anticancer.

Claims (19)

커피생두를 물에 침지하여 발아시키는 단계(S100);
발아된 커피생두를 멸균시키는 단계(S200);
멸균된 커피생두를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시키는 단계(S300);
냉각된 커피생두를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 버섯 중 어느 하나의 종균과 접종하는 단계(S400); 및
접종된 커피생두를 발효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Immersing the coffee beans in water to germinate (S100);
Sterilizing the sprouted coffee beans (S200);
Storing the sterilized coffee beans in a storage room and cooling them (S300);
Inoculating the chilled coffee beans with any one of the spawn mushroom, Ganoderma lucidum mushroom, and scab mushroom (S400); And
Fermenting coffee beans using the mushroom spawn comprising the step of fermenting the coffee beans inoculated (S5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생두와 상기 물의 중량비는 1: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ffee green beans and coffee water fermentation method using a mushroom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1: 1.0 to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생두를 20 내지 30시간 동안 20 내지 30℃에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a mushroom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ffee beans are immersed at 20 to 30 ℃ for 20 to 30 ho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커피생두를 1 내지 3시간 동안 110℃ 내지 130℃ 온도에서 2 내지 4kgf/cm2의 압력으로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ermented coffee beans using a mushroom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germinated coffee beans sterilized at a pressure of 2 to 4kgf / cm 2 at 110 ℃ to 130 ℃ temperature for 1 to 3 ho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S300)는,
상기 멸균된 커피생두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step (S300),
The sterilized coffee beans are stored in a storage room for 1 to 3 hours at a temperature of 0 ℃ to 5 ℃ cooling; coffee beans using the mushroom spawn fermentation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생두와 상기 상황버섯, 상기 영지버섯, 및 상기 노루궁뎅이 버섯 중 어느 하나의 종균의 중량비는 1:0.05~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ffee beans and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mushroom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any one of the seed mushrooms, the Ganoderma lucidum mushroom, and the roe deer mushroom is 1: 0.05 ~ 0.30.
제 1 항에 있어서,
접종하는 종균이 상기 상황버섯 또는 상기 영지버섯인 경우에는,
상기 접종된 커피생두를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spawn seedling is the situation mushroom or Ganoderma lucidum mushroom,
The coffee green beans fermented method using the mushroom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oculated coffee beans are incubated for 5 days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18 ℃ to 22 ℃.
제 1 항에 있어서,
접종하는 종균이 상기 노루궁뎅이 버섯인 경우에는,
상기 접종된 커피생두를 23℃ 내지 28℃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seed to inoculate is the roe deer mushroom,
The coffee green beans fermented method using the mushroom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oculated coffee beans incubated at a temperature of 23 ℃ to 28 ℃ for 5 to 15 day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발효된 조성물.
A composition ferment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8.
제 9 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발효커피.
Fermented coffee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claim 9.
커피생두를 물에 침지하여 발아시키는 단계(S100');
발아된 커피생두를 멸균하는 단계(S200');
멸균된 커피생두를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시키는 단계(S300');
냉각된 커피생두를 홍국균 종균과 접종하는 단계(S400'); 및
접종된 커피생두를 발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Immersing the coffee beans in water to germinate (S100 ');
Sterilizing the sprouted coffee beans (S200 ′);
Storing the sterilized coffee beans in a storage room and cooling them (S300 ');
Inoculating the cooled coffee beans with the Hong Kong spawn seed (S400 '); And
Fermentation method of coffee beans using the Hong Kong spawn seed comprising the step of fermenting the coffee beans inoculated (S500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생두와 상기 물의 중량비는 1: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Coffee green beans and coffee water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 Kong spawn seed,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1: 1.0 to 2.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생두를 20 내지 30시간 동안 20 내지 30℃에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Coffee green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 Kong spawn se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ffee beans are immersed at 20 to 30 ℃ for 20 to 30 hou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커피생두를 1 내지 3시간 동안 110℃ 내지 130℃ 온도에서 2 내지 4kgf/cm2의 압력으로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ffee green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the Hong Kong spawn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germinated coffee beans sterilized at a pressure of 2 to 4kgf / cm 2 at 110 ℃ to 130 ℃ temperature for 1 to 3 hou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S300')는,
상기 멸균된 커피생두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저장실에 보관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oling step (S300 '),
The sterilized coffee beans are stored in a storage room for 1 to 3 hours at a temperature of 0 ℃ to 5 ℃ cooling; coffee beans fermentation method using a hongguk spawn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생두와 상기 홍국균 종균의 중량비는 1:0.05~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ffee beans and the weight ratio of the Hong Kong spawn spawn is 1: 0.05 ~ 0.30 coffee beans using the coffee beans spawn ferment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종된 커피생두를 27℃ 내지 33℃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ffee green beans fermented method using the Hong Kong spawn spaw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oculated coffee beans are incubated for 5 days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27 ℃ to 33 ℃.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발효된 조성물.
A composition ferment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to 17.
제 18 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발효커피.A fermented coffee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claim 18.
KR1020110079120A 2011-08-09 2011-08-09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KR101258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120A KR101258893B1 (en) 2011-08-09 2011-08-09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120A KR101258893B1 (en) 2011-08-09 2011-08-09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914A true KR20130016914A (en) 2013-02-19
KR101258893B1 KR101258893B1 (en) 2013-04-29

Family

ID=4789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120A KR101258893B1 (en) 2011-08-09 2011-08-09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893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20B1 (en) * 2014-01-08 2014-06-02 최재일 Fermented coffee
KR20160057618A (en)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eparation of acetic acid fermented coffee juice containing increased trigonillien content
KR20160057615A (en)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Method for producing vinegar comprising an effective compound derived from fermented coffee
WO2017192016A1 (en)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cherries using deep sea water and microorganisms
KR20180081171A (en) * 2013-03-15 2018-07-13 마이코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Myceliated coffe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CN110430762A (en) * 2017-03-31 2019-11-08 宋龙烨 Utilize the method for the enterobacteriaceae manufacture fermentation of coffee of cat dung coffee
CN114369632A (en) * 2020-10-15 2022-04-19 财团法人食品工业发展研究所 Method for producing MONACOLIN K and/or chlorogenic acid and culture product obtained by the method
KR102436524B1 (en) * 2021-10-19 2022-08-26 웰커피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coffee cultured with grain solid-type mushroom mycelium seed cul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14B1 (en) 2013-11-11 2014-05-30 김영금 Fermented and germinated coffee decreased caffe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38303B1 (en) * 2016-04-26 2017-05-2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지푸드 Method for producing coffee green beans with enhanced chlorogenic acid content by germination and fermentation
KR102226801B1 (en) 2018-11-01 2021-03-11 김근영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a drip coffee through grain budding/fermentation and from manufactured drip coffee, cold-brew coffee for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5631A4 (en) 2003-09-25 2011-09-07 Suntory Holdings Ltd Method of processing green coffee beans
JP2007000140A (en) 2005-05-25 2007-01-11 Suntory Ltd Processing method of coffee raw bean using lactic acid bacterium
KR101014871B1 (en) * 2008-08-12 2011-02-15 두두원발효(주) Coffee Fermented with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00239711A1 (en) 2009-03-23 2010-09-23 Pei-Jung Li Method for manufacturing coffee by solid state fermenta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171A (en) * 2013-03-15 2018-07-13 마이코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Myceliated coffe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KR101402920B1 (en) * 2014-01-08 2014-06-02 최재일 Fermented coffee
KR20160057618A (en)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eparation of acetic acid fermented coffee juice containing increased trigonillien content
KR20160057615A (en)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Method for producing vinegar comprising an effective compound derived from fermented coffee
WO2017192016A1 (en)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cherries using deep sea water and microorganisms
KR20170134967A (en) * 2016-05-04 2017-12-07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Processing of coffee cherry using deep sea water and microorganisms
CN110430762A (en) * 2017-03-31 2019-11-08 宋龙烨 Utilize the method for the enterobacteriaceae manufacture fermentation of coffee of cat dung coffee
CN114369632A (en) * 2020-10-15 2022-04-19 财团法人食品工业发展研究所 Method for producing MONACOLIN K and/or chlorogenic acid and culture product obtained by the method
KR102436524B1 (en) * 2021-10-19 2022-08-26 웰커피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coffee cultured with grain solid-type mushroom mycelium seed culture
WO2023068529A1 (en) * 2021-10-19 2023-04-27 웰커피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coffee through culture using solid grain mushroom mycelium sp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893B1 (en)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893B1 (en) Raw coffee beans fermenting method using mushroom and monascus sp., composition, and fermented coffee
AU2014233200B2 (en) Myceliated coffe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KR101326979B1 (en) Method for Producing Coumestrol and Coumestrol Produced by the Same Method
US9827213B2 (en) Astragalus membranaceus fermentation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90839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lcoholic beverage fermented by mushroom
CN104522812A (en) Cordyceps active lactic acid bacteria beverag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47148A (en) Cultivation method of cordyceps militaris seed mushroom
KR20090003779A (en) A medium compound of containing green tea to ganoderma lucidum or lentinus edodes and it&#39;s manufacturing method
KR20170142484A (en) Method for producing shiitake extract with increased beta-glucan content
CN101125019B (en) Pholiota adiposa mycelium fermentation vinegar beverage and preparation method
KR100523263B1 (en) Media containing mushroom and mushroom culturing method using same
KR101223464B1 (en) Method of culturing mushroom using hippophae rhamniodes and culture material of culturing thereof
KR101687538B1 (en) Method for producing vinegar comprising an effective compound derived from fermented coffee
KR101157545B1 (en) Fermentable wine comprising Chinese medic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96241B1 (en) A medium compound of containing green tea to Pleurotus ostreatus or Flammulina velutipes and it&#39;s manufacturing method
KR10149176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vinegar using extraction of detoxification of Rhus verniciflua and natural vinegar by the same
KR20170076075A (en) Cordyceps Militaris and Method for Cultivating thereof
KR20160075114A (en) Preparation Metod of Vinegar Containing Coffee Extract
KR20180119940A (en) Method for extract of manufacturing fermentated tea and extract of fermentated tea prepared therefrom
KR10137107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CHEJU Scoria and Functional Plants and Culturing Method
KR101235205B1 (en) A liquid culture method of Hericium erinaceum using Artemisia swayomogi and Hericium erinaceum culture material of culturing thereof
KR101163718B1 (en) Cordyceps militaris fruit body cultured by using rice and boild rice for health using the same
KR101851395B1 (en) Extract of graviola fermented by phellinus linte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47061A (en) Production method of phellinus linteus culture medium
US20230337597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mycelia, composition mycelia, manufacturing method for material comprising beta-glu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