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198A -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198A
KR20130009198A KR1020110070108A KR20110070108A KR20130009198A KR 20130009198 A KR20130009198 A KR 20130009198A KR 1020110070108 A KR1020110070108 A KR 1020110070108A KR 20110070108 A KR20110070108 A KR 20110070108A KR 20130009198 A KR20130009198 A KR 2013000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s
deinterleaving
groups
deinterle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026B1 (ko
Inventor
김대기
오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26B1/ko
Priority to EP12155950.4A priority patent/EP2547024B1/en
Publication of KR2013000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0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the interleaver involving at least two directions
    • H03M13/2707Simple row-column interleaver, i.e. pure block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52DVB-T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03M13/1102Codes on graphs and decoding on graphs, e.g.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03M13/1148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de parity-check or generator matrix
    • H03M13/116Quasi-cyclic LDPC [QC-LDPC] codes, i.e. the parity-check matrix being composed of permutation or circulant sub-matrices
    • H03M13/1165QC-LDPC codes as defined for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s, e.g. DVB-Satellite [DVB-S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디인터리빙 방법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며, 그룹 단위로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고, 타임 디인터리빙된 각 그룹을 셀 단위로 분할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기존 디인터리빙 방식에 비해 셀에 할당되는 어드레스의 수가 감소하므로, 하나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처리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Method for de-interleaving and Broadcast Recie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DVB-T2 규격에 따르는 방송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방송 시스템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어 디지털 방송에 대한 다양한 규격이 발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국향 규격인 ATSC VSB 규격과, 유럽향 규격인 DVB-T 규격이 있다. 두 규격은 음성 압축 방식이나, 채널 대역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나, 가장 크게는 ATSC VSB 규격은 단일 반송파 방식이고, DVB-T 규격은 다중 반송파 방식이라는 점이다.
특히, 디지털 지상파 방식인 DVB-T 기술은 전 유럽 단위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DVB 시스템에서의 음성과 영상의 부호화 등은 거의 모든 전송방식에 호환이 가능도록 하기 위하여 MPEG-1, 2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DVB 그룹에서는 차세대 지상파 디지털TV 표준을 위하여 2006년에 새로운 연구 프로젝트로 “DVB-T2”를 시작하였다.
DVB-T2 표준은 디지털TV의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고 전송 네트워크를 튼튼하고 유연하게 만드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로 디지털 TV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지하철, 기차, 버스 등의 운송수단으로 방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DVB-T2는 HD 서비스의 보편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다각화 등을 고려하여 DVB-T에 비해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고 이동수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탄생하였다.
DVB-T2에서는 새로운 기술로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던 기술인 Preamble구조, 하나의 기지국에 2개의 안테나를 설치한 것처럼 설정하는 Diversity기술인 분산 MISO(Multi-input Single Output), 채널코딩에서 비트 인터리버 기술, 일부 캐리어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PAPR (Peak-to- Average Power Ratio) 감소 기법, 변조할 때 회전시키는 방법인 Rotated Constellation, 256QAM 사용 등을 도입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DVB-T2 규격에서 수신 장치의 타임 디인터리버 의 디인터리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타임 디인터리버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가 로우 방향으로 12개의 셀이 존재하며, LDPC 블럭이 4개인 경우이다. 이 경우, 복수의 셀은 타임 디인터리버에 컬럼 방향으로 입력된다. 즉, 도 2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셀에는 제1 LDPC 블럭의 "0"번 셀 -> 제1 LDPC 블럭의 "12"번 셀 -> 제1 LDPC 블럭의 "24"번 셀 -> 제1 LDPC 블럭의 "36"번 셀 -> 제1 LDPC 블럭의 "48"번 셀 -> 제2 LDPC 블럭의 "0"번 셀 -> 제2 LDPC 블럭의 "12"번 셀 -> 제2 LDPC 블럭의 "24"번 셀 -> 제2 LDPC 블럭의 "36"번 셀 -> 제2 LDPC 블럭의 "48"번 셀-> .. 순서로 입력된다.
그리고, 타임 디인터리버에 입력된 복수의 셀은 로우 방향으로 출력된다.즉,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DPC 블럭의 "0"번 셀 -> 제1 LDPC 블럭의 "1"번 셀 -> 제1 LDPC 블럭의 "2"번 셀 -> 제1 LDPC 블럭의 "3"번 셀 -> 제1 LDPC 블럭의 "4"번 셀 -> 제1 LDPC 블럭의 "5"번 셀 -> 제1 LDPC 블럭의 "6"번 셀 -> 제1 LDPC 블럭의 "7"번 셀 -> 제1 LDPC 블럭의 "8"번 셀 -> 제1 LDPC 블럭의 "9"번 셀-> .. 순서로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된 셀은 셀 디인터리버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재배열된다.
이때, 메모리 1개를 이용하여 타임 디인터리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리드(read)되는 자리에 다시 라이트(write)를 해야 한다. 이때, 셀들의 어드레스는 첫번째 컬럼의 셀들에 "0,1,2,3,4.."이 할당되고, 두 번째 컬럼의 셀들에 "0, c,2c,3c,4c..."이 할당된다. 즉, 각각의 셀마다 어드레스가 서로 상이하게 할당되므로, 메모리가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매 셀 단위로 어드레스를 쓰는 시간이 필요로 하여 클락(clock)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그룹 단위로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며, 타임 디인터리빙된 각 그룹을 셀 단위로 분할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빙 방법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그룹 단위로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디인터리빙된 각 그룹을 셀 단위로 분할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N값은 LDPC(Low-Density Parity-Check)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LDPC 블럭의 로우(row)의 개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N값은 5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데이터는 로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컬럼 방향으로 N개 단위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을 로우 방향으로 출력하여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셀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하나의 LDPC 블럭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은 각각 하나의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데이터는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trial version 2) 규격에 의한 방송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셀 그룹핑부; 상기 그룹 단위로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타임 디인터리버; 상기 타임 디인터리빙된 각 그룹을 셀 단위로 분할하는 셀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셀에 대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셀 디인터리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N값은 LDPC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LDPC 블럭의 로우(row)의 개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N값은 5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데이터는 로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셀 그룹핑부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컬럼 방향으로 N개 단위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 디인터리버는, 상기 그룹을 로우 방향으로 출력하여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 디인터리버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셀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하나의 LDPC(Low-Density Parity-Check) 블럭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 그룹핑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은 각각 하나의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데이터는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trial version 2) 규격에 의한 방송 데이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디인터리빙 방식에 비해 셀에 할당되는 어드레스가 감소하므로,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De-Jitter Buffer)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타임 디인터리빙 및 셀 디인터리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디인터리빙 및 셀 디인터리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인터리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400)는 수신부(410), 디먹스부(420), 디매퍼(430), 이너 디코더(440), 디인터리버(450), 아우터 디코더(460) 및 디스크램블러(470)를 포함한단.
수신부(410)는 외부의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410)는 A/D 컨버터, 다운 컨버터,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er), 등화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OFDM 심볼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OFDM 심볼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운 컨버터는 A/D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을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로 다운 컨버팅한다. DFT는 다운 컨버팅된 심볼에 대하여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OFDM 심볼을 출력한다. 이 경우, DFT는 FFT(Fast Fourier Transform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등화부는 각 OFDM 심볼에 포함된 파일롯 심볼을 검출하여, 채널 등화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수신부(410)는 DVB-T2 규격에 따르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먹스부(420)는 수신부(410)에서 수신된 OFDM 심볼을 구성하는 심볼들을 디먹싱하여,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심볼들끼리 분류한다..
디 매퍼(430)는 제공된 심볼들을 데이터 비트로 디매핑한다.
이너 디코더(440)는 수신된 데이터 비트들을 LDPC 디코딩한다. 이너 디코더(440)는 실시 예에 따라 직렬 구조, 완전 병렬 구조, 반 병렬 구조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인터리버(450)는 LDPC 디코딩된 데이터 비트들을 디인터리빙한다. 이때, 디인터리버(450)는 주파수 디인터리버(Frequency de-interleaver), 시간 디인터리버(Time de-interleaver), 셀 디인터리버(Cell de-interleaver) 및 비트 디인터리버(bit de-interleaver)를 이용한다. 특히, LDPC 블럭들로부터 분산된 셀들을 재배열하기 위한 시간 디인터리버 및 셀 디인터리버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우터 디코더(460)는 디인터리빙된 데이터 비트들을 BCH(Bose-Chaudhuri-Hocquenghem) 디코딩한다.
디스크램블러(470)는 LDPC 디코딩된 데이터들을 역랜덤화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한다.
한편, 도 4의 수신부(410), 디먹스(420), 디매퍼(430), 이너 디코더(440), 디인터리버(450), 아우터 디코더(460) 및 디스크램블러(470)에 대한 구성은 기 공지된 규격 문헌들에서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디인터리빙 및 셀 디인터리빙를 수행하기 위한 디인터리버(4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인터리버(450)는 셀 그룹핑부(451), 타임 디인터리버(452), 셀 분할부(453) 및 셀 디인터리버(454)로 구현된다.
셀 그룹핑부(451)는 주파수 디인터리빙된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한다.
이때, N값은 LDPC(Low-Density Parity-Check)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LDPC 블럭의 로우(row)의 개수로 나눈 값이다. 특히, N값은 5이다.
구체적으로, 아래에 도시된 표 1을 살펴보면, DVB-T2 규격하에서 LDPC 블럭의 길이와 모듈레이션 모드에 따라 LDPC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와 로우의 개수가 서로 상이하다.
LDPC block length
(Nldpc)
Modulation Mode Number of cells per LDPC block (NCELL) Number of rows (Nr)

64800
256-QAM 8100 1620
64-QAM 10800 2160
16-QAM 16200 3240
QPSK 32400 6480

16200

256-QAM 2025 405
64-QAM 2700 540
16-QAM 4050 810
QPSK 8100 1620
이때, 하나의 LDPC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NCELL) 및 로우의 개수(Nr)는 아래와 같이 수학식 1과 같은 관계이다.
Figure pat00001
즉, LDPC 블럭의 하나의 로우에 포함된 셀의 개수는 항상 5개가 된다. 따라서, 셀 그룹핑부(451)는 5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셀 그룹핑부(451)는 복수의 셀들을 컬럼 방향으로 5개 단위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그룹핑부(451)는 제1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을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셀 그룹핑부(451)는 제2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을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셀 그룹핑부(451)는 복수의 셀을 컬럼 방향으로 5개 씩 그룹핑하여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상술한 바와 같이, 5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 단위로 셀을 그룹핑하여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그룹에는 하나의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 "0" 어드레스, 제2 그룹에 "1" 어드레스, 제3 그룹에 "2"어드레스, ..와 같이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그룹에는 연속된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 포함된 제1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에 각각 "0","1","2","3","4"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 있다.
셀 그룹핑부(451)에 의해 5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된 셀들은 컬럼 방향으로 타임 디인터리버(452)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7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디인터리버(452)에는 제1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이 그룹핑된 제1 그룹 -> 제2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이 그룹핑된 제2 그룹 -> 제3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이 그룹핑된 제3 그룹 -> 제4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이 그룹핑된 제4 그룹 -> 제1 LDPC 블럭의 "1"번 셀, "13"번 셀, "25"번 셀, "37"번 셀 및 "49"번 셀이 그룹핑된 제5 그룹 ->... 순으로 입력된다.
타임 디인터리버(452)는 컬럼 방향으로 입력된 그룹을 로우 방향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디인터리버(452)는 제1 LDPC 블럭의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이 그룹핑된 제1 그룹 -> 제1 LDPC 블럭의 "1"번 셀, "13"번 셀, "25"번 셀, "37"번 셀 및 "49"번 셀이 그룹핑된 제5 그룹 -> 제1 LDPC 블럭의 "2"번 셀, "14"번 셀, "26"번 셀, "38"번 셀 및 "50"번 셀이 그룹핑된 제9 그룹 -> 제1 LDPC 블럭의 "3"번 셀, "15"번 셀, "27"번 셀, "39"번 셀 및 "51"번 셀이 그룹핑된 제13 그룹 -> ... 순으로 출력한다.
셀 분할부(453)는 로우 방향으로 출력된 그룹들을 분할한다. 구체적으로, 제1 그룹을 "0"번 셀, "12"번 셀, "24"번 셀, "36"번 셀 및 "48"번 셀로 분할한다. 그리고, 셀 분할부(453)는 제5 그룹을 제1 LDPC 블럭의 "1"번 셀, "13"번 셀, "25"번 셀, "37"번 셀 및 "49"번 셀로 분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셀 분할부(453)는 그룹들을 그룹핑되기 전의 셀들로 복원하여 셀 디인터리버(454)에 입력한다.
그리고, 셀 디인터리버(454)는 셀 분할부(453)에 의해 분할된 셀들에 대한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때, 셀 디인터리버(454)는 기존의 셀 디인터리버(454)와 같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셀들을 재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되는 셀들을 기설정된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한다. 이때, 5 x n 단위로 그룹핑하였을 때, 기설정된 간격(I)은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즉, 5개 단위로 그룹핑하였을 때, 기설정된 간격(I)은 LDPC 블럭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이며, 10개 단위로 그룹핑하였을 때, 기설정된 간격(I)은 LDPC 블럭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에 2를 곱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LDPC 블럭 당 12개의 로우가 포함된 경우, 셀 디인터리버(454)에는 제1 LDPC 블럭의 "0" 번째 셀 -> 제1 LDPC 블럭의 "12" 번째 셀 -> 제1 LDPC 블럭의 "24" 번째 셀 -> 제1 LDPC 블럭의 "36" 번째 셀 -> 제1 LDPC 블럭의 "48" 번째 셀 -> 제1 LDPC 블럭의 "13" 번째 셀 -> 제1 LDPC 블럭의 "25" 번째 셀 -> ,, 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셀 디인터리버(45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셀을 순차적으로 재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되는 셀을 기설정된 간격(12개의 셀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개수 단위로 그룹핑된 그룹을 이용하여 타임 디인터리빙 및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디인터리빙 방식에 비해 셀에 할당되는 어드레스가 감소하므로, 클락이 감소하여 하나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400)의 디인터리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방송 수신 장치(400)는 외부의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910). 이때, 방송 데이터는 DVB-T2 규격에 의한 방송 데이터이며, 로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컬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400)는 입력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고,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기 전에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을 5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그룹으로 구분한다(S920). 이때, 방송 수신 장치(400)는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을 컬럼 방향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수신 장치(400)는 그룹핑된 그룹에 하나의 어드레스 또는 연속된 어드레스가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400)는 그룹에 대하여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S930).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400)는 컬럼 방향으로 입력된 그룹을 로우 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400)는 타임 디인터리빙된 그룹들을 분할한다(S940). 즉, 방송 수신 장치(400)는 그룹들을 그룹핑하기 전의 셀들로 복원되도록 그룹을 분할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400)는 분할된 셀들을 이용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S950). 이때, 방송 수신 장치(400)는 입력된 셀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셀을 기설정된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때, 기설정된 간격은 5*n개 단위로 그룹핑된 경우, n*Nr(Nr은 LDPC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룹핑된 그룹을 이용하여 타임 디인터리빙 및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함으로써, 메모리의 클락 수가 감소하여 디인터리빙에 이용되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셀들을 5개 단위로 그룹핑하여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그룹으로 구분하는 실시예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410: 수신부 420: 디먹스부
430: 디매퍼 440: 이너 디코더
450: 디인터리버 451: 셀 그룹핑부
452: 타임 디인터리버 453: 셀 분할부
454: 셀 디인터리버 460: 아우터 디코더
470: 스크램블러

Claims (18)

  1.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그룹 단위로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디인터리빙된 각 그룹을 셀 단위로 분할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값은 LDPC(Low-Density Parity-Check)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LDPC 블럭의 로우(row)의 개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값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로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컬럼 방향으로 N개 단위로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을 로우 방향으로 출력하여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셀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하나의 LDPC 블럭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은 각각 하나의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trial version 2) 규격에 의한 방송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인터리빙 방법.
  10.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N의 배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셀 그룹핑부;
    상기 그룹 단위로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타임 디인터리버;
    상기 타임 디인터리빙된 각 그룹을 셀 단위로 분할하는 셀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셀에 대하여 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셀 디인터리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값은 LDPC 블럭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LDPC 블럭의 로우(row)의 개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값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로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셀 그룹핑부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셀들을 컬럼 방향으로 N개 단위로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디인터리버는,
    상기 그룹을 로우 방향으로 출력하여 타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셀 디인터리버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셀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점핑하여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하나의 LDPC(Low-Density Parity-Check) 블럭에 포함된 로우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셀 그룹핑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은 각각 하나의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trial version 2) 규격에 의한 방송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110070108A 2011-07-14 2011-07-14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KR101779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08A KR101779026B1 (ko) 2011-07-14 2011-07-14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EP12155950.4A EP2547024B1 (en) 2011-07-14 2012-02-17 Method for De-Interleaving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08A KR101779026B1 (ko) 2011-07-14 2011-07-14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98A true KR20130009198A (ko) 2013-01-23
KR101779026B1 KR101779026B1 (ko) 2017-09-18

Family

ID=4560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108A KR101779026B1 (ko) 2011-07-14 2011-07-14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547024B1 (ko)
KR (1) KR101779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68A1 (ko) * 2014-04-08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220123202A (ko) * 2013-09-26 202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및 그의 신호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1062B (zh) * 2015-07-07 2016-09-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時間及單元解交錯電路及執行時間及單元解交錯處理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47B1 (ko) * 2005-06-21 2011-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적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GB2465611B (en) * 2008-11-25 2011-04-27 British Broadcasting Corp Interleaving or de-interleaving of data of variable rate
JP5344228B2 (ja) * 2009-03-26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202A (ko) * 2013-09-26 202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및 그의 신호 처리 방법
WO2015156568A1 (ko) * 2014-04-08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9614595B2 (en) 2014-04-08 2017-04-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9692491B2 (en) 2014-04-08 2017-06-2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9979579B2 (en) 2014-04-08 2018-05-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063289B2 (en) 2014-04-0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110408B2 (en) 2014-04-08 2018-10-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764103B2 (en) 2014-04-08 2020-09-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862726B2 (en) 2014-04-08 2020-12-0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1677483B2 (en) 2014-04-08 2023-06-1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7024A3 (en) 2013-04-03
EP2547024A2 (en) 2013-01-16
KR101779026B1 (ko) 2017-09-18
EP2547024B1 (en)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653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1861691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8644406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KR101153503B1 (ko) 무선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의 전송 및 멀티플렉싱
US9160402B2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reception method, and receiver
Douillard et al. The bit interleaved coded modulation module for DVB-NGH: enhanced features for mobile reception
US10924314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JP6174788B2 (ja)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KR20060132557A (ko) 무선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수 데이터 스트림의멀티플렉싱 및 송신
EP3017595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s therefor
CN110048808B (zh) 发送方法、接收方法、发送装置及接收装置
US11057056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thereof
EP2988510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KR102160268B1 (ko) 수신기 및 그의 plp 처리 방법
KR101779026B1 (ko) 디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US10340954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thereof
US9559723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s method thereof
Kang et al. Design of a bit interleaver for the high-order constellation DVB-T2 system
US10361803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20150035366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min et al. Design and Simulation of DVB-T2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