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76A - 집광형 태양 전지 - Google Patents

집광형 태양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76A
KR20130007076A KR1020110063317A KR20110063317A KR20130007076A KR 20130007076 A KR20130007076 A KR 20130007076A KR 1020110063317 A KR1020110063317 A KR 1020110063317A KR 20110063317 A KR20110063317 A KR 20110063317A KR 20130007076 A KR20130007076 A KR 2013000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lar cell
condensing
light collecting
sun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077B1 (ko
Inventor
권진혁
정재학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077B1/ko
Priority to US14/129,570 priority patent/US20140150865A1/en
Priority to PCT/KR2012/005042 priority patent/WO2013002537A2/ko
Publication of KR2013000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3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ractive type, e.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9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spectrum splitting means, e.g. dichroic mirr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선의 진행 방향, 즉 집광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셀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집광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전지 효율 역시 극대화시키는 태양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는, 태양 전지(100)에 있어서, 태양광의 진행 방향 즉 집광 방향을 따라 태양광이 진행되는 방향을 하측, 그 반대 방향을 상측이라 할 때, 태양광을 집광하는 다수 개의 집광 수단(111)들이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집광부(110); 상기 집광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집광부(110)로 모여진 태양광의 방향을 집광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쪽으로 전환하는 광유도부(120); 상기 광유도부(120)의 일측 측면에 구비되며, 태양 전지 셀 어레이로 이루어져 상기 광유도부(120)에 의해 전환되어 온 태양광이 입사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광형 태양 전지 {Concentrating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 전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란 광기전력 효과(Photo 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P형 반도체 및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빛을 비추었을 때 전하 이동에 의하여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태양 전지에 빛을 비추면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전하들은 P, N극으로 이동하며 이 현상에 의해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광기전력)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태양 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태양 전지는 실리콘에 붕소를 첨가한 P형 반도체 위에 인을 확산시켜 N형 실리콘 반도체 층을 형성해서 만들어지는 실리콘 태양 전지가 저가이며 대량생산이 용이해서 많이 사용된다.
현재 산업의 발전에 따라 화석 에너지 자원이 고갈되어 감과 동시에 환경 오염의 문제가 점차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종래의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태양 전지 관련 기술은 이러한 대체 에너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당히 오래 전부터 연구 및 개발되어 왔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에 있어서 전지 효율이 소재에 크게 좌우되는데, 현재 태양 전지로 사용되는 소재들의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좀처럼 상용화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연구 분야들 중, 동일 소재 사용 시 보다 태양 전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CPV(Concentrating Photo Voltaic), 즉 집광형 태양광 시스템으로서, 태양 전지에 렌즈나 반사경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GaAs와 같은 고효율의 태양 전지에 집중시켜 줌으로써 광원을 증폭시켜 발전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목표 전력을 얻기 위한 셀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고가의 고효율 태양 전지의 면적을 크게 축소함으로써 CPV는 궁극적으로 고가의 셀을 제작하는 데서 발생되는 비용을 줄임으로써 전력 생산 원가를 낮추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CPV 기술만으로도 상당한 원가 절약과 더불어 비교적 용이하게 50% 정도의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CPV 기술에 대한 연구 및 활용이 증대될 전망이다.
도 1은 종래의 태양 전지들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상술한 CPV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종류의 태양 전지 구조로서, 미국특허공개 제2010/0032005호 "System and Method for Solar Energy Capture"(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설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광형 태양광 시스템에서는 집광이 가능한 볼록 렌즈, 프레넬 렌즈, 반사경 등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모아서 셀로 집중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보다 좁은 면적의 셀로도 목표 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선행기술 1 역시, 보다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때, 선행기술 1의 경우 집광용 부품(렌즈, 반사경 등)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필수적이며, 집광용 부품 자체의 부피가 크고, 또한 집광을 위해 집광용 부품과 셀 간의 간격이 초점 거리 정도로 떨어져 있어야 하는 등의 제약 때문에 태양 전지의 부피 및 중량 등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B)는 한국특허공개 제2010-0081257호 "하부에 오목거울형 전반사층과 상부의 입사광에 대한 일 방향 투과 성 반사방지막으로 구성된 옵티컬 캐비티를 갖는 태양 전지의 구조 및 구현 방법"(이하 선행기술 2)에 개시된 설계이다. 보다 상세히는, 선행기술 2는 오목거울형(CONCAVE) 바텀(BOTTOM) 컨택; 상기의 오목거울형(CONCAVE) 바텀(BOTTOM) 컨택 위에 형성된 전도성 반사층; 및 상기의 하부의 오목거울형(CONCAVE) 바텀(BOTTOM) 컨택 상부에 적층된 투명전극; 및 상기 투명전극 위의 초점 영역에 형성된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부에 형성되는 입사광에 대해 단방향 투과성을 지니는 반사방지막; 및 상기의 전도성 반사방지막으로 통해 연결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단위 셀을 개시하고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 2는 선행기술 1에 비해서는 보다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으나, 역시 셀 하부에 오목거울을 구비시킴으로써 오목거울 부피만큼의 부피 증가를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선행기술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집광 구조에 있어서, 집광용 부품(렌즈, 반사경 등)과 셀이 광선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부피 상의 제약 때문에) 동일 면적 상에 배치할 수 있는 셀의 개수 역시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집광 효율의 증가 역시 한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선의 진행 방향, 즉 집광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셀이 배치되도록 하고,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집광 도구로 사용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초점 위치에 집광판 또는 광섬유 어레이를 설치하여 광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태양 전지의 집광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저가의 높은 효율의 태양 전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는, 태양 전지(100)에 있어서, 태양광의 진행 방향 즉 집광 방향을 따라 태양광이 진행되는 방향을 하측, 그 반대 방향을 상측이라 할 때, 태양광을 집광하는 다수 개의 집광 수단(111)들이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집광부(110); 상기 집광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집광부(110)로 모여진 태양광의 방향을 집광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쪽으로 전환하는 광유도부(120); 상기 광유도부(1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며, 태양 전지 셀 어레이로 이루어져 상기 광유도부(120)에 의해 전환되어 온 태양광이 입사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광유도부(120)는 내부로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된 플레이트 또는 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유도부(120A)는 내부로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된 플레이트(121A)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집광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다수 개의 반사부(125A)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125A)는 상기 플레이트(121A) 상에서 패여진 형태로 형성되는 홈(122A) 및 상기 홈(122A)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12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광유도부(120B)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단면이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130)를 형성하는 각 태양 전지 셀 위치에 타측 단면이 배치되어, 상기 일측 단면으로 입사된 태양광이 상기 타측 단면으로 통과하여 나와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광유도로(1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광유도부(120C)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끝단이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130)를 형성하는 각 태양 전지 셀 위치에 타측 단면이 배치되며, 상기 일측 끝단은 광섬유 연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일측 끝단의 경사진 단면에는 반사층(122C)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끝단 측으로 입사된 태양광이 상기 경사진 단면의 상기 반사층(122C)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타측 단면으로 통과하여 나와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반사 광유도로(1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광 수단(111)은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 형태로 된 마이크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집광형 태양 전지 구조에 있어서, 렌즈나 반사경 등과 같은 집광용 부품이 크고 무거울뿐 아니라 집광용 부품과 태양 전지 셀이 광선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집광 면적 당 배치 가능한 셀의 개수 제한이 발생하여 전지 효율 증대에 한계가 있었던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일체형 마이크로 광학 렌즈와 광유도로를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광유도로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고효율의 소형 태양 전지 셀을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집광렌즈로부터 들어오는 고강도의 광으로부터 종래보다 집광 효율, 나아가 태양 전지 효율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광을 위한 광학 부품에 비해 셀 자체의 가격이 훨씬 비싸므로 집광 면적을 늘린다 해도 태양 전지의 셀의 크기는 원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 전지 셀의 크기는 고정한 상태에서도 다수의 집광렌즈가 포함된 마이크로 광학 렌즈의 집광 면적을 종래보다 훨씬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전력 생산 원가를 훨씬 절약할 수 있는 큰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 전지의 여러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
도 3은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의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의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의 제3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의 실시예의 상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집광형 태양 전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 전지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집광부(110), 광유도부(120) 및 발전부(1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발전부(130)는 종래의 태양 전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유사하지만 상기 광유도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집광부(110)를 통해 집광된 태양광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시킨다는 데 큰 특징이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태양광의 진행 방향 즉 집광 방향을 따라 태양광이 진행되는 방향을 하측, 그 반대 방향을 상측이라 하기로 한다. 이는, 물론 지면에 대한 태양광의 각도는 날짜, 시간 등에 따라 계속 변화하지만,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는 태양광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는 각도(즉 태양 전지 면에 대하여 태양광이 수직으로 들어오는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만들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정확히 태양 전지 면에 대하여 태양광이 수직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태양 전지에 있어서 태양광 진행 방향에 따른 대략적인 상하 방향은 항상 분명히 결정되는 바, 태양광이 진행되어 가는 방향을 하측으로 칭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고 하겠다.
상기 집광부(110)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다수 개의 집광 수단(111)들이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집광 수단(111)은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 형태로 된 마이크로 렌즈인 것이 바람직한다. 즉 상기 집광부(110)는 다수 개의 마이크로 렌즈들을 종횡으로 배치하여 만들어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집광부(110)는, 상기 집광 수단(111)들이 모두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따로 만들어진 다음 어떤 프레임 상에 결합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집광부(110)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처음부터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는 등, 마이크로 렌즈와 같은 상기 집광 수단(111)들이 종횡으로 다수 개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상기 집광부(110)의 구체적인 형태는 설계자의 의도,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광유도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의 특징적인 부분으로서, 상기 집광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집광부(110)로 모여진 태양광의 방향을 집광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쪽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태양광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빛의 방향을 전환시키는데 사용되는 광학 부품인 미러(mirror)나 프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의 상기 광유도부(120) 역시 이러한 광학 부품들을 응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유도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미러, 프리즘 등 뿐만 아니라 내부로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된 플레이트 또는 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나 광섬유를 이용한 빛의 방향 전환 원리에 대해서는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발전부(130)는 상기 광유도부(120)의 일측 측면에 구비되며, 태양 전지 셀 어레이로 이루어져 상기 광유도부(120)에 의해 전환되어 온 태양광이 입사되어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종래의 태양 전지에서는, 상기 발전부(130)가 상기 집광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집광부(1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이 그대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집광된 태양광을 상기 광유도부(120)를 통해 일단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광유도부(120)의 일측 측면에 상기 발전부(13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가 얻는 이득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 등과 같은 종래의 태양 전지에서는, 집광된 태양광이 그대로 태양 전지 셀에 입사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단위 집광 수단 하나 당 셀 하나가 배치되어야 하고, 따라서 집광 수단들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가 있다고 할 때 셀들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역시 거의 동일한 면적을 차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 셀들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에서는, 집광에 의하여 빛이 모이는 부분 이외에 남는 면적이 상당히 발생하게 됨은 당연하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 전지에서는, 그 구조상 이와 같이 남는 면적을 줄이거나 활용할 방법이 전혀 없었던 것이 사실이며, 또한 태양 전지의 부피를 어느 한계 이하로 줄이는 것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에서는, 상기 광유도부(120)를 이용하여 집광된 태양광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고, 태양광의 방향이 전환된 쪽에 셀이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이 모여서 어레이 형태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상기 발전부(130)는,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고 있는 상기 광유도부(120)의 측면, 즉 매우 좁은 면적 상에 배치 구비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태양 전지에서 셀 간에 빛이 닿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잉여 면적이 발생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에서는 잉여 면적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셀을 훨씬 고수준으로 집적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도부(120)에 의하여 다수의 집광 수단(111)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들이 한쪽 방향으로 일괄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에 따라, 추가적인 집광 효과가 더 생기게 되어 집광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 개수의 셀을 사용하여 동일 목표 전력에 도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태양 전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집광부(110)의 면적을 보다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생각하면 동일 집광부 면적에 대해서 보다 적은 개수의 셀을 사용해서도 (집광 효율이 높으므로) 동일 목표 전력에 도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의 제조 비용에 있어서 광학 부품들 등이 차지하는 가격은 셀 자체의 가격에 비하여 훨씬 저렴하다. 즉 셀 가격이 태양 전지 원가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개수의 셀을 사용하면서도 상기 집광부(110)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집광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 가능 전력 대비 생산 원가를 훨씬 낮추는 큰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종래에는 집광되는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셀이 배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작 과정에서 셀의 위치 결정 문제가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유도부(120)에서 태양광이 한쪽 방향으로 일괄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러한 셀 위치 결정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훨씬 자유롭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 전지(100)의 제작 과정 난이도를 훨씬 낮출 수 있게 되며, 이는 추가적으로 생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에서 상기 광유도부(120)는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부피가 커질 요소가 없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태양 전지 자체의 부피를 훨씬 줄일 수 있는 장점 역시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태양 전지(100)의 여러 실시예, 특히 상기 광유도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여러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유도부(120A)는 기본적으로 내부로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된 플레이트(121A)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121A) 상에는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집광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다수 개의 반사부(125A)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반사부(125A)의 형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반사부(125A)는 상기 플레이트(121A) 상에서 패여진 형태로 형성되는 홈(122A) 및 상기 홈(122A)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12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홈(122A)에 입혀진 상기 반사층(123A)이 미러 역할을 함으로써, 집광된 태양광이 상기 발전부(130) 쪽으로 방향 전환되어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유도부(120B)는 광섬유로 된 다수 개의 광유도로(1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섬유의 일측 끝단으로 입사된 빛은, 광섬유 내부에서 (광섬유가 어떻게 굴곡져 있든 간에) 광섬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행하여 결국 광섬유의 타측 끝단으로 나오게 된다. 광섬유의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집광된 태양광을 상기 발전부(130) 쪽으로 보내는 데에 광섬유를 이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광유도로(121B)는,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단면이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130)를 형성하는 각 태양 전지 셀 위치에 타측 단면이 배치되어, 상기 일측 단면으로 입사된 태양광이 상기 타측 단면으로 통과하여 나와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유도부(120C)는 역시 다수 개의 반사 광유도로(1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제3실시예에서도, 상기 반사 광유도로(121C)는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끝단이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130)를 형성하는 각 태양 전지 셀 위치에 타측 단면이 배치되는데, 이 때 상기 일측 끝단의 형태가 제2실시예와는 조금 상이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측 끝단은 광섬유 연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일측 끝단의 경사진 단면에는 반사층(122C)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반사층(122C)이 미러 역할을 하여 집광된 태양광을 광섬유 내부로 진행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일측 끝단 측으로 입사된 태양광이 상기 경사진 단면의 상기 반사층(122C)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타측 단면으로 통과하여 나와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실시예들의 상면도의 실시예들이다.
제1실시예(도 3)의 경우,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125A)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위치(즉 동일 높이)에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이 때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반사부(125A)에서 반사된 빛이 우측에 있는 반사부(125A)에 걸려 통과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부(125A)들에서 반사된 빛의 경로가 겹치지 않도록, 상기 반사부(125A)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반사부(125A)들의 높이는 도 3에서처럼 동일하게 하되, 도 6의 상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광 수단(111)이 평면 상에서 나란하지 않게 약간 비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사부(125A)들에서 반사된 빛의 경로가 겹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도 4) 및 제3실시예(도 5)에서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상기 광유도로(121B) 또는 상기 반사 광유도로(121C)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부러져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각각의 집광 위치에 대응하는 광섬유들이 서로 독립적인 광섬유들임을 보이기 위하여 분리 도시한 것일 뿐으로, 실제로는 광섬유들은 상하 방향으로는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7은 광섬유의 배치 형태의 일실시예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는 광섬유 자체가 어떤 형태로 굴곡지더라도 광섬유 내부를 통해 빛이 진행되므로, 도 7과 같은 형태가 아니더라도 설계자의 목적이나 의도 등에 따라 광섬유의 배치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가 배치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는 광섬유들끼리 겹쳐 놓이게 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는 광섬유들이 모두 나란하게, 즉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는 물론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도, 상면에서 보았을 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 즉 상기 집광 수단(111)이 평면 상에서 비껴 배치되도록 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음 역시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태양 전지
110: 집광부 111: 집광 수단
120: 광유도부
120A: 광유도부 제1실시예
121A: 플레이트 122A: 홈
123A: 반사층 125A: 반사부
120B: 광유도부 제2실시예 121B: 광유도로
120C: 광유도부 제3실시예
121C: 반사 광유도로 122C: 반사층
130: 발전부

Claims (7)

  1. 태양 전지(100)에 있어서,
    태양광의 진행 방향 즉 집광 방향을 따라 태양광이 진행되는 방향을 하측, 그 반대 방향을 상측이라 할 때,
    태양광을 집광하는 다수 개의 집광 수단(111)들이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집광부(110);
    상기 집광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집광부(110)로 모여진 태양광의 방향을 집광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쪽으로 전환하는 광유도부(120);
    상기 광유도부(120)의 일측 측면에 구비되며, 태양 전지 셀 어레이로 이루어져 상기 광유도부(120)에 의해 전환되어 온 태양광이 입사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120)는
    내부로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된 플레이트 또는 광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120A)는
    내부로 빛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된 플레이트(121A)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집광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다수 개의 반사부(125A)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125A)는 상기 플레이트(121A) 상에서 패여진 형태로 형성되는 홈(122A) 및 상기 홈(122A)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12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120B)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단면이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130)를 형성하는 각 태양 전지 셀 위치에 타측 단면이 배치되어, 상기 일측 단면으로 입사된 태양광이 상기 타측 단면으로 통과하여 나와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광유도로(1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120C)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각 상기 집광 수단(111)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끝단이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130)를 형성하는 각 태양 전지 셀 위치에 타측 단면이 배치되며, 상기 일측 끝단은 광섬유 연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일측 끝단의 경사진 단면에는 반사층(122C)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끝단 측으로 입사된 태양광이 상기 경사진 단면의 상기 반사층(122C)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타측 단면으로 통과하여 나와서 상기 발전부(130)로 입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반사 광유도로(1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수단(111)은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 형태로 된 마이크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100)는
    고효율 결정질 Si 태양 전지, GeㆍGaAsㆍGaInP가 적층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적층 태양 전지(Tandem cell), GaAs 태양 전지, CIGS계 박막 태양 전지, a-Si 박막 태양 전지, CdTe 박막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고효율 태양 전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태양 전지.
KR1020110063317A 2011-06-29 2011-06-29 집광형 태양 전지 KR10126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17A KR101265077B1 (ko) 2011-06-29 2011-06-29 집광형 태양 전지
US14/129,570 US20140150865A1 (en) 2011-06-29 2012-06-26 Concentrating solar cell
PCT/KR2012/005042 WO2013002537A2 (ko) 2011-06-29 2012-06-26 집광형 태양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17A KR101265077B1 (ko) 2011-06-29 2011-06-29 집광형 태양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76A true KR20130007076A (ko) 2013-01-18
KR101265077B1 KR101265077B1 (ko) 2013-05-16

Family

ID=4742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317A KR101265077B1 (ko) 2011-06-29 2011-06-29 집광형 태양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50865A1 (ko)
KR (1) KR101265077B1 (ko)
WO (1) WO20130025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012A (ko) * 2019-08-08 2021-02-17 배석만 광 수송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9214A2 (en) 2014-05-14 2015-11-2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Large-scale space-based solar power station: power transmission using steerable beams
EP3149777B1 (en) * 2014-06-02 2024-02-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Large-scale space-based solar power station: efficient power generation tiles
FR3033963B1 (fr) * 2015-03-16 2017-12-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photovoltaique bifacial muni de fibres optiques pour l'eclairement de la face arriere de cellules photovoltaiques
JP6715317B2 (ja) 2015-07-22 2020-07-01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コンパクトパッケージング用の大面積構造体
US10992253B2 (en) 2015-08-10 2021-04-2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mpactable power generation arrays
US10454565B2 (en) 2015-08-10 2019-10-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hape estimation using sun sensors in large-scale space-based solar power s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069A (ja) 2001-08-24 2003-03-07 Daido Steel Co Ltd 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JP4120421B2 (ja) 2003-02-24 2008-07-16 凸版印刷株式会社 光配線層の製造方法
WO2010124028A2 (en) * 2009-04-21 2010-10-28 Vasylyev Sergiy V Light collection and illumination systems employing planar waveguide
KR100933213B1 (ko) * 2009-05-13 2009-12-22 한국과학기술원 태양광 발전용 집광 렌즈
KR20100130433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코아옵틱스 태양광용 집광장치
US8723016B2 (en) * 2009-07-14 2014-05-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profile solar concent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012A (ko) * 2019-08-08 2021-02-17 배석만 광 수송 매체
KR20210018013A (ko) * 2019-08-08 2021-02-17 배석만 태양광 발전 유닛 및 시스템
KR20220058868A (ko) * 2019-08-08 2022-05-10 주식회사 빛고운 광 수송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077B1 (ko) 2013-05-16
WO2013002537A2 (ko) 2013-01-03
WO2013002537A3 (ko) 2013-02-28
US20140150865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77B1 (ko) 집광형 태양 전지
CN1971948A (zh) 用于太阳能光电发电机的使用叠加原理的日光会聚透镜、工序以及装置
JP2013545260A (ja) 集束太陽光誘導モジュール
KR100933213B1 (ko) 태양광 발전용 집광 렌즈
CN202134560U (zh) 一种超薄型太阳能高倍聚光光伏电池模组件
KR10198144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87615A (ko)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KR200390785Y1 (ko) 태양 전지 장치
US20120000509A1 (en) Multi-directional solar energy collector system
CN203608146U (zh) 一种平板型太阳能聚光器
KR101620406B1 (ko) 태양전지셀이 수직으로 병렬 배치된 고효율 태양전지 모듈
KR101213768B1 (ko) 태양광발전장치
KR101205462B1 (ko) 양면 태양 전지를 이용한 빛 가이딩 방식의 집광형 모듈
JP2011210890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217247B1 (ko) 집광형 태양전지
KR102584910B1 (ko) 투광형 태양전지 단위 모듈, 투광형 태양전지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투광형 태양전지 모듈
KR101295040B1 (ko) 광가이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CN103023381A (zh) 一种棱镜折光太阳能发电装置
KR101327211B1 (ko) 고집광형 태양전지모듈
KR101851138B1 (ko) 단일 광학계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US20150030283A1 (en) Concentrating Thin Film Absorb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2652108U (zh) 一种太阳能线聚光光伏发电装置
CN201852991U (zh) 四重抛物柱面聚光器
KR100991986B1 (ko) 태양전지
WO2013065105A1 (ja) 光起電力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