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656A -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 Google Patents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656A
KR20130008656A KR1020130004127A KR20130004127A KR20130008656A KR 20130008656 A KR20130008656 A KR 20130008656A KR 1020130004127 A KR1020130004127 A KR 1020130004127A KR 20130004127 A KR20130004127 A KR 20130004127A KR 20130008656 A KR20130008656 A KR 2013000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mmon mode
circuit board
mode choke
chok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재선
김구용
주재철
김종해
이동진
김돈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656A/ko
Publication of KR2013000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관한 것으로,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측면상에서 볼 때,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한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EMI FILTER FOR POWER UNIT NOT INCLUDING PFC}
본 발명은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시장에서는 제품 외관의 전체 크기를 슬림화하기 위한 기술 연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성 품질을 높이고자 제품의 두께의 슬림화를 위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약 100W 미만의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나 32인치 이하의 화면크기로 이루어지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에는 역률개선부(Power Factor Correction; PFC)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도 2는 PFC가 적용된 경우의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3은 PFC 미적용시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는 PFC 적용시의 커먼모드 노이즈, 도 3은 PFC 미적용시의 커먼모드 노이즈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PFC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DC/DC 컨버터 단의 SMPS에 의한 급격한 전류, 전압의 변화와 영상보드 및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 및 고속화 등에 의하여 전자기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 EMI)가 크게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기 장애의 발생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유발되므로,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전력품질부를 구비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있다.
상기 전력품질부는 커먼모드(Common Mode) 및 차동모드(Differential Mode)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커먼모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초크코일을 사용한다.
도 4에서는 PFC 미적용 전원부에 적용되던 종래의 EMI 필터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과 두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PFC 미적용 전원부에 적용되는 EMI 필터의 경우 저주파용 초크코일이 2개 이상 필요하였기 때문에 전원부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기판상에 설치될 때, 기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코일이 권선되도록 배치되고 있었는데, 전자제품의 슬림화 경향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 커버와 회로기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코일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마그네틱 플럭스(Magnetic Flux)가 상기 패널과 백 커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소음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수작업에 의하여 코일이 권선되므로 제조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US2010-00264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마그네틱 플럭스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하며, 제조효율이 향상된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EMI 필터는, 디스플레이 패널,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부에 포함되어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측면상에서 볼 때,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한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을 포함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EMI 필터는, 디스플레이 패널,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부에 포함되어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 넓은 면에 수직인 회전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한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EE 또는 EER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코일은 상기 회로기판을 평면상에서 볼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코일이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과 결합하여 자속을 제공하는 코어;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은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은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격벽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일은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은 상기 보빈에 형성되고, 상기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권선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회로기판의 개구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 중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에 구비되는 보빈에 권선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서 백 커버 방향에 구비되는 보빈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은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뉴트럴 코일 및 라이브 코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코어 바디에 외족부와 중족부가 형성되는 E형 또는 ER형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O형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10 내지 15회의 권선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는, 종래의 EMI 필터와 달리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이 한 개만 구비되어도 충분한 노이즈 감소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전원부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마그네틱 플럭스가 패널 또는 백 커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적용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은 종래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과 달리 자동권선 및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EMI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그네틱 플럭스로 인한 소음 등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종래보다 더욱더 슬림화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PFC 미적용 전원부의 통상적인 구성예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 2는 PFC 적용시의 커먼모드 노이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PFC 미적용시의 커먼모드 노이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PFC 미적용 전원부에 적용되던 종래의 EMI 필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 커먼모드 초크코일 및 회로기판과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 커먼모드 초크코일을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과 회로기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과 회로기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에서 발생하는 마그네틱 플럭스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임피던스 특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임피던스 특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측면상에서 볼 때,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한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도 4에서 예시한 종래의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와 비교하면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이 한 개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부분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종래의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4), 회로기판(15), 한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30)(도 6에는 도시 않음) 및 커버(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커버(18)는, 프론트 케이스(12)와 구분되는 백 커버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12)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을 구동하는 회로 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15)과 디스플레이 패널(14)은 샤시(16)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12) 또는 백 커버(1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은 상기 회로기판(15)을 측면에서 볼 때(화살표 ⓐ), 상기 회로기판(15)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15)은 회로기판(15)을 평면에서 볼 때(화살표 ⓑ), 코일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의 기술적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이 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은 상기 코일(26, 28)이 권선되는 보빈(24) 및 상기 보빈(24)과 결합하여 자속을 제공하는 코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24)은, 상기 코일(26, 2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회로기판(15)에 결합하는 리드 프레임(247)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2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는 리드 프레임(247)을 구비하여 회로기판(15)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로 규정하기로 한다.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빈(24)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빈 바디(242)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 바디(242)는 상기 코어(22)의 중족부(224)가 삽입되는 코어 삽입홀(243)이 형성되며, 상기 보빈 바디(242)의 외주면에는 코일(26, 28)이 권선된다.
본 실시예의 코어(22)는 코어 바디(225)에 외족부(222)와 중족부(224)가 형성되는 E형 코어이며, 두 개의 E형 코어의 중족부(224)가 상기 보빈(24)의 코어 삽입홀(243)에 삽입되고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중족부(224)가 사각형 형태인 E형 코어만을 예시하였지만, 중족부(224)가 원형 형태인 ER형 코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은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로 이루어지며, 상기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은 상기 보빈(24)에 형성되는 격벽부(244)에 의해 구획되어 권선될 수 있다. 상기 뉴트럴 코일(26)과 라이브 코일(28)은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되어 노이즈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을 보빈(24)에 권선한 후 니스 함침공정에서, 상기 격벽부(244)에는 권선된 코일(26, 28)에 함침액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개부(2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은 회로기판(15)의 측면에서 볼 때(화살표 ⓐ 방향), 상기 회로기판(15)과 평행하게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는 상기 격벽부(244)와 평행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는 상기 회로기판(15)과 평행하다.
상기 회로기판(15)이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를 평면상에서 볼 때(화살표 ⓑ 방향), 상기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이 개구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에 실장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에서 예시한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이 회로기판(15)에 실장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예시한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은 보빈(24)을 이루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가 최하층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의 상부에 보빈 바디(24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246)는 상기 회로기판(15)의 개구부(155)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5)에 개구부(155)를 형성하여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을 설치함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 전체의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이 개구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에 실장된 모습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이 회로기판(15)에 실장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은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은 상기 보빈(24)에 형성되며, 상기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회로기판(15)에 연결되는 리드 프레임(247)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46)에 의해 구획되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24)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6)를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는 격벽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246)는 상기 회로기판(15)의 개구부(155)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46)가 상기 회로기판(15)의 개구부(155)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뉴트럴 코일(26) 및 라이브 코일(28) 중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15)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 방향의 보빈(24)에 권선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15)에서 백 커버(18) 방향의 보빈(24)에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이 적용된 회로기판(15)을 사용하는 경우, 도 10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비하여 평판 디스플레이(10) 전체의 두께가 더 얇아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에서 발생하는 마그네틱 플럭스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뉴트럴 코일(26)과 라이브 코일(28)이 인쇄 회로 기판(15)에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기판(15)과 수직인 방향에서 권선되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코일의 마그네틱 플럭스가 화살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마그네틱 플럭스의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4)과 백 커버(18)와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마그네틱 플럭스는 플랫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14)과 백 커버(18)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E형 또는 ER형 코어에서 자속의 누설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4) 및 백 커버(18)와의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따르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슬림화되어 회로기판(15)이 디스플레이 패널(14)과 백 커버(18)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더라도,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의 코일이 회로기판(15)과 수평으로 권선됨으로써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마그네틱 플럭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이나 백 커버(18)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플럭스가 디스플레이 패널(14)이나 백 커버(18)에 영향을 미쳐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30)은 O형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10 내지 15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의 임피던스 특성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30)의 임피던스 특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은 1MHz 미만의 영역에서 공진점이 형성되는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므로 저주파 영역의 커먼모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으며, 도 1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에 포함되는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30)은 1MHz 초과 영역에서 공진점이 형성되는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므로 고주파 영역의 커먼모드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영역과 저주파 영역의 커먼모드 노이즈를 각각 한 개씩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20)과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3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종래보다 전원부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2 : 프론트 케이스
14 : 디스플레이 패널
15 : 회로기판
16 : 샤시
18 : 백 커버
20 :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22 : 코어
24 : 보빈
30 :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Claims (1)

  1. 디스플레이 패널,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부에 포함되어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 넓은 면에 수직인 회전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한 개의 저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한 개의 고주파용 커먼모드 초크코일;
    을 포함하는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KR1020130004127A 2013-01-14 2013-01-14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KR20130008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27A KR20130008656A (ko) 2013-01-14 2013-01-14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27A KR20130008656A (ko) 2013-01-14 2013-01-14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694A Division KR101234875B1 (ko) 2010-12-24 2010-12-24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656A true KR20130008656A (ko) 2013-01-22

Family

ID=4783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27A KR20130008656A (ko) 2013-01-14 2013-01-14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6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269B1 (ko) 초크코일
US9947458B2 (en) Coil component
US8508144B2 (en)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378773B2 (en) Magnetic element
JP2013098554A (ja) 積層型パワー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65831A (ja) シートトランス
US20140085030A1 (en) Transformer
KR101234875B1 (ko)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056707A1 (en)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converter
JP5127060B2 (ja) 可変インダクタ
JP2008187052A (ja) 高圧トランス
KR20150096125A (ko) 초크 코일
KR20130008656A (ko) Pfc 미적용 전원부의 emi 필터
US20150028980A1 (en) Transformer
KR10161033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TW201506964A (zh) 變壓器
KR200416466Y1 (ko) 캡코어를 구비한 트랜스포머
JP6380743B2 (ja) コイル部品
KR101179352B1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커먼 모드 필터
WO2016013062A1 (ja) 複合磁路インダクタ
US20110176282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common mode filter used therefor
JP2006108390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JP2003124037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5434505B2 (ja) インダクタ
TW201344721A (zh) 電路保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