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212A -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212A
KR20130006212A KR1020110068109A KR20110068109A KR20130006212A KR 20130006212 A KR20130006212 A KR 20130006212A KR 1020110068109 A KR1020110068109 A KR 1020110068109A KR 20110068109 A KR20110068109 A KR 20110068109A KR 20130006212 A KR20130006212 A KR 20130006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water tank
water purifi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878B1 (ko
Inventor
전제욱
이강현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8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은, 물이 정수기 전면에 배치된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되는 정수 시스템;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고효율의 응축기를 포함하고, 냉수조의 외측과 동배관이 접촉되어 상기 저장조에 저수된 물과 냉매가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저장조 내에 저수된 물이 냉각되는 냉각 시스템;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가 진공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의 단면적이 상기 내벽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구비된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체의 내부에 구비된 열선에 의해 상기 내벽체 내부에 저수된 물이 가열되는 온수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Energy saving type water purifier system}
본 발명은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수기는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 또는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 또는 온수조 및 냉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온수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냉수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냉수 또는 온수가 모두 취출될 수 있는 정수기가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취출구가 정수기의 전면에 위치하지만 필터가 정수기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정수기의 측면에 다른 가구 등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의 교체를 위해 정수기를 회전시키거나 움직이는 등의 수고를 요하였다. 또한, 상기 냉수 또는 온수를 얻기 위한 냉각 시스템 또는 온수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기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소비전력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소비전력이 작고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사용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은, 물이 정수기 전면에 배치된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되는 정수 시스템;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고효율의 응축기를 포함하고, 냉수조의 외측과 동배관이 접촉되어 상기 저장조에 저수된 물과 냉매가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저장조 내에 저수된 물이 냉각되는 냉각 시스템;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가 진공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의 단면적이 상기 내벽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구비된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체의 내부에 구비된 열선에 의해 상기 내벽체 내부에 저수된 물이 가열되는 온수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사용하고 효율이 높은 응축기를 사용하여 냉각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고,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진공 온수조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제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형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각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취출 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필터 커버(13)의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11)의 배면에 구비된 돌출부에 걸리고, 상기 필터 커버(13)의 하부에는 금속부가 구비되어 상기 금속부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자석에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13)의 결합 방식은 상기 방식에 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배수구(29)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21, 22, 23)를 교체하거나,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정수조, 냉수조 및 온수조 내에 저수된 물은 상기 배수구(29)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배수구(29)를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는 후술할 가열기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열기(미도시)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미도시)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후술할 냉각기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취출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와, 상기 냉수조(32)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 온도 센서(63)와, 상기 온수조(33)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 온도 센서(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62)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62)는 냉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29)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29)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29)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29)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미도시)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미도시)는 온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29)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29)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4)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례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례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 본체(10)의 전면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헤드(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제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복수 개의 측면 프레임(14), 미들 베이스(15) 및 베이스(1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6)에 복수 개의 측면 프레임(14)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6)가 사각형 형상일 경우, 상기 측면 프레임(14)은 상기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측면 프레임(14) 사이에 패널이 놓임으로써 상기 정수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16)와 평행하게 미들 베이스(15)가 놓인다. 예컨대, 상기 측면 프레임(14)에는 상기 베이스(16)와 평행하게 미들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 상에는 압축기(61), 응축기(미도시)와 같은 냉각기, 온수조(3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의 전방에는 복수 개의 필터(21, 22, 23)가 위치한다. 상기 미들 베이스(15) 상에는 상기 정수조(31) 및 냉수조(3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의 외주면은 동배관(64)이 접촉하여 상기 냉수조(32) 내의 물과 상기 동배관(64)을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냉수조(32)의 물이 냉각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형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21) 및 필터 홀더(2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21)는 상기 필터 홀더(24)와 결합되는 필터 헤드(210)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헤드(21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2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 홀더(24)에는 상기 필터 헤드(210)가 삽입되는 개구(24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240)의 지름(L3)은 상기 필터 헤드(210)의 최장 지름(L1)과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홀더(24)에는 상기 필터 헤드(210)가 상기 개구(240)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돌출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41)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각 돌출부(241) 사이로 상기 돌기(211)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개구(240)를 형성하는 상기 필터 홀더(24)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240)의 최단 지름(L4)은 상기 필터 헤드(210)의 지름(L2)과 동일하거나 더 길고, 상기 필터 헤드(210)의 최장 지름(L1)보다 짧다. 사용자는 상기 필터 헤드(210)를 상기 개구(240)에 삽입시키고, 상기 돌기(211)가 상기 돌출부(241)에 걸리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21)가 상기 필터 헤드(210)에 고정된다. 상기 필터(21)를 상기 필터 헤드(21)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기 필터(21)를 회전시켜 상기 필터 헤드(210)의 최장 지름(L1) 방향을 상기 개구(240)의 최장 지름(L3) 방향과 일치시킨 후 분리한다. 상기 돌출부(241)의 일단에는 상기 필터 헤드(210)의 회전을 한계짓는 스토퍼(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240)에 삽입된 필터 헤드(210)의 돌기(211)는 상기 돌출부(241)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스토퍼(242)에 의해 간섭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돌기(211)가 상기 스토퍼(242)에 의해 간섭되면 상기 필터(21)는 필터 홀더(24)과 결합된 상태로 회전을 멈춘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회전 동작만으로 상기 필터(21)를 상기 필터 홀더(24)로부터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각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는 상기 압축기(61), 응축기(62), 팽창기(63) 및 동배관(64)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61)에서는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다. 상기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62)에서 상온의 액체로 응축된다.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는 상기 팽창기(63)에서 감압되고, 유속 제어를 통해 낮은 온도의 기체로 팽창된다. 상기 저온의 기체는 상기 동배관(64)으로 이동하고, 상기 동배관(64)을 흐르는 저온의 냉매와 상기 냉수조(32)에 보관된 물과 열교환을 한다. 이로써 상기 냉수조(32)에 보관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는 자연친화적인 냉매로서 이소부탄(R-600a)이 사용될 수 있다. 냉매의 종류는 상기 기재에 제한되지 않는다.상기 응축기(62)는 고효율인 것을 사용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 냉수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온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온수조(33)는 외벽체(331) 및 내벽체(332)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체(331) 및 내벽체(332) 사이는 진공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외벽체(331)와 내벽체(332) 사이가 진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수조(33)의 단열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의 상부에는 커버(334)가 장착된다. 상기 제1커버(334)에는 홀(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온수조(33)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입수관(335)이 상기 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의 상부에는 이중으로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버(334)의 상부에는 제2커버(3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336)는 상기 제1커버(33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의 하부에는 상기 온수조(33) 내에 보관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열선(333)이 구비된다. 상기 열선(333)은 상기 내벽체(33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온수조(33) 내의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열선(333)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온수조(33)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상기 온수조(33)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과 연결되는 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의 하부면의 단면은 상기 온수조(33)의 내벽체(332)의 단면보다 적은 면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온수조(33)의 단면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온수조(33)의 하부면을 통해 발생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온수조(33)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외벽체(331)의 외주면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코팅이 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소재는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는 상기와 같은 냉각 시스템 및 온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조(31)에 보관된 물은 냉수조(32)로 이동하여 상기 냉각 시스템에 의해 저온으로 보관될 수 있고, 상기 온수조(33)로 이동된 물은 상기 열선(333)의 동작에 의한 온수 시스템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으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연친화적인 냉매 및 고효율의 응축기를 사용함으로써 적은 소비절력으로 냉수를 얻을 수 있고 환경 오염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의 이중 커버 구조, 하부 단면이 작은 진공 타입의 온수기를 사용함으로써 온수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적은 소비절력으로 고효율의 정수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 정수기의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배수구가 상기 정수기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정수조 등에 보관된 물을 편리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물이 정수기 전면에 배치된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되는 정수 시스템;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고효율의 응축기를 포함하고, 냉수조의 외측과 동배관이 접촉되어 상기 저장조에 저수된 물과 냉매가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저장조 내에 저수된 물이 냉각되는 냉각 시스템;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가 진공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의 단면적이 상기 내벽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구비된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체의 내부에 구비된 열선에 의해 상기 내벽체 내부에 저수된 물이 가열되는 온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이소부탄(R-6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 상부는 이중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의 외벽체 외주면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수조의 하부면에는 회로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KR1020110068109A 2011-07-08 2011-07-08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KR10132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09A KR101325878B1 (ko) 2011-07-08 2011-07-08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09A KR101325878B1 (ko) 2011-07-08 2011-07-08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212A true KR20130006212A (ko) 2013-01-16
KR101325878B1 KR101325878B1 (ko) 2013-11-05

Family

ID=4783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09A KR101325878B1 (ko) 2011-07-08 2011-07-08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8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881B1 (en) 2000-03-08 2001-12-11 Barnstead Thermolyne Corporatio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dispensed volume sensing and control
US6574981B2 (en) 2001-09-24 2003-06-10 Lancer Partnership, Ltd. Beverage dispensing with cold carbonation
JP4996867B2 (ja) * 2006-03-20 2012-08-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密閉形圧縮機及び冷凍装置並びに冷蔵庫
KR20100105173A (ko) * 2009-03-20 2010-09-29 최상필 단열 온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878B1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6969B (zh) 衣物處理裝置以及控制該裝置的方法
CN207821670U (zh) 台式直饮机
TWM562943U (zh) 改進的空調單元
JP2013524146A (ja) 冷水タンク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1285438B1 (ko) 정수기
JP5342303B2 (ja) 冷温飲料水サーバー
KR101323891B1 (ko) 정수기
KR101325878B1 (ko)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
CN202536670U (zh) 多功能橱柜
KR101188483B1 (ko) 정수기
JP5809742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670628B1 (ko) 냉수기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KR20180065733A (ko) 정수기
KR101304688B1 (ko) 정수기
KR20130022445A (ko) 냉풍기
KR100684114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제거구조
KR100556382B1 (ko) 커피메이커 기능을 겸비한 온수공급 냉장고
KR101352697B1 (ko) 정수기
CN217817342U (zh) 用于水洗模块的水箱、水洗模块和空调器
KR101362510B1 (ko) 정수기
CN219572128U (zh) 一种制冷式空气净化器
KR200469591Y1 (ko) 냉각부를 구비하여 냉각 기능이 부가된 온수매트장치
KR100708623B1 (ko) 수족관을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