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803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803A
KR20130010803A KR1020110071680A KR20110071680A KR20130010803A KR 20130010803 A KR20130010803 A KR 20130010803A KR 1020110071680 A KR1020110071680 A KR 1020110071680A KR 20110071680 A KR20110071680 A KR 20110071680A KR 20130010803 A KR20130010803 A KR 2013001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ircuit board
sealing
mobile terminal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803A/ko
Publication of KR2013001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전기적 소자와 접촉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라 상(Phase)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상변화부를 포함함으로써,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른 단말기 내의 온도 상승을 일정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LTE 서비스 및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트렌드가 변화되면서 내부 발열에 의한 성능 감소 및 소비자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100Mbps 에 달하는 데이터 처리(LTE)와 PC에 근접하는 성능을 요구하게 될 스마트폰에서 1GHz이상의 clock으로 동작하게 되어 이에 따른 발열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기존에는 내부의 cpu열을 금속소재를 이용한 방열판을 통해 전달된 열이 공기와의 대류 접촉을 통해 내부의 열을 식히고 성능을 유지할수 있었으나 분진유입방지 및 초박형 구조로 기구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밀폐된 구조로 구현이 될 수 밖에 없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외부로 전도를 통한 방열이 유일한 방안이 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상 등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보다 향상된 방열 구조를 갖는 이동 단말기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방열 구조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온도 상승을 감지할 수 있게 하며, 온도 상승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전기적 소자와 접촉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라 상(Phase)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상변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된 상기 전기적 소자를 덮으며,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충진되며, 상기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라 상(Phase)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상변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되는 일부분은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의 노출되는 일부분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변색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변색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각 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패턴 및 다른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에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른 단말기 내의 온도 상승을 일정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의 온도 상승을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온도 상승이 단말기 외부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실링부 및 회로기판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상 변화에 따른 실링부의 탄성 변형을 도시한 상태도들.
도 6은 도 4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회로기판에 장착된 실링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회로기판에 장착된 실링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 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114b), 윈도우홀(112b),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114b)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112b)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114a), 카메라 모듈(115a), 그리고 스위치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185)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진화된 휴대전화 고속 무선 데이터 패킷통신규격을 따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최대 12배 빠른 속도의 데이터 처리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LTE 서비스에 사용되는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경우에는 처리속도의 증가에 따라 전기적 소자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이 게임이나 고성능의 그래픽을 구현하는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PCM(Phase Change Material)을 이용한다.
PCM은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동안,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한다. 이로 인하여, 전기적 소자의 발열로 인한 온도 상승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PCM은 유기물 PCM과 무기물 PCM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유기물 PCM으로는 n-Paraffin계, Pentaerythritol, Polyethylen, Acet amide, 나프탈렌, 스테아린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유기물 PCM의 특징은 대체적으로 밀도가 낮고 잠열량이 작은 반면, 무기물 PCM에 비하여 부식성이 작고 부피팽창이 작은 장점이 있다. 무기물 PCM으로는 MgCl2 ·6H2O, Al2(SO4)10H2O, NH4Al(SO4)12H2O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무기물 PCM은 대체적으로 밀도가 높고 잠열량이 큰 반면, 유기물 PCM에 비하여 부식성이 강하고 부피팽창이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실링부(180) 및 회로 기판(170)의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상 변화에 따른 실링부(180)의 탄성 변형을 도시한 상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170)의 일면에는 전기적 소자(174)가 장착된다. 전기적 소자(174)는 고속으로 동작하는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회로 기판(170)에 장착된 전기적 소자(174)를 덮도록 실링부(180)가 형성되고, 회로 기판(170)과 실링부(180) 사이의 공간에 상변화부(190)가 충진된다.
상변화부(190)는 PCM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으로 인해, 실링부(180)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74)가 발열하게 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PCM이 상변화를 하면서 내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상변화는 사용되는 PCM에 따라 다르지만, 일 예로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하면서 잠열에 해당하는 열량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실링부(18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상변화부(190)가 고체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상변화부(190)가 고체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PCM을 포함하는 상변화부(190)에서, 상변화가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게 되는 경우 부피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180)를 탄성 부재로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부피 변화에도 회로 기판(170)과 실링부(180)간의 결합이 유지된다.
실링부(180)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80)는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74)들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실링부(180)가 내부의 밀폐된 공간으로 상변화부(190)를 충진하여 회로 기판(170)과 실링부(18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 외에 전기적 소자(174)들을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회로 기판(170)은 마운트된 전자회로를 포함하고, 이 회로는 전자파 장애(EMI)와, 전자 방해 잡음(RFI)에 민감하다. 특히, 전자 방해 잡음은 단말기 내의 간섭원 또는 외부 간섭원으로부터 발생하므로, 이러한 간섭을 차단하고 전기적 소자(174)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폐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차폐구조의 하나로서 실링부(180)가 고려될 수 있다. 실링부(180)는 도금이 필요없는 스테인레스나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단계별 성형작업에 의해 가공된다.
또한, 실링부(180)는 각 전기적 소자(174)들을 덮도록 형성되어 SAR(전자파 인체 흡수율, Specific Absorption Rate)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링부(280)는 내부에 상변화 물질인 PCM이 충진된 상태에서, 전기적 소자(274)와 접촉하고 있다. 실링부(280)가 전기적 소자(274)와 접촉하고 있는 일면으로 전기적 소자(274)의 발열에 의해 열이 전달되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변화부(290)의 상변화에 의해, 열에너기가 흡수되게 된다. 즉, 본 변형 실시예에서는 실링부(280)와 회로 기판(270) 사이에 전기적 소자(274)가 배치되고, 실링부(280)내에 상변화부(290)가 충진되는 대신에, 실링부(280)내에 상변화부(290)가 밀폐 및 충진된 상태에서 실링부(280)와 전기적 소자(274) 사이에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실링부(280)와 전기적 소자(274)와의 접촉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로 간에 열전달이 일어날 수 있는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7은 도 2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보다 효율적인 방열을 위하여, 실링부(380)의 일면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일면에 개구된 홀로 이루어진 개구부(381)를 형성하고, 실링부(380)의 일부분이 개구부(38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노출되는 일부분은 상변화부(390)의 부피 변화로 인하여 탄성 변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실링부(380)의 일부분(385)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부피 변화에 따른 실링부(380)의 체적 변형이 단말기의 노출된 부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른 실장 부품들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링부(380)의 노출된 부분이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소자(374)에 대한 간접적인 냉각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즉, 발열하는 전기적 소자(374)와 실링부(380)가 접촉함으로써, 1차 냉각을 할 수 있고, 실링부(380)와 외부 공기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2차 냉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470)에 장착된 실링부(480)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실링부(480)의 일부분에는 변색층(382)이 형성될 수 있다. 변색층(382)은 온도에 따라 이에 감응하여 색이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온도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물질의 화학 구조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열변색성(Thermochromism)이라 하며, 이러한 열변색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서모크로믹(Thermochromic) 안료라 한다. 서모크로믹 안료는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는 색상을 잃어버려 투명하게 되고,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색상이 나타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변색층(382)은 서모크로믹 안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색층(382)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층은 서로 다른 형상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변색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층(382)은 제1 온도에서 제1 형상으로 변색되도록 형성되며, 제2층(383)은 제2 온도에서 제2 형상으로 변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실링부(480)의 색변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단말기 내부 온도 상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변색층(382, 383)으로 인하여, 단말기 내부의 온도 변화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개구부, 실링부(480) 및 변색층은 복수로 형성되어 단말기에 개성있는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570)에 장착된 실링부(580)의 사시도이다.
상변화부(590)가 충진되어 있는 실링부(58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회로 기판(570)의 어느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570)의 어느 한 층이 실링부(580)로 형성되거나, 어느 한부분이 실링부(580)로 형성됨으로써, 회로 기판(570)이 실링부(5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링부(580)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거나 단말기의 케이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실링부(580)가 노출되거나 케이스에 연결됨으로써, 간접적인 냉각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실링부(580)의 상면에는 전기적 소자(57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전기적 소자와 접촉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 내에 충진되며, 상기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라 상(Phase)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상변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된 상기 전기적 소자를 덮으며,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충진되며, 상기 전기적 소자의 발열에 따라 상(Phase)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상변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되는 일부분은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노출되는 일부분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변색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각 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패턴 및 다른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에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71680A 2011-07-19 2011-07-19 이동 단말기 KR20130010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80A KR20130010803A (ko) 2011-07-19 2011-07-19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80A KR20130010803A (ko) 2011-07-19 2011-07-1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03A true KR20130010803A (ko) 2013-01-29

Family

ID=4783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680A KR20130010803A (ko) 2011-07-19 2011-07-1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752B1 (ko) 이동 단말기
EP3112977B1 (en) Mobile terminal with means for dissipating heat from display driver
KR101861278B1 (ko) 이동 단말기
JP5508456B2 (ja) 移動端末機
ES2797373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un componente removible
KR101437966B1 (ko) 휴대 단말기
KR20190140209A (ko) 이동단말기
KR20140031358A (ko) 방열 쉬트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10922513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06031146A (zh) 具有集成照相机的显示器
US11481564B2 (en) Tr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 he same
KR20200049392A (ko)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차폐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00103308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CN110679155B (zh) 一种电子设备
KR2013007645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3468A (ko)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30010803A (ko) 이동 단말기
JP2020504440A (ja) Usbポート付きデバイス
KR2022004841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른 온도 제어 방법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20130063322A (ko) 이동 단말기
KR101922006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11318A (ko) 휴대 단말기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