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322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322A
KR20130063322A KR1020110129773A KR20110129773A KR20130063322A KR 20130063322 A KR20130063322 A KR 20130063322A KR 1020110129773 A KR1020110129773 A KR 1020110129773A KR 20110129773 A KR20110129773 A KR 20110129773A KR 20130063322 A KR20130063322 A KR 2013006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bile terminal
unit
transmitta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강병수
안원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322A/ko
Publication of KR2013006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부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윈도우를 포함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윈도우부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윈도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는 일정 투명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프론트 케이스에 안착된다.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단말기 내부를 보호하며,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윈도우는 내충격성에 취약하므로, 광학적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도 내충격성이 뛰어난 윈도우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낙하시 단말기의 코너에 배치된 윈도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부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윈도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투과율을 갖으며,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투과율보다 낮은 제2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강성(Stiffness)을 갖으며,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강성보다 높은 제2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 사이에 열 변형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영상 입력부를 덮는 상기 제2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홀(hall)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는 제3 윈도우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 사이에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윈도우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분자수준에서 결합되어 있는 나노 복합체인 솔-젤 무-유기 하이브리드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윈도우는, 유기알콕시실란과 유기실란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 용액에 유리 섬유를 함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충격완화 메커니즘을 구비하여, 충격에 의한 윈도우부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윈도우부의 강성을 증강시켜 보다 슬림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윈도우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라인 Ⅳ - 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윈도우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라인 Ⅴ - Ⅴ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 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 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114b), 윈도우홀(112b),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114b)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112b)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114a), 카메라 모듈(115a), 그리고 스위치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185)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의 광폭을 구현하는 추세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윈도우도 단말기의 전면에 광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단말기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의 코너에 접한 윈도우에 파손이 집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코너에 집중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윈도우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윈도우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 Ⅳ - 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부(140)는 단말기의 전면의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는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111)에 안착되는데, 단말기가 충격을 받으면 본체의 모서리 부분에 근접한 윈도우부(140)는 그 일부가 파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부(14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윈도우부(140)를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광학특성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를 결합하여 윈도우부(140)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윈도우부(140)는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를 포함한다. 제1 윈도우(142)는 일정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41)을 통해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윈도우(143)는 상단의 스피커와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영역(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윈도우(143)는 하단의 조작부가 배치되는 영역(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윈도우(142)는 공지의 윈도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단말기의 측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2 윈도우(143)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일정한 광학특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머(Hybrimer)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이브리머는 유리와 같은 무기재료와 플라스틱으로 대표되는 유기재료가 분자 수준에서 결합되어 있는 나노 복합제이며, 유기물과 무기물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솔-젤 무-유기 하이브리드 소재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예로 하이브리머 중에서도, 유기알콕시실란과 유기실란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는 솔-젤 반응을 통하여 제조되며, 유기 알콕시실란과 유기실란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솔-젤 반응으로서 가수 또는 비가수 솔-젤 반응이 이용될 수 있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반응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발 물질인 유기실란디올의 수산화기와 다른 단량체인 유기알콕시실란의 알콕시기와 축합반응을 하여 무기 망목구조를 형성하며 무기 망목구조의 주변에는 R' 및 R"과 같은 유기기가 수식된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유기알콕시실란은 작용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유기사슬 및 알콕시기가 결합된 실란화합물을 말하며, 유기 실란디올은 작용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유기사슬 및 2개의 수산화기가 결합된 실란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는 축합반응을 거치며 다양한 종류의 유기 관능기를 가지고 있고 무기 망목 구조의 축합도는 60%이상, 보다 좋게는 90%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이 분자 수준에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으므로 수지의 안정성이 매우 높고 기계적, 열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광 투과율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제2 윈도우(143)는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를 포함하는 제2 윈도우(143)를 제작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 섬유를 격자 사슬 모양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층을 갖도록 적층시킨다. 그리고, 용융된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 용액에 유리 섬유 적층체를 함침시켜 제2 윈도우(143)를 형성한다. 또한, 함침시키는 단계에서, 기포를 제거하고, 열 경화 또는 UV 경화시키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윈도우(142)는 제1 투과율을 갖으며, 제2 윈도우(143)는 제1 투과율보다 낮은 제2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윈도우(143)의 강성은 제1 윈도우(142)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윈도우(142)의 투과율이 90 ~ 95% 라면, 제2 윈도우(143)의 투과율은 85 ~ 89%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윈도우(143)의 강성은 제1 윈도우(142)의 강성의 5배 내지 9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 사이에는 완충부재(144)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44)는 제1 및 제2 윈도우(142, 143)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144b)와 제1 멤버(14b)와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제1 및 제2 윈도우(142, 14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멤버(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144)는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를 서로 결합시키고, 제1 윈도우(142)와 제2 윈도우(143) 사이의 간섭에 의해 서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부재(144)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 윈도우(142, 143)에 결합된다.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영역(A)의 제2 윈도우(145)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에는 제3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윈도우는 제1 윈도우와 같이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윈도우는 제1 윈도우에 비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보다 투과율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윈도우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라인 Ⅴ - Ⅴ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제1 및 제2 윈도우(242, 243)와 관련하여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부는 제1 윈도우(242)와 제2 윈도우(243)를 포함한다. 제1 윈도우(242)는 일정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윈도우(243)는 상단의 스피커와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윈도우(243)는 하단의 조작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윈도우(242)와 제2 윈도우(243)는 서로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일정 이상의 온도에서 제1 윈도우(242) 또는 제2 윈도우(243)의 서로 접하는 부분이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다른 윈도우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윈도우(242)와 제2 윈도우(243) 사이에는 열변형층(246)이 형성된다.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영역(A)의 제2 윈도우(245)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에는 제3 윈도우(2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윈도우(245)는 제1 윈도우(242)와 같이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윈도우(235)는 제1 윈도우(242)에 비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보다 투과율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부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투과율을 갖으며,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투과율보다 낮은 제2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강성(Stiffness)을 갖으며,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강성보다 높은 제2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 사이에 열 변형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영상 입력부를 덮는 상기 제2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홀(hall)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는 제3 윈도우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윈도우의 투과율은 제1 윈도우의 투과율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 사이에 완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윈도우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분자수준에서 결합되어 있는 나노 복합체인 솔-젤 무-유기 하이브리드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윈도우는,
    유기알콕시실란과 유기실란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올리고실록산 하이브리드 용액에 유리 섬유를 함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129773A 2011-12-06 2011-12-06 이동 단말기 KR20130063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73A KR20130063322A (ko) 2011-12-06 2011-12-06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73A KR20130063322A (ko) 2011-12-06 2011-12-06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22A true KR20130063322A (ko) 2013-06-14

Family

ID=4886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773A KR20130063322A (ko) 2011-12-06 2011-12-06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33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957A (ko) * 2013-08-08 2015-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패널 표시장치
KR20150088101A (ko) * 2014-01-23 2015-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957A (ko) * 2013-08-08 2015-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패널 표시장치
KR20150088101A (ko) * 2014-01-23 2015-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903287B2 (en) 2014-01-23 2021-01-2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88004B2 (en) 2014-01-23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7991B1 (en) Mobile terminal
US8885333B2 (en) Mobile terminal
CN104811511B (zh) 移动终端
US894788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2690844B1 (en) Mobile terminal
US9258393B2 (en) Mobile terminal
EP3944596B1 (en) Mobile terminal
US20190196589A1 (en) Mobile terminal
US9285829B2 (en) Mobile terminal
EP2432195B1 (en) Mobile terminal
KR102037931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01651A (ko) 이동 단말기
EP2581812A2 (en)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6716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thereof
EP2590387B1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152168B1 (ko) 이동 단말기
EP2592841B1 (en)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3322A (ko) 이동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20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05575A (ko) 이동 단말기
KR20090130737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