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72U -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 Google Patents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72U
KR20130005872U KR2020120002568U KR20120002568U KR20130005872U KR 20130005872 U KR20130005872 U KR 20130005872U KR 2020120002568 U KR2020120002568 U KR 2020120002568U KR 20120002568 U KR20120002568 U KR 20120002568U KR 20130005872 U KR20130005872 U KR 20130005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uxiliary
rear wheel
support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558Y1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김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식 filed Critical 김경식
Priority to KR2020120002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5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자전거바퀴의 손상 등 응급상황에 활용 가능이 가능하도록, 본 고안은 일단에 전륜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타단과 페달 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후륜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안장을 연결하는 좌석지지프레임;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좌석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륜지지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제1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륜 보조휠부; 및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제2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후륜 보조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bicycle for having support wheel}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바퀴의 손상 등 응급상황에 활용 가능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2륜차를 말하는 것으로, 발로 밟는 힘을 페달, 크랭크 기구, 체인을 거쳐 후륜에 전달하게 되어 있으며,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비를 바꾸어서 속도를 조절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전거의 구조는 중공형의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에 체결된 페달부(2), 안장(3), 핸들부(4), 전륜(5) 및 후륜(6)으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후륜(6)에는 상기 페달부(2)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프라켓이 체결되어 상기 페달부에 가하여지는 힘을 회전력으로 바꾸어 자전거를 움직이는 힘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자전거 바퀴의 구조는 공기를 주입하는 원형의 튜브에 고무재질의 타이어가 씌워지고 가는 봉형의 바퀴살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노면의 돌출상태나 예리한 금속 파편 등에 의해 튜브의 펑크 및 이로 인한 사고가 잦아 운전자의 부상과 자전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자전거 바퀴의 파손 즉시 대체할 수 있는 보조도구가 없고 수리를 위해서는 운전자가 자전거를 직접 들고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에, 종래에 보조바퀴가 달린 자전거가 개발되었으나 대부분이 상기 프레임에 보조바퀴가 고정되어 평상시 자전거를 이용할 때에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일부 접이식 보조바퀴가 개발되었으나 그 위치가 뒷바퀴 쪽에만 한정되어 있고 접었을 때 차지하는 공간이 커 이용시 불편함을 해소하는데에 한계가 있어왔다.
1.등록실용 : 제20-04138070000호 (2006.04.11)
본 고안은 자전거바퀴의 손상 등 응급상황에 활용 가능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일단에 전륜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타단과 페달 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후륜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안장을 연결하는 좌석지지프레임;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좌석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륜지지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제1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륜 보조휠부; 및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제2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후륜 보조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륜 보조휠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1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단부에 전륜보조바퀴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 및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륜 보조휠부는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1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단부에 후륜보조바퀴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 및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륜보조바퀴 측부에는 체인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스프라켓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전륜보조휠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호 접철식으로 연결되는 전륜보조휠부 고정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후륜보조휠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호 접철식으로 연결되는 후륜보조휠부 고정링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자전거바퀴의 펑크 등의 손상시에 활용 가능한 보조휠부가 후륜부 뿐만 아니라 전륜부에도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자전거 손상에 있어 전륜의 파손시 대체할 수단이 취약했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보조휠부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휠부의 보조지지대는 중공형의 제1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보조지지대에 내삽되되 선택적으로 고정가능한 제2보조지지대로 구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자전거에 적용될 수 있다.
셋째, 후륜 보조휠부에 구비된 후륜보조바퀴 측부에 체인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스프라켓이 구비됨으로써, 후륜이 파손된 상황에서도 체인부를 상기 보조스프라켓에 임시체결하여 단거리 운행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륜 보조휠부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 보조휠부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100)는 전륜지지프레임(10), 제1연결프레임(20), 제2연결프레임(30), 좌석지지프레임(40), 후륜지지프레임(50), 전륜 보조휠부(60), 그리고 후륜 보조휠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0)은 그의 일단에 전륜(1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0)의 일단에 제1연결프레임(20)이 연결되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은 그의 타단에 페달 스프라켓부(2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륜지지프레임(10)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의 연결부위에 핸들부(12)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후륜지지프레임(50)은 그의 일단에 후륜(5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후륜(51)은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의 페달 스프라켓부(21)와 체인(22)으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후륜스프라켓(5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51)과 상기 페달 스프라켓부(21)를 연결하도록 제2연결프레임(30)이 형성되어 이루어된다. 또한, 좌석지지프레임(40)은 상기 페달 스프라켓부(21)와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의 타단에 연결되되,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안장부(4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에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륜 보조휠부(60)가 구비되어 연결되되, 상기 전륜 보조휠부(60)는 제1전륜보조지지대(61), 제2전륜보조지지대(62), 전륜 고정링크부(63), 지지대체결부(81) 및 전륜 보조바퀴(6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는 중공형의 파이프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에 연결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체결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전륜보조지지대(62)는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단부에 전륜 보조바퀴(64)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 및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62)에는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지지대체결부(81)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대체결부(81)는 체결홀과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에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62)의 노출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와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에는 전륜 고정링크부(6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륜 고정링크부(63)는 상호 접철식으로 구비되되,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에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륜 보조휠부(70)를 구비되어 연결되되, 상기 후륜 보조휠부(70)는 제1후륜보조지지대(71), 제2후륜보조지지대(72), 후륜 고정링크부(73), 지지대체결부(82) 및 후륜 보조바퀴(7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는 중공형의 파이프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에 연결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체결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후륜보조지지대(72)는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단부에 후륜 보조바퀴(74)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 및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에는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지지대체결부(82)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대체결부(82)는 체결홀과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에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의 노출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와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에는 후륜 고정링크부(7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후륜 고정링크부(73)는 상호 접철식으로 구비되되,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륜 보조바퀴(74) 측부에는 보조스프라켓(75)이 구비되어 상기 체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작동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륜 보조휠부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륜 보조휠부(60)의 일단이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에 볼트 체결되되,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20)과 상기 전륜 보조휠부(60)에 전륜 고정링크부(63)가 구비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륜 고정링크부(63)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에 연결되는 제1작동링크(63a)와 상기 전륜 보조휠부(60)에 연결되는 제2작동링크(63b)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힌지구조로 체결되어 상호 접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크부의 상기 제1작동링크(63a)와 제2작동링크(63b)는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스토퍼(63c)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륜 보조휠부(60)는 상기 전륜 고정링크부(63)가 접철되었을 때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의 측단에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륜 고정링크부(63)가 회동되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20)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펼처진 상태가 되면 상기 스토퍼(63c)에 의해 고정되도록 조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륜 보조휠부(60)는 중공형의 파이프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20)에 연결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체결구조로 연결되는 제1전륜보조지지대(61)와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2전륜보조지지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 및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62)에는 지지대체결부(81)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와 제2전륜보조지지대(62)에는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체결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에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62)의 노출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62)의 일단에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길이조절용체결홀(81c)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체결홀(81b)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에는 상기 길이조절용체결홀(81c) 및 상기 제2체결홀(81b)과 대응되되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1체결홀(8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륜 보조휠부(60)는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62)에 형성되는 상기 길이조절용체결홀(81c)과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61)에 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홀(81c)이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륜 보조휠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 보조휠부(70)의 일단이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에 볼트 체결되되,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과 상기 후륜 보조휠부(70)에 후륜 고정링크부(73)가 구비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후륜 고정링크부(73)는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에 연결되는 제1작동링크(73a)와 상기 후륜 보조휠부(70)에 연결되는 제2작동링크(73b)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힌지구조로 체결되어 상호 접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크부의 상기 제1작동링크와 제2작동링크는 회동되어 펼처진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스토퍼(73c)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후륜 보조휠부(70)는 상기 후륜 고정링크부(73)가 접철되었을 때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의 측단에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 고정링크부(73)가 회동되되,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어 펼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스토퍼(73c)에 의해 고정되도록 조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륜 보조휠부(70)는 중공형의 파이프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후륜지지프레임(50)에 연결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체결구조로 연결되는 제1후륜보조지지대(71)와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2후륜보조지지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 및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에는 지지대체결부(8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와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에는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체결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에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의 노출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의 일단에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길이조절용체결홀(82c)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체결홀(82b)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71)에는 상기 길이조절용체결홀(82c) 및 상기 제2체결홀(82b)과 대응되되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1체결홀(8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후륜 보조휠부(70)는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에 형성되는 상기 길이조절용체결홀(82c)과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에 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홀(82a)이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륜 보조바퀴(74)는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72)의 일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그의 측부에 보조스프라켓(75)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후륜스프라켓(52)과 상기 페달 스프라켓부(21)에 연결된 상기 체인(22)을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스프라켓(75)과 상기 페달 스프라켓부(21)에 전이하여 연결후 작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륜(51) 타이어 펑크 등의 응급상황에서도 상기 체인(22)을 상기 보조스프라켓(75)에 연동하여 연결함으로써 단거리 주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전륜지지프레임 11 : 전륜
12 : 핸들부 20 : 제1연결프레임
21 : 페달 스프라켓부 22 : 체인
30 : 제2연결프레임 40 : 좌석지지프레임
41 : 안장부 50 : 후륜지지프레임
51 : 후륜 52 : 후륜 스프라켓
60 : 전륜 보조휠부 61 : 제1전륜보조지지대
62 : 제2전륜보조지지대 63 :전륜고정링크부
63a,73a : 제1작동링크 63b,73b : 제2작동링크
63c,73c : 스토퍼 64 : 전륜보조바퀴
70 : 후륜보조휠부 71 : 제1후륜보조지지대
72 : 제2후륜보조지지대 73 : 후륜고정링크부
74 : 후륜보조바퀴 75 : 보조스프라켓
81,82 : 지지대체결부 81a,82a : 제1체결홀
81b,82b : 제2체결홀 81c,82c : 길이조절용체결홀
100 :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Claims (5)

  1. 일단에 전륜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타단과 페달 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후륜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안장을 연결하는 좌석지지프레임;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좌석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륜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제1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륜 보조휠부; 및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제2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후륜 보조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보조휠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1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단부에 전륜보조바퀴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전륜보조지지대 및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륜보조지지대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보조휠부는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1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에 내삽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단부에 후륜보조바퀴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후륜보조지지대와,
    상기 제1후륜보조지지대 및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2후륜보조지지대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보조바퀴 측부에는 체인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스프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전륜보조휠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호 접철식으로 연결되는 전륜보조휠부 고정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후륜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후륜보조휠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호 접철식으로 연결되는 후륜보조휠부 고정링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KR2020120002568U 2012-03-29 2012-03-29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KR200469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68U KR200469558Y1 (ko) 2012-03-29 2012-03-29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68U KR200469558Y1 (ko) 2012-03-29 2012-03-29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72U true KR20130005872U (ko) 2013-10-10
KR200469558Y1 KR200469558Y1 (ko) 2013-10-23

Family

ID=5073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68U KR200469558Y1 (ko) 2012-03-29 2012-03-29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150B1 (ko) 2016-11-04 2017-11-06 박석준 자전거 체인 수리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615Y1 (ko) * 1998-12-28 2002-04-22 권혁수 자전거용보조휠장치
KR100359348B1 (ko) * 1999-12-29 2002-11-04 김삼석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558Y1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4084B1 (en) Compact folding bicycle
CN103635383B (zh) 自行车车架及能够使用该自行车车架进行两轮和三轮转换的自行车和婴儿车
US9266579B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JP2010018173A (ja) X型フレームの三輪折りたたみ自転車
US20150035248A1 (en) Extendable bicycle
JP2010254265A (ja) 折り畳み自転車
US9108695B2 (en) Foldable scooter
DE602007002047D1 (de) Zusammenklappbarer Roller mit dreifachem Trittbrett
EP2842844B1 (en) Bicycle kickstand
JP4875114B2 (ja) 自転車
CN202966546U (zh) 折叠式电动车
KR200469558Y1 (ko) 보조휠부가 구비된 자전거
JP4323557B1 (ja) 三輪自転車
JP2009280182A (ja) ステッキハンドル自転車
CN104494733A (zh) 电动车安全行驶辅助装置
JP2001146188A (ja) 折り畳み自転車
KR20120037835A (ko) 범용 접철식 자전거
RU2391244C1 (ru) Велосипед
CN204096005U (zh) 座椅转向自行车
CN209126890U (zh) 一种多用途的折叠三轮车操作机构、三轮车
JP2016055833A (ja) 自転車
JP2006062526A (ja) リカンベント型自転車
CN105416501B (zh) 一种双链传动滑板车
CN201357908Y (zh) 一种折叠式自行车
CN103192927B (zh) 一种折叠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