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00A -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 Google Patents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00A
KR20130012700A KR1020110074007A KR20110074007A KR20130012700A KR 20130012700 A KR20130012700 A KR 20130012700A KR 1020110074007 A KR1020110074007 A KR 1020110074007A KR 20110074007 A KR20110074007 A KR 20110074007A KR 20130012700 A KR20130012700 A KR 2013001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ndoscope
tube
outer coil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779B1 (ko
Inventor
김명희
Original Assignee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희 filed Critical 김명희
Priority to KR102011007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7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8Flexible endoscopes using shape-memo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61B1/2736Gast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십이지장과 배치위치가 직각 이상의 각도로 배치된 담관의 내부로 내시경으로 진입할 경우 내시경을 보조구의 내부에 삽입한 후 보조구의 끝단을 120°의 각도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내시경의 고유 조절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내시경의 골곡을 유도시켜 담도 내로의 내시경 진입을 간편하면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튜브가 외부튜브의 내부로 삽입되어 듀얼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튜브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관에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손잡이에 내,외부튜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통과해 외부코알단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코일단의 하부 끝단에 고정되는 와이어가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감겨져 내,외부코일단이 휘어지고, 와이어가 회전손잡이의 역회전으로 풀어지면 듀얼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시경에 탄성 복원력과 내,외부코일단의 복원력에 의해 일자 형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하여; 특성상 잘 휘어지지 않는 내시경을 별도의 선회 보조구의 내부로 삽입 결합한 상태로 인체의 장기로 삽입 시술하여 회전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끝단이 당겨져 휘어지거나 풀려져 일직선 형태로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Endoscopy aids turning direction}
본 발명은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십이지장과 배치위치가 직각 이상의 각도로 배치된 담관의 내부로 내시경으로 진입할 경우 내시경을 보조구의 내부에 삽입한 후 보조구의 끝단을 120°의 각도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내시경의 고유 조절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내시경의 골곡을 유도시켜 담도 내로의 내시경 진입을 간편하면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 있어서의 내시경은 수술이나 부검과 같은 신체의 개복이나 절개 없이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내부(위, 기관지, 식도, 대내장, 소내장 등)를 관찰하여 그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현재의 내시경은 이러한 의료분야뿐 아니라 정밀한 기계의 해체 없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파이프 내부의 이상 여부 등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까지 확대 실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내시경 장치는, 구부림 장치의 선단에 카메라가 장착된 형태를 가지는데, 상기 구부림 장치 내부에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전송용 와이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와이어 등과 함께 구부림 장치의 구부림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와이어 등이 내장된다.
이러한 구조의 내시경 장치의 사용 형태는, 인체의 특정 부위 또는 기계장치의 관찰 목적지에 카메라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적정 위치까지 다다르면 조정 와이어를 잡아당김으로써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나 각도를 변경, 조정하여 사용한다.
내시경은 내장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로서, 수술을 하거나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이러한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직장경, 방광경, 복강경, 흉강경, 종격경, 심장경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시경은 위장과 담관은 서로 직각으로 형성되어 내시경을 위장을 통해 삽입하여 담관의 내벽의 확인 하기 위해서는 내시경의 끝단이 담관 쪽으로 휘어지지가 않아 정확한 투시가 어려우며 휘어진다 하더라도 사각지대의 영역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투시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시경의 끝단을 담관의 내부로 삽입한 경우라도 내시경을 담도 내부로 밀어 넣을 경우 내시경의 회전각을 갖으면서 밀려들어 가는 힘을 분산시키거나 받쳐주는 지지기구 없이 담관 입구에 무리한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괄약근(Sphincter)이 심하게 파열되거나 2차적인 손상 및 오염이 발생되는 주의를 요하게 됨으로써 확인을 위한 시술의 난이도가 높아 시술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성상 잘 휘어지지 않는 내시경을 별도의 선회 보조구의 내부로 삽입 결합한 상태로 인체의 장기로 삽입 시술하여 회전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끝단이 당겨져 휘어지거나 풀려져 일직선 형태로 복원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끝단이 당겨져 내시경 자체적으로 휘어지는 굴곡 각도보다 더 큰 각도인 120°로 휘어질 수 있어 담관으로의 진입이 용이한 동시에 담관의 내벽면을 확인하기 위한 사각지대의 면적이 적어지고 위장을 통한 담관 내벽의 환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듀얼튜브의 끝단에 고정되는 와이어가 당겨져 듀얼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내시경의 투시방향을 간단하게 선회시킬 수 있으며, 회전손잡이를 반대로 회전시킴에 의해 듀얼튜브의 코일듀얼튜브부와 내시경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별도의 작동력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위장을 통해 유입되어 담관 내벽면의 확인을 위해 내시경 끝단을 선회시켜 쉽게 담도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선회보조구에 있어서, 선회를 위해 하부 끝단에 내,외부코일단이 연장 형성되는 내부튜브를 하부 끝단에 내시경이 노출되는 노출홀이 형성되는 외부튜브의 내부로 삽입하여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듀얼튜브를 구성하고, 상기 듀얼튜브의 내,외부튜브 상부 끝단에 중앙을 관통하는 암나선홀이 형성되는 일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관을 결합 고정하며, 상기 고정관의 암나선홀에 나선 체결되는 수나선단의 중앙을 관통하는 내시경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나선단의 상부면에 권취홈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회전손잡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권취홈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 끝단은 고정관의 관통홀을 관통해 이격공간을 통과한 후 외부튜브의 외부코일단이 시작되는 시점에 형성된 와이어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코일단의 하부 끝단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형성하여, 상기 내시경을 회전손잡이의 내시경홀, 내부튜브의 내부, 외부튜브의 노출홀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권취홈에 감겨면서 외부코일단이 당겨지는 동시에 내부코일단과 내시경의 끝단이 함께 당겨져 내시경의 투시방향이 선회되고, 상기 회전손잡이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내시경의 탄성력과 내,외부코일단의 탄성력으로 복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성상 잘 휘어지지 않는 내시경을 별도의 선회 보조구의 내부로 삽입 결합한 상태로 인체의 장기로 삽입 시술하여 회전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끝단이 당겨져 휘어지거나 풀려져 일직선 형태로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끝단이 당겨져 내시경 자체적으로 휘어지는 굴곡 각도보다 더 큰 각도인 120°로 휘어질 수 있어 담관으로의 진입이 용이한 동시에 담관의 내벽면을 확인하기 위한 사각지대의 면적이 적어지고 위장을 통한 담관 내벽의 환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듀얼튜브의 끝단에 고정되는 와이어가 당겨져 듀얼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내시경의 투시방향을 간단하게 선회시킬 수 있으며, 회전손잡이를 반대로 회전시킴에 의해 듀얼튜브의 코일듀얼튜브부와 내시경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별도의 작동력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형태의 와이어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꼬아진 형태의 와이어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부코일단에 다수개의 고리와이어를 나타낸 일 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가 이격공간을 통과해 외부튜브의 끝단에 직접 연결하는 일 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의 시술 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는 인체의 위장(200)과 십이지장을 통해 유입되어 담관(201) 내벽면의 확인을 위해 내시경(300) 끝단을 선회시켜 쉽게 담도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튜브(11)가 외부튜브(12)의 내부로 삽입 접착되어 일체형 듀얼튜브(10)를 형성하고, 내,외부코일단(11a)(12a)의 사이로 관통되는 와이어(20), 상기 듀얼튜브(10)의 상부로 결합되는 홀더(30)와 공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체(40)의 회전으로 홀더(30)와 회전체(40)에 나선 체결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는 작동구(50)에 와이어(20)를 연결하여 내시경 선회구(100)를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튜브(10)는 선회를 위해 일측 끝단에 내부코일단(11a)이 일체로 형성된 내부튜브(11)를 외부코일단(12a)이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외부튜브(12)로 삽입 후 내면에 접착 고정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듀얼튜브(10)의 내,외부코일단(11a)(12a)과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은 경질로 이루어져 내,외부코일단(11a)(12a) 보다는 쉽게 굴곡되지 않는 내,외부경질단(11b)(1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튜브(11)는 관(pipe)형상으로 하부 끝단에는 내시경(300)의 촬영부분이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듀얼튜브(10)를 구성하는 내부튜브(11)와 외부튜브(12)의 내,외부경질단(11b)(12b) 사이에는 메쉬 형태로 직조된 블레이드(B)가 함께 삽입되어 일체 형태로 접착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외부튜브(11)(12)에서 내,외부코일단(11a)(12a)은 코일(단면이 납작한 형태)이 감겨진 형태이며, 내,외부코일단(11a)(12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블레이드가 함침되어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내부튜브(11)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일 예로 PTFE(사불화 폴리 에틸렌)으로 알려진 테프론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튜브(12)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일 예로 PEBAX(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외부코일단(11a)(12a)의 사이로 와이어(20)를 관통시켜 외부코일단(12a)의 부분에서 외부튜브(12)를 통과 후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코일단(12a)의 끝단에 고정 구성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20)가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과 고정되는 듀얼튜브(10)의 외부튜브(12)의 외부코일단(12a)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에는 각각 경질띠(13)(14)를 부착한다.
즉, 상기 경질띠(13)은 외부튜브(12)의 외부코일단(12a)과 외부경질단(12b)가 연결되는 부분을 둘러싸며 결합되는 것이며, 경질띠(14)는 외부튜브(12)의 외부코일단(12a) 하부 끝단을 둘러싸며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질띠(13)에는 외부튜브(12)를 관통하는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와이어홀(13a)이 형성되며, 경질띠(14)의 외주면에는 외이어(20)의 끝단을 엮어서 묶거나 매듭질 수 있는 매듭홀(1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경질띠(13)에 의해 와이어(20)가 통과되는 부분에서 외부튜브(12)의 마찰손상을 방지하고, 경질띠(14)에 의해 와이어(20)의 고정부분에서 외부튜브(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와이어(20)는 단일 또는 두 가닥 이상이 엮여서 꼬아져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20)의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코팅층(21)을 피복 구성하여 와이어(20)의 당김이나 당김 해제시 경질띠(13) 또는 블레이드(B)와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0)를 고정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고리와이어(60)는 외부코일단(12a)의 길이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다수 개로 묶여져 양 끝단을 엮어 고리(61)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코일단(12a)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20) 끝단을 다수 개의 고리(61)에 통과시킨 후 외부코일단(12a)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는 경질띠(14)에 묶여지는 고리(61)에 묶어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와이어 (20)는 작동구(50)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 끝단은 내,외부튜브(11)(12)의 사이를 통과한 후 외부튜브(12)의 외부코일단(12a)의 하부 끝단을 관통해 노출시켜 경질띠(14)에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튜브(10)의 상부로 결합되는 홀더(30)와 공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체(40)의 회전으로 홀더(30)와 회전체(40)에 나선 체결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는 작동구(50)에 와이어(2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홀더(30)는 원통 형상의 상부 내주면에는 돌기(31)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홀더(30)는 돌기(31)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암나선단(32)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홀더(30)는 암나선단(32)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듀얼튜브(10)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단(3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체(40)는 회전단(41)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끼움단(42)과 이격되게 외주면에 돌기홈(43)이 형성되는 체결단(45)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체(40)는 회전단(41)과 끼움단(42)의 중앙에 내시경(300)이 통과하는 관통홀(4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구(50)는 하부 끝단에 와이어(20)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암나선단(32)에 나선체결되는 수나선단(51)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구(50)는 끼움단(42)이 삽입 끼움되고 관통홀(46)을 통과한 내시경(300)이 관통되는 끼움홀(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홀(52)은 사각통 형상의 끼움단(42)이 끼움되도록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체(40)가 회전할 때의 회전력이 끼움단(42)을 통해 작동구(50)로 전달되어 작동구(50)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튜브(10), 회전체(40), 작동구(50)를 통과하여 내시경(300)을 삽입 후 회전체(40)를 회전시키면 작동구(50)가 홀더(30)와 회전체(40)에 나선 체결로 상부로 이동시에는 와이어(20)가 당겨져 내,외부코일단(11a)(12a)과 내시경(300)의 끝단이 120°로 휘어져 십이지장과 약 120°각도로 생성된 담관(201)의 내부로 쉽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4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와이어(20)가 당김력이 해제되어 내,외부코일단(11a)(12a)과 내시경(300)이 일직선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내시경 선회구(100)를 이용하여 인체의 여러 기관 중 위장(200)과 연결되는 담관(201)의 내벽에 상태를 내시경(300)으로 확인하는 확인시술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위장(200)과 담관(201)은 서로 직교를 이루며 위치되어 있어 내시경(300)을 위장(200)과 십이지장을 통해 삽입하여 담관(201)의 내벽의 확인 하기 위해서는 내시경(300)의 끝단이 담관(201) 쪽으로 휘어지지가 않아 정확한 투시가 어려우며 휘어진다 하더라도 사각지대의 영역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투시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300)의 끝단이 담관(201)의 내부로 삽입된 경우 무리한 힘을 작용시켜 내시경(300)을 밀어넣을 경우 담관(201)이 파열되거나 발병부위가 있을 경우 2차적인 손상 및 오염이 발생되어 주의를 요하게 됨으로써 확인을 위한 시술의 난이도가 높아 시술을 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상기 내시경 선회구(1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홀더(30)의 암나선단(32)과 작동구(50)의 수나선단(51)을 나선 체결하며 작동구(50)를 홀더(30)의 내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가 회전체(40)의 체결단(45)은 홀더(30)의 내부로 삽입하고 끼움단(42)은 작동구(50)의 관통홀(46)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돌기홈(43)에 돌기(31)가 삽입 결합되도록 회전체(40)를 홀더(30)에 가압하여 조립한다.
이후, 상기 작동구(50)의 하부 끝단 부분에 듀얼튜브(10)를 관통하는 와이어(20)의 상부단을 부착이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30)의 결합단(33)의 내부로 듀얼튜브(10)의 상부단을 삽입시키고 접착 고정하여 내시경 선회구(100)를 완성한다.
이러한, 상기 내시경 선회구(100)를 이용하여 촬영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내시경(300)의 촬영을 위한 렌즈가 형성된 끝단을 회전체(40)의 관통홀(46), 작동구(50)의 끼움홀(52), 내부튜브(11)의 내부를 지나 끝단으로 노출되도록 끼움 결합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내시경(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체(40)의 회전단(41)을 손으로 파지해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40)는 홀더(30)의 돌기(31)가 돌기홈(43)에 삽입된 상태로 공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40)는 제자리에서 공회전할 때의 회전력이 끼움단(42)을 통해 작동구(50)로 전달되어 작동구(50)가 암나선단(32)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4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구(50)가 상승하게 되면 와이어(20)가 함께 상승하여 외부코일단(12a)이 당겨지는 동시에 내부코일단(11a)과 내시경(300)의 끝단이 함께 당겨져 내시경(300)의 투시방향이 선회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십이지장과 담관(201)이 이루는 각도인 120°로 선회된다.
즉, 상기 회전체(40)를 작동구(50)가 상부로 상승하도록 회전시키면 와이어(20)는 당겨져 외부코일단(12a), 내부코일단(11a), 내시경(300)의 끝단이 함께 당겨져 내시경(300)의 렌즈(301)가 향하는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내시경(300)의 끝단이 내,외부코일단(11a)(12a)과 함께 휘어짐으로써 위장(200)과 십이지장을 통해 삽입된 상태로 담관(201)의 내부로 쉽게 진입할수 있어 내벽 질환 상태를 간단하게 시술자가 투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체(30)를 작동구(50)가 하부로 하강하도록 회전시키면 수나선단(51)이 암나선단(32)과 나선체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나선 체결 이동되는 동시에 당겨졌던 와이어(20)는 외부코일단(12a), 내부코일단(11a), 내시경(3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당겨져 내시경(300)의 렌즈(301)가 향하는 방향이 일직선상으로 자연적으로 복원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상기 내시경(300)의 끝단을 보조적으로 내시경 선회구(100)를 이용하여 휘어지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원하는 위치를 투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스텐트와 같은 내강 확장기구를 시술할 경우에도 이용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듀얼튜브 11 : 내브듀얼튜브
11a : 내부코일단 11b : 내부경질단
12 : 외부튜브 12a : 외부코일단
12b : 외부경질단 13 : 경질띠
13a : 와이어홀 14 : 경질띠
14a : 매듭홀 20 : 와이어
21 : 코팅층
30 : 홀더 31 : 돌기
32 : 암나선단 33 : 결합단
40 : 회전체 41 : 회전단
42 : 끼움단 43 : 돌기홈
45 : 체결단 46 : 관통홀
50 : 작동구 51 : 수나선단
52 : 끼움홀 60 : 고리와이어
61 : 고리 100 : 내시경 선회구
200 : 위장 201 : 담관
300 : 내시경 301 : 렌즈
B : 블레이드

Claims (6)

  1. 인체의 위장(200)과 십이지장을 통해 유입되어 담관(201) 내벽면의 확인을 위해 내시경(300) 끝단을 선회시켜 쉽게 담도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선회보조구에 있어서,
    선회를 위해 일측 끝단에 내부코일단(11a)이 일체로 형성된 내부튜브(11)를 외부코일단(12a)이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외부튜브(12)로 삽입 후 내면에 접착된 듀얼튜브(10)를 구성하며,
    상기 내,외부코일단(11a)(12a)의 사이로 와이어(20)를 관통시켜 외부코일단(12a)의 부분에서 외부튜브(12)를 통과 후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코일단(12a)의 끝단에 고정 구성하고,
    상기 듀얼튜브(10)의 상부로 결합되는 홀더(30)와 공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체(40)의 회전으로 홀더(30)와 회전체(40)에 나선 체결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는 작동구(50)에 와이어(20)를 연결하여,
    상기 듀얼튜브(10), 회전체(40), 작동구(50)를 통과하여 내시경(300)을 삽입 후 회전체(40)를 회전시키면 작동구(50)가 홀더(30)와 회전체(40)에 나선 체결로 상부로 이동시에는 와이어(20)가 당겨져 내,외부코일단(11a)(12a)과 내시경(300)이 담관(201)내로 삽입되게 휘어지고, 상기 회전체(4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와이어(20)가 당김력이 해제되어 내,외부코일단(11a)(12a)과 내시경(300)이 일직선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는 원통 형상의 상부 내주면에는 돌기(31)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31)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암나선단(32)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선단(32)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듀얼튜브(10)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단(33)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40)는 회전단(41)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사각봉 형태의 끼움단(42)과 이격되게 외주면에 돌기홈(43)이 형성되는 체결단(45)이 구성되되, 상기 회전단(41)과 끼움단(42)의 중앙에 내시경(300)이 통과하는 관통홀(46)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작동구(50)는 하부 끝단에 와이어(20)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암나선단(32)에 나선체결되는 수나선단(51)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42)이 삽입 끼움되고 관통홀(46)을 통과한 내시경(300)이 관통되는 끼움홀(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는 단일 또는 두 가닥 이상이 엮여서 꼬아져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20)의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코팅층(41)을 피복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20)가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과 고정되는 듀얼튜브(10)의 외부튜브(12)의 외부코일단(12a)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에는 각각 경질띠(13)(14)를 부착하여,
    상기 경질띠(13)에 의해 와이어(20)가 통과되는 부분에서 외부튜브(12)의 마찰손상을 방지하고, 경질띠(14)에 의해 와이어(20)의 고정부분에서 외부튜브(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코일단(12a)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는 경질단(14) 외주면에 감아서 양 끝단을 고리(61)가 형성되도록 고리와이어(60)를 '8'형태로 묶고,
    상기 고리와이어(60)의 고리(61)에 외부코일단(12a)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20) 끝단을 고리(61)에 묶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와이어(60)는 외부코일단(12a)의 길이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다수 개로 묶여져 양 끝단을 엮어 고리(61)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코일단(12a)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20) 끝단을 다수 개의 고리(61)에 통과시킨 후 외부코일단(12a)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는 경질띠(14)에 묶여지는 고리(61)에 묶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코일단(11a)(12a)는 와이어(20)가 당겨질 때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120°로 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KR1020110074007A 2011-07-26 2011-07-26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KR10125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07A KR101258779B1 (ko) 2011-07-26 2011-07-26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07A KR101258779B1 (ko) 2011-07-26 2011-07-26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00A true KR20130012700A (ko) 2013-02-05
KR101258779B1 KR101258779B1 (ko) 2013-04-29

Family

ID=4789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07A KR101258779B1 (ko) 2011-07-26 2011-07-26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7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3863A (zh) * 2018-01-04 2018-05-11 令狐恩强 一种可伸缩小肠镜
KR20190011971A (ko) * 2017-07-26 2019-02-0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복강경 수술용 텔레스코프의 각도 조절장치
WO2022074632A1 (en) * 2020-10-09 2022-04-14 Scuola Superiore Di Studi Universitari E Di Perfezionamento Sant'anna A device for endoscopically delivering a therapeutic subst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32B1 (ko) 2013-07-29 2015-04-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방향전환이 가능한 엔드 이펙터를 구비하는 튜브 삽입장치
KR101525457B1 (ko) 2014-02-10 2015-06-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곡률 관절 구조체를 구비한 내시경 로봇
KR101694624B1 (ko) 2015-07-02 2017-0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 수술용 카메라 프로브 고정장치
KR102090363B1 (ko) 2017-03-06 2020-03-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연성 메커니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15A (ja) * 1994-06-30 1996-01-19 Olympus Optical Co Ltd 湾曲機能付き可撓管
JPH1176403A (ja) 1997-07-11 1999-03-23 Olympus Optical Co Ltd 外科用処置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71A (ko) * 2017-07-26 2019-02-0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복강경 수술용 텔레스코프의 각도 조절장치
CN108013863A (zh) * 2018-01-04 2018-05-11 令狐恩强 一种可伸缩小肠镜
WO2022074632A1 (en) * 2020-10-09 2022-04-14 Scuola Superiore Di Studi Universitari E Di Perfezionamento Sant'anna A device for endoscopically delivering a therapeutic sub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779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779B1 (ko) 내시경 방향 선회보조구
EP2992806A2 (en) Acces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8702595B2 (en) Insertion instrument endoscope
JP5161714B2 (ja) 医療機器
US7326176B2 (en) Endoscope angle portion
US9763561B2 (en) Attachment unit and endoscope
US9028397B2 (en) Medical apparatus
JP4323441B2 (ja) 内視鏡
US20070255096A1 (en) Endoscopic rotation
US9427138B2 (en) Acces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30331651A1 (en) Flexible tube portion of endoscope and endoscope having this flexible tube portion
JP2007268270A (ja) 内視鏡用付属装置取付器具
US10863887B2 (en) Insertion device having universal cord with extending transmission member
JP2006334246A (ja) 内視鏡装置
KR20210117251A (ko) 의료기기를 위한 삽입 유닛 및 그의 삽관 시스템
EP2510867B1 (en) Endoscope
EP1649799B1 (en) Endoscope
JP2007061218A (ja) 内視鏡
US9615726B2 (en) Medical instrument
KR100867656B1 (ko) 내시경용 구부림 장치
JP2007061377A (ja) 内視鏡
WO2005006965A1 (ja) 内視鏡
JP2005185704A (ja) 内視鏡
KR20180101830A (ko) 연성 메커니즘
US20240057860A1 (en)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