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887A -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887A
KR20130007887A KR1020110068509A KR20110068509A KR20130007887A KR 20130007887 A KR20130007887 A KR 20130007887A KR 1020110068509 A KR1020110068509 A KR 1020110068509A KR 20110068509 A KR20110068509 A KR 20110068509A KR 20130007887 A KR20130007887 A KR 2013000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ode
terminal
du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진
Original Assignee
에이텍인터내셔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텍인터내셔날(주) filed Critical 에이텍인터내셔날(주)
Priority to KR102011006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887A/ko
Publication of KR2013000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IP) 교환기가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 내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망 접속 모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무선 인터넷 전화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적용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호의 착신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탐색하는 탐색 단계; 및 해당 무선망접속 영역에서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탐색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는 활성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METHOD FOR ACTIVATING WIRELESS CONNECTION MODE OF DUAL-MODE WIRELESS TERMINAL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PROTOCOL EXCHANGE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IP) 교환기가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 내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무선 인터넷 전화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기 위한 유선용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IP PBX: 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의 통신망에 접속되는 포트(WAN 포트)와, 내선 전화기가 접속되는 포트(LAN 포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선용 IP 교환기(PBX)의 경우에는 내선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근거리 통신망(LAN) 설치 공사로 인한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사용 공간에서 선로 작업이 이루어져 불편함이 있어 왔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유선용 IP PBX에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통신)으로 인터넷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장비가 출현하고 있으나, 이러한 무선 IP 교환기(PB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선접속 전용 인터넷 전화기(예를 들어, Wi-Fi 전용 인터넷전화기) 또는 무선접속 기능(예를 들어, Wi-Fi 기능, Wibro 기능, 블루투스 기능) 등이 내장된 이동전화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을 내선 전화기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 무선접속 기능이 내장된 이동전화기를 "듀얼모드 무선단말"이라 한다
최근에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VoIP Application"이라 한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무선 접속망 영역(무선망 접속이 가능한 구역으로서, 예를 들어, Wi-Fi 통신의 경우에는 "Wi-Fi zone"이 해당된다)에서 송신 및 수신이 완벽한 VoIP(Voice over IP)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송/수신 신호의 전달 역할에만 한정되어 있어, 해당 무선 IP PBX의 무선망접속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이나 무선접속 전용 무선전화기가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망접속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서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예를 들어, Wi-Fi 모드)를 동작시키고 VoIP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원하는 통신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지만, 사용자의 자발적 의사 또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기능으로 인하여 무선접속 모드가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VoIP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신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더라도 무선 접속을 통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참조할 수 있는 선행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67171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2973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0391171호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선 IP 교환기(PBX)의 무선 접속망 영역 내에서의 무선 인터넷전화의 착신을 완전하게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전화의 활성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IP) 교환기가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 내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적용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호의 착신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탐색하는 탐색 단계; 및 해당 무선망접속 영역에서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탐색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는 활성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모드 무선단말에서의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의하여 전송된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에 따라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접속하여, 대기중인 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에 있어서, 무선접속망 영역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대한 발신 호 및 착신 호를 연결하기 위한 교환 처리 수단; 및 상기 교환 처리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호의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해당 무선망접속 영역에서 탐색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단말 활성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무선 IP 교환기(PBX)의 무선 접속망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서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전화의 발신 및 착신을 완전하게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단말기로 편리하게 인터넷전화까지 가능하다는 인식을 사용자에게 심어 줌으로써 무선망 접속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전화의 활성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IP 교환기(PBX)가 설치된 무선 접속망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서는 사용자와 관련된 긴급전화 등이 언제라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인터넷 전화의 한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전화의 통신 불안정으로 인해 기존의 유선 PBX(PABX)를 사용중인 사업자나 유선 IP PBX의 불편함을 감수하며 사용중인 사업자를 대상으로, 무선 IP 교환기(PBX)에 의한 시장 대체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이용한 인터넷전화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국내 기간통신사업자의 기업 대상 인터넷전화 마케팅 비용 등을 극소화할 수 있어 통신사업자들의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적용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무선단말에서의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망 접속을 활성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무선 IP 교환기(PBX)(11)의 무선접속망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예를 들어, Wi-Fi 무선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이동전화망을 통해 그 무선접속 모드를 동작시키는 과정(무선망 접속을 활성화 과정)을 개괄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IP) 교환기(PBX)(11)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교환기로서, 무선 사설 교환기, 인터넷 기반 사설 교환기, 인터넷 기반 교환기, IP 사설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은 무선망 접속 기능과 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통화 기능과, 이동통신을 통한 전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인터넷은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연결됨으로써 무선 IP 교환기(PBX)(11)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을 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서, 이는 다른 통신망으로부터의 이동전화, 일반 전화(댁내 유선/무선 전화) 및 인터넷전화 등의 호(Call)를 무선 IP 교환기(PBX)(11)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넷에 접속된 무선 IP 교환기(PBX)(11)가 다른 통신망(예를 들어, 인터넷 등)으로부터 「무선 IP 교환기(PBX)(1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증되어 등록된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내선 번호에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외부 요청 신호, 즉 인바운드 호(Inbound Call))를 수신한 경우에(100),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망 접속을 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면 그 외부 요청 신호를 무선망 접속(예를 들어, Wi-Fi 통신)을 통하여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전달한다.
만약,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101) 무선 IP 교환기(PBX)(11)가 착신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탐색을 통하여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예를 들어, Wi-Fi 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102).
그리고 나서, 무선 IP 교환기(PBX)(11)가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를 강제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데이터(활성화용 제어데이터)를 이동전화망을 통해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이동전화번호에 전송한다(103).
한편,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은 무선 IP 교환기(PBX)(1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으면, 해당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듀얼모드 무선단말 전용 VoIP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신되는 전화(착신 전화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104). 즉,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가 활성화되면, VoIP 응용프로그램은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에 포함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접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적용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무선 IP 교환기(PBX)(11)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호(Inbound Call)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인바운드 호를 대기시키고(Holding)(200), 착신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을 탐색 과정을 수행하는데(202),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무선 IP 교환기(PBX)(11)의 인터넷 접속 포트(WAN)에 전달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호(Inbound Call)에는 이동전화, 일반 전화 및 인터넷전화 등 모든 음성전화의 호(Call)가 해당된다. 즉, 발신자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 일반 유선전화기, 인터넷 전화기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특히, 무선 IP 교환기(PBX)(11)는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에서 내선 전화기로서 사용되는 각각의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대한 단말 정보(예를 들어, 이동 전화번호 및 무선 IP 교환기(PBX)(11)에서 사용할 내선 전화번호(내선 번호) 등)를 사전에 입력(등록)받아 저장하고 있는다. 여기서, 내선 전화번호는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접속하여 내선통화 또는 인터넷전화 사용을 위한 단말 식별정보로서, 이는 무선 IP 교환기(PBX)(11)가 단말 등록 과정에서 각각의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할당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인터넷 전화번호를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단말 등록 과정에서 해당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IP 교환기(PBX)(11)는 상기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발신되어 들어온 호(Inbound Call)를 연결할 착신대상 단말이 듀얼모드 무선단말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무선 IP 교환기(PBX)(11)는 외부로부터 발신되어 온 전화 호(Inbound Call)를 연결할 내선번호의 전화기(내선 전화기)가 듀얼모드 무선단말임을 인지한 경우, 외부로부터 발신되어 온 전화 호를 대기시키고(Holding), 그 대기시킨 호를 연결할 내선 번호의 전화기에 해당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해당 무선망 접속(예를 들어, Wi-Fi 접속)을 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탐색(예를 들어, Wi-Fi 탐색)한다(202).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IP 교환기(PBX)(11)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탐색에 걸리는 시간,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이동통신망(이동전화망)을 통하여 활성화 제어 데이터(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활성화 제어 데이터 전송시간), 및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가 활성화되고 VoIP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실제 통화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전화 상대방(발신자)에게 "통화 연결중"이라는 별도의 안내 멘트(안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만약, 무선 IP 교환기(PBX)(11)의 탐색 결과, 착신 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전화 호를 연결할 내선번호를 사용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IP 교환기(PBX)(11)의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서 활성화되어 있으면, 무선 IP 교환기(PBX)(11)는 외부로부터 발신되어 온 전화 호(Inbound Call)를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연결하여 준다(206).
한편, 무선 IP 교환기(PBX)(11)의 탐색 결과, 착신 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IP 교환기(PBX)(11)의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내에서 탐색되지 않으면, 무선 IP 교환기(PBX)(11)는 착신 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IP 교환기(PBX)(11)의 해당 무선접속망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이동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 데이터(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210). 여기서,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 데이터에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접속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접속 정보(예를 들어,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선 단말로의 등록과정에서 무선 IP 교환기(PBX)(11)로부터 사전에 전송받을 수도 있다.
무선 IP 교환기(PBX)(11)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활성화 상태를 실시간 주기적 탐색하여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활성화 제어 데이터 전송 과정을 기설정된 횟수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수행한다(208).
만약, 무선 IP 교환기(PBX)(11)는 기설정된 횟수 범위 내에서 활성화 제어 데이터 전송 과정을 반복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IP 교환기(PBX)(11)의 무선접속망 영역(예를 들어, Wi-Fi zone) 밖에 있어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과정을 종료한다, 이때, 무선 IP 교환기(PBX)(11)는 발신자 측으로 통화 종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무선 IP 교환기(PBX)(11)는 통화 연결까지의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통화 연결이 불가능하다는 멘트를 발신 단말에 보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무선단말에서의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무선 IP 교환기(PBX)(11)로부터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은 무선 IP 교환기(PBX)(11)로부터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300), 해당 무선접속 모드를 강제로 활성화한다(302).
이후,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은 인터넷 전화용 응용프로그램(VoIP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 데이터에서 접속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해당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접속한다(304). 여기서, 접속 정보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접속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서, 이에는 다른 무선접속장치(AP)로부터 해당 무선 IP 교환기(PBX)(11)의 무선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무선 IP 교환기(PBX)(11)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해당할 수 있다.
또한, VoIP 응용프로그램은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전용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용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을 무선 IP 교환기(PBX)(11)의 내선 전화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세션 개시 프로그램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절차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며, 실시예에 따라 무선 IP 교환기(PBX)(1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해당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서 제공하기 위한 기능과,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가 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무선 IP 교환기(PBX)(11)에 접속한 경우,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은 무선 IP 교환기(PBX)(11)에 대기 중인 외부로부터 발신되어 온 전화 호(인바운드 호, 착신 호)를 수신함으로써(306) 무선 IP 교환기(PBX)(11)와 듀얼모드 무선단말(12) 간에는 전화통화를 위한 호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 처리부(40) 및 단말 활성화 제어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교환 처리부(40)는 일반적인 인터넷 기반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교환 처리부(40)는 무선접속망 영역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대한 발신 호 또는 착신 호를 연결함으로써 듀얼모드 무선단말(12)과 통화 상대방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교환 처리부(40)는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대한 사전 인증 과정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11)의 내선 전화기로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때 각각의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대하여 무선망 접속을 위한 식별정보와 해당 이동 전화번호를 저장/관리한다.
한편, 단말 활성화 제어부(41)는 교환 처리부(40)를 통하여 수신된 호의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해당 무선망접속 영역에서 탐색되지 않으면,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12)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이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11)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활성화 제어부(41)는 수신된 호(인바운드 호)를 대기시키고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12)을 탐색하며, 대기중인 통화 상대방에게 통화 연결중이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IP 교환기(PBX) 기능과 무선접속 주파수(예를 들어, Wi-Fi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접속장치(AP)의 복합적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복합적 기능은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제품에서 구현되거나, 복수의 제품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IP 교환기(PBX)(11)의 인터넷 접속 포트(WAN)에 전달된 착신 호(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호)에 대하여 적용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화와의 통화중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IP) 교환기 12: 듀얼모드 무선단말
40: 교환 처리부 41: 단말 활성화 제어부

Claims (17)

  1.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적용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호의 착신대상이 되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탐색하는 탐색 단계; 및
    해당 무선망접속 영역에서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탐색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는 활성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수신된 호를 대기시키고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중인 호의 통화 상대방에게 통화 연결중이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제어 단계는,
    기설정된 횟수 범위 내에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의 내선 전화기로 사전에 등록된 듀얼모드 무선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제어 단계는,
    사전에 등록된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이동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해당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
  8. 듀얼모드 무선단말에서의 무선접속 모드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의하여 전송된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에 따라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접속하여, 대기중인 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신 단계는,
    상기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제어데이터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의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신 단계는,
    상기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등록 과정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로부터 사전에 전송받은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의 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접속모드 활성화 방법.
  11.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에 있어서,
    무선접속망 영역에 있는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대한 발신 호 및 착신 호를 연결하기 위한 교환 처리 수단; 및
    상기 교환 처리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호의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해당 무선망접속 영역에서 탐색되지 않으면,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단말 활성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이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호를 대기시키고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듀얼모드 무선단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중 호의 통화 상대방에게 통화 연결중이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교환기의 내선 전화기로 사전에 등록된 듀얼모드 무선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처리 수단은,
    사전에 등록된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이동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활성화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이동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착신대상 듀얼모드 무선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프로토콜 교환기.
KR1020110068509A 2011-07-11 2011-07-11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KR20130007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09A KR20130007887A (ko) 2011-07-11 2011-07-11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09A KR20130007887A (ko) 2011-07-11 2011-07-11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87A true KR20130007887A (ko) 2013-01-21

Family

ID=4783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509A KR20130007887A (ko) 2011-07-11 2011-07-11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8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1636A (zh) * 2013-07-19 2013-11-13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加强capwap通信隧道保活的方法
CN105871859A (zh) * 2016-04-19 2016-08-17 福州蓝电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安全通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1636A (zh) * 2013-07-19 2013-11-13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加强capwap通信隧道保活的方法
CN103391636B (zh) * 2013-07-19 2016-03-09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加强capwap通信隧道保活的方法
CN105871859A (zh) * 2016-04-19 2016-08-17 福州蓝电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安全通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453B2 (en)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US10477030B2 (en) LTE cellular mobile network access system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CN101789997A (zh) 蓝牙链接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40004839A1 (en) Proximity based transfer
US20140044125A1 (en) Outbound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18033901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relocating harmful radiation of a cellular mobile device to a base device
US200800149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CN103118178B (zh) 一种将移动终端接入固定电话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JP474705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ip−pbx及びそれらに用いる圏外移動時における通話保持方法
US895880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ng connection method thereof
KR20130007887A (ko)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무선단말의 무선접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WO2017133607A1 (zh) 一种语音网关
JP200821982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および通信中再接続方法
KR101313270B1 (ko) 기업통신 환경에서의 원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9194586A (ja) 通信システム
KR100401701B1 (ko)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JP2014195167A (ja) 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60276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 calls 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649157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9005A (ja) 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630254B2 (en) Telephone line switching apparatus, telephone line switching system, telephone relay system, telephone relay method, telephone relay program
KR20130007892A (ko) 무선접속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전달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교환기
JP2007202083A (ja) 通信システム
TWI586141B (zh) 虛擬整合手機系統與方法
US8442192B2 (en) Connecting wireless, wireline, and internet-protocol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