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905A -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905A
KR20130015905A KR1020110078238A KR20110078238A KR20130015905A KR 20130015905 A KR20130015905 A KR 20130015905A KR 1020110078238 A KR1020110078238 A KR 1020110078238A KR 20110078238 A KR20110078238 A KR 20110078238A KR 20130015905 A KR20130015905 A KR 20130015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ower
shock wave
generator
generating
wav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682B1 (ko
Inventor
조성찬
최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7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6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0006Changing the frequ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는,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충격파 생성기, 그리고 상기 충격파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를 집속하는 충격파 집속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the shock waves with multiple centre frequencie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외 충격파 쇄석기 등에 충격파 생성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충격파 생성 장치는 크게 압전소자형(piezoelectric type), 전기수력학적형(electrichydraulic type), 전자기형(electromagnetic type)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통상 충격파 생성 장치의 전기역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의 중심 주파수 (0.1 ~ 0.9 MHz)를 가지는 충격파를 생성한다. 충격파의 중심 주파수는 충격파 치료술의 중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는 캐비테이션과 상관성이 있고 충격파의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충격파의 적용 부위 및 치료 효과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치료 부위 및 대상 유형에 따라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조사해야 하지만, 기존의 고정된 단일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기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다. 이러한 기존의 단이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석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서로 다른 복수의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는,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충격파 생성기, 그리고 상기 충격파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를 집속하는 충격파 집속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는 복수의 커패시터와 복수의 인덕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여 전체 커패시턴스와 전체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일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는 전기수력학식 충격파 생성기일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는 각각 축 방향으로 분할된 원통형 구조는 가지며 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는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초음파 영상 프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 그리고 축 방향으로 원통형 구조의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가 외주면에 설치되는 몸체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초음파 영상 프로브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며 원통의 축 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영상 프로브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충격파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생성 장치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생성 장치의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생성 장치의 원통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압전 소자의 배열 및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파 생성 장치의 원통 형상의 축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압전 소자의 배열 및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를 포함한다.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pulse) 전원을 생성한다.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종래에 알려진 펄스 전류를 생성하는 펄스 제너레이터(pulse generato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케이스(case)(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의 작동을 위한 각종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103), 그리고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의 작동 상태 등에 관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105)가 케이스(101)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103, 105)는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하나의 통합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복수의 커패시터(C1, C2, C3, C4)와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를 포함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할 수 있는 복수의 스위치(S1, S2, S3, S4, S5, S6, S7, S8)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커패시터(C1, C2, C3, C4)와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의 개수가 네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스위치(S1, S2, S3, S4, S5, S6, S7, S8)는 스위치 컨트롤러(101)에 의해 온오프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S1, S2, S3, S4, S5, S6, S7, S8)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복수의 커패시터(C1, C2, C3, C4)와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됨으로써 전체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펄스 전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고전압 발생 장치(103), 복수의 커패시터(C1, C2, C3, C4),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 복수의 스위치(S1, S2, S3, S4, S5, S6, S7, S8), 그리고 저항 성분(R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전기 회로는 수학적으로 키리호프(Kirchhoff)의 법칙을 이용하여 식1과 같이 미분 및 적분을 포함하는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1]
Figure pat00001
(여기서 L은 인덕턴스, R은 저항, C는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V0 는 초기의 충전 전압을 나타내며, 편의상 시간 t=0에서 충격파 트리거 스위치(Shockwave trigger switch)(Sst)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식1의 방정식을 라플라스(Laplace) 변환하여 전류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의 식2와 같다.
[식2]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이다.)
식2에서
Figure pat00005
가 갖는 물리적 의미는 댐핑비(damping ratio)로서 부하의 저항 값과 회로의 특성 임피던스의 비로서
Figure pat00006
로 정의되고 시스템의 응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충격파용 펄스 생성 장치에서는
Figure pat00007
인 경우에 대해서, 즉 언더 댐핑(under damped) 시스템으로서 다음의 식3과 같이 변환된다.
[식3]
Figure pat00008
충격파용 펄스 생성 장치에서는 회로를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면서 진동하는 형태로 방전하게 된다.
따라서 충격파용 펄스 생성 장치의 캐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충격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충격파용 펄스 생성 장치는 고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변형 캐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사용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한 용량의 캐패시터 및 인덕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소자에 마그네트 스위치를 연결함으로써, 주파수 및 에너지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펄스 생성 장치를 구현하였다.
충격파 생성기(200)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서로 다른 주파수의 펄스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즉, 충격파 생성기(200)는 단일 주파수의 충격파만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충격파 생성기(200)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펄스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파 생성기(20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케이블(130)에 의해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파 생성기(200)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 전기수력학식 충격파 생성기, 또는 압전소자형 충격파 생성기일 수 있다. 도 2에는 충격파 생성기(200)가 압전소자형 충격파 생성기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 및 전기수력학적 충격파 생성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충격파 생성기(200)가 압전소자형 충격파 생성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 및 전기수력학적 충격파 생성기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파 생성기(200)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201, 2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압전 소자(201, 203)는 서로 다른 공진(중심) 주파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공진 주파수와 일치(근접)하는 특성을 가지는 펄스를 인가하여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의 압전 조사(201, 203)는 각각 축 방향으로 분할된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압전 소자(201, 203)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각각 원통 형상을 가지는 압전 소자(201, 203)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복수의 압전 소자(201, 203)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독립적으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201, 203)의 내면은 각각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의 출력단 중 양극에 연결되고, 압전 소자(201, 203)의 외면은 스위치(110, 120)를 통해서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의 출력단 중 음극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10, 120)는 각각 온, 오프 작동될 수 있는 통상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부호 110의 스위치가 온 되고 도면부호 120의 스위치가 오프 되면 도면부호 201의 압전 소자에만 펄스 전원이 인가되고 충격파가 생성되고, 도면부호 110의 스위치가 오프 되고 도면부호 120의 스위치가 온 되면 도면부호 203의 압전 소자에만 펄스 전원이 인가되어 충격파가 생성되며, 두 개의 스위치(110, 120)가 모두 온 되면 두 개의 압전 소자(201, 203) 모두가 충격파를 생성한다.
이때, 압전 소자(201, 203)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가 각 압전 소자(201, 203)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또는 근접)한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여 인가함으로써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201, 203)의 두께를 변화시켜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압전 소자(201, 203) 중 펄스 전원이 인가된 압전 소자가 고유한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펄스 전원이 인가되는 압전 소자를 선택함으로써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은 별도의 채널을 통해 각각 압전 소자(201, 203)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는 압전 소자(201, 203)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에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의 펄스 전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펄스 전원은 해당하는 압전 소자(201, 203)로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는 2개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의 펄스 전원을 각각 생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 및 스위치(110, 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로직에 따라 스위치(110, 120) 및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201, 203)는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205)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205)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 외면에 압전 소자(201, 203)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압전 소자(211, 213)가 각각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압전 소자(211, 213)가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211, 213)가 축 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중심을 지나는 면으로 절단한 두 개의 부재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두 개의 압전 소자(211, 213)가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100)의 출력 단자의 양극과 음극이 압전 소자(211, 213)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위치에 의해 압전 소자(211, 213) 중 어느 하나로 펄스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격파 집속기(300)는 충격파 생성기(200)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를 집속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파 집속기(300)는 포물선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파 생성기(200)는 충격파 집속기(30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충격파 집속기(300)의 내면은 반사면(301)을 형성하고, 충격파 생성기(200)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는 반사면(301)에 의해 반사되어 원하는 초점 영역으로 집속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사면(301)은 대략 포물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격파 생성기(200)가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적합한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충격파 생성 장치가 복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충격파 생성 장치가 체외 쇄석 치료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높은 에너지의 충격파와 체외 충격파 치료술에 쓰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또는 진단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충격파(또는 초음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초음파 영상 프로브(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충격파 생성기(200)의 몸체(205)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홀(207)이 형성되고,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초음파 영상 프로브(400)가 관통홀(213)에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영상 프로브(400)는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외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충격파 생성 장치에 초음파 영상 프로브(400)가 구비됨으로써, 충격파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를 위해 치료 부위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정확한 치료 부위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파 치료기의 사용이 더욱 간편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충격파 생성기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며 원통의 축 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음파 영상 프로브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
110, 120: 스위치
200: 충격파 생성기
300: 충격파 집속기
400: 초음파 영상 프로브

Claims (11)

  1.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는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충격파 생성기, 그리고
    상기 충격파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를 집속하는 충격파 집속기를 포함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전원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는 복수의 커패시터와 복수의 인덕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여 전체 커패시턴스와 전체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인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생성하는 전기수력학식 충격파 생성기인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는 각각 축 방향으로 분할된 원통형 구조는 가지며 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9. 제1항에서,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초음파 영상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각각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 소자, 그리고 축 방향으로 원통형 구조의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압전 소자가 외주면에 설치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영상 프로브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충격파 생성기는 상기 가변형 펄스 파워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 전원을 인가받아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의 충격파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며 원통의 축 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는 전자기식 충격파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영상 프로브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KR1020110078238A 2011-08-05 2011-08-05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KR101234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38A KR101234682B1 (ko) 2011-08-05 2011-08-05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38A KR101234682B1 (ko) 2011-08-05 2011-08-05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905A true KR20130015905A (ko) 2013-02-14
KR101234682B1 KR101234682B1 (ko) 2013-02-19

Family

ID=4789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238A KR101234682B1 (ko) 2011-08-05 2011-08-05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163B1 (ko) 2015-12-10 2017-04-04 주식회사 코러스트 다중 주파수 출력이 가능한 초음파 생성 장치
KR20210141173A (ko) * 2020-05-15 2021-11-23 (주)영인바이오텍 압전식 체외충격파와 레이저의 복합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4724B2 (en) 2015-09-30 2022-11-01 Btl Medical Solutions A.S. Methods and devices for tissue treatment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and electromagnetic fiel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4205A (ja) * 1996-03-01 1997-09-09 Toshiba Corp 衝撃波治療装置
JP4460691B2 (ja) * 1998-09-30 2010-05-12 株式会社東芝 超音波治療装置
WO2008099376A2 (en) * 2007-02-16 2008-08-21 Perl Paul K Non-invasive ultrasound-guided body contouring using skin contact cooling
KR100991846B1 (ko) * 2008-05-09 2010-11-04 주식회사 에이치엔티메디칼 충격파-초음파 통합형 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163B1 (ko) 2015-12-10 2017-04-04 주식회사 코러스트 다중 주파수 출력이 가능한 초음파 생성 장치
KR20210141173A (ko) * 2020-05-15 2021-11-23 (주)영인바이오텍 압전식 체외충격파와 레이저의 복합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682B1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78015A1 (en) Variable Operating Voltage in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KR101447532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기
KR101418356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의 초음파 변환기
KR101234682B1 (ko) 다중 중심 주파수 충격파 생성 장치
US10399121B2 (en) Bias application for 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s
WO2010006293A2 (en) Ultrasound wave generating apparatus
JP2007252909A (ja) 無線周波数エネルギを生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626552B (zh) 用于电容式微加工超声换能器的偏置控制
KR20130121498A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구동 장치 및 구동방법
US20230321689A1 (en) Power Console For A Surgical Tool That Includes A Transformer With An Integrated Current Source For Producing A Matched Current To Offset The Parasitic Current
CN113768612B (zh) 用于导管的高压发射电路及消融工具
CN104487012A (zh) 电外科器械和系统
Wong et al. An integrated ultrasound transducer driver for HIFU applications
EP34547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und pulse generation using gallium nitride field effect transistors
CN114768126A (zh) 超声频率的确定方法、超声输出方法及装置、电子设备
Stedman et al. Compact fast-switching DC and resonant RF drivers for a dual-mode imaging and HIFU 2D CMUT array
US11191957B2 (en) Living body stimulation device
CN114465193B (zh) 一种水下声波的发生装置、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2163992B1 (ko) 개별 주파수 필터가 구비된 초음파 생성 장치
WO2020044513A1 (ja) 超音波振動子、超音波処置具、及び超音波振動子の製造方法
Ngo Optimum switch sizing for class DE amplifier
CN107449714B (zh) 一种动态磁场实验装置的使用方法
Ponomarev et al. Design of Multi-Element Piezoelectric Emitters for Shock Wave Therapy Devices
Ozeri et al. High frequency resonant inverter for excitation of piezoelectric devices
JP2022517819A (ja) 衝撃波および超音波の複合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