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169A -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169A
KR20130010169A KR1020110070797A KR20110070797A KR20130010169A KR 20130010169 A KR20130010169 A KR 20130010169A KR 1020110070797 A KR1020110070797 A KR 1020110070797A KR 20110070797 A KR20110070797 A KR 20110070797A KR 20130010169 A KR20130010169 A KR 2013001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pplication
mobile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277B1 (ko
Inventor
이경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277B1/ko
Priority to US13/550,888 priority patent/US8731621B2/en
Publication of KR2013001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169A/ko
Priority to US14/245,563 priority patent/US201402209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083Recogni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화 채널 형성 후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통화 중 신속하게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during call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중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바일 단말기는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기능들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현재 모바일 단말기는 메모, 폰북, 캘린더, 문자 메시지, 이메일, 카메라, 웹 브라우저 및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여러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모바일 단말기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통화 중에 다른 기능을 이용해야 되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도중에 다른 기능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내용을 메모해야 하거나, 스케줄을 확인해서 상대방에게 알려줘야 하거나, 통화 도중에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상대방의 요청으로 사진을 이메일로 보내주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를 유지하면서 다른 기능 호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통화 중에 다른 기능을 실행하려 할 때, 복잡하고 많은 절차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실행하려고 동작하는 동안 상대방은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도중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통화를 위해 들고 있던 모바일 단말기를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 잘 보이는 상태로 이동 및 배치시킨 다음, 통화 연결 화면에서 특정 기능키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메인 메뉴를 호출한 후, 메인 메뉴에서 실행하려는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탐색하여 실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현재 모바일 단말기에서 통화 중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 개시 절차에서 수반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현재와 같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지원하기 위해 아이콘이 다수개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아이콘 탐색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게다가 실행하고자 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기억해서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는데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을 탐색하는데 집중하여, 통화 내용을 까먹거나 통화에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통화 중 특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통화 중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되는 경우,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선택 또는 실행 입력 없이 통화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은 통화 채널 형성 후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통화 채널 형성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통화 채널 형성 중 배치 상태의 변화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통화 채널 형성 후 상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화 중 신속하게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자신의 배치 상태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통화 중에 사용자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은 시점을 파악해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지체할 필요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사용자가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를 이동 및 배치시킬 때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을 파악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파악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아서 통화 중 다른 기능 실행 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 중에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지체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하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소프트웨어 기능도 지원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센서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부들을 구비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자신의 배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각 기능부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이하, 음성 통화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이하, 화상 통화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특정 기능키 입력 또는 키맵에 대한 터치 이벤트에 의해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특정 사용자 기능을 운용하는 중에도 통화 채널을 유지하여 통화 기능을 지원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다양한 문자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모바일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일반적인 키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볼륨키 및 핫키 등의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음성 통화키를 포함한다. 따라서 음성 통화키의 입력에 따라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부(미도시)가 더 포함된 경우, 화상 통화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화상 통화 채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스피커(SPK)는 스피커 폰 모드에서,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MIC)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된 것일 수 있다. 외장 마이크(MIC)의 경우 별도의 마이크 잭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 잭은 이어폰 잭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에 따라 특정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가이드 정보, 예컨대 응용 프로그램 이름 또는 디폴트 기능의 이름 등을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다양한 화면으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통화 채널 형성 시 그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통화 중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구 등을 일정 영역에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통화 중 메모 응용 프로그램 자동 실행 시, 메모 작성 화면이 표시되고 인디케이터 영역에 전화기 모양의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개시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부가 응용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 등을 상기 실행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음성 녹음 응용 프로그램이 메모 응용 프로그램과 더불어 실행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메모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화면의 일정 영역에 음성 녹음 실행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통화 채널이 형성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에 따른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통화 중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와의 접촉 후 이격된 때의 상태, 즉 근접 상태 검출을 위한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 이동 방향 및 속도 검출을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및 모바일 단말기(100) 배치 각도 검출을 위한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에 다수개의 센서들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70)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조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기울기 센서와 자이로 센서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센서부(15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싱 정보 수집 주기 각각은 제어부(170)가 전달한 요청 신호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 정보 수집 주기는 요청 신호 내용에 따라 제어부(170)가 요청하는 일정 시점, 일정 주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모바일 단말기(100)에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센서부(150)는 통화 중에 발생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네트워크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및 응용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메모를 작성 및 저장하기 위한 메모 응용 프로그램, 연락처들을 관리하기 위한 폰북 응용 프로그램,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사진 촬영 및 디지털 이미지 생성을 위한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161)을 더 저장할 수 있다.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161)은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가 판단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하며, 특정 응ㅇ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161)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모바일 단말기(100) 배치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161)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가 변화되더라도 자동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그 기능이 유지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161)은 배치 상태 변화 감지 시점에서, 추가적으로 통화 중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되도록 지원한다. 그런 다음 음성 인식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이 통화 기능과 함께 자동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161)이 실행되는 중에 사용되거나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영역은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온/오프 설정, 배치 상태 변화 감지와 관련된 센싱 정보, 및 통화 중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이하,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식별자를 나열한다. 예를 들면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는 메모 응용 프로그램, 폰북 응용 프로그램,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및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는 디폴트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는 사용자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영역은 부가 응용 프로그램 매핑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저장할 수 있다. 부가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과 동시에 실행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부가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통화 기능과 동시에 수행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제약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통화 중 음성 인식 온/오프 설정,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명령어 매핑 정보, 및 스택(sta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명령어 매핑 정보는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 식별자마다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해서 실행 명령어에 매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스택은 통화 중 발생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일정 분량씩 지속적으로 임시 저장한다. 이러한 스택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제한된 양 만큼 임시 저장한다. 따라서 스택은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저장할 때 최근 통화 내용을 일정 분량씩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입력부(120)에서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채널이 형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센서부(150)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통화가 종료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 상태에 머무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적으로 저장부(150)를 엑세스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통화 중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음성 인식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한다. 이어서 확인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70)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이하,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 및 센싱 정보 수집부(17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음성 또는 화성 통화 채널 형성 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배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통화 채널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센싱 정보 수집부(173)로부터 센싱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통화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를 결정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 종류에 따라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한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디폴트 응용 프로그램, 가장 높은 선호도로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중에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수행부(171)는 이와 같이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응용 프로그램 수행부(171)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통화 중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중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 사용을 마친 후, 통화를 지속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를 귀에 갖다 대는 동작을 수행할 때, 본 발명은 자동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 사용 후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한편 통화 기능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통화 중 특정 기능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활성화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기능 사용 후 다시 통화로 복귀하는 동작에 따라, 활성화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종료시켜서 빠르게 통화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센싱 정보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된 통화 내용을 사용하여 통화 내용 외 별다른 응용 프로그램 탐색 및 선택 입력 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통화 채널 형성 시, 내장 또는 외장 마이크(MIC)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스택에 일정 분량씩 지속적으로 임시 저장되도록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중 사용자 음성 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은 디폴트 기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음성 신호 임시 저장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음성 인식부(175)에 최근 음성 신호의 음성 인식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최근 음성 신호는 배치 상태 변화 판단 시점을 기준으로 저장부(160)의 스택에 지속적으로 일정 분량씩 임시 저장된 음성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성 인식부(175)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음성 인식부(175)에서 수신된 음성 인식 결과는 통화 중 사용자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명령어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음성 인식된 실행 명령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음성 신호에서 '메모(memo)'라는 실행 명령어가 인식되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는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명령어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메모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 작성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 응용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으며, 폰북 응용 프로그램,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및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등 중 모바일 단말기(100) 이용 시 사용되는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이든지 자동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술되는 제어부(170)에 대한 설명과 도 4의 흐름도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통화 내용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 후, 음성 인식을 위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탐색 및 선택 입력을 요구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최근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하여 사용자가 이용하기 원하는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떠한 기능을 이용하기 원해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를 변경하는 지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이식 과정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일정 분량의 음성 신호만 음성 인식하도록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간편하게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화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의 다른 구성 요소인 센싱 정보 수집부(173)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의 요청에 의하여 통화 채널 형성 시 센서부(150) 일정 주기로 활성화시켜서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센싱 정보 수집부(173)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배치 상태 변화 및 통화 내용 음성 인식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5)는 저장부(160)의 스택에서 최근에 임시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부터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 및 추출하는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음성 인식부(175)는 음성 인식된 단어들과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명령어 매핑 정보를 비교하여, 음성 인식된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실행 명령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실행 명령어를 응용 프로그램 실행부(17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자신의 배치 상태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은 시점을 파악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최근의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기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사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동 및 배치시킨 후,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도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에서는 먼저 제어부(170)가 310 과정에서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화 채널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저장부(150)를 액세스하여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330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센서부(150)로부터 전달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통화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를 결정하여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술되는 네 가지의 통화 종류에 따라 제어부(170)는 330 과정에서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330 과정을 수행할 때 통화 종류를 판단하고, 통화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센서부(150)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 배치 상태가 기 설정된 상태에 부합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통화 채널이 형성된 후 주기적으로 통화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통화 종류는 형성된 통화 채널의 종류와 통화 중 사용되는 마이크(MIC)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화 종류 구분을 위한 통화 채널의 종류로는 음성 통화 채널과 화상 통화 채널이 있고, 마이크(MIC)의 종류로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내장 마이크(MIC)와 마이크 잭에 연결된 외장 마이크(MIC)가 있다. 제어부(170)는 마이크 잭의 연결 상태를 파악하여 통화 중 사용되는 마이크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첫 번째 통화 종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내장 마이크(MIC)를 사용한 음성 통화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330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이격 거리가 특정 값 이상인 상태를 기 설정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배치 상태가 기 설정된 상태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배치 상태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 이격 거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150)의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에 센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격 거리가 특정 임계치 이상이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 배치 상태가 기 설정된 상태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중에 모바일 단말기(100)를 귀에 데고 있다가 땔 때 제어부(170)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통화 종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내장 마이크(MIC)를 사용한 화상 통화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330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특정 기울기 이상인 상태를 기 설정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상태의 기울기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센서부(150)의 기울기 센서에 센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울기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상태의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위해 얼굴과 마주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들고 있다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내릴 때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를 기준으로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세 번째 통화 종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된 외장 마이크(MIC)를 사용한 음성 통화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330 과정에서 일정 기간 동안의 움직임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정지 상태를 배치 상태 변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 상태가 상술한 설정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배치 상태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의 조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복합적인 센싱 정보와 타이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통화 중에 모바일 단말기(100)를 손에 들고 있다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앞에 놓을 때 또는, 주머니나 가방 속에 놓인 모바일 단말기(100)를 꺼내 앞에 갖다 놓을 때(즉, 이동 후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정지 상태가 감지 될 때) 등에 대응하는 움직임 상태가 분석된 센싱 정보로부터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통화 종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된 외장 마이크(MIC)를 사용한 화상 통화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330 과정에서 내장 마이크(MIC)를 사용한 화상 통화의 경우와 유사하게 기울기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를 결정하여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응용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 배치 상태 변화를 상술된 통화 종류에 따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센싱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통화 중에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원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340 과정에서 기 설정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340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배치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335 과정을 수행하여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화 종료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330 과정으로 리턴하여 다시 통화 중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통화 종료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통화 종료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70)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340 과정에서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제어부(170)는 340 과정에서 저장부(160)의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를 확인한다.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에 디폴트 응용 프로그램이 설정된 경우, 디폴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응용 프로그램이 디폴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를 확인하여 메모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 작성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메모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 작성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구 등이 상기 화면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 중 가장 높은 선호도를 가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340 과정에서 실행되는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 응용 프로그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폰북 응용 프로그램,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및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등 중 모바일 단말기(100) 이용 시 사용되는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폰북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제어부(170)는 연락처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하고,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오늘 일정, 주간 일정, 또는 월별 일정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통화 중 연락처 또는 스케줄을 확인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동 및 배치시키면, 곧바로 해당 정보를 확인하여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통화 중 수신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또는 목록이 표시되도록 지원하고,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이 설정된 경우, 카메라 촬영 모드가 실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 중 별도의 제어 동작 없이 단순히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특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를 배치시킴으로써, 곧바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70)는 340 과정에서 실행되는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부가 응용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응용 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통화 기능과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제약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예에 있어서, 부가 응용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통화하면서 메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피커 폰 응용 프로그램, 주변의 소음이나 낮은 통화 질을 대비한 통화 녹음 응용 프로그램, 및 정확한 통화 기록을 남기기 위한 음성/텍스트 변환(Speech to text) 응용 프로그램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340 과정에서 저장부(160)의 부가 응용 프로그램 매핑 정보를 확인하여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매핑된 부가 응용 프로그램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70)는 추출된 부가 응용 프로그램들을 나열하여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이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출력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응용 프로그램의 부가 응용 프로그램으로, 스피커 폰, 통화 녹음, 및 음성/텍스트 변환(Speech to text)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될 수 있도록 팝업창에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부가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해당 실행 화면이 출력되도록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340 과정에서 부가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 기능과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원활하게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340 과정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어부(170)는 도 3에 도시된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센싱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통화 중에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원하는 시점에 곧바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로 복귀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를 움직일 때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 사용 후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할 필요 없이 특정 기능 사용 후 곧바로 상대방과의 통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상황에 따라 통화 중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지 않고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 메모 프로그램이 단말기 배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활성화된 후, 통화가 종료되더라도 제어부(170)는 메모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지 않고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통화 종료 후 메모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여 통화 중에 어떠한 메모를 작성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번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센싱 정보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된 통화 내용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을 파악 및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410 과정,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430 과정, 및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435 과정 각각은 도 3의 310 과정, 330 과정, 및 335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410 과정에서의 통화 채널 형성 후 420 과정에서 저장부(160)를 제어하여 통화 중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내장 또는 외장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일정 분량만큼 스택에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택은 사용자 음성 신호를 FIFO 방식으로 저장하여 최근 통화 내용을 일정 분량씩 지속적으로 임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스택이 사용자 음성 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은 디폴트 기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420 과정이 수행된 후 430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440 과정에서 통화 중 음성신호를 음성 인식한다. 이때 최근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된다. 여기서 현재의 최근 통화 내용은 배치 상태 변화 판단 시, 스택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음성 신호이다. 이때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의 스택을 액세스하여, 배치 상태 변화 판단 시 임시 저장된 일정 분량의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배치 상태 변화를 기점으로 최근 통화된 일정 분량만을 음성 인식하여 사용자가 이용하기 원하는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떠한 기능을 이용하기 원해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를 변경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시점을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파악하기 위한 단말기 연산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450 과정에서, 실행될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된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된 단어들과 저장부(160)의 응용 프로그램 및 실행 명령어 매핑 정보를 비교하여, 음성 인식된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실행 명령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검색된 실행 명령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 중에 메모를 하기 원하는 경우, 일례로 '기다려요, 메모 좀 할게요(Hold on, let me take a memo)' 또는 '잠시만요, 좀 적을게요(Wait a minute, I will make a note)'라고 말한 다음, 화면이 사용자의 시선에 들어오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 응용 프로그램과 매핑된 실행 명령어로는 '메모(memo)' 및 '적을(note)'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인식된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술된 실행 명령어들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통화 중 배치 상태 변화 감지 시 메모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450 과정에서 확인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 응용 프로그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폰북 응용 프로그램,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및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등 중 모바일 단말기(100) 이용 시 사용되는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 중에 일정을 확인하기 원하는 경우, '기다려요, 스케줄 좀 확인 할게요(Hold on, let me check my schedule)' 또는 '잠시만요, 시간표 좀 볼게요(Wait a minute, I will take a look at my time table)'라고 말한 다음,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캘린더 응용 프로그램과 매핑된 실행 명령어로는 '스케줄(schedule)' 및 '시간표(time table)' 등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화 도중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이 출력되거나, 상대방의 요청으로 사진을 이메일로 보내주어야 하는 등과 같은 경우, '문자 메시지(text message)', '사진(picture, photo)', '이메일(e-mail)' 등이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각각에 대응하는 실행 명령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중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를 배치시킨 다음, 별도의 선택 및 실행 입력 없이 곧바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450 과정에서 음성 인식된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실행 명령어가 검색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435 과정으로 진행하여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430 과정으로 리턴 하던지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340 과정과 동일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450 과정에서 일치하는 실행 명령어가 검색되어 실행될 응용 프로그램이 확인되면, 제어부(170)는 460 과정에서 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통화 기능과 동시에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음성 인식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 후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선택 입력을 요구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분량의 음성 신호만 음성 인식되어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연산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는 더욱 신속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화 중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센서부
160 : 저장부
161 :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
170 : 제어부

Claims (13)

  1. 통화 채널 형성 후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상기 음성 인식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마이크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일정 분량씩만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로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통화 채널의 종류 및 통화 중 사용되는 마이크 종류에 따라 통화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배치 상태의 변화에 따른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배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상태에 부합하면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7. 통화 채널 형성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통화 채널 형성 중 배치 상태의 변화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통화 채널 형성 후 상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통화 중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 및
    상기 수집된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상기 음성 인식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집된 음성 신호를 일정 분량씩만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상기 통화 채널의 종류 및 통화 중 사용되는 마이크 종류에 따라 통화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배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상태에 부합하면 상기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통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마이크를 사용한 화상 통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된 외장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통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된 외장 마이크를 사용한 화상 통화에 따라 각기 다른 통화 종류로 판단하고, 각 통화 종류별로 다른 기 설정된 상태를 할당한 후,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와 상기 기 설정된 상태를 비교하여 배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110070797A 2011-07-18 2011-07-18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85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97A KR101853277B1 (ko) 2011-07-18 2011-07-18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US13/550,888 US8731621B2 (en) 2011-07-18 2012-07-17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during call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4/245,563 US20140220954A1 (en) 2011-07-18 2014-04-04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during call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97A KR101853277B1 (ko) 2011-07-18 2011-07-18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169A true KR20130010169A (ko) 2013-01-28
KR101853277B1 KR101853277B1 (ko) 2018-04-30

Family

ID=4755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797A KR101853277B1 (ko) 2011-07-18 2011-07-18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731621B2 (ko)
KR (1) KR101853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258A (ko) * 2012-12-17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 인식을 통한 이동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회의 중 대화 인식을 통한 정보 제공 장치
US20140297288A1 (en) * 2013-03-29 2014-10-02 Orange Telephone voice personal assistant
US8942685B2 (en) * 2013-06-10 2015-01-27 Lenovo (Singapore) Pte. Ltd. Callback options via wireless device
CN108111699A (zh) * 2013-08-26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757651B2 (en) * 2013-09-05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user input by electronic device
KR20150062795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04302A (ko) * 2014-03-05 201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100380A (zh) * 2014-05-20 2015-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通信终端
WO2016114402A1 (ja) * 2015-01-16 2016-07-21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端末装置、着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R3037469A1 (fr) * 2015-06-09 2016-12-16 Orange Procede de partage d'un contenu numerique en cours de communication
CN106878532B (zh) * 2015-12-10 2020-08-28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信息显示装置和终端
US20190156834A1 (en) * 2017-11-22 2019-05-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virtual assistance systems for taking notes during calls
US10770035B2 (en) 2018-08-22 2020-09-08 Google Llc Smartphone-based radar system for facilitating awareness of user presence and orientation
US10890653B2 (en) 2018-08-22 2021-01-12 Google Llc Radar-based gesture enhancement for voice interfaces
US10698603B2 (en) 2018-08-24 2020-06-30 Google Llc Smartphone-based radar system facilitating ease and accuracy of user interactions with displayed objects in an augmented-reality interface
US10788880B2 (en) 2018-10-22 2020-09-29 Google Llc Smartphone-based radar system for determining user intention in a lower-power mode
US10761611B2 (en) 2018-11-13 2020-09-01 Google Llc Radar-image shaper for radar-based applications
US11385910B2 (en) 2019-02-15 2022-07-12 Citrix Systems, Inc. Stack-based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WO2020171510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2660B2 (en) * 2005-10-11 2010-01-26 Fish & Richardson P.C. Mobile device customizer
US8045976B2 (en) * 2006-04-04 2011-10-25 Aegis Mobility, Inc. Mobility call management
US8373799B2 (en) * 2006-12-29 2013-02-12 Nokia Corporation Visual effects for video calls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JP5245308B2 (ja) * 2007-07-18 2013-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そのチャネルサー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95879B2 (en) * 2008-05-30 2012-10-23 Motorola Mobility Llc Devices and methods for initiating functions based on movement characteristics relative to a reference
KR101505198B1 (ko) * 2008-08-18 201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WO2010027190A2 (ko) * 2008-09-05 2010-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진동 정보를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US9491573B2 (en) * 2008-11-06 2016-11-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value-added information based upon content and/or context information
US8886252B2 (en) * 2008-12-22 2014-11-11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operating modes in a mobile device
US8416767B2 (en) * 2009-07-06 2013-04-09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mode swapping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1578737B1 (ko) * 2009-07-15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음성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5638210B2 (ja) * 2009-08-27 2014-12-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20110137548A1 (en) * 2009-12-07 2011-06-09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Life Organizer
US20120249797A1 (en) * 2010-02-28 2012-10-04 Osterhout Group, Inc. Head-worn adaptive display
US20120015697A1 (en) * 2010-07-16 2012-01-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peaker Phone Mode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US8532563B2 (en) * 2010-07-30 2013-09-10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figurable operating mode
US20120108221A1 (en) * 2010-10-28 2012-05-03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ing communication sessions with applications
US8311528B2 (en) * 2011-01-11 2012-11-13 GreatCall, Inc. Emergency call redir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146329B2 (en) * 2011-02-25 2018-12-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 effects for different motion gestures and motion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1621B2 (en) 2014-05-20
US20140220954A1 (en) 2014-08-07
KR101853277B1 (ko) 2018-04-30
US20130023248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277B1 (ko)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US10652500B2 (en) Display of video subtitles
JP6321296B2 (ja) テキスト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256525B2 (en) Object starting method and device
US9172905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essenger-based video call service
EP2680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US9898111B2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WO2010128765A2 (en) Method for activating user functions by types of input signals and portable terminal adapted to the method
US20120050530A1 (en) Use camera to augment inpu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RU263801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водимых данных
EP248760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nternet p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3012725B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descriptive icon information
US11749273B2 (en) Speech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2385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A2782793A1 (en) Note compiler interface
US97862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user voice in mobile terminal by synchronizing with text
EP3828682A1 (en) Method, apparatus for adding shortcut plug-in, and intelligent device
KR20140131208A (ko)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WO2021213038A1 (zh) 历史信息的获取方法、存储介质、系统
EP2807534B1 (en) Methods and devices to determine a preferred electronic device
CN111597435A (zh) 一种语音搜索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417987B (zh) 一种操作响应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140030398A (ko)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14029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shortcut function,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