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183A - 생체 신호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183A
KR20130016183A KR1020120157841A KR20120157841A KR20130016183A KR 20130016183 A KR20130016183 A KR 20130016183A KR 1020120157841 A KR1020120157841 A KR 1020120157841A KR 20120157841 A KR20120157841 A KR 20120157841A KR 20130016183 A KR20130016183 A KR 20130016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connector
sensing
module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051B1 (ko
Inventor
배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Priority to KR102012015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0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모듈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 모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 신호를 가공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모듈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 모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센싱 모듈에 구비된 전극에 이물질이 붙거나 접착력이 감소 되어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센싱 모듈만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고 통신 모듈은 기존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ioelectric Signal}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모듈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 모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제품들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심장병이나, 고혈압, 당뇨 등과 같은 질병을 가진 환자들은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 외에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건강관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항상 제품을 착용하고 다닐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건강관리 제품은 가볍고 휴대가 간편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패치 형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생체 신호의 측정 칩, 전극, 배터리 등이 일체로 집적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전극에 이물질이 붙는 등 위생상의 문제와 전극의 접착력이 감소하여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새 제품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구입하여야 하며, 기존 제품은 전극 이외의 다른 부속품들은 멀쩡한 상태인데도 세 제품으로 교체를 하는 것이 되어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00878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모듈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 모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센싱 모듈에 구비된 전극에 이물질이 붙거나 접착력이 감소 되어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센싱 모듈만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고 통신 모듈은 기존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 신호를 가공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센싱 모듈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가공시키는 센싱 제어부와; 상기 통신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신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센싱 제어부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시키는 제1커넥터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커넥터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센싱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 제어부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는 제2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를 통해 전달받은 가공된 생체 신호를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센싱용 반도체 칩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가공 후에 생체 신호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센싱 모듈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1차 가공하는 센싱 처리부와; 상기 통신 모듈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신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센싱 처리부를 통해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시키는 제1커넥터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커넥터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센싱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 처리부를 통해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는 제2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를 통해 전달받은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2차 가공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2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센싱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생체 신호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선택되는 전송부와; 상기 센싱 모듈 및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는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이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부는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탭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 되어 금속 재질의 제1데이터 라인과 제1전원 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제2커넥터부는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 상기 돌출탭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데이터 라인에 대칭되는 금속 재질의 제2데이터 라인과 제1전원 라인에 대칭되는 금속 재질의 제2전원 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은 상기 돌출탭이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데이터 라인과 제2데이터 라인이 접촉되고, 제1전원 라인과 제2전원 라인(1595)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 및 제2커넥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른 제1커넥터부 및 제2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은 상기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 및 상기 밸크로 테잎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볼록탭이 형성된 수커넥터와 상기 볼록탭이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암커넥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은 상기 볼록탭이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크로 테잎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은 상기 밸크로 테잎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태그부와 제2태그부로 이루어진 근거리통신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태그부 및 제2태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과 통신 모듈은 상기 제1태그부와 제2태그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크로 테잎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모듈과 측정된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 모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센싱 모듈에 구비된 전극에 이물질이 붙거나 접착력이 감소 되어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센싱 모듈만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고 통신 모듈은 기존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하고자 원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센싱 모듈의 종류가 다양하게 구비되어도 통신 모듈은 기존의 통신 모듈을 계속 사용하고, 센싱 모듈만 측정하고자 원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교환만 해주면 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루는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루는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 후 가공하는 측정 패치(100)와,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분석 수단(5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석 수단(500)은 컴퓨터 및 사용자가 손에 들고다닐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핸드폰(Cellphone), 스마트폰, 휴대용 의료 측정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 패치는(100)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센싱 모듈(110)은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의 판 형상이며, 전극(111)과, 센싱 제어부(130)와, 제1커넥터부(119)와, LED(141)와, 스피커(1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LED(141)를 구동시키는 LED 구동부(145)와 스피커(143)를 구동시키는 스피커 구동부(14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111)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과 접촉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한다.
상기 전극(111)은 점착성을 잃지 않고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Silicon)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센싱 제어부(130)는 상기 전극(111)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 노이즈 제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등의 가공을 한다.
아울러, 상기 센싱 제어부(130)에서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압축하며, 신호 보안을 위한 코딩, 신호 이상 감지 등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센싱 제어부(130)는 상기 전극(111)으로 전기가 흐르게 하여 상기 전극(111)으로부터 전기적 자극이 발생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 제어부(130)는 반도체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부(11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탭(119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탭(119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 되어 금속 재질의 제1데이터 라인(1193)과 제1전원 라인(119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커넥터부(119)는 상기 통신 모듈(15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신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센싱 제어부(130)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150)로 전달시킨다.
상기 LED(141)는 후술하는 전원부(154)의 방전 상태 및 측정 패치(100)의 동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상기 스피커(143)는 이를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통신 모듈(150)은 플랙시블한 재질의 판 형상이며, 제2커넥터부(159)와, 통신부(152)와, 전원부(15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부(15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 상기 돌출탭(1191)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오목한 오목홈(159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9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데이터 라인(1193)에 대칭되는 금속 재질의 제2데이터 라인(1593)과 제1전원 라인(1195)에 대칭되는 금속 재질의 제2전원 라인(1595)이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부(159)는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센싱 제어부(130)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는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부(119)는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센싱 모듈(110) 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150) 쪽에는 제2커넥터부(159)가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센싱 모듈(110) 쪽에 제2커넥터부(159)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통신 모듈(150) 쪽에 제1커넥터부(119)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제1커넥터부(119)의 돌출탭(1191)이 상기 제2커넥터부(159) 오목홈(1591)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커넥터부(119)의 제1데이터 라인(1193)과 제2커넥터부(159)의 제2데이터 라인(1593)이 접촉되고, 제1커넥터부(119)의 제1전원 라인(1195)과 제2커넥터부(159)의 제2전원 라인(1595)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전원부(154)를 통해 통신 모듈(15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전원 라인(1195)과 제2전원 라인(1595)을 통해 센싱 모듈(110)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극(111)을 통해 측정되어 센싱 제어부(130)에서 가공된 생체 신호는 상기 제1데이터 라인(1193)과 제2데이터 라인(1593)을 통해 상기 통신 모듈(1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50)에서 통신부(152)는 상기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분석 수단(500)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152)는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2)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54)는 상기 센싱 모듈(110) 및 통신 모듈(15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54)는 홀더(미도시)가 구비되어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재충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154)에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측정 패치(1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전극(111), 센싱 모듈(110) 및 통신 모듈(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은 실크 스크린, 진공 증착 및 스퍼터링 증착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전도성 페이스트(Paste)가 플랙시블 기판상에 회로모양으로 형성되거나, 금속을 회로모양의 패턴으로 절단하여 플랙시블 기판상에 붙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패치(100)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몸 상태를 측정해보고 싶은 경우에 적정한 신체 부위에 측정 패치(100)를 부착한다.
여기서,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목, 손목, 발목 등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신체 부위가 해당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패치(100)를 신체 부위에 부착하면, 예를 들어 손목에 부착한 경우 상기 전극(111)을 통해 맥박 파형과 같은 아날로그 생체 신호가 측정되며, 측정된 아날로그 생체 신호는 센싱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이어서, 센싱 제어부(130)에서는 전달된 생체 신호를 증폭 및 노이즈를 제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가공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압축, 신호 보안을 위한 코딩, 신호 이상 감지 등을 수행한다.
이어서, 센싱 제어부(130)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는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를 통해 통신 모듈(150)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 모듈(150)로 전달된 생체 신호는 통신부(152)를 통해 분석 수단(500)으로 전송되어 생체 신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석 수단(500)에서는 예를 들어, 스펙트럼 분석, 기존의 데이터와의 비교 및 이력 정보, 각종 지표의 표시 등이 제공되어 사용자는 몸 상태에 대하여 보다 자세 하게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패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이를 무선 통신을 통해 분석 수단(500)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자신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위급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건강을 지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 패치(100)를 장시간 사용하면 센싱 모듈(110)에 구비된 전극(111)에 이물질이 붙거나 점착력이 감소 되어 생체 신호의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 모듈(110)을 통신 모듈(15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센싱 모듈(110)을 통신 모듈(150)에 연결시켜면, 기존의 통신 모듈(150)은 계속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 될 수 있다.
아울러, 측정하고자 원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 모듈(110)의 종류도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통신 모듈(150)은 기존의 통신 모듈(150)을 계속 사용하고, 센싱 모듈(110)만 측정하고자 원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교환만 해주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센싱 모듈(110)에서 센싱 제어부(130) 대신에 센싱 처리부(115)가 구비된다.
통신 모듈(150)에는 전송부(151)와, 제어부(155)와, 저장부(153)와, 전원부(154)와, LED(157a)와, 스피커(158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LED(157a)를 구동시키는 LED 구동부(157)와 스피커(158a)를 구동시키는 스피커 구동부(158)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3)에는 상기 센싱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가 저장된다.
저장부(153)는 슬롯(미도시)을 통해 탈착 가능한 메모리카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메모리카드에 생체 신호가 저장되면, 메모리카드를 슬롯에서 빼낸 후 분석 수단(500)에 꽂아 로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부(151)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부(151)를 선택하면 상기 저장부(153)에 저장된 생체 신호가 상기 통신부(152)를 통해 분석 수단(500)으로 수동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센싱 모듈(110)에는 LED와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으며, 그 외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싱 처리부(115)는 상기 전극(111)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 노이즈 제거 등의 1차 가공을 한다.
이어서, 상기 센싱 처리부(115)를 통해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는 제1커넥터부(119)를 통해 상기 통신 모듈(150)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 모듈(150)에서 제어부(155)는 제2커넥터부(159)를 통해 전달받은 아날로그 신호인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등의 2차 가공을 한다.
상기 제어부(155)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압축하며, 신호 보안을 위한 코딩, 신호 이상 감지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통신부(152)는 상기 제어부(155)를 통해 2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분석 수단(500)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는 제어부(155)를 통신 모듈(150)에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센싱 모듈(110)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소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센싱 모듈(110)의 가격이 저렴하게 되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 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를 복수로 구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가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19) 및 제2커넥터부(15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른 제1커넥터부(119) 및 제2커넥터부(159)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를 복수로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 될 수가 있다.
따라서, 측정 패치(100)를 사용 중에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이 서로 분리되어 생체 신호 측정이 중단되거나 오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가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19) 및 제2커넥터부(15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각각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 및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결합 될 수가 있다.
아울러, 도 7에서 제1커넥터부(119) 및 제2커넥터부(159) 대신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결합 될 수가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볼록탭(315)이 형성된 수커넥터(310)와 상기 볼록탭(315)이 삽입되는 오목홈(335)이 형성된 암커넥터(330)가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310) 및 암커넥터(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각각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볼록탭(315)이 상기 오목홈(335)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결합 될 수가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태그부(510)와 제2태그부(530)로 이루어진 근거리통신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태그부(510) 및 제2태그부(5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 모듈(110) 쪽에 판독 및 해독 기능을 수행하는 제1태그부(510)가 구비되면, 상기 통신 모듈(150) 쪽에 정보를 제공하는 제2태그부(5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태그부(510)와 제2태그부(5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결합 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센싱 모듈 130: 센싱 제어부
150: 통신 모듈

Claims (15)

  1.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 신호를 가공하는 센싱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110); 및
    상기 센싱 모듈(110)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을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150)
    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111)과; 상기 전극(111)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가공시키는 센싱 제어부(130)와; 상기 통신 모듈(15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신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센싱 제어부(130)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150)로 전달시키는 제1커넥터부(119)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 제어부(130)를 통해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는 제2커넥터부(159)와; 상기 제2커넥터부(159)를 통해 전달받은 가공된 생체 신호를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부(152)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130)는 센싱용 반도체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5.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처리부(115)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110); 및
    상기 센싱 모듈(110)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가공 후에 생체 신호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150)
    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111)과; 상기 전극(111)을 통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1차 가공하는 센싱 처리부(115)와; 상기 통신 모듈(15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신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센싱 처리부(115)를 통해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150)로 전달시키는 제1커넥터부(119)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 처리부(115)를 통해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는 제2커넥터부(159)와; 상기 제2커넥터부(159)를 통해 전달받은 1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2차 가공시키는 제어부(155)와; 상기 제어부(155)를 통해 2차 가공된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부(152)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8.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센싱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153)와; 상기 저장부(153)에 저장된 생체 신호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선택되는 전송부(151)와; 상기 센싱 모듈(110) 및 통신 모듈(15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4)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9.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는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이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부(119)는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탭(119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탭(119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 되어 금속 재질의 제1데이터 라인(1193)과 제1전원 라인(1195)이 구비되며;
    상기 제2커넥터부(159)는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 상기 돌출탭(1191)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오목한 오목홈(159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9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데이터 라인(1193)에 대칭되는 금속 재질의 제2데이터 라인(1593)과 제1전원 라인(1195)에 대칭되는 금속 재질의 제2전원 라인(1595)이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돌출탭(1191)이 상기 오목홈(1591)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데이터 라인(1193)과 제2데이터 라인(1593)이 접촉되고, 제1전원 라인(1195)과 제2전원 라인(1595)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19) 및 제2커넥터부(15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른 제1커넥터부(119) 및 제2커넥터부(159)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커넥터부(119)와 제2커넥터부(159) 및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볼록탭(315)이 형성된 수커넥터(310)와 상기 볼록탭(315)이 삽입되는 오목홈(335)이 형성된 암커넥터(3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커넥터(310) 및 암커넥터(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볼록탭(315)이 상기 오목홈(335)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태그부(510)와 제2태그부(530)로 이루어진 근거리통신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태그부(510) 및 제2태그부(5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 재질의 밸크로 테잎(20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센싱 모듈(110)과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1태그부(510)와 제2태그부(5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밸크로 테잎(200)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0120157841A 2012-12-31 2012-12-31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144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841A KR101440051B1 (ko) 2012-12-31 2012-12-31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841A KR101440051B1 (ko) 2012-12-31 2012-12-31 생체 신호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183A true KR20130016183A (ko) 2013-02-14
KR101440051B1 KR101440051B1 (ko) 2014-09-12

Family

ID=4789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841A KR101440051B1 (ko) 2012-12-31 2012-12-31 생체 신호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33A (ko)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비엔에이 생체신호 측정시스템
CN114072081A (zh) * 2019-06-05 2022-02-18 乔伊马克斯有限责任公司 手术针套件和定位手术器械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364B1 (ko) * 2017-05-10 2019-01-03 주식회사 블랙야크 분리형 생체 신호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930A (ja) 2001-05-10 2002-11-19 Tamura Electric Works Ltd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測定装置、及び、通信装置
KR20090008786A (ko) * 2007-07-19 2009-01-22 지우솔루션주식회사 생체신호측정 패치
KR100895300B1 (ko) * 2007-07-20 2009-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KR101094198B1 (ko) 2010-07-23 2011-12-14 주식회사 유메딕스 시스템 온 칩 생체 신호 검측 패드 및 그것을 이용한 생체 신호 검측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33A (ko)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비엔에이 생체신호 측정시스템
CN114072081A (zh) * 2019-06-05 2022-02-18 乔伊马克斯有限责任公司 手术针套件和定位手术器械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051B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7576A1 (en) Common display unit for a plurality of cableless medical sensors
US2022028762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regnancy
KR101739542B1 (ko) 착용형 무선 12 채널 심전도 시스템
US8773258B2 (en) Data collection module for a physiological data collection system
JP5124602B2 (ja) 生体信号測定装置
US8626262B2 (en) Physiological data collection system
EP3048954B1 (en) Providing a personal mobile device-triggered medical intervention
US11771319B2 (en) Interface for two-part wearable patient monitoring device
US8620402B2 (en) Physiological sensor device
US6524240B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medical devices
EP3684245B1 (en) Determining an orientation of a wearable device
US20150073285A1 (en) Universal ecg electrode module for smartphone
US20160106367A1 (en) Wearable health sensor
US10342485B2 (en) Removable base for wearable medical monitor
US10588529B2 (en) EC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440051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WO2019015595A1 (zh) 血压检测手表
WO2019110553A1 (en) A portable device and a system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a person
CA3221955A1 (en) Modular wristband and sensor system
KR102471204B1 (ko) 인체 신호 검출 헤드셋 장치
EP3687393B1 (en)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of patients
JP2021164248A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CN112493994A (zh) 一种生命体征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