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120U - 절약형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120U
KR20130006120U KR2020120002967U KR20120002967U KR20130006120U KR 20130006120 U KR20130006120 U KR 20130006120U KR 2020120002967 U KR2020120002967 U KR 2020120002967U KR 20120002967 U KR20120002967 U KR 20120002967U KR 20130006120 U KR20130006120 U KR 201300061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cision
container portion
cutou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450Y1 (ko
Inventor
윤혜정
Original Assignee
윤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정 filed Critical 윤혜정
Priority to KR2020120002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5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용기를 절개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가 절개된 이후에도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계속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절약형 용기는 하단이 밀폐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체 형상의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단 개구부와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절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의 외주연을 두르며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외부면보다 평균두께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가압에 의해 파단되는 경우 상기 용기부의 하단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절약형 용기{ECONOMY VESSEL}
본 고안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와 같은 물질을 함유하는 용기로서, 내측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와 같은 내용물을 함유하는 용기의 구성은 통체형 용기에 디스펜서가 달리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내측 내용물이 디스펜서와 연결된 스트로우의 깊이까지 내용물을 디스펜싱하여 사용가능하나, 디스펜서와 연결된 스트로우와 용기의 하단사이의 빈공간에는 내용물이 잔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의 용기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용기의 하부 내측공간에 샴푸와 같은 내용물이 잔존한 상태로 용기와 함께 버리게 된다.
이 경우, 알뜰한 이용자는 디스펜서를 용기와 분리하여 용기의 상단을 개구시킨 상태로 내측내용물을 남김없이 이용하기는 하나, 샴푸와 같은 내용물은 물과 달리 점성이 강하여 상단 개구부로 흘러나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용기들 가운데에는 용기의 하부에 취출구가 마련된 용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용기의 하부에 취출구를 마련한 종래의 용기는 취출구를 개봉한 이후, 취출구를 다시 막기 어려워 한번 정도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용기를 절개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가 절개된 이후에도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계속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약형 용기는 하단이 밀폐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체 형상의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단 개구부와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절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의 외주연을 두르며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외부면보다 평균두께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가압에 의해 파단되는 경우 상기 용기부의 하단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부의 하단을 분리하여 분리영역을 형성하게 되므로, 용기부의 내측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부의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 사이에 밸트부가 구성되므로, 이용자가 밸트부를 손으로 부여 잡고 절개부를 파단시킬 수 있어 용기부의 하단 하단 분리영역을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용자가 밸트부의 단절영역에 손톱이나 도구를 삽입하여 밸트부를 용기부의 외주연으로 벌릴 수 있게 되므로, 밸트부를 용기부에서 용기하게 파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밸트부의 단절영역과 만나는 밸트부의 단부에 용기부의 외주연으로 돌출부가 더 구성되므로, 이용자가 돌출부를 용기부의 외주방향으로 회전시켜 밸트부가 용기부에서 쉽게 파단되어 분리될 수 있어 용기부의 하단을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부의 내측에서 잔존하는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여 용기부의 하단을 분리하여 분리영역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분리영역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여러번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부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로 분리영역의 상부 개구부를 덮은 상태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용기의 하단에 취출구를 형성하여 1회만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종래 용기와는 달리, 용기부의 분리영역에 덮개부를 덮어 내용물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약형 용기의 절개부를 확대해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약형 용기의 절개부를 부위 절단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약형 용기의 절개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절역형 용기의 하단이 분리된 분리영역의 단면도.
도 6는 도 5에 덮개부가 용기부의 하단 분리영역의 상부 개구부를 덮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약형 용기의 절개부를 확대해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약형 용기의 절개부 부위를 절단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약형 용기의 절개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절역형 용기의 하단이 분리된 분리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덮개부가 용기부의 하단 분리영역의 상부 개구부를 덮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는 용기부(10) 및, 디스펜서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10)는 하단이 밀폐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부(10)는 사출성형용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는 개구부에 디스펜서부(20)와 결합을 위하여 상단 개구부의 직경이 줄어든 상태에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부(10)는 내측에 샴푸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부(20)는 용기부(10)의 상단 개구부와 결합하며, 용기부(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디스펜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펜서부(20)는 용기부(10)의 상단개구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외주연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트로우(21)와, 용기부(10)의 상단개구부에 배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는 디스펜서 모듈(22) 및, 용기부(10)의 상단개구부와 나사결합을 하여 디스펜서부(20)의 전체구성을 용기부(10)의 상단개구부에 고정시키는 뚜겅부(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부(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본 고안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용기부(10)는 절개부(11)가 구성된다. 이 경우, 절개부(11)는 용기부(10)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11)는 용기부(10)의 외주연을 두르며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11)는 용기부(10)의 외부면보다 평균두께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11)는 용기부(10)의 하단을 가압하는 경우에 다른 부위보다 취약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11)는 가압에 의해 파단되는 경우 용기부(10)의 하단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면, 용기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의 하단 분리영역(10a)이 분리된다.
따라서, 용기부(10)의 내측에 잔존하는 내용물은 용기부(10)의 분리된 하단 분리영역(10a)에 잔존하게 되고, 용기부(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용기부(10)에서 분리된 분리영역(10a)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 절개부(11)는 제1절개부(11a) 및 제2절개부(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는 용기부(10)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간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 사이에는 용기부(10)의 외주연을 두르며 형성되는 밸트부(12)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밸트부(12)는 용기부(10)의 파단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밸트부(12)는 파단시에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 사이에서 용기부(10)의 외주연 외곽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이용자는 밸트부(12)를 손으로 부여 잡고 절개부(11)를 용기하게 파단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용기부(10)의 하단 분리영역(10a)을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밸트부(12)는 용기부(10)를 두르되, 어느 한 영역에 빈공간의 단절영역(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절영역(12a)는 용기부(10)의 외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움푹파인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단절영역(12a)에 손톱이나 도구를 삽입하여 밸트부(12)를 용기부(10)의 외주연으로 벌릴 수 있게 되므로, 밸트부(12)를 용기부(10)에서 용기하게 파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밸트부(12)의 단절영역(12a)과 만나는 밸트부(12)의 단부는 용기부(10)의 외주연으로 돌출부(12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돌출부(12b)를 용기부(10)의 외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밸트부(12)는 용기부(10)에서 쉽게 파단되어 분리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용기부(10)의 하단을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는 덮개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0)는 용기부(10)의 하단을 덮도록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단의 외곽 테두리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격벽(31)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덮개부(30)는 용기부(1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용기부(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30)와 용기부(10) 하부와의 결합은 끼움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와 용기부(10) 하부와의 결합은 용기부(10)의 하단 외주연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시키고, 덮개부(30)의 격벽(31) 내주연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시킴으로써, 덮개부(30)와 격벽(31) 사이에 나사결합을 구현시킬 수 도 있다.
이러한 덮개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1)의 파단시 용기부(10)의 하단이 분리되어 분리영역(10a)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분리영역(10a)의 상부 개구부인 절개부(11)를 덮게 된다.
즉, 이용자는 용기부(10)의 내측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부(10)의 하단을 분리하여 분리영역(10a)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분리영역(10a)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여러번 사용하기 위하여 덮개부(30)로 분리영역(10a)의 상부 개구부를 덮은 상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용기의 하단에 취출구를 형성하여 1회만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종래 용기와는 달리, 본 고안은 용기부(10)의 분리영역(10a)에 덮개부(30)를 덮어 내용물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부 11 ; 절개부
10a ; 분리영역 11a ; 제1절개부
11b ; 제2절개부 12 ; 밸트부
12a ; 단절영역 12b ; 돌출부
20 ; 디스펜서부 30 ; 덮개부

Claims (5)

  1. 하단이 밀폐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체 형상의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단 개구부와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절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의 외주연을 두르며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외부면보다 평균두께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가압에 의해 파단되는 경우 상기 용기부의 하단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간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용기부를 두르는 밸트부;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부는 상기 용기부를 두르되, 어느 한 영역에 단절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부의 단절영영과 만나는 상기 밸트부의 단부는 상기 용기부의 외주연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덮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의 파단시에 상기 용기부의 하단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의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KR2020120002967U 2012-04-12 2012-04-12 절약형 용기 KR200471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67U KR200471450Y1 (ko) 2012-04-12 2012-04-12 절약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67U KR200471450Y1 (ko) 2012-04-12 2012-04-12 절약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120U true KR20130006120U (ko) 2013-10-23
KR200471450Y1 KR200471450Y1 (ko) 2014-02-21

Family

ID=5141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967U KR200471450Y1 (ko) 2012-04-12 2012-04-12 절약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30195A1 (en) * 2021-07-12 2023-01-13 Ulrik Spju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8849U (ko) * 1990-10-29 1992-06-18
JPH0726311U (ja) * 1993-10-21 1995-05-16 典江 倉橋 液体容器の容易分離装置
KR101141669B1 (ko) * 2009-12-17 2012-05-07 주영진 분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450Y1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393B2 (ja) 飲料容器用の水素封入キャップ
KR100840387B1 (ko) 용기마개
KR101202811B1 (ko) 용기마개
US20170202342A1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multiple compartments for separately containing various cream type cosmetics
KR101141669B1 (ko) 분리용기
RU2018115686A (ru)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печатывания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вставку
KR20110119143A (ko) 재사용 가능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71450Y1 (ko) 절약형 용기
KR20030063325A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JP2007176581A (ja) ベースカップを備えた容器
ITTO20120506A1 (it) Cappuccio per un fla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CN210259479U (zh) 流体吐出容器
JP2017197226A (ja) 二重容器用吐出キャップ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KR200489145Y1 (ko) 파우치형 팩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20130068740A (ko) 용기마개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86913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
KR200467289Y1 (ko) 용기캡
KR20090105494A (ko) 기능성 병
KR20150000028U (ko) 오일캡슐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