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453A -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453A
KR20130008453A KR1020120061580A KR20120061580A KR20130008453A KR 20130008453 A KR20130008453 A KR 20130008453A KR 1020120061580 A KR1020120061580 A KR 1020120061580A KR 20120061580 A KR20120061580 A KR 20120061580A KR 20130008453 A KR20130008453 A KR 20130008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liquid
contain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연
박태영
유현수
Original Assignee
박태영
김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영, 김승연 filed Critical 박태영
Publication of KR2013000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일부분이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및상기 용기 본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밀착되는 기판 커버와, 상기 기판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고, 상면에 상기 전극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극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조명부와,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고, 상기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놓여서, 상기 기판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에 따르면, 액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에 한 쌍의 전극을 노출시키고 수용부에 담겨지는 액체가 전해질일 경우 액체를 전기 통로로 활용하여, 액체가 용기에 담겨지면 자동적으로 조명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를 포함한 발광 모듈이 탈부착 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전원이 방전되거나, 조명부가 고장나는 경우, 상기 발광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지지 부재의 가압력을 통해 발광모듈의 부착시 상기 전극과 조명부가 확실히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이 관통하는 전극 구멍을 오링 등으로 밀폐시켜, 액체가 누수되어 조명부에 접촉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A liquid container having a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담겨지는 액체에 양 전극을 접촉시켜서, 액체가 담겨질 경우 조명이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용기는, 물을 담을 수 있는 물컵, 각종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페트병, 알코올 음료를 담기 위한 잔 등이 있다. 이때 액체 용기들은 담겨진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용기는 액체를 담는 기본적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려한 미관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용기의 외면에 그림이나 사진을 부착하거나, 조명부를 이용하여 액체에 빛을 조사하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특허공개공보 제2008-0082058호, 제2002-0039398호, 실용신안등록 제20-026381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명부를 활용하는 종래의 액체 용기의 경우,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조명부가 On/Off 되도록 하기 때문에 액체가 담겨지는 것과는 별도로 제어되므로, 액체가 담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명부가 발광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에 한 쌍의 전극을 노출시키고 수용부에 담겨지는 액체가 전해질일 경우 액체를 전기 통로로 활용하여, 액체가 용기에 담겨지면 자동적으로 조명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부가 실장되는 발광 모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모듈의 부착시 전극과 조명부가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이 관통하는 전극 구멍을 오링 등으로 밀폐시켜서, 액체가 누수되어 조명부에 접촉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는,
액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일부분이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용기 본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밀착되는 기판 커버와, 상기 기판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고, 상면에 상기 전극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극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조명부와,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고, 상기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놓여서, 상기 기판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에 따르면, 액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에 한 쌍의 전극을 노출시키고 수용부에 담겨지는 액체가 전해질일 경우 액체를 전기 통로로 활용하여, 액체가 용기에 담겨지면 자동적으로 조명부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를 포함한 발광 모듈이 탈부착 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전원이 방전되거나, 조명부가 고장나는 경우, 상기 발광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지지 부재의 가압력을 통해 발광모듈의 부착시 상기 전극과 조명부가 확실히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는, 전극이 관통하는 전극 구멍을 오링 등으로 밀폐시켜서, 액체가 누수되어 조명부에 접촉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1)는, 용기 본체(10), 전극(20), 조명 커버(30), 조명부(40), 전원부(50), 기판(60), 기판 커버(7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에는, 액체(2)가 담겨지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액체(2)는 물, 소주, 음료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본원 발명에서 용기 본체(10)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2)의 종류는 상기와 같은 액체(2)로 한정되지 않으나, 본원 발명은 전해질인 액체(2)가 용기 본체(10)에 담길 경우에만 조명부(40)가 발광할 수 있다.
수용부(11)에는 전극(20)이 통과될 수 있는 한 쌍의 전극 구멍(14)이 형성된다. 본원 발명은 전극(20)이 수용부(11)의 내부에 노출되어 수용부(11)에 담긴 액체(2)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조명부(40)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수용부(11)에 전극 구멍(14)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 구멍(14)으로 전극(20)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는, 추후 설명할 조명부(40)와 전원부(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함몰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함몰부(12)에 조명부(40)와 전원부(50)를 삽입하고, 추후 설명할 기판 커버(70)로 상기 함몰부(12)를 밀폐하여, 조명부(40)와 전원부(50)를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12)의 측면 두께는, 상기 수용부(11)의 측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이는 액체(2)를 보관하는 수용부(11)에 비하여, 조명부(40)와 전원부(50)가 수용되는 함몰부(12)의 내구성이 더 높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함몰부(12)에는, 내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20)이 통과되기 위한 전극 구멍(14)이 구비되는 제1 돌기(13)가 형성된다. 이는 전극(20)을 고정시켜서 전극(20)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함몰부(12)에 형성된 전극 구멍(14)은 상기 수용부(11)에 형성된 전극 구멍(14)과 대응될 수 있고, 제1 돌기(13)는 추후 설명할 조명 커버(30)의 제2 돌기(32)와 맞닿을 수 있다.
전극(20)은, 한 쌍(음극과 양극)으로 구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수용부(11)의 내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전해질인 액체(2)가 상기 수용부(11)에 보관되면, 한 쌍의 전극(20)과 액체(2)가 서로 연결되어 전기가 통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전극(20)과 연결된 조명부(40)는 On 상태가 되므로, 본원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10)에 액체(2)가 담겨질 때 조명부(40)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극(20)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용기 본체(10)에 담겨진 액체(2)가 제거되면, 한 쌍의 전극(20)은 서로 단절되기 때문에, 조명부(40)는 Off 상태가 되어 발광하지 않는다. 즉 본원 발명을 사용하면, 용기 본체(10)에 액체(2)가 담겨있는지 여부를 조명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는 특정 음료 또는 주류를 홍보하는 광고 시트부재(90)가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시트부재(90)는 함몰부(12)와 조명커버(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재(90)에는, 상기 전극(20)이 관통될 수 있는 홀(91)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40)는 시트부재(90)의 하단에서 발광할 수 있으므로, 조명이 광고가 포함된 시트부재(90)를 투과함에 따라 사용자가 광고에 시선을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시트부재는 조명이 적절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시트부재(90)는, 조명부(40)에 의해 발광된 빛이 투과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배치될 수 있고, 함몰부(12)와 조명커버(30) 사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시트부재는(90)는 수용부(11)의 내부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명커버(30) 자체에 광고를 프린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커버(30)를 시트부재라고 할 수 있다.
조명 커버(30)는, 상기 함몰부(12)에 삽입되며 상기 조명부(40)를 덮어 보호한다. 이때 조명 커버(30)에서 상기 조명부(40)가 위치하는 부분은 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명부(40)로부터 발산되는 조명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조명부(40)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조명 커버(30)에는, 상기 제1 돌기(13)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20)이 통과되기 위한 전극 구멍(33)이 구비되는 제2 돌기(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3)와 제2 돌기(32)의 지름은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돌기(13)와 제2 돌기(32)가 맞닿음에 따라, 전극(20)의 중앙 부분이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전극(20)은 제2 돌기(32)의 전극 구멍(33)-제1 돌기(13)의 전극 구멍(14)-수용부(11)의 전극 구멍(14)을 차례로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극(20)의 상단 부분은 수용부(11)의 내부로 노출되고, 전극(20)의 하단 부분은 상기 조명 커버(30)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추후 설명할 조명부(40)와 접촉할 수 있다.
함몰부(12)의 내부 상면과 조명 커버(30)의 상면 사이에는, 방수재(31)가 충진될 수 있다. 이는 수용부(11)에 담긴 액체(2)가 조명부(40)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극(20)은 제1 돌기(13)와 제2 돌기(32)의 전극 구멍(14,3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방수재(31)와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조명부(40)는, 상기 한 쌍의 전극(20)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2)가 전해질일 경우 상기 전극(20)과 상기 액체(2)를 통해 이동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광한다. 조명부가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용기의 경우, 조명부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므로 액체(2)의 보관 여부와는 상관없이 조명부의 발광이 조절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전해질인 액체(2)가 한 쌍의 전극(20)을 이어줌으로써 조명부(40)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액체(2)가 수용부(11)에 담길 때에만 빛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명부(40)는, 크기가 작고 광도가 높으며 수명이 긴 발광 수단인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41)를 포함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41)로는 단색 발광 다이오드, 다색 발광 다이오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세균들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자외선의 살균작용은 자외선의 파장, 조사조도와 조사시간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살균력이 높은 240 nm ~ 280 nm 파장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조명부(40)는, 추후 설명할 기판(6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20)과 접촉하는 단자(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4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20)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전기는, 전원부(50)-단자(42)-전극(20)-액체(2)-전극(20)-단자(42)-발광 다이오드(41)-전원부(50) 순서로 통하게 되며, 액체(2)의 보관 여부에 따라서 전기의 통전이 제어되어, 조명부(40)의 발광이 On/Off될 수 있다.
전원부(50)는, 상기 조명부(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50)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수명을 늘리기 위하여 수은 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수은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본원 발명이 전원부(50)의 종류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판(60)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조명부(40)와 상기 전원부(50)가 배치된다. 기판(60)은 상기 조명부(40)와 상기 전원부(50)를 연결해주는 회로 역할을 한다. 이때 기판(60)은 상기 함몰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12)의 단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추후 설명할 기판 커버(70)에 의해 상기 함몰부(1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기판(60)에는 저항체(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커버(70)는, 상기 기판(6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10)에 탈부착된다. 구체적으로 기판 커버(70)는 상기 기판(60)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홈(71)이 상단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기판(60)을 상기 기판 수용 홈(71)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함몰부(12)의 하단에 탈부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커버(70)에 의하여 상기 함몰부(12)는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40)와 전원부(50), 기판(60)은 외부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1)와 비교하여, 전극(20)이 고정되는 부분의 구조가 상이하다. 다만 조명부(40), 전원부(50), 기판(60) 및 기판 커버(7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12)와 조명 커버(30)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돌기(13)나 제2 돌기(32) 없이 단지 전극(20)이 통과되기 위한 전극 구멍(14,33)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20)은 상기 함몰부(12)와 조명 커버(30)를 관통하되 중앙 부분이 노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전극(20)에는 상기 방수재(31)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20)은, 외측면의 중앙 부분에 단턱(21)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1)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오링(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턱(21)은, 상기 전극(20)이 상기 함몰부(12)와 상기 조명 커버(3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12)와 상기 조명 커버(30)에 형성된 전극 구멍(14,33)보다 큰 지름을 갖는 형태일 수 있으며, 단턱(21)의 상단에 결합된 오링(22)은 상기 함몰부(12)에 형성된 전극 구멍(14)의 하단과 밀착하게 되고, 단턱(21)의 하단에 결합된 오링(22)은 상기 조명 커버(30)에 형성된 전극 구멍(33)의 상단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전극(20)이 통과하는 전극 구멍(14,33)을 오링(22)이 모두 밀폐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극 구멍(14,33)을 통해 액체(2)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 조명부(40)와 전원부(50), 기판(60) 등을 액체(2)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발명이 제1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기타 동일한 부호를 가지는 구성들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1)는, 용기 본체(10), 전극(20), 시트부재(90) 및 발광 모듈(부호 없음)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모듈은, 하우징(35), 조명부(40), 전원부(50), 기판(60), 기판 커버(70), 지지 부재(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모듈과 용기 본체(1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하우징(35)은 용기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함몰부(12)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또한, 기판 커버(70)와 형합하여 발광 모듈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것 처럼, 하우징(35)의 내주면은 기판 수용홈(71)의 외주면과 접하며 억지끼움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35)과 기판 커버(70)의 결합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35)의 외주면이 기판 수용홈(71)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도 있으며, 접하는 면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우징(35)에는, 상기 제1 돌기(13)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20)이 통과되기 위한 전극 구멍(33)이 구비되는 제2 돌기(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2 돌기(13,32)의 형상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같다.
상기 하우징(35)에서 상기 조명부(40)가 위치하는 부분은 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명부(40)로부터 발산되는 조명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1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조명커버(30)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함몰부(12)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35)의 상면 사이에는 방수재(31)가 개입될 수 있으며, 방수재(31)의 기능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같다.
발광 모듈의 내부, 즉, 하우징(35)과 기판 커버(70)의 사이에는 조명부(40)와 지지 부재(80)가 수용된다. 지지 부재(80)는 기판수용 홈(71)에 위치하며, 기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발광 모듈이 용기본체(10)에 결합 될 때, 기판(60)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80)가 기판(60)에 가하는 상방의 힘을 통해, 단자(42)와 전극(20)이 더욱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부재(80)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고무나 합성수지, 우레탄, 탄성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에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지지 부재(80)로 판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판 스프링의 양 끝단은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구조를 통하여,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기판수용 홈(7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 및 기판 커버(70)는 삽입홈(15) 및 슬리브(72) 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삽입홈(15)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72)는 기판 커버(70)의 상면에 형성되며, 삽입홈(15)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5) 및 슬리브(72)의 구조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기판수용 홈(71)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삽입홈(15)과 슬리브(72)가 접하는 면에 오링과 같은 실링 부재가 둘러질 수 있다.
한편, 삽입홈(15)을 기준으로 안쪽 부분에 해당하는 내측 테두리부(17)는 바깥쪽 부분에 해당하는 외측 테두리부(16)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측 테두리부(17)는 상기 기판 커버(7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외부 습기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테두리부(16)는 상기 기판 커버(7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을 탈부착 홈(75)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홈(75)은 용기 본체(10)와 기판 커버(7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50)나 시트부재(90)가 교체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탈부착 홈(75)에 손톱이나, 핀셋 또는 날카로운 핀 등을 끼우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기판 커버(70)를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것처럼, 상기 하우징(35)은 용기 본체(10)의 함몰부(12)에 삽입되고, 상기 기판 커버(70)는 상기 용기 본체(10)와 결합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35)과 기판 커버(70)는 서로 형합되어 발광 모듈의 외형을 형성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발광 모듈과 용기 본체(1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액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일부분이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용기 본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밀착되는 기판 커버;
    상기 기판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고, 상면에 상기 전극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극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조명부;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고, 상기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놓여서, 상기 기판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부재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광고 내용이 기재된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재는 조명부에 의해 발광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수용부와 조명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살균력을 가지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240nm ~ 280nm 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조명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 커버를 더 포함하는 액체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 개입되는 방수재를 더 포함하는 액체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버의 상면 테두리부에 돌출되는 슬리브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에 함몰되어 상기 슬리브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액체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외측 테두리부는 내측 테두리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측 테두리부는 상기 기판 커버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측 테두리부는 상기 기판 커버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주면 또는 상기 삽입 돌기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체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내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이 통과되기 위한 전극 구멍이 구비되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돌기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이 통과되기 위한 전극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외측면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오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KR1020120061580A 2011-07-12 2012-06-08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KR20130008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98 2011-07-12
KR20110069098 2011-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453A true KR20130008453A (ko) 2013-01-22

Family

ID=4783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80A KR20130008453A (ko) 2011-07-12 2012-06-08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45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56U (ko) * 2014-10-17 2016-04-27 (주)디오티컴퍼니 광고용 용기 홀더
KR101698181B1 (ko) * 2015-08-13 2017-01-19 임병준 빈잔 알림용 led를 포함한 술잔
KR20180084329A (ko) * 2017-01-16 2018-07-25 박철민 살균용 uv led가 구비된 개인용 컵 살균 및 건조 및 보관 장치
JP2019054944A (ja) * 2017-09-20 2019-04-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食器
KR102240819B1 (ko) * 2020-10-28 2021-04-15 주식회사 쓰리쎄븐 손톱깍이용 살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56U (ko) * 2014-10-17 2016-04-27 (주)디오티컴퍼니 광고용 용기 홀더
KR101698181B1 (ko) * 2015-08-13 2017-01-19 임병준 빈잔 알림용 led를 포함한 술잔
KR20180084329A (ko) * 2017-01-16 2018-07-25 박철민 살균용 uv led가 구비된 개인용 컵 살균 및 건조 및 보관 장치
JP2019054944A (ja) * 2017-09-20 2019-04-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食器
KR102240819B1 (ko) * 2020-10-28 2021-04-15 주식회사 쓰리쎄븐 손톱깍이용 살균장치
WO2022092350A1 (ko) * 2020-10-28 2022-05-05 주식회사 쓰리쎄븐 손톱깍이용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368B2 (en) Cap with a light emitting diode (LED) for illuminating a beverage container
KR20130008453A (ko) 조명부가 구비된 액체 용기
US7927032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cosmetic and/or care product
EP3441320B1 (en) Luminous bottle stopper
US20110228518A1 (en) Liquid illuminator and assembly thereof
US20100290238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US8552630B2 (en) Lighting fixture with replaceable light source
CN108298636B (zh) 可携式净化装置
TWI636964B (zh) 可攜式淨化裝置
KR20100077651A (ko) 덮개, 병뚜껑 및 이를 갖는 광원 내장형 병
US10006595B2 (en) Rechargeable lighting attachment for magnifying lenses
KR101536596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103709B1 (ko) 용기 뚜껑에 장착하기 위한 uv-led 살균장치
CA2648180C (en) Luminous cosmetic
KR20120025115A (ko) 골프용 볼 마커 및 마커 홀더
JP5401641B2 (ja) 床面埋設型誘導灯装置
KR200396497Y1 (ko) 발광 소자가 장착된 컵 받침대
KR20180061618A (ko) 페트병조명거치대
JP3206117U (ja) 照明装置付き印判
KR101707379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음료용기
US20110096559A1 (en) Stern LED Lighting Device
CN214829167U (zh) 一种可分离式杀菌装置
JP3230113U (ja) 発光装置
US20050024851A1 (en) Liquid actuated lighting liquid container
KR101861434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