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181A -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9181A KR20130009181A KR1020110070082A KR20110070082A KR20130009181A KR 20130009181 A KR20130009181 A KR 20130009181A KR 1020110070082 A KR1020110070082 A KR 1020110070082A KR 20110070082 A KR20110070082 A KR 20110070082A KR 20130009181 A KR20130009181 A KR 201300091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pedestal
- coupled
- forms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82—Screw jacks with a variable angle between panel and suppor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은 마감재를 위치하여 지지하도록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부,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부,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 바닥면과 밀착하는 끝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의 두께가 타측 끝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링, 상기 지지부의 상단을 일정 넓이로 구획하여 마감재를 위치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정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마감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마감재 및 바닥재를 쉽게 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마감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마감재 및 바닥재를 쉽게 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페데스탈(Structural Pedestal)은 경사 정도가 일정하지 않은 하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마감재(또는 바닥재)를 지지하도록 시공되는 것으로, 바닥면의 외관미를 높이고 경사 정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즉, 페데스탈 시스템은 건축 및 조경 등의 모든 옥외구간과 건물 내부의 통로 및 발판 등 실내구간의 마감 포장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부 바닥면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바닥 방수층에서 일정 간격을 지지하면서 공간을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 및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페데스탈 시스템은 건축물의 지상 및 지하층 모든 포장구간의 디자인성, 효율성, 유지관리의 이점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건축물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공간에 파이프 배관이나 전기 배선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거 및 재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페데스탈 시스템 또는 이중 바닥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높이 조절구로써 종래에는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97-5926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354375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24871호 등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의 수평을 조절하고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것으로서, 나사 형태의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매우 짧은 범위 내에서의 높이 조절만을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사를 가지는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의 수평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았으며, 마감재 위에 큰 하중이 걸릴 경우 높이 조절구가 기울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페데스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10-772555호가 사용되었다.
상기 기술은 설치 바닥면의 조건(경사, 요철 등등)에 따라 최대 승강 높이가 상이한 여러개의 페데스탈을 준비하였다가 해당하는 페데스탈을 바닥면의 경사 정도에 따라 임의 선택하여 사용함에 따라 최대 승강 높이가 상이한 여러개의 페데스탈을 구비하고 임의로 선택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확장링을 제거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높낮이 조절 폭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확장링을 여러개 결합함으로써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의 높낮이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는 있지만, 오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마감재(바닥재)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중 바닥 구조를 안전하게 지지하여야 할 페데스탈이 기울어지거나 또는 굴절되면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즉,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 페데스탈(1)은 기울기가 없어 하중을 지지하는데 큰 무리가 없으나, 경사진 하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있는 페데스탈(2,3)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기울어진 채로 위치하고 있어, 수직 방향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 페데스탈이 기울어지거나 굴절되면서 구조 전체가 무너지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와의 높이 차이가 커서 페데스탈 자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경사에 따른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점차 기울어지거나 굴절되면서 구조를 유지하는 못하는 문제가 크게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마감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페데스탈의 연결부가 각각 나사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적인 하중이 가해질 경우 연결부 사이가 하중에 의하여 회전하거나 뒤틀리면서 처음 설정하였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무너지면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제품을 시공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노후화되면서 각각의 나사산과 나사골 사이가 무너지거나 경계가 없어지면서 페데스탈 자체가 쳐지거나 가라앉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르면 페데스탈 상부에 마감재를 설치함에 있어, 상부면이 4방향의 직각 방향으로만 분할되어 있어 반드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재를 사용하여야만 했으며, 이에 따라 석재 및 목재 등을 마감할 때 지극히 단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분수대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과 문양의 마감재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높을 경우, 다각도의 석재 및 목재를 시공할 수가 없으므로 심미감 및 디자인성을 점차 강조하는 현재 건축 및 조경 분야에 맞추어 마감을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데스탈의 상부면에 시공되는 바닥재(마감재)가 직교하는 고정된 한 가지의 형태가 아니라, 시공되는 지역과 상황 등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가 시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의 구성은, 상부면은 마감재를 위치하여 지지하도록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부,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부,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 바닥면과 밀착하는 끝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의 두께가 타측 끝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링, 상기 지지부의 상단을 일정 넓이로 구획하여 마감재를 위치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동심원 상에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동일한 간격으로 8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양한 방향으로 스페이서를 위치시킴으로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페데스탈에 위치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어 분수대 및 석재 등 많은 곳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종래의 고정된 형태의 스페이서는 다수개 중 하나만 부러지는 경우에도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스페이서만을 끼워서 전체 구조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도1 은 종래의 페데스탈이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를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2 는 도1 의 부분확대도.
도3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사시도.
도4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측면도.
도6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평면도.
도7 및 8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사용되는 고정링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도시한 하부사시도.
도10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사용되는 베이스 및 각도조절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11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이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를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12 는 도11 의 부분확대도.
도13 및 14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정사각형 형태의 마감재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및 평면도.
도15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2 는 도1 의 부분확대도.
도3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사시도.
도4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측면도.
도6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을 도시한 평면도.
도7 및 8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사용되는 고정링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도시한 하부사시도.
도10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사용되는 베이스 및 각도조절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11 은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이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 사이를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12 는 도11 의 부분확대도.
도13 및 14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정사각형 형태의 마감재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및 평면도.
도15 는 본 발명인 건축용 페데스탈에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은, 상부면은 마감재를 위치하여 지지하도록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1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부(2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부(3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 바닥면과 밀착하는 끝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40), 상기 베이스(40)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의 두께가 타측 끝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3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10)의 상단은 수평 방향으로 평평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바닥재)를 올려놓아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마감재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석재 또는 목재데크 등의 마감재 자체의 무게와 이중 바닥재가 설치된 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대는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10)의 하부 쪽으로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그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연결부(20)에 형성된 나사골과 회전 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의 나사산과 상기 제1연결부(20)의 나사골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의 회전에 따라 페데스탈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0)의 상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0)의 회전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의 나사산의 높이만큼 상기 제1연결부(20)의 내측으로 나사골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연결부(20)의 하부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0)의 결합 방식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연결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연결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제2연결부(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골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1연결부(20)의 회전에 따라 페데스탈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0) 또한 마찬가지로 상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베이스(40)는 상기 제2연결부(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40)의 하단면은 하부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하중 및 전체 구조를 지지하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이 지지부(10), 제1연결부(20), 제2연결부(30), 베이스(40)에 각각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각각의 회전에 의하여 페데스탈 전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높낮이의 조절 폭이 클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 등을 사용하지 않은 채로 상기 지지부(10)가 상기 베이스(4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1연결부(20)와 같은 연결 부재를 추가적으로 더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와의 높이 차이가 크지 않을 때에는 추가적인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10)의 나사산이 상기 베이스(4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골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바닥면과 마감재와의 높이 차이가 클 경우에는 제1연결부(20)를 연속적으로 여러개 연결하여 페데스탈의 구조 및 하중의 유지를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부를 사용하여 페데스탈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안정적인 구조의 유지 및 하중의 지지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는 하부 바닥면의 경사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보다 심해진다.
즉,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닥면의 경사가 큰 부분일수록 페데스탈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각도가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페데스탈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측 끝단의 두께가 타측 끝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링(50)이 상기 베이스(40)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사용되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각도조절부가 페데스탈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경사진 하부 바닥면과는 직각을 유지하게 되지만, 계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상부 마감재와는 경사각을 가지면서 페데스탈이 기울어지고 굴절되는 현상이 커져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페데스탈의 상부가 아닌 하부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링(50)을 위치하게 되면, 도11 및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하부 바닥면에 페데스탈을 시공하더라도 어느 위치에서나 상부 마감재와 페데스탈이 직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지속적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9 및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의 하단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함몰된 다수개의 각도조절홈(43)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링(50)의 상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각도조절돌기(53)가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돌기(53)가 상기 각도조절홈(43)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각의 페데스탈이 시공되는 위치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링(50)을 회전시키면서 페데스탈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적합한 각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각도조절링(50)에 돌출된 각도조절돌기(53)가 상기 베이스(40)에 함몰된 각도조절홈(43)에 끼워져 적합한 각도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각도조절홈(43)은 상기 베이스(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동심원상에 배치되면서 하나의 각도조절홈(43)과 인접하는 다른 각도조절홈(43) 사이의 경사각 차이가 0.5°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의 크기를 세분화함으로써 경사진 하부 바닥면과 페데스탈과의 밀착감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세분화된 각도조절홈(43)에 의하여 0.5°마다 페데스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부 마감면의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페데스탈이 하부 바닥면과 밀착되어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페데스탈은 종래 사용되던 기술에 비하여 경사 조절 폭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켰는데, 페데스탈의 하부에 위치한 각도조절링(50)으로 인하여 페데스탈이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부의 마감재와도 직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가 심한 곳에도 본 발명인 페데스탈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사용되던 페데스탈은 일반 건축물 등의 바닥 경사도가 약 3°이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의 범위가 0°내지 3°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건축물의 바닥 중에서도 물이 고이지 않도록 빠져나가는 배수로(드레인)의 경우에는 약 3°내지10°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우가 존재하고 있으며, 종래의 페데스탈은 위와 같은 지점에 설치하지 못하여 마감재를 동일하게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40)에 대한 상기 각도조절링(50)의 회전으로 인하여 0° 내지 10°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물이 빠지는 배수로 구간이나 또는 각 마감 구간에 대한 레벨이 높아져서 마감하기 힘든 구역에도 본 발명인 페데스탈을 설치하여 다른 구역과 동일하게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10 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의 중심에는 중공(41)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링(50)의 중심에는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중심축(51)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41)에 상기 중심축(5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40)와 각도조절링(50)이 결합되며, 특히 상기 중공(41)의 내측 끝단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51)의 상단 둘레에는 일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52)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2)과 걸림부(52)가 서로 맞닿아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링(50)의 중심축(51)에 유격을 형성하고, 페데스탈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각도조절링(50)을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각도조절링(50)을 아래로 약간 내린 상태에서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하고자 하는 각도로 설정된 이후에는 베이스(40)에 형성된 각도조절홈(43)과 각도조절링(50)에 형성된 각도조절돌기(53)가 결합하면서, 페데스탈의 상부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임의로 돌아가지 않고 설정된 경사도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사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페데스탈에서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뒤틀리거나 가라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부면은 마감재를 위치하여 지지하도록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1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부(2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부(3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 바닥면과 밀착하는 끝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40), 상기 베이스(40)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의 두께가 타측 끝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나사산과 나사골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고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과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페데스탈은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연결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시공이 된 이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지속적인 하중에 의하여 나사산과 나사골 부위가 뒤틀리거나 쳐지는 등 안정된 구조의 지지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일부 페데스탈이 하부로 가라앉는 등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연결부에 추가적인 고정링을 설치하여 임의로 회전하거나 또는 하중에 따라 뒤틀리거나 가라앉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또한 고정링의 결합으로 인하여 페데스탈 전체의 지지력 및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0)의 나사산에는 제1고정링(11)이 회전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10)와 상기 제1연결부(2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링(11)의 하단면이 상기 제1연결부(20)의 상단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지지부(10)와 제1연결부(20)만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속적인 하중에 의하여 나사산과 나사골 사이가 헐거워지거나 벌어지는 등 결합력이 약해지고 뒤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링(11)의 추가적인 결합에 의하여 제1고정링(11)이 제1연결부(20)와 맞닿으면서 안정적인 결합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연결부(20)의 나사산에는 제2고정링(21)이 회전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20)와 상기 제2연결부(3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링(21)의 하단면이 상기 제2연결부(30)의 상단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30)의 나사산에는 제3고정링(31)이 회전 결합되며 상기 제2연결부(30)와 상기 베이스(4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3고정링(31)의 하단면이 상기 베이스(40)의 상단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0)와 베이스(40) 사이에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2개의 연결부가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여, 나사산과 나사골에 의한 회전 결합부위가 3개가 사용됨에 따라, 고정링 또한 각각의 회전 결합부위에 3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페데스탈이 시공되는 환경 및 높이에 따라 연결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더 추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회전 결합부위에 고정링이 더 적은 수가 사용되거나 또는 더 많은 수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링(11), 제2고정링(21) 및 제3고정링(31)이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결합 및 회전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고정링이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의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부의 회전 부위에 고정링을 결합시켜, 고정링에 의하여 각각의 연결부가 임의로 돌아가거나 헐거워지는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시공시부터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므로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더라도 페데스탈의 높이가 가라앉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으며, 이중 바닥재의 시공시 시공성을 높이고, 마감 후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마감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마감재 및 바닥재를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즉, 도3 내지 도5 를 참조하면, 마감재를 위치하여 지지하도록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을 일정 넓이로 구획하도록 다수개의 스페이서(60)가 결합되어 있다.
종래 사용되던 페데스탈의 경우에는 마감재와 접촉하는 지지대의 상부면을 구획함에 있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4개의 분할탭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페데스탈의 상부에 석재 및 목재의 마감재를 시공하기 위하여 반드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마감재만을 시공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과 문양의 마감재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높을 경우, 다각도의 석재 및 목재를 시공할 수가 없으므로 다양한 마감재를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 상부를 구획하는 스페이서(60)를 다수개를 형성하였으며, 도3 및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60)는 동일한 간격으로 8개가 배치되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도1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으며, 분수대와 같이 다양한 모양의 마감재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곳에서도 본 발명인 페데스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는 동심원 상에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60)의 하단에는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61)가 상기 결합홈(12)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을 구획하는 스페이서(60)가 상기 지지부(10)에 완전히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공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는 일정한 깊이로 스페이서(6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2)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12)에 스페이서(60)가 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6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공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60)를 상기 지지부(10)에 쉽게 결합하거나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언제든지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재의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또는 보수 공사가 필요할 경우에도 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13 및 도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마감재는 일부 스페이서(60)를 제거함으로서 종래 사용되던 기술과 같이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스페이서(60)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도1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 또한 쉽게 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지지부 11 : 제1고정링
12 : 결합홈 20 : 제1연결부
21 : 제2고정링 30 : 제2연결부
31 : 제3고정링 40 : 베이스
41 : 중공 42 : 걸림턱
43 : 각도조절홈 50 : 각도조절링
51 : 중심 52 : 걸림부
53 : 각도조절돌기 60 : 스페이서
61 : 결합돌기
12 : 결합홈 20 : 제1연결부
21 : 제2고정링 30 : 제2연결부
31 : 제3고정링 40 : 베이스
41 : 중공 42 : 걸림턱
43 : 각도조절홈 50 : 각도조절링
51 : 중심 52 : 걸림부
53 : 각도조절돌기 60 : 스페이서
61 : 결합돌기
Claims (3)
- 건축용 페데스탈에 있어서,
상부면은 마감재를 위치하여 지지하도록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1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부(2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부(30);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 바닥면과 밀착하는 끝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40);
상기 베이스(40)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의 두께가 타측 끝단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하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링(50);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을 일정 넓이로 구획하여 마감재를 위치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스페이서(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에는 동심원 상에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60)의 하단에는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61)가 상기 결합홈(12)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60)는 동일한 간격으로 8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0082A KR101243873B1 (ko) | 2011-07-14 | 2011-07-14 |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0082A KR101243873B1 (ko) | 2011-07-14 | 2011-07-14 |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9181A true KR20130009181A (ko) | 2013-01-23 |
KR101243873B1 KR101243873B1 (ko) | 2013-03-20 |
Family
ID=4783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0082A KR101243873B1 (ko) | 2011-07-14 | 2011-07-14 |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387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23695B1 (fr) * | 2015-12-14 | 2017-06-16 |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S.A. | Dispositif de compensation de l'inclinaison d'une surface de construction |
KR102670012B1 (ko) * | 2023-11-13 | 2024-05-28 | 주식회사 참솔테크 | 플라스틱 지주를 구비한 면진이중마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7339B1 (ko) | 2019-05-28 | 2020-05-26 | 제경주 | 데크 받침대 시스템 |
KR102420470B1 (ko) | 2021-04-09 | 2022-07-13 | 강철 |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
KR102322133B1 (ko) | 2021-04-14 | 2021-11-04 | 신행철 | 건축용 페데스탈 |
KR20240044057A (ko) | 2022-09-28 | 2024-04-04 | 주식회사 알앤티 | 건축용 페데스탈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13067A4 (fr) | 1997-10-31 | 2001-09-04 | Buzon Scril Atel | Dispositif de reglage d'inclinaison de surface de construction sur plot. |
JP5147705B2 (ja) * | 2005-10-28 | 2013-02-20 | シアン ギー リー、アラン | 上昇床のための台座用の傾斜補償器 |
KR100772555B1 (ko) | 2007-03-22 | 2007-11-01 | (주)화석엔지니어링 |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
-
2011
- 2011-07-14 KR KR1020110070082A patent/KR1012438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23695B1 (fr) * | 2015-12-14 | 2017-06-16 |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S.A. | Dispositif de compensation de l'inclinaison d'une surface de construction |
EP3181779A1 (fr) * | 2015-12-14 | 2017-06-21 |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 Dispositif de compensation de l'inclinaison d'une surface de construction |
US10066407B2 (en) | 2015-12-14 | 2018-09-04 |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 Device for compensating a slope of a construction surface |
AU2016269395B2 (en) * | 2015-12-14 | 2021-10-21 |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 A device for compensating a slope of a construction surface |
KR102670012B1 (ko) * | 2023-11-13 | 2024-05-28 | 주식회사 참솔테크 | 플라스틱 지주를 구비한 면진이중마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3873B1 (ko) | 2013-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47705B2 (ja) | 上昇床のための台座用の傾斜補償器 | |
KR101243873B1 (ko) |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 |
KR101133198B1 (ko) |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 | |
CA2682119C (en) | Pedestal for ballast block decking | |
CA2695862C (en) | Stabilizing systems for deck pedestals | |
US20140083047A1 (en) | Support pedestal assembly including a stabilizing collar for stabilizing a support structure | |
US8671635B2 (en) | Perimeter pedestals | |
KR101243872B1 (ko) |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 |
CA2931800A1 (en) | Paver pedestal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KR100772555B1 (ko) |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 |
CA2985730A1 (en) | Supporting system for above-ground flooring | |
US11926975B2 (en) | Paver supporting apparatus | |
US11840851B2 (en) | Support system | |
KR20200110976A (ko) | 데크 시스템용 높이 조절형 받침장치 | |
KR101235244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블록 | |
EP2434071B1 (en) | Height-adjustable floor support | |
AU2006308433B2 (en) | Slope compensator for pedestal for elevated floors | |
KR101821230B1 (ko) |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 |
AU2012101683A4 (en) | Adjustable pedestal | |
CA2810079C (en) |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 |
AU2011202121B2 (en) | Adjustable pedestal | |
KR102322133B1 (ko) | 건축용 페데스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