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964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964A
KR20130005964A KR1020110067698A KR20110067698A KR20130005964A KR 20130005964 A KR20130005964 A KR 20130005964A KR 1020110067698 A KR1020110067698 A KR 1020110067698A KR 20110067698 A KR20110067698 A KR 20110067698A KR 20130005964 A KR20130005964 A KR 2013000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lighting device
dispos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092B1 (ko
Inventor
민병국
공경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92B1/ko
Priority to PCT/KR2012/005265 priority patent/WO2013005971A2/ko
Priority to US13/541,247 priority patent/US9234645B2/en
Priority to EP12807295.6A priority patent/EP2730840B1/en
Publication of KR2013000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64A/ko
Priority to US14/592,019 priority patent/US96960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발광 모듈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발광 모듈부,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1 반사체,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2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는 별도로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 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면서, 그 용도에 맞는 광학적 특성을 갖도록 조명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특허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 10-2011-0050911 를 참고할 수 있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는 광의 직진성이 강하므로, 용도에 적합한 광학 부재를 배치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의 배광범위가 조절되는 것이 필요하다.
실시 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광학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는 용도에 따라 적합한 배광각 및 배광 범위를 선택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조명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발광 모듈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발광 모듈부;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1 반사체;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2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는 별도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체는 복수의 제 1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판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대한 상기 제 1 반사체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반사체는 복수의 제 2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사판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대한 상기 제 2 반사체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모듈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체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는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와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버부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조명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부;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부 각각을 둘러싸는 복수의 반사체; 및 상기 발광 모듈부 및 상기 복수의 반사체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부 각각은 별도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의 사용 범위가 극대화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명 장치로 다양한 광학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용도에 따라 적합한 배광각 및 배광 범위를 선택하여 조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간단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용형태를 도시한다.
도 4 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 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 (100) 는 구동부 (110), 몸체부 (120), 몸체부 (120) 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발광 모듈부 (130a), 몸체부 (120) 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제 1 발광 모듈부 (130a) 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1 반사체 (140a), 제 2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2 반사체 (140b), 발광 모듈부들 및 반사체들을 덮는 커버부 (16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 (100) 에 대해 각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 (100) 가 사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제공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구동부 (110)>
구동부 (110) 는 몸체부 (120) 상에 위치하며 몸체부 (120) 의 중앙 부분에 뚫려있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발광 모듈부 (130a, 130b) 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 (110) 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과 연결되어 조명 장치 (100) 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부 (110) 에서 연결된 배선은 스위치 등을 통과하여 발광 모듈부 (130a, 130b) 와 연결될 수 있고,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와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의 구동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간단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동부 (110) 는 외부 전원 (50) 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발광 모듈부 (130a, 130b) 에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 전원 (50) 과 구동부 (110)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 (70) 가 배치되고, 전원 스위치 (70) 는 조명 장치 (100) 가 설치되는 공간중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벽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 (110) 는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와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부 (110) 와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와의 사이에는 구동 스위치 (90) 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 에서는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에만 스위치가 연결되었으나,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와 제 2 발광 모듈부 (130b) 모두에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스위치 (90) 는 몸체부 (120) 의 외측면으로 연장되어 나갈 수 있다. 몸체부 (120) 의 외측면에는 구동 스위치 (90) 와 연결된 외부 스위치 (129) 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스위치 (129) 의 동작과 관련해서는 이하 몸체부 (120) 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다룬다.
발광 모듈부 (130a, 130b) 로의 전기적 공급에 대해 살펴보면,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 (70) 를 닫으면 외부 전원 (50) 으로부터 구동부 (110) 로 전원이 공급되며 제 1 발광 모듈부 (130a) 가 구동되고, 외부 스위치 (129) 의 동작에 의해 구동 스위치 (90) 가 닫히면 제 2 발광 모듈부 (130b) 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와 제 2 발광 모듈부 (130b) 는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에도 스위치가 배치되는 경우,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와 제 2 발광 모듈부 (130b) 는 서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 (110) 는 내부에 전원 제어를 위한 다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부품은 예를 들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 발광 모듈부 (130a, 130b) 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칩, 발광 모듈부 (130a, 130b) 를 보호하기 위한 ESD (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부 (110) 는 상부의 소켓부 (115) 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구동부 (110) 로부터 이어지는 배선이 몸체부 (120) 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여 광원 모듈부 (130a, 130b) 에 연결되어, 광원 모듈부 (130a, 130b) 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구동부 (110) 의 하면은 몸체부 (120) 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면을 통해 구동부 (110) 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체로 기능하는 몸체부 (120) 로 전달될 수 있다.
<몸체부 (120)>
몸체부 (120) 는 구동부 (130a, 130b)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 (120) 는 광원 모듈부 (130a, 130b) 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방열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몸체부 (120) 는 구동부 (110) 아래, 발광 모듈부 (130a, 130b) 상에 배치되어, 구동부 (110) 및 발광 모듈부 (130a, 130b) 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받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몸체부 (120)는 원통형상의 방열 바디부 및 방열 바디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방열핀 (125) 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은 몸체부 (120) 의 표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 (120) 의 형상은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체 (120) 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방열핀 (125) 의 개수를 늘리면 몸체부 (120) 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므로 방열 효율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반면에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구조적 취약성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조명장치의 전력용량에 따라 발열량도 달라지게 되므로 전력용량에 따른 적절한 방열핀 (125) 의 개수를 정할 필요가 있다.
몸체부 (120) 는 구동부 (110) 및/또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에서 발생된 열이 직접 전도(傳導)되며 방열핀 (125) 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 (110) 및/또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와 밀착결합될 수 있다. 방열핀 (125) 은 구동부 (110) 및/또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몸체부 (120) 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 (120) 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몸체부 (120) 는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마그네슘(Mg)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탄소강, 스테인레스 재질도 채용 가능하며 열전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표면에 부식방지 코팅 또는 절연코팅을 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구동부 (110) 및/또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와 몸체부 (120) 사이에는 방열판이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은 열 전도율이 뛰어난 열전도 실리콘 패드 또는 열전도 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 (110) 및/또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에서 생성된 열을 몸체부 (120) 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몸체부 (120) 의 하면에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가 배치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1 의 실시 예처럼 수납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 모듈부 (130a, 130b) 가 몸체부 (120) 의 하면에 접촉하여 배치되거나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수납홈의 너비 및 깊이는 구동부 (110) 및 발광 모듈부 (130a, 130b) 의 너비 및 두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모듈부 (130a, 130b) 는 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몸체부 (120) 의 하부에는 반사체 (140a, 140b) 를 덮는 캡부 (150) 를 감싸는 커버부 (160) 가 몸체부 (120) 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 (127) 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 (127) 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홈일 수 있으며, 커버부 (160) 는 스크류 홈을 통해 몸체부 (120) 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 (120) 의 외측면에는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의 구동과 관련되는 외부 스위치 (129) 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스위치 (129) 는 제 2 발광 모듈부 (130b) 에 연결된 구동 스위치 (90) 와 연결되어 외부 스위치 (129) 가 눌리면 구동 스위치 (90) 가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스위치 (129) 는 사용자에 의해 눌릴 수도 있지만, 몸체부 (120) 에 결합되는 커버부 (160) 에 의해 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 (160) 는 몸체부 (120) 의 스크류 홈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 (160) 가 회전하며 외부 스위치 (129) 를 누르면서 덮으면, 제 2 발광 모듈부 (130b) 가 구동될 수 있다. 커버부 (160) 가 용이하게 외부 스위치 (129) 를 누르면서 지나갈 수 있도록 외부 스위치 (129) 는 사다리꼴 모양 또는 유선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발광 모듈부>
발광 모듈부 (130a, 130b) 는 하나 이상의 LED 와, 하나 이상의 LED 가 실장되는 LED 실장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LED 실장 기판에는 다수의 LED 가 배열될 수 있고, 배열되는 LED 의 수량 및 배치는 요구되는 조도에 따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발광 모듈부 (130a, 130b) 는 취급의 용이 및 양산에 적합하도록 다수의 LED 를 집속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LED 실장 기판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 위에 패키지 하지 않은 LED 칩을 직접 본딩할 수 있는 COB(Chips On Board)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에 실장되는 LED 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그 종류나 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발광 모듈부 (130a, 130b) 는 몸체부 (120) 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모듈부 (130a, 130b) 의 LED 는 몸체부 (120) 의 하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 집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모듈부 (130a, 130b) 는 몸체부 (120) 의 하면의 중심축을 벗어나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발광 모듈부 (130a, 130b) 의 LED 는 몸체부 (120) 의 일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 모듈부 (130a, 130b) 는 몸체부 (120) 의 일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와 몸체부 (120) 의 일면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발광 모듈부 (130b) 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광 모듈부 (130a) 가 배치되는 제 1 영역은 몸체부 (120) 의 일면의 중앙부이고, 제 2 발광 모듈부 (130b) 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은 몸체부 (120) 의 일면의 외주부일 수 있다.
발광 모듈부 (130a, 130b) 의 외곽에는 반사체 (140a, 140b) 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부 (130a, 130b) 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반사체 (140a, 140b) 는 발광 모듈부 (130a, 130b) 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반사하여 조명 장치 (100) 가 방출하는 빛의 배광각 및 배광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발광 모듈부 (130a) 는 제 1 반사체 (140a) 로 둘러싸일 수 있고, 제 2 발광 모듈부 (130b) 는 제 2 반사체 (140b) 로 둘러싸일 수 있다. 각각의 반사체의 각도는 실시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용형태를 도시한다.
도 3(a) 는 제 1 발광 모듈부 (130a) 만이 구동되는 경우이고, 도 3(b) 는 제 1 발광 모듈부 (130a) 및 제 2 발광 모듈부 (130b) 가 모두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조명 장치 (100) 는 제 1 발광 모듈부 (130a) 만 구동되는 경우보다, 제 2 발광 모듈부 (130b) 가 함께 구동되는 경우에 보다 넓은 배광각과 배광 범위를 갖는다.
조명 장치 내에서의 스위치의 구성에 따라, 제 1 발광 모듈부 (130a) 에도 스위치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 2 발광 모듈부 (130b) 만 구동되는 경우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발광 모듈부가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하나의 조명 장치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배광각과 배광 범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반사체 (140a, 140b)>
제 1 및 제 2 반사체 (140a, 140b) 각각은 제 1 및 제 2 발광 모듈부 (130a, 130b) 의 외곽에서 제 1 및 제 2 발광 모듈부 (130a, 130b) 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 (140a, 140b) 의 재질은 반사 효율이 높은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재질은 예를 들어, PET, PC, PVC 레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은(Ag), 은(Ag)을 포함한 합금,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한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체 (140a, 140b) 의 곡면을 갖는 표면은 은(Ag), 알루미늄(Al), 백색의 PSR(Photo Solder Resist) 잉크, 확산 시트 등으로 코팅이 되거나,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에 의해 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반사체 (140a, 140b) 의 재질 및 색상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는 상기 조명 장치 (100) 가 구현하고자 하는 조명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 (120) 에는 둘 이상의 영역에 복수의 발광 모듈부가 배치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반사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 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 (200) 는 구동부 (210), 몸체부 (220), 몸체부 (220) 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발광 모듈부 (230a), 몸체부 (220) 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발광 모듈부 (230b), 제 1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1 반사체 (240a), 제 2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2 반사체 (240b), 발광 모듈부들 및 반사체들을 덮는 커버부 (26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의 조명 장치 (200) 는 도 1 의 조명 장치 (100) 와 유사하나, 제 2 발광 모듈부 (230b) 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 2 반사체 (240b) 가 복수의 반사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반사판의 일단은 조명 장치 (200) 와 힌지부 등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복수의 반사판을 포함하는 반사체가 좁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즉, 복수의 반사판의 일단이 몸체부 (220) 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몸체부 (220) 의 일면에 대한 반사체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도 4 에서는 복수의 반사판으로 이루어진 반사체가 제 2 반사체 (240b) 로 도시되었으나, 제 1 반사체 (240a) 가 복수의 반사판으로 이루어진 반사체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반사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 모듈부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키는지와 반사체의 각도 가변의 조합을 통해 더욱 다양한 배광각과 배광 범위를 구현할 수 있다.
<캡부 (150) 및 커버부 (160)>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캡부 (150) 는 반사체 (140a, 140b) 아래에 배치되고, 커버부 (160) 는 캡부 (150) 의 외측 일부를 감싸면서 몸체부 (120) 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 (160) 는 캡부 (150) 의 외측 일부를 감싸면서 몸체부 (120) 와 결합되어 캡부 (150) 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캡부 (150) 는 렌즈와 같은 광학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캡부 (150) 는 유리, PMMA(Polymethylmethacrylate), PC(Polycarbor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 (100) 의 설계에 따라, 캡부 (150) 는 형광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거나, 캡부 (150) 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여기 필름 (PLF:Photo Luminescent Film) 이 부착될 수도 있다. 형광체에 의해 발광 모듈부 (130a, 130b) 에서 방출되는 광은 파장이 변화되어 출사될 수 있다.
캡부 (150) 는 렌즈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캡부 (150) 에서 빛이 출사되는 부분은 파라볼라 형태의 렌즈, 프레넬 렌즈,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 중 하나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 (160) 는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고, 캡부 (150) 가 커버부 (160) 의 개구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도 1 에서 커버부 (160) 는 스크류 홈을 통해 몸체부 (120) 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지만, 커버부 (160) 가 몸체부 (120) 에 결합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부 (160) 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면, 몸체부 (120) 와 커버부 (160) 는 다른 형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커버부 (160) 는 몸체부 (120) 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커버부 (160) 가 이동하면서 외부 스위치 (129) 를 누름으로써, 복수의 발광 모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 (50) 를 닫은 후에, 커버부 (160) 를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발광 모듈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부 (150) 및 커버부 (160) 는 도 4 와 같이 몸체부 (220) 의 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반사판을 갖는 반사체 (240b)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반사판의 하단부는 캡부 (150) 의 내면에 접촉되어, 캡부 (150) 및 커버부 (160) 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판이 몸체부의 일면에 대해 갖는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몸체부의 일면에 대한 반사체 (240b) 의 기울기는 캡부 (150) 및 커버부 (160) 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배광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배광각과 배광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조명 장치를 설치하여 다양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조명 장치
110, 210: 구동부
120, 220: 몸체부
130a, 230a: 제 1 발광 모듈부
130b, 230b: 제 2 발광 모듈부
140a, 240a: 제 1 반사체
140b, 240b: 제 2 반사체
150: 캡부
160: 커버부

Claims (11)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발광 모듈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발광 모듈부;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1 반사체;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2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는 별도로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체는 복수의 제 1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판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대한 상기 제 1 반사체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체는 복수의 제 2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사판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대한 상기 제 2 반사체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조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 모듈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모듈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체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는 렌즈가 배치되는,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와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조명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발광 모듈부 및 상기 제 2 발광 모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버부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조명 장치.
  8.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부;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부 각각을 둘러싸는 복수의 반사체; 및
    상기 발광 모듈부 및 상기 복수의 반사체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부 각각은 별도로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반사체는 복수의 반사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판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대한 상기 제 1 반사체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조명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조명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버부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조명 장치.

KR1020110067698A 2011-07-06 2011-07-08 조명 장치 KR10185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98A KR101850092B1 (ko) 2011-07-08 2011-07-08 조명 장치
PCT/KR2012/005265 WO2013005971A2 (ko) 2011-07-06 2012-07-03 조명 장치
US13/541,247 US9234645B2 (en) 2011-07-06 2012-07-03 Lighting device having adjustable reflector
EP12807295.6A EP2730840B1 (en) 2011-07-06 2012-07-03 Lighting device
US14/592,019 US9696007B2 (en) 2011-07-06 2015-01-08 Lighting device with selectively controlled concentric light emitting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98A KR101850092B1 (ko) 2011-07-08 2011-07-08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64A true KR20130005964A (ko) 2013-01-16
KR101850092B1 KR101850092B1 (ko) 2018-04-18

Family

ID=4783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698A KR101850092B1 (ko) 2011-07-06 2011-07-0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37Y1 (ko) * 2006-03-28 2006-09-06 박동홍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JP4755276B2 (ja) 2008-09-04 2011-08-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用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092B1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0840B1 (en) Lighting device
US8911110B2 (en) Lighting device
US8710724B2 (en) LED light source lamp having drive circuit arranged in outer periphery of LED light source
JP2004179048A (ja) Led照明ユニット及びled照明器具
KR101929256B1 (ko) 조명 장치
KR101850092B1 (ko) 조명 장치
KR101082924B1 (ko) Led 광원 교통신호등
KR101860039B1 (ko) 조명 장치
KR20130005372A (ko) 조명 장치
KR20130084395A (ko) 조명 장치
KR101971124B1 (ko) 조명 장치
KR101610318B1 (ko) 조명 장치
KR101878271B1 (ko) 조명 장치
KR101862584B1 (ko) 조명 장치
KR101892706B1 (ko) 조명 장치
KR101857534B1 (ko) 조명 장치
KR101859457B1 (ko) 조명 장치
KR20130039102A (ko) 조명 장치
KR20130023823A (ko) 조명 장치
KR20140090766A (ko) 조명 장치
KR20130052051A (ko) 조명장치
KR20120137989A (ko) 조명 장치
KR20130028195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