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449A -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449A
KR20130015449A KR20110077447A KR20110077447A KR20130015449A KR 20130015449 A KR20130015449 A KR 20130015449A KR 20110077447 A KR20110077447 A KR 20110077447A KR 20110077447 A KR20110077447 A KR 20110077447A KR 20130015449 A KR20130015449 A KR 20130015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e
employee
power management
atten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7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077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5449A/ko
Publication of KR2013001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44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 전력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근태 관리 서버; 및 상기 근태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based on attendance record in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내 전력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원의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장치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건물 내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에너지의 소비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조명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기에너지 소비량의 20%에 달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기제품이 보급됨에 따라 전기에너지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가계나 기업뿐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방안의 일 예로, 가정이나 회사 또는 공장 등에서 사용자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들의 전원을 ON/OFF 하는 에너지 관리 방안에서 나아가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전력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에너지 관리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대기전력이란 기기의 동작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계속적으로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의미한다.
종래 대기전력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멀티 탭(multi tap)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안은 손수 플러그를 분리하거나 멀티 탭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줘야 한다는 등 사용자의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불편함과 에너지 소비절감 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홈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따라 원격지에서도 전기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전력 사용 정보 수집 또는 센서부 감지 동작 등을 기반으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에도 센서부 또는 표시부의 계속적인 동작으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위해 정보 수집 과정은 최소화하면서 원거리에서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업장에 이미 존재하는 근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원의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부재자의 업무공간 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근태 관리 서버; 및 상기 근태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근태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각 사원의 근태 정보 및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집한 상기 근태 정보로부터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 정보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근태 관리 서버는, 각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서버는, 소정의 접속권한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원의 데이터 통신수단으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각 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토대로 변경된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토대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력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과 연관되고, 상기 수신한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제어수단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이 차단 또는 재개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근태 관리 서버; 및 상기 근태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전력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력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건물 내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은,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각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식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는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기 기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웹 서버를 통해 사원의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에 대한 시스템 접속권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절차 수행 결과에 따라 해당 사원의 근태 정보, 상기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웹 페이지를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부터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수정 요청 사항을 토대로 변경된 대기전력 관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RFID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RFID 태그에서 상기 RFID 태그에 연관된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으로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에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관리를 위한 정보 수집 과정에서 현재 사업장에 구축된 근태 관리 시스템을 활용함에 따라 데이터 수집량을 줄이고 정보 수집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력 소모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 전력 관리자에 의한 전력 원격조정 뿐만 아니라 사원 각자가 자신의 업무공간 내 전기장치의 전력상태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건물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근태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전력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사원이 전기장치에 흐르는 전력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건물 내 전력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원의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건물 내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은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수집 장치(100),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사원의 근태 정보를 관리하는 근태 관리 서버(200),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근태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 내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전력 관리 서버(300) 및 전력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전력 관리 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건물 내 설치된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이 차단 또는 재개되도록 하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40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 장치(100)는 근태 정보 수집 방법의 다양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원의 근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경우, 정보 수집 장치(100)는 사원의 식별정보(예, 사원번호 또는 지문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원의 출퇴근, 출장 또는 외근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동으로 수집하는 방안의 일 예로 사원이 근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수동으로 근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수집 장치(100)는 근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는, 사원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이동단말기 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태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원의 근태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다.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원의 출근, 퇴근, 출장, 외근, 휴가, 회의중 등의 근태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 사원에 대한 인사 정보, 각 사원이 소속된 그룹에 관한 정보 및 각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에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서버(300)는 근태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 전체에 대한 중앙 전력 관리를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에 설치된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서버(300)는 근태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일정 시간 자신의 업무공간에 재실하지 않는 사원 또는 그룹에 대하여 각각 대응되는 전기장치(예, 사원의 PC, 조명, 콘센트 등)의 전력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관리 서버(300)에는 각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의 위치, 기기별 용도, 대기전력 차단 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소정 주기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서버(300)에서 건물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대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원거리 전력제어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RFID 통신을 이용하는 스마트 태그(Smart Tag)를 사용하는 경우, 전력 관리 서버(300)는 사원 별 업무공간 내 설치된 각각의 전기장치 또는 다수의 전기장치를 그룹핑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400)로 대기전력 차단 조건 데이터를 포함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태그(400)는 메시지에 포함된 조건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전기장치에 흐르는 대기전력이 차단 또는 재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태그(400)는 전력 관리 서버(300)가 빌딩 내 전기장치를 원격조정할 수 있도록 전력 관리 서버(300)의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이다. 스마트 태그(400)는 스마트 태그에 대응하는 전기장치의 전력상태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수단과 연관되고, 전력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전력 제어 신호를 대응되는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으로 전달하여 해당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이 차단 또는 제어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연구되고 있는 대기전력 차단 모듈이 탑재된 콘센트에 실장되어 해당 콘센트가 전력 관리 서버(300)의 원격 조정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또는 재개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은 현재 각 사무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근태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며, 근태 관리 서버(200) 및 전력 관리 서버(300)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은 이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태 관리 서버(200) 및 전력 관리 서버(300)를 하나의 서버에서 통합하여 각각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근태 관리 서버(200)와 전력 관리 서버(300)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근태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관리 시스템의 서버(200)는 제1 무선 통신부(210), 외부의 다른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제1 연동부(220), 웹 서버(230), 제1 제어부(240) 및 제1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연동부(220)를 활성화하여 외부에 구축된 사원의 근태 정보 및 사원 또는 그룹별로 관련된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60)와 연동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부(210)는 도 1에 도시된 정보 수집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제1 유무선 인터넷 모듈(211) 및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12)을 포함한다.
제1 유무선 인터넷 모듈(211)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LAN,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부(210)는 상기 정보 수집 장치(100)가 사원의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디바이스(예, 카드인식기 또는 지문인식기 등)인 경우,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입력된 사원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도출한 근태 정보(예, 출근, 퇴근, 조퇴, 출장 등)를 제1 유무선 인터넷 모듈(211) 또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12)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장치(100)가 사원의 이동 단말기 또는 고정 단말기와 같은 데이터 통신수단인 경우, 제1 무선 통신부(210)는 제1 유무선 인터넷 모듈(211)를 통해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부터 사원이 입력한 근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무선 통신부(210)가 정보 수집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사원 근태 정보는 제어부(240)로 전송된다.
웹 서버(230)는 제1 무선 통신부(210)에서 수신한 사원의 근태 정보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원은 웹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근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원은 데이터 통신수단(예를 들어, 사원의 PC, 노트북, PDA, 스마트 폰, 이동 단말기 등)를 통해 웹 서버(230)에 접속하고, 웹 서버(230)는 접속권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정보 접근권한이 있는 사원에게 근태 정보 등이 표시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관리 서버(200)는 사원 또는 그룹별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도 관리함에 따라, 웹 서버(230)는 근태 관리 서버(200)에 기 저장된 사원 또는 해당 사원이 소속된 그룹에게 해당되는 다수의 전기장치(예, 조명, PC, 장치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 웹 페이지를 데이터 통신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는 이후 후술할 전력 관리 서버(300)에서 부재자에 대응하는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원은 웹 서버(230)에 접속한 후, 웹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근태 정보를 변경하거나 다수의 전기장치 중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되는 조건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다. 사원이 웹 서버(230)를 통해 입력한 근태 정보 또는 대기전력 차단 대상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부(240)로 전송된다.
제어부(240)는 근태 관리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1 무선 통신부(210)와 정보 수집 장치(1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1 무선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제1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된 근태 정보를 메모리(250) 또는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웹 서버(230)를 통해 사원로부터 입력된 근태 정보 또는 대기전력 차단 대상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250) 또는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정보를 추가, 삭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40)는 제1 무선 통신부(210) 또는 웹 서버(230)를 통해 입력된 사원 근태 정보를 토대로 메모리(250) 또는 데이터베이스(260)에 기초하여 부재자의 업무공간 내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란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들 중 부재중인 사원에게 해당되는 전기장치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전력 관리자 또는 사원 각각에 의해 부재장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로 정의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250)로부터 도출한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와 함께 각 전기장치의 위치 정보 및 대기전력 차단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전력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메모리(250)는 관리자가 기 저장한 사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소속, 핸드폰 정보, 사원ID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사정보 필드(251), 각 사원의 근태현황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근태 정보 필드(252) 및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테이블 및 대기전력 차단 대상을 포함한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를 저장하는 전력 관리 정보 필드(253)를 포함한다.
각 필드에 기 저장된 정보는 이후 제1 무선 통신부(210) 또는 웹 서버(230)를 통해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240)의 동작에 의해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근태 관리 서버의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도 2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근태 관리 서버(200)는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고 부재자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전력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전력 관리 서버(300)에서 각 부재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를 선택하여 대기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전력 관리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력 관리 서버(300)는 일반적인 건물 내 전력 상태를 원격 조정하는 중앙 전력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필요한 구성에 한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서버(300)는 제2 무선 통신부(310), 제2 연동부(320), 제2 제어부(330) 및 제2 메모리(34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연동부(320)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60)와 연동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부(310)는 전력 관리 서버(300)와 근태 관리 서버(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2 무선 통신부(310)는 제2 유무선 인터넷 모듈(311)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제1 유무선 인터넷 모듈(211) 및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12)에 대응된다.
제2 유무선 인터넷 모듈(311)은 근태 관리 서버(200)로부터 근태 정보 또는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를 포함한 전력 관리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전력 관리 정보를 제2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제2 메모리(340)는 전력 관리 대상이 되는 건물 내 위치한 각종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예, 전기장치 위치정보, 제품 식별정보, 각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스마트 태그 정보 등)를 포함한 전기장치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때, 각 전기장치에 흐르는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각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스마트 태그도 식별정보가 설정되며, 스마트 태그에 관한 식별정보는 전기장치 식별정보와 연계되어 제2 메모리(340)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340)는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예, 전기장치 종류, 위치, 각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스마트 태그 정보 등)를 각 사원의 인사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40)는 제2 유무선 인터넷 모듈(311)을 통해 근태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제2 메모리(340)에 기초하여 대기전력 차단 대상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예, 전기장치 위치정보,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스마트 태그 정보, 대기전력 차단 시간 등)를 도출하고, 도출된 정보를 토대로 대기전력 차단/재개 시간 정보를 포함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는, 전력 관리 서버(300)는 제2 유무선 인터넷 모듈(311)을 통해 근태 관리 서버(200)로부터 근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제어부(330)는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메모리(340)로부터 부재중인 근무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대기전력 차단 대상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제2 메모리(340)에 각 사원 또는 그룹별 업무공간 내 위치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테이블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력 관리 서버(300)는 근태 관리 서버(200)로부터 근태 정보만 수신하더라도 부재중인 사원 또는 그룹에 대응하는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여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30)에서 생성된 대기전력 제어 신호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통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태그(400)로 전송된다.
이때,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력 관리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사원이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력 관리 서버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원은 정보 접근성에 관한 인증절차가 수행된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전력 관리 서버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등록, 삭제, 변경 등의 개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웹 서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정보 관리에 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정보 수집 장치(100), 근태 관리 서버(200), 전력 관리 서버(300) 및 스마트 태그(400)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사원의 근태 정보가 수집되거나 입력되면(S401), 정보 수집 장치(100)는 RFID 통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근태 관리 서버(200)로 근태 정보를 전송한다(S402).
근태 관리 서버(200)는 전송된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부재중이거나 부재 예정인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고(S403),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이들의 업무공간에 설치된 전기장치들 중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포함된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를 도출한다(S404).
이후, 근태 관리 서버(200)는 도출된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 및/또는 근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전력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405, S406).
전력 관리 서버(300)는 전송된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메모리에 저장된 전기장치 정보 테이블 및 스마트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태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407). 그리고, 대기전력 차단 또는 재개의 동작을 지시하는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대기전력 제어 신호는 대기전력 차단 시간 정보 등 조건 데이터를 포함한다(S408).
전력 관리 서버(300)에서 전 단계(S407)에서 도출한 스마트 태그 정보를 토대로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태그(400)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409).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 각각의 스마트 태그(400)는 대응하는 전기장치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력 제어장치를 구동시켜 해당 전기장치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시킨다(S41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정보 수집 장치(100), 근태 관리 서버(200), 전력 관리 서버(300) 및 스마트 태그(400)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사원의 근태 정보가 수집되거나 입력되면(S501), 정보 수집 장치(100)는 RFID 통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근태 관리 서버(200)로 근태 정보를 전송한다(S502).
근태 관리 서버(200)는 전송된 근태 정보를 기반으로 부재중이거나 부재 예정인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전력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503, S504).
이를 수신한, 전력 관리 서버(300)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부재중 또는 부재예정인 사원 혹은 그룹의 업무공간에 설치된 전기장치들 중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포함된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를 도출한다(S505).
그리고, 대기전력 차단 리스트를 토대로 메모리에 저장된 전기장치 정보 테이블 및 스마트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이 되는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태그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506).
그리고,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의 차단 또는 재개 여부를 지시하고, 차단 시간 정보 또는 재개 시간 정보 등의 조건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태그로 전송한다(S507, S508).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 각각의 스마트 태그(400)는 대응하는 전기장치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력 제어장치를 구동시켜 해당 전기장치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재개한다(S509).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사원이 전기장치에 흐르는 전력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6에서는 정보 수집 장치(100), 근태 관리 서버(200) 및 전력 관리 서버(300)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사원의 요청에 따라 정보 수집 장치(100)는 근태 관리 서버로의 접속을 요청한다. 접속요청시 정보 수집 장치(100)는 사원 또는 사원의 등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정보(예, 사원ID, 주민등록번호, 제품정보 등)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S601).
근태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청 및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근태 관리 시스템의 접속권한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S602). 접속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 수집 장치(100)의 시스템 접속을 차단하고(S603), 접속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사원의 근태 정보 및 해당 사원의 업무공간내 위치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한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S604).
근태 관리 서버(200)는 도출된 사원의 개인정보를 웹 서버(230)를 통해 정보 수집 장치(100)로 제공한다(S605).
이후, 정보 수집 장치(100)는 웹 서버(230)를 통해 근태 정보 및 해당 사원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확인한 사원에 의해 정보 수정요청사항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정보 수정요청사항을 근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606, S607).
예를 들어, 사원이 출장기간을 연장 또는 단축하려는 경우, 출장기간에 대한 수정사항을 근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이후 전력 관리 서버(300)에서 사원의 업무공간내 위치한 전기장치에 관한 전력 제어 기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원이 자신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전기장치들 중 대기전력 차단 대상으로 추가 또는 삭제 등 대기전력 차단 대상 변경사항을 웹 서버(230)를 통해 근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태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정보 수정요청사항에 토대로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사원의 근태 정보 또는 업무공간 내 위치한 전기장치에 관한 전력 관리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한다(S608).
또한, 근태 관리 서버(200)는 변경된 사원의 근태 정보 및/또는 변경된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전력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S609, S610), 전력 관리 서버(300)는 변경된 사항에 따라 해당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상태를 제어한다(S611).
도 6과 같은 과정에 따라, 사원은 전력 관리자가 자동으로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 상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도 개별적으로 자신의 업무공간 내 전기장치에 대한 개별적인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원은 데이터 통신수단(700)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 관리 서버(200)의 웹 서버(230)에 접속하여 자신의 근태 정보 또는 사원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새롭게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원은 일정기간(예, 월/일/시간 단위의 기간) 동안 자신의 업무공간에서 근무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사항에 대한 근태 정보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추가등록, 변경, 삭제 등의 근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근태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한 웹 페이지가 데이터 통신수단(700)의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사원은 웹 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전력 관리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부재시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를 선택하거나 변경 등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건물 내 전력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근태 관리 서버; 및
    상기 근태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태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각 사원의 근태 정보 및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집한 상기 근태 정보로부터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 정보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태 관리 서버는,
    각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소정의 접속권한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원의 데이터 통신수단으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각 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토대로 변경된 전력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토대로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전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과 연관되고, 상기 수신한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제어수단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이 차단 또는 재개되도록 수행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9. 건물 내 전력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근태 관리 서버; 및
    상기 근태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전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11. 건물 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건물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건물 내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각 사원의 근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근태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 부재하는 사원 또는 그룹의 업무공간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 식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각 사원 또는 그룹별로 업무공간 내 설치된 다수의 전기장치에 관한 상세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기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RFID 태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기 기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웹 서버를 통해 사원의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에 대한 시스템 접속권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절차 수행 결과에 따라 해당 사원의 근태 정보, 상기 사원의 업무공간 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차단 대상의 전기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웹 페이지를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으로부터 정보 수정 요청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수정 요청 사항을 토대로 변경된 대기전력 관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RFID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서 상기 RFID 태그에 연관된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으로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장치의 전력 제어수단에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10077447A 2011-08-03 2011-08-03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15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7447A KR20130015449A (ko) 2011-08-03 2011-08-03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7447A KR20130015449A (ko) 2011-08-03 2011-08-03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49A true KR20130015449A (ko) 2013-02-14

Family

ID=4789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7447A KR20130015449A (ko) 2011-08-03 2011-08-03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54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61B1 (ko) * 2014-01-28 2014-08-14 엠넥스텍 주식회사 건물의 통합 에너지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17217735A1 (ko) * 2016-06-15 2017-12-21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출입 관리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61B1 (ko) * 2014-01-28 2014-08-14 엠넥스텍 주식회사 건물의 통합 에너지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17217735A1 (ko) * 2016-06-15 2017-12-21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출입 관리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2605A (zh) 无线电力控制、度量以及管理
CN101842800A (zh) 用于主动电力负载管理的系统和方法
CN105519164A (zh) 能源管理系统
CN105825555A (zh) 基于Wifi定位的出勤管理方法及系统
CN106303024A (zh) 智慧酒店客房设备控制系统及方法
US201802780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CN103731491A (zh) 一种基于互联网或局域网的车位锁、车位管理系统及方法
CN104240314A (zh) 无线考勤系统及方法
EP2884621A1 (en) Electronic tag, system for wirelessly charging electronic tag,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electronic tag
CN107249211A (zh) 一种基于LoRa和NB‑IoT的智能网关及运行流程
JP6511288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CN103150618A (zh) 输电网工作计划生成系统和方法
EP2917994A2 (en) Personal energy system
CN203502791U (zh) 基于物联网的智能节能系统
CN111971868A (zh) 根据瞬时能量需求控制电气设备的设备和系统以及方法
KR20130015449A (ko)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23930B2 (en) Schedule management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CN207718443U (zh) 一种基于wifi嗅探技术的考勤系统
CN102567921A (zh) 智能用电互动服务系统
CN103345780A (zh) 一卡通会议签到终端
CN103559632A (zh) 一种智能客户拜访系统
US912501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mplement demand response events
CN105207367A (zh) 一种远程电力监控系统
CN104573954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的订单与支付管理方法及系统
CN104135714A (zh) 通过移动终端匹配所在场合中与需求相符者的位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