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170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170A
KR20130008170A KR1020110068745A KR20110068745A KR20130008170A KR 20130008170 A KR20130008170 A KR 20130008170A KR 1020110068745 A KR1020110068745 A KR 1020110068745A KR 20110068745 A KR20110068745 A KR 20110068745A KR 20130008170 A KR20130008170 A KR 2013000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amera
crystal panel
mobile termin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709B1 (ko
Inventor
고동석
하정욱
김남수
임종인
양현석
신만수
천지영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709B1/ko
Priority to US13/188,151 priority patent/US8582026B2/en
Priority to EP11005990.4A priority patent/EP2547072B1/en
Priority to CN201110264099.2A priority patent/CN102883033B/zh
Publication of KR2013000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액정이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표시 영역과 상기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배치되는 제어영역으로 구획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제어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분에는 상기 카메라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의 개량의 하나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고려된다. 그러나, 단말기의 전면을 통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소자,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소자와, 액정패널의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상기 한계를 넘어 디스플레이부를 보다 확장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을 통하여 구현되는 단말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보다 확대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액정이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표시 영역과 상기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배치되는 제어영역으로 구획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제어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분에는 상기 카메라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제어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너가 컷팅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액정패널은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절개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프레임의 일변상에서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은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코너에는 상기 컷팅된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변과 교차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어영역의 중앙에는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장착되고,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 코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좌우측 코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영역 중 상기 절개부분이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영역에는 테스트 소자 그룹(Test Element Group)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영역 중 상기 절개부분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GIP(Gatg in panel) 게이트 드라이버의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좌우측 코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가 인접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좌우측 코너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카메라와 다른 전자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어느 코너에 인접하게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어영역의 중앙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에는 상기 화면표시 영역에 가해지는 전압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장착된다.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어영역의 양 코너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카메라는, 렌즈가 장착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액정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경통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은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절개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홈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은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영역은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하부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절개부분을 일변으로 가지는 오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화면표시 영역, 및 상기 화면표시 영역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배치되며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어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테스트 소자 그룹(Test Element Group)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코너가 컷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제2 영역에는 GIP(Gatg in panel) 게이트 드라이버의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컷팅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에서 제거되는 부분에는 상기 윈도우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액정패널의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부분에 카메라가 배치됨에 따라 액정패널이 단말기 본체의 단부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보다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가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패널의 프레임에 홈이 형성됨에 따라, 카메라와 프레임이 중첩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윈도우의 베젤부가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코너가 컷팅됨에 따라, 외부충격에 대한 액정패널의 내구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나아가, 컷팅된 부분의 반대측에 테스트 소자 그룹(Test Element Group)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액정패널이 차지하는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a의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4는 도 2a의 절단선을 Ⅳ-Ⅳ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확대도들.
도 7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액정패널의 회로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액정패널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 모듈(260), 카메라(221), 사용자 입력부(231, 232, 23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260)와 카메라(221)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2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231, 232, 2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231, 232, 2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 유닛들(231, 232, 2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2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음향 출력 모듈(260)이 배치되는 단부와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및 제3 조작 유닛(232, 233)은 음향 출력 모듈(26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일 측면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271)과 유/무선 데이터 포트(27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트들(271, 272)은 인터페이스(17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2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카메라(2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2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21,2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23)와 거울(2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223)는 카메라(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24)은 사용자가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프론트 케이스의 음향 출력 모듈(260,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에는 마이크(222), 인터페이스(27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음향 출력 모듈(260)이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222)가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는 사용자 입력부(232)와 연결 포트(27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포트(273)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연결 포트(273)는, 인터페이스(17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대화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에 드러나는 베젤은 매우 좁게 형성되며, 카메라(221)와 디스플레이부(251)의 사이가 매우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적 특징을 구현하는 메커니즘을 개시하며,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a 의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a의 절단선을 Ⅳ-Ⅳ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201)의 일 면에는 윈도우(251b)가 결합 된다. 윈도우(251b)에는 터치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는 윈도우(251b)의 전면에 장착되며, 윈도우(251b)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윈도우(251b)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베젤(203)에 장착된다. 본 예와 달리, 상기 베젤(203)은 프론트 케이스(201)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251b)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윈도우(251b)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은 패턴 필름이 별도로 윈도우를 덮어서 구현될 수 있다. 패턴 필름은 중앙이 투명하고, 가장자리가 불투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 필름의 불투명한 부분은 베젤(203)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투명한 부분(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251a)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51a)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젤(203)에 장착될 수 있는 부품들의 위치에 변경을 가하고, 이를 통하여 최소한의 폭을 갖는 베젤(203)을 얻을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251a)는 윈도우(251b)의 후면에 장착되고, 리어 케이스(202)에는 회로기판(217)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217)은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21)는 회로기판(217)과 연결되어, 단말기의 전면에서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지며, 베젤(203)에는 카메라 홀(221')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51a)는 화면표시 영역(255)과 제어영역(256)으로 구획될 수 있다.
화면표시 영역(255)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영역이며, 제어영역(256)은 상기 화면표시 영역(255)을 제어하는 회로배선이 배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a)의 제어영역(256)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화면비표시 영역으로 칭해질 수 있다.
화면표시 영역(255)은 베젤(203)에 의하여 한정되는 영역내에 배치된다. 이에 반해, 제어영역(256)은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베젤(203)과 중첩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어영역(256)에 연성회로기판(218)이 연결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218)이 디스플레이(251a)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회로기판(217)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251a)의 예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가 개시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1a)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51a)는 단말기 바디에서 디스플레이(251a)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코너가 컷팅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51a)의 제어영역(256)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다. 상기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분(257)에 카메라(221)가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카메라(221)와 디스플레이부(251, 도 2a 참조)가 보다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51a)와 카메라(221)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확대도들이고, 도 7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6의 액정패널의 회로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51a)는 프레임(258)에 수용되는 액정패널로 이루어진다. 액정패널은 화면표시영역(255)에 액정(255a)이 배치되고, 제어영역(256)에 상기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회로(256a)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기판(259a) 및 하부기판(259b)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255a)은 상기 상부기판(259a) 및 하부기판(259b)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영역(256)은 상기 하부기판(259b)에 형성된다.
상부기판(259a) 및 하부기판(259b)은 유리기판으로서, 상부기판(259a)는 컬러 필터 기판(Color Filter Glass)가 되고, 하부기판(259b)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TFT-Array Glass)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259a)의 상부에는 편광필름(미도시)이 장착되고, 하부기판(259b)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262, BLU)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기판(259a) 및 하부기판(259b)에는 각각 상기 액정(255a)에 전압을 가하는 전극막들(261a, 261b)이 배치되며, 하부기판(259b)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상기 전압을 조절하도록 전극막들(261a, 26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기판(259b)은 상부기판(259a)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하부기판(259b)에서, 상부기판(259a)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 부분이 제어영역(25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배선은 제어영역(256)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영역(256)의 중앙에 드라이버 집적회로(264)가 장착된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251a)의 절개부분(257)은 하부기판(259b)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부분(257)은 상기 제어영역(256)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 코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영역(256)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하도록 이루어진다.
액정패널은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분(257)의 길이는 상기 가로 길이의 1/2 내지 1/10이 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최소 1/10은 넘어야 카메라가 이동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분(257)은 상기 제어영역(256)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가 컷팅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컷팅이란 가공방법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어, 하부기판에서 제거되는 부분은 컷팅 외의 방법, 예를 들어 기판을 제조하는 틀의 형상 변경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컷팅은 디스플레이(251a)의 양변을 교차하도록(즉, 사선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절개부분(257)을 일변으로 가지는 오각형을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51a)의 코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분(257)에는 카메라(221)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21)는 컷팅에 의하여 하부기판(259b)에서 제거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윈도우(251b)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221)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를 이용한 것 또는 빛을 전하로 변환하여 화상을 얻어내는 Charge-Coupled Device(CCD) 등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카메라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생성하거나 화상통신을 위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21)는 경통(221a) 및 돌출부(221b)를 포함한다. 경통(221a)은 렌즈가 장착되는 부분이며, 돌출부(221b)는 이미지 센싱을 위한 센서기판이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돌출부(221b)는 상기 경통(221a)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액정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경통(221a)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22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221)는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258)의 홈(258a)에 수용된다. 상기 프레임(258)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구조물이 될 수 있다.
홈(258a)은 상기 절개부분(257)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258)의 일변에서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경통(22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258a)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부(221b)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홈(258a)의 가장자리와 중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카메라(221)가 차지하는 면적과 디스플레이(251a)가 차지하는 면적이 중첩되며, 이를 통하여 베젤(203, 도 3 참조)의 폭이 보다 좁아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절개부분(257)은 제어영역(256)의 좌우측 코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제어영역(256)은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264)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영역(256a, 256b)으로 구획된다. 도시에 의하면, 제1 영역(256a)은 상기 제어영역 중 상기 절개부분(257)이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영역이며, 상기 제1 영역(256a)에는 테스트 소자 그룹(263a, Test Element Group)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256a)에는 디스플레이의 중간층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패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영역(256b)은 디스플레이(251a)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코너가 컷팅되는 영역이 된다. 즉, 제2 영역(256b)은 상기 제어영역(256) 중 상기 절개부분(257)이 형성되는 영역이 되며, 제2 영역(256b)에는 GIP(Gatg in panel) 게이트 드라이버의 배선(263b)이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소자 그룹과 GIP 게이트 드라이버의 배선은 드라이버 집적회로(264)를 기준으로 일측에 같이 구성되나, 이와 같이 테스트 소자 그룹(Test Element Group)을 제1 영역(256a)에 배치시킴에 따라, 제2 영역(256b)의 면적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즉, 액정패널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액정패널이 차지하는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액정패널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51a)의 하부기판(359b)은 드라이버 집적회로(364)를 중심으로 양측 코너가 각각 컷팅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51a)의 절개부분(357)은 제어영역(356)의 좌우측 코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부분(357a)과,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부분(357b)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358)에는 제1 및 제1 부분(357a, 357b)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부분(357a)은 카메라(321)가 인접 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제2 부분(357b)에는 상기 카메라(321)와 다른 전자소자(322)가 배치된다. 다른 전자소자의 예로서, 근접센서, 조도센서 등이 제2 부분(357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의 전면을 통하여 구현되는 기능, 예를 들어 객체의 접근 감지, 조도의 감지 등을 유지하면서도 근접센서, 조도센서 등이 디스플레이(351a)에 보다 인접하여, 베젤의 폭이 좁아지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소자의 예로서, 금속 커넥터(예: USB 커넥터, VGA 슬롯, 외장 I/O 포트 등)이 제2 부분(357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커넥터는 단말기의 측면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단말기의 측면에, 특히 코너에 인접하게 금속 커넥터가 배치되면서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1의 디스플레이(351a)의 변형예로서, 제1 부분(357a)과 제2 부분(357b)은 서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각 형태의 하부기판(359b)에서 제거되는 부분의 면적이 좌우 비대칭이며, 부피가 서로 다른 부품을 각각 제1 및 제2 부분에 배치시킴에 따라, 베젤의 폭은 좁히면서도 하부기판의 면적은 최대한 넓힐 수 있게 된다.
도 11에 의하면, 프레임(458)은 홈(458a)은 하부기판(459b)의 절개부분(457)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458)의 코너에는 상기 컷팅된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458)의 양변과 교차하는 경사부(458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의 코너도 하부기판(459b)의 절개부분(457)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만약,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 카메라(421)를 단말기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시킨다면, 디스플레이(451a)는 단말기의 단부를 향하여 보다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보다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카메라(521)의 경통(521a)은 프레임(558)의 홈(558a)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된다. 즉, 경통(521a)의 외주면은 홈(558a)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카메라의 조립 공정이 보다 간단해 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조비가 저감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521)의 경통(521a)에는 프레임(558)의 홈(558a)에 끼워지는 둘레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둘레돌기(미도시)가 홈(558a)이 끼워짐에 따라 카메라(521)와 디스플레이(551a)가 모듈화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651a)의 제어영역(656)의 중앙에는 연성회로기판(618)이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618)에는 화면표시 영역(655)에 가해지는 전압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664)가 장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651a)의 절개부분(657)은 상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어영역(656)의 양 코너에 각각 형성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664)가 연성회로기판(618)상에 장착됨에 따라, 제어영역(656)의 면적은 보다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절개부분이 제어영역(656)의 양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도 제어영역(656)의 필요면적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화면표시 영역(655)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제어영역(656)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다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어느 코너에 인접하게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716)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어 케이스(702)의 내면에는 안테나 패턴(716)이 형성되며, 그 위치는 카메라(721)가 인접한 코너의 반대측이 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716)은 리어 케이스(702)의 내면에 도금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테나 패턴(716)은 케이스 외부의 금속 데코레이션 부재가 되거나, 단말기 내부에 별도의 안테나 모듈(예를 들어, 칩 안테나, FPCB에 실장된 안테나, 캐리어 타입 안테나)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716)의 적어도 일부는 제어영역(756)의 절개부분 붕 제2 부분(757b)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패턴(716)는 단말기의 두께방향으로 제2 부분(757b)에 중첩된다. 또한, 제2 부분(757b)의 주변에는 전자소자가 배치되지 않으며, 회로기판(717)은 제2 부분(757b)과 안테나 패턴(716)의 사이를 가로막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회로기판의 코너가 절개되는 형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716)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GPS 통신, 데이터 통신 등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패턴(716)에서 방사되는 무선신호는 주로 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으로 진행되나, 이와 같이 무선신호가 전면을 향하여 진행되는 경로상에 도전체들이 없는 구조라면, 상기 무선신호는 단말기의 전면을 향하여 방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안테나 패턴(716)의 송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2)

  1.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액정이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표시 영역과, 상기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배치되는 제어영역으로 구획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제어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분에는 상기 카메라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제어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너가 컷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절개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프레임의 일변상에서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코너에는 상기 컷팅된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변과 교차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의 중앙에는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장착되고,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 코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좌우측 코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영역 중 상기 절개부분이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영역에는 테스트 소자 그룹(Test Element Group)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 중 상기 절개부분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GIP(Gatg in panel) 게이트 드라이버의 배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좌우측 코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가 인접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좌우측 코너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카메라와 다른 전자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어느 코너에 인접하게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의 중앙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에는 상기 화면표시 영역에 가해지는 전압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어영역의 양 코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렌즈가 장착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액정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경통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절개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홈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은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영역은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분은 상기 하부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절개부분을 일변으로 가지는 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윈도우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화면표시 영역; 및
    상기 화면표시 영역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배치되며,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어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테스트 소자 그룹(Test Element Group)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코너가 컷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는 GIP(Gatg in panel) 게이트 드라이버의 배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에서 제거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68745A 2011-07-12 2011-07-12 이동 단말기 KR10188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45A KR101882709B1 (ko) 2011-07-12 2011-07-12 이동 단말기
US13/188,151 US8582026B2 (en) 2011-07-12 2011-07-21 Mobile terminal
EP11005990.4A EP2547072B1 (en) 2011-07-12 2011-07-21 Mobile terminal with front camera and large LCD
CN201110264099.2A CN102883033B (zh) 2011-07-12 2011-09-01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45A KR101882709B1 (ko) 2011-07-12 2011-07-12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170A true KR20130008170A (ko) 2013-01-22
KR101882709B1 KR101882709B1 (ko) 2018-07-27

Family

ID=4458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745A KR101882709B1 (ko) 2011-07-12 2011-07-12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82026B2 (ko)
EP (1) EP2547072B1 (ko)
KR (1) KR101882709B1 (ko)
CN (1) CN10288303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944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40134163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20170141904A (ko) * 2016-06-16 2017-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126781B2 (en) 2014-12-18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190117985A (ko) * 2018-04-09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93B1 (ko) * 2011-12-01 2013-07-10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EP3457249B1 (en) * 2011-12-30 2021-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490526B2 (en) * 2012-08-14 2016-11-08 Goog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s in computer displays
KR102009657B1 (ko) * 2012-10-31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표시 단말기
EP2762992B1 (en) * 2013-02-01 2018-06-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9736956B2 (en) * 2013-03-12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module
CN104102075A (zh) * 2013-04-02 2014-10-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其制造方法
US9575382B2 (en) * 2013-08-20 2017-02-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with split driver ledges
CN103747641A (zh) * 2014-01-26 2014-04-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
KR101596848B1 (ko) * 2015-03-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 단말기
CN105391822B (zh) * 2015-11-24 2018-1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
TWI656692B (zh) * 2015-12-31 2019-04-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
CN205594265U (zh) * 2016-05-11 2016-09-2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10200517B2 (en) 2016-08-31 2019-02-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N106487962B (zh) * 2016-12-06 2019-1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以及移动终端
CN106584996B (zh) * 2016-12-06 2019-0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以及移动终端
CN107247482B (zh) * 2017-06-27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与摄像集成装置
CN107395808B (zh) * 2017-08-14 2019-11-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7331314A (zh) * 2017-08-23 2017-1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7508938B (zh) 2017-09-06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相机模组及电子装置
CN107861904B (zh) * 2017-12-12 2023-10-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Usb座安装结构及移动终端
CN108111650B (zh) * 2018-01-10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Lcd显示模组及移动终端
CN108600425B (zh) * 2018-03-27 2024-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9343771B (zh) * 2018-09-30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操控方法
WO2020168762A1 (zh) * 2019-02-22 2020-08-2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20026650A (ko) 2020-08-2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018A (ko) * 2003-04-23 2004-11-0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전자디바이스 및 그의 방법
KR20070118769A (ko) * 2006-06-13 2007-12-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80732A (ko) *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4056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465B2 (ja) * 1997-07-01 2007-12-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88803A (ja) 1997-09-11 1999-03-30 Sony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
JPH1197705A (ja) * 1997-09-23 1999-04-0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JP3630096B2 (ja) * 2000-11-30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JP3979090B2 (ja) * 2001-12-28 2007-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US7495702B2 (en) * 2004-02-09 2009-02-24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TWI242287B (en) * 2004-12-24 2005-10-21 Innolux Display Corp Portable camera device
US20060279652A1 (en) * 2005-06-13 2006-12-14 Shou-An Yang Display panel with camera function
JP4616105B2 (ja) * 2005-07-20 2011-0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926426B2 (ja) * 2005-08-12 2012-05-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20100048249A1 (en) * 2006-01-30 2010-02-25 Kyocera Corporation Display Holde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of Display Holder
US7646426B2 (en) * 2006-02-28 2010-01-1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KR101174015B1 (ko) * 2006-09-14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0925B1 (ko) * 2006-12-29 2010-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1811B1 (ko) * 2007-06-14 2013-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1290599B1 (ko) * 2007-10-02 2013-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018A (ko) * 2003-04-23 2004-11-0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전자디바이스 및 그의 방법
KR20070118769A (ko) * 2006-06-13 2007-12-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80732A (ko) *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4056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944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40134163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US10126781B2 (en) 2014-12-18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739824B2 (en) 2014-12-18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170141904A (ko) * 2016-06-16 2017-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17985A (ko) * 2018-04-09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7072B1 (en) 2013-10-16
KR101882709B1 (ko) 2018-07-27
EP2547072A1 (en) 2013-01-16
US20130016267A1 (en) 2013-01-17
CN102883033A (zh) 2013-01-16
US8582026B2 (en) 2013-11-12
CN102883033B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70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1286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53349A (ko) 터치 모듈, 그 터치 모듈의 제조 방법 및 그 터치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30083237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3313A (ko)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20130066918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8982A (ko) 이동 단말기
KR20130104765A (ko) 이동단말기
KR20130015319A (ko) 이동 단말기
KR20120128975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8980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96244A (ko) 이동 단말기
KR101771453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5A (ko) 이동 단말기
KR10191768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8203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68661A (ko) 휴대 단말기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20130008920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08923A (ko) 이동 단말기
KR101332554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66512A (ko)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