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456A -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 Google Patents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456A
KR20130016456A KR1020120145453A KR20120145453A KR20130016456A KR 20130016456 A KR20130016456 A KR 20130016456A KR 1020120145453 A KR1020120145453 A KR 1020120145453A KR 20120145453 A KR20120145453 A KR 20120145453A KR 20130016456 A KR20130016456 A KR 2013001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fiber
array
optical
arra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식
김도훈
김중택
주관종
김효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택
Priority to KR102012014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6456A/ko
Publication of KR2013001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0Optical coupling means for use between fibre and thin-film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642D cross sectional arrangements of the fibres
    • G02B6/36722D cross sectional arrangements of the fibres with fibres arranged in a regular matrix arr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02B6/403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of the ferrule type, connecting a pair of fer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정렬(Passive Alignment)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광섬유 어레이와 렌즈 어레이를 정렬할 수 있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는 복수의 렌즈들이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렌즈어레이블록과, 복수의 광섬유들이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광섬유어레이블록과, 렌즈어레이블록 및 광섬유어레이블록 사이에 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렌즈어레이블록 및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이 각각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며, 광섬유로부터 출력된 광이 렌즈에 입사될 때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광섬유의 광축 방향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Array optical collimator}
본 발명은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Array Optical Collimat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기판에 광섬유 어레이와 렌즈 어레이를 수동정렬 방법에 의해 간단하게 정렬시키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에 관한 것이다.
광 콜리메이터는 광통신 분야에 사용되는 스위치(Switches), 감쇄기(Attenuator), 써큘레이터(Circulator)등 각종광모듈제조나 광신호처리(Optical Signal Processing)시 필수적이며, 최근에는 WDM(Wavelength Divisional Multiplexing)통신 방식이나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의 응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점차 어레이 형태의 콜리메이터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에 통상적인 광 콜리메이터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콜리메이터는 광섬유로부터 출력된 빛이 렌즈에 입사되었을 때, 렌즈의 적절한 굴절율 조절에 의해 빛이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부품이다. 또한, 역으로 입사된 빛에 대해서는 렌즈 내에서 평행하게 진행되던 빛이 렌즈 밖으로 출력될 때는 렌즈의 중심 끝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에 빛이 모아지게 되는데, 이 일정거리를 초점거리(FL : Focal Length)라고 하며, 광섬유가 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할 때 최상의 콜리메이터 기능을 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는 보통 일단면이 일정 각도(예를 들어, 8°)로 연마된 GRIN(Graded Index) 렌즈 혹은 곡률을 가지는 C 렌즈와, 일단이 페룰(ferrule)에 고정되어 있는 광섬유, 그리고 상기 렌즈의 연마면과 광섬유를 x-y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금속 하우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렌즈와 광결합되는 광섬유면은 보통 렌즈의 연마면과 동일한 각도로 연마되어 있으며, 이는 렌즈 및 광섬유 단면으로부터의 반사광 효과를 없애며 광축에 대해 평행광을 만들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광 콜리메이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광섬유를 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광섬유와 렌즈의 중심 방향으로의 정렬, 그리고 렌즈와 광섬유의 8° 연마면을 서로 대칭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복수의 광섬유와 이에 상응하는 복수의 렌즈를 병렬로 배치하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도 기본 구조는 상기의 단심 광 콜리메이터와 동일하며, 이를 어레이로 만들었을 경우, 각 광축 간에 균일한 광특성을 얻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광모듈의 채널 수 증가 및 경박단소화에 따라 구성 부품에 요구되는 광학적 규격은 더욱 엄격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일 예로, 광섬유 어레이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의 GRIN 렌즈로 어레이를 제조한 후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를 구현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균일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복수 개의 렌즈 연마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렬하는 공정과, 각각의 렌즈의 초점 거리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공정과, 여기에 각각의 렌즈에 대응되도록 제작된 광섬유 어레이와 렌즈어레이를 정렬하는 공정 등을 거치며, 이들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정밀한 구조물이 있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생산성이 낮으며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정렬 공정 중 렌즈 어레이의 제작 및 정렬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렌즈의 일단면의 연마 각도를 0도, 즉 광축에 수직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최근에는 미세 피치를 갖는 어레이형 광 콜리메이터를 위하여 반도체 공정 혹은 정밀 기계 가공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 렌즈어레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경우 제작의 어려움 및 생산성 등의 이유로 대부분 일면이 광축에 수직하게 제작된다. 하지만, 이때에도 렌즈에 대응되는 광섬유 단면은 반사광 효과를 없애기 위하여 8도로 가공해야만 하기 때문에 렌즈와 광섬유 간의 광축은 8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틀어지게 되어 광 정렬 공정이 까다롭고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정렬(Passive Alignment)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광섬유 어레이와 렌즈 어레이를 정렬할 수 있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는 복수의 렌즈들이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렌즈어레이블록과, 복수의 광섬유들이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광섬유어레이블록과, 상기 렌즈어레이블록 및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 사이에 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렌즈어레이블록 및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이 각각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렌즈에 입사될 때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섬유의 광축 방향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렌즈어레이블록과 상시 광섬유어레이블록의 사이에 배치되는 멈춤턱과,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이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의 하면을 지지하는 경사형성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형성부는 상기 멈춤턱으로부터 상기 렌즈어레이블록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되는 1단 이상의 단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사형성부는, 상기 멈춤턱으로부터 상기 렌즈어레이블록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기울기로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을 상기 멈춤턱에 접촉시킴으로써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에서 출력된 광이 렌즈에 수직으로 입사되므로, 종래의 특허(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10-2003-0002482호)와 같이 렌즈의 입사면을 경사지게 가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베이스 기판의 지정된 위치에 광섬유어레이블록과 렌즈어레이블록을 위치시키기만 하면 베이스 기판의 치수에 의해 광섬유와 렌즈가 정렬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반도체 실리콘 가공공정 혹은 정밀가공 공정의 정밀도가 광섬유와 렌즈 정렬의 정밀도로 직결되므로, 최종 제품 즉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광 콜리메이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1000)는 렌즈어레이블록(100)과, 광섬유어레이블록(200)과, 베이스 기판(300)을 포함한다.
렌즈어레이블록(100)은 복수 개의 렌즈가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복수의 렌즈(10)와, 렌즈어레이기판(20)과, 렌즈어레이덮개(30)로 구성된다.
렌즈(10)는 광섬유로부터 출력된 광이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출원공개된 바 있는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10-2003-0002482호에서는 렌즈의 일면(광이 입사되는 면)이 약 8°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렌즈 정렬 시 광축 방향 (Z 축)의 정렬 뿐만 아니라 각 렌즈의 연마각도, 즉 θy에 대한 정밀 정렬 공정이 요구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의 렌즈의 입사면은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θy에 대한 정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 및 특성 개선에 유리하다.
렌즈어레이기판(20)과 렌즈어레이덮개(30)는 렌즈(10)를 어레이 형태로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어레이기판(20)과 렌즈어레이덮개(30)에는 렌즈가 삽입되는 홈부(21,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 홈부(21,31)에 렌즈(10)가 하나씩 삽입된 상태에서 렌즈어레이기판(20)과 렌즈어레이덮개(30)가 상호 체결되면(접착제나 나사결합 등에 의해), 렌즈(10)가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어 고정된다.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은 복수의 광섬유(210)가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광섬유어레이기판(220)과, 광섬유어레이덮개(230)와, 광섬유(210)로 구성된다. 광섬유어레이기판(220) 및 광섬유어레이덮개(230)에는 광섬유(210)가 삽입되는 홈부(221,2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221,231)에 광섬유(210)가 하나씩 삽입된 상태에서 광섬유어레이기판(220)과 광섬유어레이덮개(230)가 상호 체결되면, 광섬유(210)가 일정 간격으로 정렬된다. 한편, 도 4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의 단면(A)(광이 출력되는 단면, 이하 '광 출력면'이라 함)은 약 8° 정도로 경사지게 가공되는데, 이는 광 출력면에서 광이 출력될 때 광이 공기층과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베이스 기판(300)은 렌즈(10)와 광섬유(210)가 광결합되도록 렌즈어레이블록(100)과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을 배치 및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 기판은 베이스부(310)와, 측면부(320)와, 멈춤턱(330)과, 경사형성부(340)를 가진다.
베이스부(3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면부(320)는 베이스부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며, 베이스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멈춤턱(330)은 베이스부(3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멈춤턱(330)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멈춤턱의 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므로 렌즈의 초점거리(Focal Length)에 맞게 결정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턱(330)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는 렌즈어레이블록(100)이 배치되며, 반대측에는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이 배치된다.
경사형성부(340)는 광섬유의 광 출력면에서 출력된 광이 렌즈로 입사될 때,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입사(즉, 렌즈의 입사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광섬유(210)를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8° 연마된 광섬유의 광 출력면에서 출력된 광은 경계면(공기층과 광섬유의 경계면)에서 매질의 굴절율 차이에 따라 굴절(스넬의 법칙)되는데, 그 굴절각은 약 3.8°정도 된다. 따라서, 광섬유에서 출력된 광이 렌즈에 수직으로 입사(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기 위해서는, 광섬유를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3.8도 정도 경사지게 배치하여야 한다.
이 경사형성부는 1단 이상의 단차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단의 단차면(341~344)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의 단차면(341~344)은 베이스부(3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멈춤턱(330)을 기준으로 하여 렌즈어레이블록의 반대측(즉, 광섬유어레이블록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각 단차면의 높이 및 단차면 사이의 간격은 광섬유어레이블록이 단차면에 놓여져 지지될 때, 약 3.8° 정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베이스 기판은 기계적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도 있고, 이미 표준공정으로 자리 잡은 반도체 실리콘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실리콘 공정의 경우 실리콘 블록 위에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포토 마스크(또는, 복수의 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포토마스크)를 놓고 에칭함으로써, 한번에 다수의 베이스 기판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렌즈와 광섬유가 매우 정밀하게 정렬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에칭 공정을 이용하면 수 μm 내의 오차범위로 매우 정밀하게 베이스 기판을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를 정렬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렌즈어레이기판(20)의 각 홈부에 렌즈(10)를 삽입한 후 렌즈어레이덮개(30)를 렌즈어레이기판(20)에 결합하여 렌즈어레이블록(100)을 조립한다. 동일하게, 광섬유어레이기판(220)의 각 홈부에 광섬유(210)를 삽입한 후 광섬유어레이덮개(230)를 광섬유어레이기판(220)에 결합하여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을 조립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어레이블록(100)과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을 멈춤턱(330)에 밀착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서 Z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결정된다. X축 방향으로도 위치를 결정하려면, 렌즈어레이블록(100)을 측면부(320)에도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측면부(320)는 베이스블록(3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지만, 이와 달리 별도로 제작하여 베이스블록(300)의 일면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은 경사진 면이 멈춤턱(330)에 밀착됨으로써 Z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정렬되고,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의 옆면이 측면부(320)에 밀착됨으로써 X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정렬된다. 그리고, 렌즈어레이기판의 두께와 광섬유어레이기판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렌즈어레이블록과 광섬유어레이블록을 Y축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방향의 정렬이란 각 광섬유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각 렌즈 중심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와 동일하게 배치됨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의 정렬이란 각 광섬유의 Y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각 렌즈 중심의 Y축 방향으로의 위치와 동일하게 배치됨을 의미하고, Z축 방향으로의 정렬이란 광섬유와 렌즈 사이의 거리가 렌즈의 초점거리(Focal Length) 만큼 이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와 같이 렌즈어레이블록(100)과 광섬유어레이블록(200)이 배치되면, θY, θZ, θX 방향으로도 정렬이 된다. 여기서, θY 방향의 정렬이란 Y축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였을 때, 광섬유와 렌즈의 광축을 나란하게 맞추어 각 렌즈를 통하여 콜리메이팅 된 빔이 베이스 기판의 Z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정렬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θZ 방향의 정렬이란 Z축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였을 때, 렌즈어레이블록과 광섬유어레이블록을 나란하게 맞추어, 서로 대응되는(마주보는) 렌즈와 광섬유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렬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θX 방향의 정렬이란, X축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였을 때, 광섬유에서 출사된 광의 진행 방향과 렌즈의 축 방향을 나란하게 맞추어 각 렌즈를 통하여 콜리메이팅 된 빔이 베이스 기판의 Z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정렬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술한 X축, Y축, Z축, θY, θZ, θX 방향의 정렬은 어레이 콜리메이터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공정인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반도체 실리콘 공정 등을 통해 그 형상(치수)이 정밀하게 가공된 베이스기판, 렌즈어레이블록 및 광섬유어레이블록의 형상(치수)를 상호 조립하기만 하면 이와 같은 정렬 공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에서 출력된 광이 렌즈에 수직으로 입사되므로, 종래의 특허(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10-2003-0002482호)와 같이 렌즈의 입사면을 경사지게 가공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렌즈 정렬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 향상 및 특성 개선은 물론 가격 인하에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베이스 기판의 지정된 위치에 광섬유어레이블록과 렌즈어레이블록을 결합하기만 하면 베이스 기판의 치수에 의해 광섬유와 렌즈가 정렬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1000A)는 베이스 기판(300A)의 경사형성부(340A)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2실시예의 경우 경사형성부는 멈춤턱으로부터 렌즈어레이블록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기울기, 즉 3.8°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340A)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섬유어레이블록의 하면 전체가 경사면(340A)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보다 구조적으로 더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는 렌즈어레이블록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즉,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렌즈와 렌즈어레이기판과 렌즈어레이덮개를 상호 조립함으로써 렌즈어레이블록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제3실시예의 경우 렌즈어레이블록(100A)은 직사각형 형상의 바디부(40)에 복수의 렌즈(10)가 어레이 형태로 삽입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렌즈어레이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렌즈 조립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조립과정이 더욱더 용이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광 콜리메이트는 베이스기판(300B)의 경사형성부(340B)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형성부(340B)는 복수의 단차면으로 이루어지되, 멈춤턱(330)을 기준으로 하여 렌즈어레이블록의 반대측(즉, 광섬유어레이블록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각 단차면의 높이 및 단차면 사이의 간격은 광섬유어레이블록이 단차면에 놓여져 지지될 때, 3.8°정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300C)에 정렬돌출부(351)를 더 형성함으로써 렌즈어레이블록과 광섬유어레이블록이 지정된 위치에 더 정확하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정렬돌출부와 같이 돌출된 형태가 아니라,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정렬홈부를 형성하여 렌즈어레이블록과 광섬유어레이블록의 정렬을 도울 수도 있다.
1000...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100...렌즈어레이블록
10...렌즈 20..렌즈어레이기판
21...홈부 30...렌즈어레이덮개
31...홈부 200...광섬유어레이블록
210...광섬유 220...광섬유어레이기판
230...광섬유어레이덮개 300...베이스 기판
310...베이스부 320...측면부
330...멈춤턱 351...정렬돌출부

Claims (1)

  1. 복수의 렌즈들이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렌즈어레이블록;
    복수의 광섬유들이 어레이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광섬유어레이블록; 및
    상기 렌즈어레이블록 및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 사이에 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렌즈어레이블록 및 상기 광섬유어레이블록이 각각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렌즈에 입사될 때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섬유의 광축 방향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KR1020120145453A 2012-12-13 2012-12-13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KR20130016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53A KR20130016456A (ko) 2012-12-13 2012-12-13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53A KR20130016456A (ko) 2012-12-13 2012-12-13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916A Division KR20120086588A (ko) 2011-01-26 2011-01-26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456A true KR20130016456A (ko) 2013-02-15

Family

ID=4789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453A KR20130016456A (ko) 2012-12-13 2012-12-13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64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109B2 (en) Optical fiber-lens array
JP6150809B2 (ja) その主面に複数の千鳥状の光方向転換機構を有する光学基材
US6625350B2 (en) Fiber collimator array
US10816735B2 (en) Lensed connector ferrule assembli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4526719A (ja) 関連付けられているマイクロレンズに結合された、千鳥状の劈開端部を備える複数の光ファイバーを有する光コネクター
JP2014526719A5 (ko)
US6081635A (en) Microoptical module with a WDM filter and an optical isolator for fiber-optic amplifier systems
US20030231829A1 (en) Lens array for use with array of fibers
US7940465B2 (en) Collimator array
US7315673B2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123792A1 (en) Two-dimensional optical element array, two dimensional waveguid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132106A (en) Optical coupling module
JP2018036637A (ja) レンズアレイ、ファイバアレイモジュール及び受光モジュール
JP2003248142A (ja) 二次元光学部材アレイ及び二次元導波路装置
KR20120086588A (ko)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KR20130016456A (ko)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US7561768B2 (en) Optical branching device
US6739762B2 (en) Optical device package
JP3910846B2 (ja) 二次元光学部材アレイ及び二次元導波路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4061671A (ja) 光デバイス
JPH04288507A (ja) 光ファイバ二次元アレイモジュール
JPH0836119A (ja) 低損失コリメータ対の作製方法
KR100473580B1 (ko) 실리콘 블록을 이용한 어레이 광 콜리메이터
US11803015B2 (en) Optical probe for opto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JP2005274700A (ja) 光合分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