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893A -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 Google Patents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893A
KR20130013893A KR1020110075809A KR20110075809A KR20130013893A KR 20130013893 A KR20130013893 A KR 20130013893A KR 1020110075809 A KR1020110075809 A KR 1020110075809A KR 20110075809 A KR20110075809 A KR 20110075809A KR 20130013893 A KR20130013893 A KR 2013001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atertight
submarine
pressur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명
이민호
정진봉
김윤수
손진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3893A/ko
Publication of KR2013001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3Hulls built to withstand hydrostatic pressure when fully submerged, e.g. submarin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에 있어서 전선이 내압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위에 수밀을 위하여 적용하는 전선 관통구조에 관한 것으로, 잠수함의 내압 격벽을 관통하는 전선의 수밀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로서,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전선 관통관과 상기 전선 관통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 수밀형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잠수함에 설치되는 내압 격벽은 전선 이외에도 덕트 및 배관이 관통함에 따라 공간이 협소한바, 이와 같이 수밀형 전선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비수밀형 전선을 전선 관통관과 함께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적용함으로써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밀형 전선에 비하여 단가가 낮은 비수밀형 전선을 적용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비수밀형 전선은 잠수함에 적용된 사례가 많고, 종류가 다양하여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적용하기 위한 제품을 별도롤 개발하여야 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Cable Transit Structure of Submarine's Pressure Tight Bulkhead}
본 발명은 잠수함에 있어서 전선이 내압 격벽(Pressure Tight Bulkhead)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위에 수밀을 위하여 적용하는 전선 관통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전선 관통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비 수밀형 전선(Non-Watertight Cable)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구조를 개선한 잠수함의 내압 격벽용 전선 관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은 운항 중 발생될 수 있는 외부충격, 폭발 등으로 인해서 함 내 해수유입에 의한 침수나 화재 발생 시 외부압력이나 공기오염으로부터 승조원을 보호하고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함 내부를 2개 이상의 탈출구획으로 나누어 주는 내압 격벽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잠수함에 내압 격벽이 설치될 경우에는 이 내압 격벽을 관통하여 전선 관통구를 설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기존에는 주로 다중 전선 관통관(MCT: Multi Cable Transit)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수밀형 전선이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고가의 수밀형 전선을 적용함에 따라 설치비가 많이 들고, 또한 잠수함에 사용되는 수밀형 전선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해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은 물론, 특히, 수밀형 전선은 직경이 커서 공간을 많이 점유함에 따라 직경이 한정된 하나의 다중 전선 관통관에 여러 전선을 설치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불편함이 있게 되었다.
현재 공개된 특허문헌이 없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전선 관통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이 전선 관통관에 비교적 값이 싼 저가의 비 수밀형 전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설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선 관통관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의 내압 격벽용 전선 관통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잠수함의 내압 격벽을 관통하는 전선의 수밀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로서,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전선 관통관과 상기 전선 관통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 수밀형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내압 격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 관통관을 관통한 전선과 내부전선은 전선 수밀 접합장치에 의하여 접속되며, 상기 내압 격벽과 수직 보강재의 사이에는 상기 전선 수밀 접합장치를 감싸는 형태로 수밀 접합장치용 보호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전선 관통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 수밀형 전선은 이 전선 관통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서트 블럭에 의하여 고정 및 수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에 의하면, 잠수함에 설치되는 내압 격벽은 전선 이외에도 덕트 및 배관이 관통함에 따라 공간이 협소한바, 이와 같이 수밀형 전선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비수밀형 전선을 전선 관통관과 함께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적용함으로써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밀형 전선에 비하여 단가가 낮은 비수밀형 전선을 적용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비수밀형 전선은 잠수함에 적용된 사례가 많고, 종류가 다양하여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적용하기 위한 제품을 별도로 개발하여야 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상태를 예시한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전선 관통관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전선 접합 수밀장치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상태를 예시한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전선 관통관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전선 접합 수밀장치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의 내압 격벽을 관통하는 전선의 수밀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로서, 잠수함의 내압 격벽(10)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전선 관통관(20)과, 상기 전선 관통관(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장비나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전력 및 신호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비 수밀형 전선(31)을 포함한다.
내압 격벽(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잠수함의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 폭발 등으로 인해서 잠수함 내 해수유입에 의한 침수 사고가 발생하거나 화재 발생 시 외부압력 및 공기오염으로부터 승조원을 보호하고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잠수함 내부를 2개 이상의 탈출구획으로 나누어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이 내압 격벽(10)을 관통하여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기 전선 관통관(20)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각,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지만 원형관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 관통관(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 수밀형 전선(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전선 관통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서트 블럭(Insert Block)(21)에 의하여 수밀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진동이나 외력으로부터 전선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데, 상기 인서트 블럭(21)은 전선 관통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과 전선 관통관(20) 사이의 빈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전선의 외부둘레가 채워지는 사각블록형태로서 다수의 볼트(22)에 의하여 상기 전선 관통관(20)의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압 격벽(1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보강재(11)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 관통관(20)을 관통하는 비 수밀형 전선(31)과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전선(32)은 전선 수밀 접합장치(30)에 의하여 접속되며, 상기 내압 격벽(10)과 수직 보강재(11)의 사이에는 상기 전선 수밀 접합장치(30)를 감싸는 형태로 수밀 접합장치용 보호관(40)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내압 격벽(10)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 보강재(11)는 내압 격벽(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선 관통관(20)을 관통하는 외부 쪽의 비 수밀형 전선(31)과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전선(32)은 전선 수밀 접합장치(30)에 의하여 수밀구조로 접속되는데, 상기 전선 수밀 접합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을 연결한 후 그 외부를 몰딩(Molding)(33) 처리함으로써 전선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더불어, 잠수함에 설치되는 내압 격벽은 전선 이외에도 덕트 및 배관이 관통함에 따라 공간이 협소한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에 의하면, 수밀형 전선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비수밀형 전선을 전선 관통관과 함께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적용함으로써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밀형 전선에 비하여 단가가 낮은 비수밀형 전선을 적용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선 관통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선이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이나 외력으로부터 전선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인서트 블럭을 전선의 외부둘레가 채워지는 사각블록형태로 적용하고 있으나, 블럭의 형태를 사각으로 한정하지 않고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10: 내압 격벽 11: 수직 보강재
20: 전선 관통관 21: 인서트 블럭
22: 볼트 30: 전선 수밀 접합장치
31: 비 수밀 전선 32: 내부전선
33: 몰딩 40: 수밀 접합장치용 보호관

Claims (4)

  1. 잠수함의 내압 격벽을 관통하는 전선의 수밀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로서, 잠수함의 내압 격벽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전선 관통관과 상기 전선 관통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 수밀형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압 격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 관통관을 관통한 전선과 내부전선은 전선 수밀 접합장치에 의하여 접속되며, 상기 내압 격벽과 수직 보강재의 사이에는 상기 전선 수밀 접합장치를 감싸는 형태로 수밀 접합장치용 보호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선 관통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 수밀형 전선은 이 전선 관통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서트 블럭에 의하여 고정 및 수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4.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내압 격벽 전선 관통구조를 갖는 잠수함.
KR1020110075809A 2011-07-29 2011-07-29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KR20130013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809A KR20130013893A (ko) 2011-07-29 2011-07-29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809A KR20130013893A (ko) 2011-07-29 2011-07-29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93A true KR20130013893A (ko) 2013-02-06

Family

ID=4789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809A KR20130013893A (ko) 2011-07-29 2011-07-29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38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53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101977938B1 (ko) 2018-08-07 2019-07-04 이경우 고무부트를 이용한 잠수함용 케이블 결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결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53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101977938B1 (ko) 2018-08-07 2019-07-04 이경우 고무부트를 이용한 잠수함용 케이블 결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결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2714A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KR101163410B1 (ko) 선박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격벽 관통 구조
CN102869566A (zh) 船舶舱口
CN203326517U (zh) 船用电缆穿舱装置
KR101606521B1 (ko) 팽창형 슬리브 실런트 시스템
US11239645B2 (en) Cable hang-off arrangement
KR20130013893A (ko) 잠수함 내압 격벽의 전선 관통구조
KR20130115923A (ko) 해중 터널 장치
US20140116559A1 (en) Flexible pipeline for oil and gas transportation stabilized on seabed by anchorage pier
WO2013083162A1 (en) Pressure vessel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m onboard of ships
EP3342016B1 (en) Underwater cable repair habitat
CN213243451U (zh) 一种适用于电缆穿越油舱的结构
US20170293022A1 (en) Integrated antenna device
KR102328877B1 (ko) 수중 드론용 엄빌리컬 케이블
US1014449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propulsion unit
CN110662694B (zh) 海上浮体结构物
WO2020084308A1 (en) Improvements to cable hang off apparatus
CN202686681U (zh) 露天甲板水密贯穿装置
CN115864286B (zh) 动态海缆锚固装置及动态海缆系统
JP2009213279A (ja) 海底ケーブルの布設方法および海底ケーブル
RU126798U1 (ru) Судовое переборочное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446954B1 (ko)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20140003089U (ko) 선박용 케이블 관통 고정장치
WO2019116223A1 (en) Cable transit module
KR20110032437A (ko) 수중운항체용 광케이블 연결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