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731A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731A
KR20130008731A KR1020110069251A KR20110069251A KR20130008731A KR 20130008731 A KR20130008731 A KR 20130008731A KR 1020110069251 A KR1020110069251 A KR 1020110069251A KR 20110069251 A KR20110069251 A KR 20110069251A KR 20130008731 A KR20130008731 A KR 2013000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main body
coupled
bottom plat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111B1 (ko
Inventor
노유진
Original Assignee
노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유진 filed Critical 노유진
Priority to KR102011006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1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통의 내측에 일측으로만 쓰레기가 쌓이지 않도록 하고, 쓰레기통의 덮개가 내부 쓰레기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으며, 몸체의 일부에 쓰레기가 통과되는 쓰레기통과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양측부가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핀결합되는 제1회동핀;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제1회동핀과 핀결합되어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덮개판;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제1덮개판의 타단과 핀결합되어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덮개판; 상기 제1회동핀을 감싸며,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부탄성스프링; 및, 상기 제1회동핀과 연결되며, 일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회동핀을 회전시켜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접철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개구시키는 상부와이어; 를 포함하는 쓰레기통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BASKE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의 하부공간과 하부공간이 접철식으로 개폐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이용되는 쓰레기통은 상부 공간에 회전식 덮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식 덮개는 회전을 위하여 상방으로 볼록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 종래의 회전식 덮개는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면, 보통 한쪽 방향으로만 투입된다.
그러면, 종래의 쓰레기통 내부에는 일측으로만 쓰레기가 쌓이게 되고, 쓰레기통의 내부에는 한쪽으로만 쓰레기가 쌓이게 된다.
이때, 쓰레기통 내부에 일측으로만 쌓인 쓰레기는 회전식 덮개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고, 회전식 덮게는 쓰레기통에 일측으로만 쌓인 쓰레기에 의해 원위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쓰레기통이 코너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화장실용 휴지통 또는 책상옆 휴지통으로 사용되는 경우, 쓰레기가 통 내부의 한쪽 부분에만 쌓여 전체 수용량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덮개를 건드리게 되므로 쓰레기의 이물질이 덮개에 묻어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버릴 시, 기존 쓰레기통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를 거꾸로 엎어서 쓰레기봉투에 담거나, 밑바닥에 하부 덮개가 구비되어 하부 덮개가 외부 아래방향으로 열리면서 배출구가 열려 쓰레기가 쓰레기봉투에 투입될 시 쓰레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며, 쓰레기가 하부 덮개와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통의 내측에 일측으로만 쓰레기가 쌓이지 않도록 하고, 쓰레기통의 덮개가 내부 쓰레기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조작 레버와 손바닥 안쪽면과의 접촉으로 원터치식으로 편리하게 쓰레기와의 접촉이 없는 쓰레기 투입구를 형성하는 위생적인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으며, 몸체의 일부에 쓰레기가 통과되는 쓰레기통과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양측부가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핀결합되는 제1회동핀;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제1회동핀과 핀결합되어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덮개판;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제1덮개판의 타단과 핀결합되어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덮개판; 상기 제1회동핀을 감싸며,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부탄성스프링; 및 상기 제1회동핀과 연결되며, 일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회동핀을 회전시켜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접철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개구시키는 상부와이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몸체의 일부에 상부레버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은 몸통부의 일부가 상기 상부레버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와이어와 연결되는 상부레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레버는 상기 상부레버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상부와이어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의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접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은 양단이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상부와이어의 감겨지는 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상부와이어의 상부에 밀착되는 제1상부롤러; 및, 양단이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상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와이어의 감겨지는 경로가 하방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상부와이어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상부롤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보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홀을 덮으며, 일단이 제2상부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제2상부롤러의 회동시에 회동하여 상기 보조홀을 개구시키는 보조덮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결착됨으로써, 체결시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고, 체결해제시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상부결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부에 하부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하부개구부를 덮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결착됨으로써, 체결시 상기 바닥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고, 체결해제시 상기 바닥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하부결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의 일부를 밀폐하는 제1바닥판; 일단이 상기 제1바닥판과 핀결합되며, 상기 제1바닥판과 함께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를 밀폐하는 제2바닥판;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 사이의 핀결합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하부탄성스프링; 양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하부롤러; 및, 양단이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롤러는 감싸는 하부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롤러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와이어가 감김으로써,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접철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를 개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몸체의 일부에 측부레버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은 양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하부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하부와이어가 감기는 제2하부롤러; 몸통의 일부가 상기 측부레버홀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레버에 결합되며, 회전시에 상기 제2하부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와이어를 상기 제2하부롤러에 감아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접철시키는 하부레버; 및, 상기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하부롤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하부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회동와이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본체와 상기 하부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버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하는 파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쓰레기통의 상부 쓰레기통과홀을 접철식으로 밀폐하게 되므로, 쓰레기통의 내측에 일측으로만 쓰레기가 쌓이지 않고, 내부 쓰레기가 덮개판에 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통의 하부개구부를 접철식으로 밀폐하게 되므로, 쓰레기통 내부의 쓰레기를 매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덮개판들이 위로 접혀지면서 열리기때문에 본체 내부 공간을 침범하지 않아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부를 손으로 잡으면서 쓰레기통의 하부에 쓰레기 봉투를 끼워 쓰레기를 담을 시 하부 덮개판들이 쓰레기가 유출될 시 방해되지 않도록 쓰레기통 내부로 접혀지므로 쓰레기가 원활히 쓰레기 봉투에 담겨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상부공간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부공간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레버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덮개판 및 제2덮개판이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하부레버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바닥판 및 제2바닥판이 우측으로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상부공간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덮개부가 회동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상부공간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부공간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본체(10), 덮개부(20), 제1회동핀(30), 제1덮개판(40), 제2덮개판(50), 상부탄성스프링(60) 및, 상부와이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20)는 본체(10)의 상부 개구부를 덮으며, 몸체의 일부에 쓰레기가 통과되는 쓰레기통과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부(20)는 본체(10)와 결합시에 본체(10) 내부의 쓰레기가 육안으로 보이는 것을 막고, 쓰레기 냄새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본체(1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제1회동핀(30)은 양측부가 덮개부(20)의 내측에 핀결합된다.
상기 제1덮개판(40)은 쓰레기통과홀(21)을 덮으며, 일단이 제1회동핀(30)과 핀결합되고,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덮개판(50)은 쓰레기통과홀(21)을 덮으며, 일단이 제1덮개판(40)의 타단과 핀결합되고,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서로 간에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접철 또는 펼쳐짐으로써, 쓰레기통과홀(21)을 밀폐 또는 개구시키는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이 경우,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위로 접혀지면서 열리기 때문에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침범하지 않아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중앙부근에서 열리기 때문에 중앙으로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어 쓰레기가 일측으로만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탄성스프링(60)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회동핀(30)을 감싸며, 제1덮개판(40)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와이어(70)는 상기 제1회동핀(30)과 연결되며, 일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제1회동핀(30)을 회전시켜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이 핀결합된 부위를 접철시킴으로써, 쓰레기통과홀(21)을 개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평상시에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이 쓰레기통과홀(21)을 밀폐하는 상태로 존재하다가, 상부와이어(70)가 일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을 접철시켜 쓰레기통과홀(21)을 통해 용이하게 쓰레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부레버(80), 제1상부롤러(90) 및, 제2상부롤러(10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덮개부(20)는 몸체의 일부에 상부레버홀(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상부레버(80)는 몸통부의 일부가 상부레버홀(22)에 삽입되며, 상부와이어(7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레버(80)는 상부레버홀(2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와이어(70)를 잡아당김으로써,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의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접철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부레버(80)는 와이어를 일방으로 잡아당기고자 하는 경우에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며, 이 경우, 상부레버(8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나아가, 상부레버(80)는 상부에 있기 때문에 봉지와 쓰레기통을 같이 잡고 버릴 수 있으며, 손잡이 기능이 구현되어 쓰레기를 비울 때 손으로 파지하여 쓰레기통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롤러(90)는 양단이 덮개부(20)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부와이어(70)의 감겨지는 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되도록 상부와이어(70)의 상부에 밀착된다.
상기 제2상부롤러(100)는 양단이 덮개부(20)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제1상부롤러(9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와이어(70)의 감겨지는 경로가 하방으로 변경되도록 상부와이어(70)의 하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부와이어(70)는 제1상부롤러(90)와 제2상부롤러(100)에 의해 이송경로가 변경되므로, 상부레버(80)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부롤러(90)와 제2상부롤러(100)의 배치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부결착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결착부(110)는 덮개부(20)와 본체(10) 사이에 결착됨으로써, 체결시 덮개부(20)를 본체(10)에 결합시키고, 체결해제시 덮개부(20)를 본체(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부결착부(110)는 후크와 같은 체결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쓰레기통을 들어올릴 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로서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바닥부(120) 및, 하부결착부(13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본체(10)는 하부에 하부개구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20)는 하부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하부결착부(130)는 바닥부(120)와 본체(10) 사이에 결착됨으로써, 체결시 바닥부(120)를 본체(10)에 결합시키고, 체결해제시 바닥부(120)를 본체(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즉, 바닥부(120)는 하부결착부(130)에 의해 본체(10)와 함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부결착부(130)의 결합해제시에 본체(10)에서 분리됨으로써, 본체(10)의 하부개구부를 개구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제1바닥판(140), 제2바닥판(150), 하부탄성스프링(160), 제1하부롤러(170) 및, 하부와이어(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바닥판(140)은 본체(10)의 하부개구부의 일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제2바닥판(150)은 일단이 제1바닥판(140)과 핀결합되며, 제1바닥판(140)과 함께 본체(10)의 하부개구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 경우,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은 본체(10) 내부로 접철되어 수용되기 때문에, 본체(10)의 하부 개구부에 봉지를 씌운 상태에서 쓰레기를 버릴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탄성스프링(160)은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 사이의 핀결합된 지점에 설치되어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1하부롤러(170)는 양단이 본체(10)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와이어(180)는 양단이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 사이에 연결되고, 제1하부롤러(170)를 감싼다.
이 경우, 제1하부롤러(170)는 회전에 의해 하부와이어(180)가 감김으로써,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이 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접철되어 본체(10)의 하부개구부를 개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하부 개구부에는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제2하부롤러(190), 하부레버(200) 및 회동와이어(21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본체(10)는 몸체의 일부에 측부레버홀(2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롤러(190)는 양단이 본체(10)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하부와이어(180)와 연결되어 회전시 하부와이어(180)가 감기게 된다.
상기 하부레버(200)는 몸통의 일부가 측부레버홀(23)이 삽입되고, 하부레버(200)에 결합되며, 회전시에 제2하부롤러(190)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부와이어(180)를 제2하부롤러(190)에 감아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이 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접철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하부레버(200)를 손으로 가압하여 제2하부롤러(19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을 접철시켜 본체(10)의 하부개구부를 개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와이어(210)는 제1하부롤러(170)와 제2하부롤러(190) 사이에 연결되며, 제1하부롤러(170)와 제2하부롤러(190)의 회전을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하부롤러(190)는 제1하부롤러(170)의 회전시 회동와이어(2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파지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220)는 본체(10)와 하부레버(200) 사이에 설치되며, 하부레버(200)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파지부(220)는 슬라이딩면에 의해 하부레버(200)가 본체(10)에서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여, 회동와이어(210)가 쉽게 당겨지도록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구동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쓰레기통의 상부레버(80)를 이용한 제1덮개판(40) 및 제2덮개판(50)의 접철 구동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레버(8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덮개판(40) 및 제2덮개판(50)이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펼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쓰레기통과홀(21)을 밀폐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가 상부레버(8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부레버(80)를 하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상부와이어(70)는 제1상부롤러(90)와 제2상부롤러(100)에 의해 이송경로가 변경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제1회동핀(30)에 감겨진 상부와이어(70)는 제1회동핀(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제1덮개판(40)은 회전하게 되며,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서로 간에 접철된다. 그러면, 쓰레기통과홀(21)은 개구되고, 개구된 쓰레기통과홀(21)에는 쓰레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레버(8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부레버(8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부와이어(70)는 제1회동핀(3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상부탄성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게 되므로, 쓰레기통과홀(21)을 다시 밀폐하게 된다.
다음, 쓰레기통의 하부레버를 이용한 제1바닥판(140) 및 제2바닥판(150)의 접철 구동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레버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바닥판 및 제2바닥판이 우측으로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은 펼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본체(10)의 하부개구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 경우, 바닥부(120)는 하부결착부(130)의 결착된 상태가 해제되어 제거된 상태이다.
이때, 하부레버(20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레버(200)는 파지부(220)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여 제2하부롤러(19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하부롤러(190)는 회동와이어(210)가 감기게 되고, 회동와이어(210)는 제1하부롤러(17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하부롤러(170)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와이어(1800)는 제1하부롤러(170)에 감기게 됨으로써,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은 접철되고, 본체(10)의 하부 개구부는 개구된다. 따라서,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는 하방으로 배출된다.
다음, 하부레버(20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은 하부탄성스프링(160)에 의해 다시 펼쳐지게 되고, 제1바닥판(140)과 제2바닥판(150)은 본체(10)의 하부개구부를 다시 밀폐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상부공간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덮개부가 회동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전술한 실시예의 보조덮개부(230)가 더 부가된다.
이 경우, 덮개부(20)의 일측에는 보조홀(2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덮개부(230)는 보조홀(24)을 덮게 되며, 일단이 제2상부롤러에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덮개부(230)는 제2상부롤러(100)의 회동시에 회동하여 보조홀(24)을 개구시키게 된다.
도 7를 참조하면, 이용자가 상부레버(80)를 누르게 되는 경우, 상부와이어(70)는 제1상부롤러(90)와 제2상부롤러(100)에 의해 이송경로가 변경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제1회동핀(30)에 감겨진 상부와이어(70)는 제1회동핀(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제1덮개판(40)은 회전하게 되며, 제1덮개판(40)과 제2덮개판(50)은 서로 간에 접철된다. 그러면, 쓰레기통과홀(21)은 개구되고, 개구된 쓰레기통과홀(21)에는 쓰레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상부롤러(100)와 연결된 보조덮개부(230)는 제2상부롤러(100)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보조홀(24)을 개구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쓰레기통과홀(21) 뿐만아니라 보조홀(24)을 통해서도 쓰레기를 투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 본체 20 ; 덮개부
30 ; 제1회동핀 40 ; 제1덮개판
50 ; 제2덮개판 60 ; 상부탄성스프링
70 ; 상부와이어 80 ; 상부레버
90 ; 제1상부롤러 100 ; 제2상부롤러
110 ; 상부결착부 120 ; 바닥부
130 ; 하부결착부 140 ; 제1바닥판
150 ; 제2바닥판 160 ; 하부탄성스프링
170 ; 제1하부롤러 180 ; 하부와이어
190 ; 제2하부롤러 200 ; 하부레버
210 ; 회동와이어 220 ; 파지부
230 ; 보조덮개부

Claims (9)

  1.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으며, 몸체의 일부에 쓰레기가 통과되는 쓰레기통과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양측부가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핀결합되는 제1회동핀;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제1회동핀과 핀결합되어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덮개판;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덮으며, 일단이 상기 제1덮개판의 타단과 핀결합되어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덮개판;
    상기 제1회동핀을 감싸며,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부탄성스프링; 및
    상기 제1회동핀과 연결되며, 일방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회동핀을 회전시켜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접철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통과홀을 개구시키는 상부와이어; 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몸체의 일부에 상부레버홀이 더 형성되고,
    몸통부의 일부가 상기 상부레버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와이어와 연결되는 상부레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레버는 상기 상부레버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상부와이어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1덮개판과 상기 제2덮개판의 핀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접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상부와이어의 감겨지는 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상부와이어의 상부에 밀착되는 제1상부롤러; 및,
    양단이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상부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와이어의 감겨지는 경로가 하방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상부와이어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상부롤러;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보조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홀을 덮으며, 일단이 제2상부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제2상부롤러의 회동시에 회동하여 상기 보조홀을 개구시키는 보조덮개부;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결착됨으로써, 체결시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고, 체결해제시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상부결착부;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하부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개구부를 덮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결착됨으로써, 체결시 상기 바닥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고, 체결해제시 상기 바닥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하부결착부;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의 일부를 밀폐하는 제1바닥판;
    일단이 상기 제1바닥판과 핀결합되며, 상기 제1바닥판과 함께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를 밀폐하는 제2바닥판;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 사이의 핀결합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이 핀결합된 지점의 시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하부탄성스프링;
    양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하부롤러; 및,
    양단이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롤러는 감싸는 하부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롤러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와이어가 감김으로써,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접철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부를 개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몸체의 일부에 측부레버홀이 더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부와 핀결합되어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하부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하부와이어가 감기는 제2하부롤러;
    몸통의 일부가 상기 측부레버홀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레버에 결합되며, 회전시에 상기 제2하부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와이어를 상기 제2하부롤러에 감아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2바닥판이 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접철시키는 하부레버; 및,
    상기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하부롤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하부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회동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하부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버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하는 파지부; 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20110069251A 2011-07-13 2011-07-13 쓰레기통 KR101244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51A KR101244111B1 (ko) 2011-07-13 2011-07-13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51A KR101244111B1 (ko) 2011-07-13 2011-07-13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31A true KR20130008731A (ko) 2013-01-23
KR101244111B1 KR101244111B1 (ko) 2013-03-25

Family

ID=4783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251A KR101244111B1 (ko) 2011-07-13 2011-07-13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389A (zh) * 2019-01-21 2019-04-05 东莞市利兆商贸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安装的多功能分类垃圾桶
CN114435808A (zh) * 2022-02-22 2022-05-06 北京恩萨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危险废物储料仓的进料自动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22B1 (ko) * 2017-04-10 2018-07-19 김성춘 암롤 박스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889Y1 (ko) * 1993-12-21 1996-04-09 정대산 쓰레기통의 개폐장치
KR200430735Y1 (ko) 2006-09-01 2006-11-13 박상열 개폐가 용이한 쓰레기통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389A (zh) * 2019-01-21 2019-04-05 东莞市利兆商贸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安装的多功能分类垃圾桶
CN109573389B (zh) * 2019-01-21 2023-10-13 广东利兆商贸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安装的多功能分类垃圾桶
CN114435808A (zh) * 2022-02-22 2022-05-06 北京恩萨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危险废物储料仓的进料自动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111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111B1 (ko) 쓰레기통
US6848394B1 (en) Cat litter box
US20100187235A1 (en) Diaper disposal container
US20090236345A1 (en) Trash Receptacle With Dispensable Bags
US20080023474A1 (en) Garbage can
US8919836B2 (en) Waste pick-up and storage device
US9688470B2 (en) Refuse container cover
JP2010143703A (ja) スライド蓋のゴミ箱
KR20170106689A (ko) 티슈를 양 측면으로 인출하는 티슈박스
KR20110025280A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US8925984B2 (en) Waste pick-up and storage device
KR200455945Y1 (ko) 복수의 봉투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AU2009220000A1 (en) Pouch for picking up and carrying waste such as canine excrement
US20140265379A1 (en) Waste pick-up and storage device
JP6178954B1 (ja) ゴミ箱
WO2005054087A1 (en) Container for biodegradable waste
KR102214764B1 (ko) 패스트푸드 매장용 쓰레기통
CN211333121U (zh) 木工刀片盒
CN107499789A (zh) 一种翻转盖垃圾桶
KR100868305B1 (ko) 납부필증 보관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걸림망체 손잡이
KR102049921B1 (ko)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JP3126560U (ja) ごみ箱
TWM647054U (zh) 攜帶型手套抽取盒
CN206750642U (zh) 一种高效垃圾分类装置
KR101625142B1 (ko) 자동개폐 휴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