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948A -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948A
KR20130007948A KR1020110068643A KR20110068643A KR20130007948A KR 20130007948 A KR20130007948 A KR 20130007948A KR 1020110068643 A KR1020110068643 A KR 1020110068643A KR 20110068643 A KR20110068643 A KR 20110068643A KR 20130007948 A KR20130007948 A KR 2013000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conversion module
frequency conversion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파워
Priority to KR102011006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948A/ko
Publication of KR2013000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6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repeated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지형지물에 의해 TV 방송 신호가 도달하지 않은 난시청 지역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광대역 TV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각각 주파수 변환한 후 합성하여 이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다음 목적하는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켜 재전송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수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TV 신호의 열화가 심하거나 미약한 지역에 상기 TV 신호의 열화 없이 재전송하기 위하여,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를 구비하고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들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모듈;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을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합성기; 상기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소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과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주파수 변환 모듈, 전력 증폭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전송되는 TV 채널 신호가 열화 없이 전송되며, 여러 방송사의 신호를 하나의 송수신 장치로 재전송할 수 있고, 또한 주파수 변환 방식을 사용하므로 다른 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Multi-channel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재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지형지물에 의해 디지털 방송신호가 도달하지 않은 난시청 지역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광대역 디지털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각각 주파수 변환한 후 합성하여 이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다음 목적하는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켜 재전송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방송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센터(110)에서 유선 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전송된 신호를 고지대에 위치한 송신소(120)에서 받아 이를 일정한 커버리지를 갖는 고출력으로 방사하고, 일반 가정(140)에서는 옥외에 설치된 안테나(130)를 통해 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TV(150)를 이용해 시청하게 된다.
한편, 최근 정부의 정책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까지 디지털 TV 방송으로 전환될 계획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일본, 유럽 등 방송/통신 분야의 선진권을 중심으로 디지털 TV 방송의 가시화에 따른 시장환경의 조성과 향후 시장의 성장성 및 국내 기업의 경쟁력으로 볼 때 이와 같은 디지털 TV CDMA , LCD , 반도체에 이은 차세대 중심 성장동력으로 부상할 것이다. 특히, 디지털 TV 는 디스플레이, 주요 기판, 칩셋, 메모리 반도체 등의 후방산업뿐만 아니라 디지털 가전산업, 디지털 콘텐츠 산업, T- commerce 등과 같은 전방산업에도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는 것이다.
디지털 TV ( DTV ; Digital TV )는 정보의 종류(영상, 음성, 문자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처리하는 아날로그 TV 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제작ㆍ편집ㆍ전송ㆍ수신 등 방송의 모든 단계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TV 방송 시스템이다. 종래의 TV 는 모두 아날로그 방식으로서 전파 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화질과 음질이 선명하지 않으며 한정된 채널밖에 볼 수 없는데 반해 디지털 TV 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 회로에 의해 조절하는 방식으로서 다른 전파의 방해 등 노이즈를 제거해 줌은 물론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다기능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하는 다채널화 및 갖가지 첨단영상을 재현하는 고품질화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TV 방송의 주파수 대역은 크게 54~88MHZ의 VHF 저대역, 174~216MHZ의 VHF 고대역, 그리고 470~890MHZ의 UHF 대역으로 구분되며, 각 채널별 주파수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TV 주파수 분배표에 의해 할당되어 있다. 표 1에서 채널 2~13번은 VHF(초단파) 주파수대이고, 채널 14~60번은 UHF(극초단파) 주파수대이며, 이후 채널 61번부터는 60번 채널의 주파수에 [6× (60번 이후의 채널수)]를 더하면 된다. 예로써, 채널 65번의 할당 주파수는 749+(6× 5)=779MHz이다.
Figure pat00001
그러나, 상기와 같은 TV 방송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건물이나 산과 같은 지형지물에 의한 장애물(160)로 인해 방송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난시청 지역(180)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방송사에서는 해당 지역에 별도의 송신 시설을 설치해야만 상기 난시청을 해소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고출력의 송신 시설 설치를 위한 인허가, 환경단체 등의 반대, 고가의 설치 비용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고출력 송신 시설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산간 오지나 섬 등과 같이 커버가 안되는 지역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TV 방송 신호가 도달하지 않은 난시청 지역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대형건물이 밀집된 도심 지역에서는 국소적인 음영지역( small hole )이 존재하므로 이와같은 재전송 장치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재전송되는 디지털 TV 방송 신호를 열화 없이 전송하며, 여러 방송사의 신호를 하나의 송수신 장치로 재전송할 수 있고, 주파수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다른 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는,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211~215)를 구비하고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의 제어신호(C1)에 의해 이들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모듈(210)과,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을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합성기(220)와, 상기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제어부(250)의 제어신호(C2)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230)와,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소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240)와,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과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50) 및 상기 제어부, 주파수 변환 모듈, 전력 증폭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전송되는 TV 채널 신호가 열화 없이 전송되며, 여러 방송사의 신호를 하나의 송수신장치로 재전송할 수 있고, 또한 주파수 변환 방식을 사용하므로 다른 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TV 방송 신호가 전송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TV 방송 신호의 난시청 지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방송센터 120 : 송신소
130 : 안테나 140 : 가정
150 : TV 160 : 장애물
170 : 서비스 영역 180 : 난시청 지역
210 : 주파수 변환 모듈
211~215 :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
220 : 합성기 230 : 전력 증폭기
240 : 대역통과 필터 250 : 제어부
260 : 전원부 270 : 튜너
280 : AGC 회로 301 : 로컬 발진기
302, 303 : 제 1 및 제 2 저대역 필터 304, 305 : 제 1 및 제 2 PLL
306, 307 : 제 1 및 제 2 증폭기 308 : 제 3 저대역 필터
309 : 제 1 대역통과 필터 310, 311 : 제 1 및 제 2 믹서
312, 314 : 제 1 및 제 2 SAW 필터 313 : 제 3 증폭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주파수 변환 모듈(210)이 제어부(250)의 제어신호(C1)를 받아 의해 그에 입력된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들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며, 합성기(220)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고, 전력 증폭기(230)가 제어부(250)의 제어신호(C2)를 받아 상기 결합된 신호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후, 대역통과 필터(240)에 의해 상기 증폭된 신호 가운데 소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전원부(260)는 상기 제어부, 주파수 변환 모듈 및 전력 증폭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210)은, 그 내부에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211~215)를 구비하고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의 제 1 제어신호(C1)에 의해 이들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211~215)에 입력되는 TV 신호는, 54~88MHZ의 VHF 저대역, 174~216MHZ의 VHF 고대역, 그리고 470~890MHZ의 UHF 대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211~215)에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의 채널번호 6, 7, 9, 11, 13번의 TV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데, 이에 해당하는 방송사는 각각 SBS, KBS2, KBS1, MBC, EBS이다. 즉, 제 1 주파수 변환기(211)에는 채널번호 6인 SBS의 82~88MHz의 신호가 입력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나머지 제 2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212~215)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210)의 동작은 제어부(250)로부터 제 1 제어신호(C1)를 받아 행해지는데, 이 제 1 제어신호(C1)는 Level Control, Input/Output Channel Control, FCM On/Off Control, PLL Alarm Check, Level Chec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vel Check 및 Level Control은 주파수 변환 모듈에 입력되는 TV 신호의 입력 레벨을 검출하고 주파수 변환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상기 Input/Output Channel Control은 주파수 변환 모듈에 입력되는 TV 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거나 또는 주파수 변환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Input/Output Channel Control에 의해 각 지방마다 서로 상이한 채널 번호를 해당지역에 맞게 선택하여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CM On/Off Control은 Level Check 기능에 의해 검출된 입력 레벨이 약하거나 낮을때 주파수 변환 모듈을 Off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PLL Alarm Check는 주파수 변환 모듈 내에 구비된 PLL의 위상이 고정(lock)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250)가 이를 감지하여 알람을 발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기 합성기(220)는,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경로를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와 동일한 개수의 경로를 결합하는 것이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5경로 광대역 합성기를 사용하였다.
상기 전력 증폭기(230)는, 제어부(250)로부터 제 2 제어신호(C2)를 받아 상기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 신호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증폭기(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C2)는 제어부(250)로부터 받는데, 이 제 2 제어신호(C2)는 HPA On/Off, Level Det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vel Detect는 제어부가 증폭기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기능이고, HPA On/Off는 이와같은 제어부의 레벨 검출에 의해 증폭기가 발진 또는 과출력 등을 일으켰을 때 증폭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때, 상기 Level Detect와 HPA On/Off의 제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증폭기의 발진 또는 과출력이 최초로 검출되면 제어부는 송수신장치의 운영자에게 통지를 함과 동시에 증폭기를 소정 시간동안 Off시켰다가 다시 On시켜 동작을 재개한다. 이러한 Off/On이 3회 반복되면 제어부는 운영자에게 최종적으로 송수신 장치의 Fail을 통지함과 동시에 증폭기를 완전히 Off시킨다. 이와 같은 Off/On의 횟수나 Off와 On 사이의 시간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영자가 제어부에 미리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240)는, 상기 증폭된 신호 가운데 소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켜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TV 채널 39~60번에 해당하는 620~752MHz이다.
한편, 상기 전원부(260)는 상기 제어부, 주파수 변환 모듈 및 전력 증폭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는 +5V와 +8.5V(P1), 주파수 변환 모듈에는 +5V와 +8.5V 및 +31V(P2), 그리고 전력 증폭기에는 +27V(P3)를 각각 공급한다. 여기서, +31V는 후술하는 튜너의 전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 모듈의 전단에 튜너(270)를 더 구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튜너를 사용하게 되면 필요에 의해 튜너의 출력단자를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211~215)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재전송 채널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튜너(270)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튜너로부터 방송사의 모든 채널 신호가 출력되므로 각 주파수 변환 모듈에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채널은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250)로부터 제 3 제어신호(C3)를 받아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변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주파수 변환기(211)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변환기(211)는 로컬 발진기(301), 제 1 및 제 2 저대역 필터(302, 303), 제 1 및 제 2 PLL(304, 305), 제 1 및 제 2 증폭기(306, 307), 제 3 저대역 필터(308), 제 1 대역통과 필터(309), 제 1 및 제 2 믹서(310, 311), 제 1 및 제 2 SAW 필터(312, 314), 그리고 제 3 증폭기(313)로 구성된다.
상기 로컬 발진기(301)는 10MHz의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고 분기시켜 이를 각각 제 1 및 제 2 저대역 필터(302, 303)에 의해 고조파를 제거한 후, 각각 제 1 및 제 2 PLL(304, 305)에 입력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PLL(304, 305)의 출력 신호는 각각 제 1 및 제 2 증폭기(306, 307)에 입력되어 소정 이득으로 증폭되고, 제 1 증폭기(306)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제 3 저대역 필터(308)를 통과한 후 제 1 믹서(310)에 입력되며, 제 2 증폭기(307)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제 1 대역통과 필터(309)를 통과한 후 제 2 믹서(311)에 입력된다.
한편, 튜너(270)로부터 출력된 신호, 예로써 44MHz의 신호가 제 1 믹서(310)에 입력되면 상기 제 3 저대역 필터를 통과하여 제 1 믹서에 입력된 신호가 혼합(mixing)되어 제 1 믹서는 220MHz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 제 1 SAW 필터(312)와 제 3 증폭기(313) 및 제 2 SAW 필터(314)를 차례로 거쳐 필터링되고 소정 이득으로 증폭된 220MHz의 신호가 제 2 믹서(311)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대역통과 필터(309)를 통과하여 제 2 믹서에 입력된 840~972MHz의 신호가 혼합(mixing)되어 제 2 믹서는 620~752MHz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같이 제 1 주파수 변환기(211)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합성기(220)로 전달되어 다른 주파수 변환기의 신호와 함께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튜너(270)가 없이 각 채널의 TV 신호가 직접 주파수 변환기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주파수 변환기의 전단에 AGC 회로(2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의 출력 주파수가 620~752MHz인 High Band에 대해서만 상술하였으나, 상기 제 2 PLL의 고정 주파수를 690~840MHz로 하여 주파수 변환 모듈의 출력 주파수가 470~620MHz인 Low Band로 할 수도 있고, 주파수 변환 모듈의 출력 주파수를 470~752MHz의 Full Band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 모듈에 케이블 TV 등과 같은 유선 선로에 의한 방송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집합건물 등에서 효율적으로 재전송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에 별도의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하여 GUI에 의해 동작시키거나, 제어부에 Function Key를 더 접속하여 채널 선택 및 레벨 세팅 등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110 : 방송센터 120 : 송신소
130 : 안테나 140 : 가정
150 : TV 160 : 장애물
170 : 서비스 영역 180 : 난시청 지역
210 : 주파수 변환 모듈
211~215 :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
220 : 합성기 230 : 전력 증폭기
240 : 대역통과 필터 250 : 제어부
260 : 전원부 270 : 튜너
280 : AGC 회로 301 : 로컬 발진기
302, 303 : 제 1 및 제 2 저대역 필터 304, 305 : 제 1 및 제 2 PLL
306, 307 : 제 1 및 제 2 증폭기 308 : 제 3 저대역 필터
309 : 제 1 대역통과 필터 310, 311 : 제 1 및 제 2 믹서
312, 314 : 제 1 및 제 2 SAW 필터 313 : 제 3 증폭기

Claims (6)

  1. 방송센터 또는 송신소로부터 TV 방송 신호를 받아 이를 재전송하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센터 또는 송신소로부터 광대역 TV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 모듈에 의해 채널별로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합성하여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후,
    상기 증폭된 신호를 목적하는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켜 재전송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2. 방송센터 또는 송신소로부터 TV 방송 신호를 받아 이를 재전송하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에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를 구비하고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의 제 1 제어신호(C1)에 의해 이들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모듈;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을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합성기;
    상기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제어부의 제 1 제어신호(C2)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소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과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주파수 변환 모듈, 전력 증폭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3. 방송센터 또는 송신소로부터 TV 방송 신호를 받아 이를 재전송하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TV 방송을 수신하고 제어부의 제 3 제어신호(C3)에 의해 각 채널별로 출력하는 튜너;
    그 내부에 제 1 내지 제 5 주파수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튜너로부터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의 제 1 제어신호(C1)에 의해 이들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모듈;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을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합성기;
    상기 합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제어부의 제 2 제어신호(C2)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소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과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주파수 변환 모듈, 전력 증폭기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 모듈은,
    VHF 및 UHF 대역의 TV 신호가 각각의 주파수 변환기에 채널별로 입력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로컬 발진기와,
    상기 로컬 발진기로부터 분기된 신호를 받아 각각 고조파를 제거한 후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저대역 필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저대역 필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각각 목적하는 주파수로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PLL과,
    상기 제 1 및 제 2 PLL로부터 신호를 받아 각각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는 제 1 및 제 2 증폭기와,
    상기 제 1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고조파를 제거한 후 출력하는 제 3 저대역 필터와,
    상기 제 2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정 대역만 통과시켜 출력하는 제 1 대역통과 필터와,
    그에 입력된 TV 신호와 제 3 저대역 필터로부터의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 1 믹서와,
    상기 제 1 믹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필터링하고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SAW 필터, 제 3 증폭기 및 제 2 SAW 필터와,
    상기 제 2 SAW 필터로부터의 신호와 제 1 대역통과 필터부터의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 2 믹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어신호(C3)는,
    튜너의 채널 주파수를 변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KR1020110068643A 2011-07-11 2011-07-11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07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43A KR20130007948A (ko) 2011-07-11 2011-07-11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43A KR20130007948A (ko) 2011-07-11 2011-07-11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48A true KR20130007948A (ko) 2013-01-21

Family

ID=4783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643A KR20130007948A (ko) 2011-07-11 2011-07-11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379Y1 (ko) 다채널 티브이 중계장치
KR20130007948A (ko) 다채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05466B1 (ko)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다채널 티브이 중계장치
JP2022176779A (ja) 周波数変換伝送システム
JP2007282094A (ja) 無線受信装置
CN104412527A (zh) 数字数据处理装置和方法
KR101595130B1 (ko) Rf 신호처리 회로
KR100667191B1 (ko)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이용한 지상파 dmb 중계기
US109989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adio stations on cable networks with increased data traffic in the VHF range
JP2008118444A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
KR20120000453A (ko) Tv 신호용 소출력 콤팩트형 중계장치
JP7359552B2 (ja) 周波数変換装置
US20070178863A1 (en) AM/FM tuner saw filter-less architecture using AM frequency band up-conversion
JP4738955B2 (ja) 地上ディジタル放送信号を復調不能とする放送信号処理装置。
US20220209797A1 (en) Semiconductor chip and receiving apparatus
JP3126244U (ja) ブースター
JP2004173111A (ja) ミリ波帯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TWI645690B (zh) 數位資料處理設備及方法
JP2002199389A (ja) ダウンコンバータ、アップコンバータ及びcatvシステム
JP2004173109A (ja) ミリ波帯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6148963A (ja) 受信システム
KR200237127Y1 (ko) 위성공청 입력 혼합 분리형 증폭기
JP2004312646A (ja) 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妨害波除去装置
JP2007208581A (ja) 地上ディジタル放送再送信装置
JP2004173110A (ja) ミリ波帯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